KR101021428B1 -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 Google Patents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428B1
KR101021428B1 KR1020030009997A KR20030009997A KR101021428B1 KR 101021428 B1 KR101021428 B1 KR 101021428B1 KR 1020030009997 A KR1020030009997 A KR 1020030009997A KR 20030009997 A KR20030009997 A KR 20030009997A KR 101021428 B1 KR101021428 B1 KR 10102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le
angle
crown
diamond
pavil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110A (ko
Inventor
가와부치요시노리
마츠무라다모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호에미 브레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호에미 브레인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호에미 브레인즈
Publication of KR2003006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1Faceting ge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관찰하는 사람이 보다 아름답다고 느끼는 다이아몬드의 컷 디자인(cut design) 및 그 관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거들(girdle)의 상부에 크라운(crown)과 그 아래에 퍼빌리언(pavilion)을 갖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round brilliant cut)을 행한 컷 디자인이다.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26 내지 0.3이고,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다. 그리고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 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를 만족하는 범위인 것에 의해, 시선 각도 20°미만으로 테이블면 위쪽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시지각(視知覺)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을 제공하고 있다.
다이아몬드, 컷 디자인, 거들, 크라운, 퍼빌리언,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Description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Cut design of diamonds providing plenty of visual-perceptible reflection for ornamental use and observ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컷 디자인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도시하고, 도 1a는 그 상면도, 도 1b는 그 측면도, 도 1c는 그 저면도.
도 2는 도 1의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zx면에 있어서의 설명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물리적 반사광량을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면마다의 물리적 반사광량을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면마다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반사광 패턴수를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면마다의 반사광 패턴수를 시선 각도 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패턴당 반사광의 양을 시선 각도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시선 각도 0°에 있어서의 패턴 빈도를 입사 각도(대 z축)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시선 각도 10°에 있어서의 패턴 빈도를 입사 각도(대 z축)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시선 각도 20°에 있어서의 패턴 빈도를 입사 각도(대 z축)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아몬드의 시선 각도 27.92°에 있어서의 패턴 빈도를 입사 각도(대 z축)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시선 각도 0°, 10°, 20°에서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거들 높이(h)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로부터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의 광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본 발명품에서 크라운 각을 바꾼 경우, 도 15d는 종래품의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를 시선 각도 0°, 10°, 20°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거들 입사 광선수를 거들 높이(h)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아몬드의 거들(외면; outer surfaces)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거들 높이(h)를 0.026에서 0.15까지 바꾼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퍼빌리언 각(p)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9는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퍼빌리언 각(p): 38°, 38.5°, 39°, 39.5°]의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퍼빌리언 각(p): 38°, 38.5°, 39°, 39.5°]의 모든 패턴수를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퍼빌리언 각(p): 37.5°, 38°, 38.5°, 39°, 39.5°, 40°, 41°]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2는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커지는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의 영역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3은 테이블 직경(Del)을 0.45, 0.5, 0.55로 한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의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4는 테이블 직경(Del)을 0.45, 0.5, 0.55로 한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의 모든 패턴수를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5는 테이블 직경(Del)을 0.45, 0.5, 0.55로 한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도시하고, 도 26a는 그 상면도, 도 26b는 그 측면도, 도 26c는 그 저면도.
도 27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퍼빌리언 각(p): 37.5°, 38°, 39°, 40°, 41°]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8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직경(Del)을 0.5와 0.55로 한 것에 대해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최대치를 퍼빌리언 각(p)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29는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직경(Del)을 0.5와 0.55로 한 것에 대해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최대가 되는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30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테이블 직경(Del): 0.55, 스타 패싯(star facet) 선단 거리(fx): 0.75,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5, 퍼빌리언 각(p): 40°, 크라운 각(c): 23°]의 시선 각도 0°에 있어서의 패턴 빈도를 입사 각도(대 z축)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31은 테이블 직경(Del)을 0.5와 0.55로 한 본 발명의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모든 패턴수를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32는 테이블 직경(Del)을 0.5와 0.55로 한 본 발명의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33은 테이블 직경(Del)을 0.5와 0.55로 한 본 발명의 변형한 라운드 브릴 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크라운 각(c)과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34는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보이는 반사광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변형한 컷 디자인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보이는 반사광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종래의 컷 디자인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보이는 반사광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이아몬드 11 : 테이블면
12 : 거들 13 : 큐렛
14 :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 15 : 스타 패싯
16 : 상부 거들 패싯 17 : 퍼빌리언 메인 패싯
18 : 하부 거들 패싯
본 발명은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컷 디자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이아몬드를 관찰하는 사람이 보다 아름답다고 느끼는 신규한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몬드를 장식에 사용하기 위해 컷을 하여, 빛나는 다이아몬드 및 장신 구를 얻기 위해, 58면체를 갖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신구를 얻고 있다.
다이아몬드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 4C로 불리고 있는 것은,
1. 캐럿(무게)
2. 컬러(색)
3. 컷[프로포션(proportion), 대칭성(symmetry) 및 연마(polish)]
4. 클래러티(clarity)(내포물의 질과 양)이다.
캐럿(무게)에 관해서는, 종래 다이아몬드의 가치는 그 크기에 따라서 결정되며 그 잣대로서 그 무게가 평가 기준이 되어 왔다. 컬러(색)는 원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무색 투명한 것일수록 희소 가치가 높아 좋은 물건이라고 되어 있다. GIA(Gemological Institute of America의 약자) 평가에서, D, E, F 등급이 되는 것은 무색 투명한 다이아몬드로, 덧붙여 말하면, 약간 황색에 가깝게 보이는 것은 K 등급 등이 된다. 컷 디자인은 광채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다. 클래러티는 내포하는 불순물이나 상흔으로, 원석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중 컬러와 클래러티는 원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사람이 유일하게 가공을 가할 수 있는 것은 컷 디자인이다. 컷 디자인에 의해 광채[브릴리언시(brilliancy)나 신틸레이션(scintillation)]가 결정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광채를 증가시키는 컷 디자인이 검토되어 왔다.
그 광채를 증가시키는 컷 디자인으로서 수학자 토르코프스키가 제창하여 GIA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는 것이 있으며, GIA 시스템에서 이상적이라고 하는 컷은 퍼빌리언 각 40.75도, 크라운 각 34.50도,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 대비 53%이다. 그 컷은 본래 아름다움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원석으로부터의 수율도 중요시되어 결정되었었다.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광채를 증가시키는 컷에 대해서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하여,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크라운면에 입사하여 크라운면에서 출사하는 광과,
테이블면에 입사하여 크라운면에서 출사하는 광과,
크라운면에 입사하여 테이블면에서 출사하는 광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컷 디자인으로서,
퍼빌리언 각(p)을 45° 이하에서 37.5° 이상으로 함과 동시에,
크라운 각(c)을
-3.5 ×p + 163.6 ≥c ≥-3.8333 ×p + 174.232
를 만족하는 범위에 있는 것을 일본특허출원 2000-255039호(2000년 8월 25일 출원)와 일본특허출원 2001-49636호(2001년 2월 26일 출원)에서 제안하고 있다. 그 중심치는 퍼빌리언 각(p)이 38.5°, 크라운 각(c)이 27.92°이다.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광채는 외부에서 다이아몬드 내로 광이 입사하고 그 입사한 광이 다이아몬드 내에서 반사하여 관찰자에게 검지된다. 다이아몬드의 광채의 크기는 그 반사광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반사광의 양은 통상 물리적 반사광량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지각은 물리적 반사광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 아몬드를 관찰한 사람이 아름답다고 느끼기 위해서는, 사람이 느끼는 광량, 즉 생리적 또는 심리적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것일 필요가 있다.
또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관찰하는 때에는 통상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이나 크라운면에서 나오는 광을 관찰한다. 그래서 테이블면이나 크라운면에서 나오는 반사광이 많은 경우에 다이아몬드가 빛난다고 평가된다.
한편,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된 다이아몬드는 가공 상의 이유로 크라운과 퍼빌리언과의 경계 주위에 거들이라 불리는 원통면 또는 다각형 기둥면이 붙어 있지만, 거들의 높이(h)는 통상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거들 높이와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의 관련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된 일이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상 및 크라운면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극히 밝게 느낌과 동시에, 패턴수가 많은 컷 디자인을 가진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늘린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또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된 다이아몬드에 적합한 관찰 방법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명자들이 상기 특허 출원하고 있는 컷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늘리는 것의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는 다이아몬드를 바로 위에서 즉 테이 블면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가장 아름답게 느낄 수 있는 컷 디자인을 실시한 것이다. 그 때문에, 다이아몬드의 반사광량 평가를 위해, 관찰하는 사람이 지각할 수 있는 광량으로서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컷 디자인을 평가하고 있다. 더욱이,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다이아몬드로의 입사광 중 관찰하는 사람에게 가려져버리는 입사광을 제외하고, 나머지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을 사용하여 반사광량(「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라 부른다)을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제적인 관찰에 적합한 컷 디자인 및 그 관찰 방법을 본 발명에서는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다이아몬드를 단순한 반사체로서 취급하여 물리적 반사광량 전체로 광량을 평가하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평가와는 전혀 틀린 것이다.
본 발명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는,
상부 수평 단면과 상부 수평 단면에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지고,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한 거들과,
거들 상부 수평 단면 위에, 테이블면과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 메인 패싯을 갖는 크라운과,
거들 하부 수평 단면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을 갖는 퍼빌리언을 가지며,
거들의 상하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26 내지 0.3이고,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하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며,
크라운 메인 패싯과 상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
를 만족하는 범위로 되어 있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이다.
본 발명의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30 내지 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이아몬드의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은,
상부 수평 단면과 그것에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진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 거들과,
상부 수평 단면 위에 크라운과,
하부 수평 단면 아래에 퍼빌리언을 가지며,
크라운은 테이블면과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 메인 패싯을 가지며,
퍼빌리언은 적어도 하나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을 갖고 있으며,
거들의 상하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26 내지 0.3이고,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하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며,
크라운 메인 패싯과 상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
를 만족하는 범위로 되어 있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테이블면, 및 크라운 메인 패싯과, 스타 패싯과, 크라운 거들 패싯을 포함한 크라운면에서 다이아몬드 내에 입사하고,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서 나오는 광을,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테이블면 수선(垂線)에 대하여 20° 미만의 시선 각도로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위쪽으로부터 관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관찰 방법에 있어서,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각도 범위에서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서 다이아몬드 내에 입사하고,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서 나오는 광을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찰 방법에 있어서, 광이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수선에 대하 여 20° 내지 45°의 각도 범위에서 그 다이아몬드에 입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관찰 방법에 있어서, 다이아몬드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30 내지 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상부 외주로 둘러싸인 상부 수평 단면과 하부 외주로 둘러싸이고, 상부 수평 단면과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지며,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한 거들과,
거들 상부 수평 단면 위에 거들로부터 위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대 형상을 한 크라운과,
거들 하부 수평 단면 아래에 거들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형을 한 퍼빌리언을 갖는 다이아몬드의 컷 디자인이며,
상기 크라운은 그 다각추대의 정상면을 형성하고 있는 정팔각형의 테이블면과, 8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과, 8개의 스타 패싯과, 16개의 상부(upper) 거들 패싯을 가지며,
상기 퍼빌리언은 8개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16개의 하부(lower) 거들 패싯을 갖고 있다.
그리고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있어서,
다각추형 퍼빌리언의 중심 정점에서 테이블면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축,
그 중심축으로부터 테이블면의 8정점 각각을 지나는 평면을 제 1 평면,
중심축을 지나, 이웃하는 2개의 제 1 평면이 끼인각을 2등분하는 평면을 제 2 평면으로 하였을 때에,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의 크라운의 각 패싯은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각 크라운 메인 패싯은 테이블면의 1개의 정점과, 그 정점을 지나는 제 1 평면이 거들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을 대정점(對頂点)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크라운 메인 패싯과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스타 패싯은 테이블면의 1변과 같은 저변과, 그 저변의 양단의 점 각각을 1정점으로 하는 2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이 공유하고 있는 정점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이고,
각 상부 거들 패싯은 크라운 메인 패싯 각각이 갖는 변 중 거들의 상부 외주와 일단에서 교차하고 있는 1변과, 그 변의 타단을 지나는 제 2 평면이 거들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이다.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의 퍼빌리언의 각 패싯은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은 제 1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과, 퍼빌리언 다각추형 중심 정점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 각각의 위에 가지며, 이웃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 각각과 1개의 변과 2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하부 거들 패싯은 퍼빌리언 메인 패싯이 갖는 변 중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과, 그 변의 타단을 지나는 제 2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이다.
본 발명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은, 상기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있어서의 크라운 또는 퍼빌리언 중 하나를 중심축 주위로 22.5° 회전시킨 것이다. 그래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으로, 크라운은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디자인의 경우와 같다고 하면, 그 퍼빌리언의 각 패싯은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은, 제 2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과, 퍼빌리언 다각추형 중심 정점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1 평면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 각각과 1개의 변과 2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하부 거들 패싯은 퍼빌리언 메인 패싯이 갖는 변 중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과, 그 변의 타단을 지나는 제 1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이다.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구조
본 발명에 의한 다이아몬드(1)의 컷 디자인의 외관도를 도 1에, 그 단면도를 도 2에 도시하고 있으며, 도 1a는 상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저면도이다. 여기서 상면은 정팔각형의 테이블면(11)이고, 거들(12)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하고 있으며, 거들 상부에 거들로부터 위를 향하여 형성된 대략 다각추대를 한 크라운이 있으며, 정팔각형 테이블면이 다각추대의 정상면을 형성하고 있다. 거들(12)보다도 하부에 거들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형성된 대략 다각추형을 한 퍼빌리언이 있으며, 그 중심 정점에 큐렛(13; culet)이라 불리고 있는 부분이 있다. 크라운의 외주에는 통상 8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bezel) 패싯](14)이 있으며, 테이블 외변과 크라운 메인 패싯 사이에 8개의 스타 패싯(15)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거들(12)과 크라운 메인 패싯(14) 사이에 16개의 상부 거들 패싯(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퍼빌리언의 외주에는 통상 8개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거들과 퍼빌리언 메인 패싯 사이에 16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이 형성되어 있다. 거들(12)의 외면은 테이블면과 수직으로 되어 있다.
테이블면 중심과 다각추형 퍼빌리언의 중심 정점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축(이후 설명에 있어서 z축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그 중심축과 테이블면의 각 팔각형 정점을 지나는 평면을 제 1 평면,
중심축을 지나 이웃하는 2개의 제 1 평면이 끼인각을 2등분하는 평면을 제 2 평면이라 부른다.
설명상의 이유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내에 좌표 축(오른 좌표)을 잡고, 그 z축을 테이블면 중앙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테이블면에 수직으로 세워, 그 원점(O)을 거들 중앙에 놓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y축은 원점(O)에서 지면의 뒤편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1 평면은 zx면과, zx면을 z축의 주위로 45°씩 회전시킬 수 있는 면으로, 도 1에서는 21로서 도시하고 있다. 제 2 평면은 제 1 평면을 z축의 주위로 22.5° 회전시켜 얻어지는 면으로, 도 1에서는 22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각 크라운 메인 패싯(14)은 정팔각형 테이블면(11)의 1개의 정점(예를 들면 도 1a의 A)과, 그 정점(A)을 지나는 제 1 평면(21)(예를 들면 zx면)이 거들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B)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C, D)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22)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크라운 메인 패싯(14)과 1개의 정점(C 또는 D)을 공유하고 있다. 각 스타 패싯(15)은 정팔각형 테이블면(11)의 1변(AA')과, 그 변의 양단의 점(A와 A') 각각을 1정점으로 하는 2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14)이 공유하고 있는 정점(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AA'C)이다. 각 상부 거들 패싯(16)은 크라운 메인 패싯(14) 각각이 갖는 변 중 거들(12)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예를 들면 CB)과, 그 변의 타단(C)을 지나는 제 2 평면(22)이 거들(12)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E)으로 형성되는 평면이다.
도 1c를 참조하여,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은 제 1 평면(21)(예를 들면 zx면)이 거들(12)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F)과, 퍼빌리언 다각추형 중심 정점(G)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H, I)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22)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17) 각각과 1개의 변(GH 또는 GI)과 1개의 정점(H 또는 I)을 공유하고 있다. 각 하부 거들 패싯(18)은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갖는 변 중 거들(12)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예를 들면 FH)과, 그 변의 타단(H)을 지 나는 제 2 평면(22)이 거들(12)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J)으로 형성되는 평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큐렛(13)을 제외하고 생각하는 것으로 한다.
크라운 메인 패싯(14) 각각과 퍼빌리언 메인 패싯(17) 각각은 이웃하는 2개의 제 2 평면(22)의 사이에 있다. 이웃하는 2개의 상부 거들 패싯(16)의 공통 변(CE)과, 이웃하는 2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의 공통 변(HJ)이 제 2 평면(22)상에 있다. 이웃하는 2개의 제 1 평면(21)에 의해, 각 스타 패싯(15)과, 변(CE)을 공유하는 2개의 상부 거들 패싯(16)과, 변(HJ)을 공유하는 2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이 개재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상부 거들 패싯(16)과 이들 2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은 거들(12)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제 1 평면(21) 각각이 각 크라운 메인 패싯(14)의 중앙과,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의 중앙을 분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크라운 메인 패싯(14)과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은 거들(12)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거들 직경 또는 거들 반경을 단위로 하여, 그것과의 대비로 다이아몬드의 각 부분의 치수를 나타낸다. 거들 높이(h)는 거들의 z축 방향의 치수로서, 거들 반경 대비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 1과 같은 부분은 같은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크라운의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14)이 거들 수평 단면(xy면)과 이루는 각도, 즉 크라운 각을 c로 도시하며, 퍼빌리언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거들 수평 단면(xy면)과 이루는 각도, 즉 퍼빌리언 각을 p로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크라운에 있는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 스타 패 싯, 상부 거들 패싯을 모아 크라운면, 퍼빌리언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 하부 거들 패싯을 모아 퍼빌리언면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거들 높이(h), 테이블 직경(Del), 스타 패싯 선단까지의 거리(fx), 퍼빌리언부의 하부 거들 패싯 정점까지의 거리(Gd)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 직경(Del)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으로부터 테이블(11)의 정팔각형 정점까지의 거리의 2배이다. 스타 패싯 선단까지의 거리(fx)는 크라운에 있는 스타 패싯과 베젤 패싯과 상부 거들 패싯과의 교점까지의 다이아몬드 중심축(z축)을 지나는 yz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z축에서 그 선단까지의 거리의 zx면으로의 투영이다. 퍼빌리언에 있는 하부 거들 패싯 정점까지의 거리(Gd)는 퍼빌리언의 하부 거들 패싯의 큐렛측 정점(181)까지의 zx면상에서의 z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심축(z축)에서 그 정점(181)까지의 거리에 cos22.5°를 곱한 값이다.
다이아몬드의 크기(사이즈)를 규정하는데 테이블 직경 또는 치수(대 거들 직경의 비율) 외에 크라운 높이, 퍼빌리언 깊이, 토탈 깊이가 사용되는 일도 있지만, 이들은 테이블 직경과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이 결정되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광로의 검토 방식
본 명세서에서 광로의 검토는 이하에 도시하는 방식으로 행하였다.
(1) 다이아몬드는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45°마다 대칭이며, 또한 45°의 분할 요소는 그 중앙에서 면(예를 들면 zx면) 대칭으로 하여, 입출사 광로의 시점 은 이 요소의 반인, 22.5°의 범위에서 고찰하였다. 예를 들면, 어느 점에서 어느 각도로 입사하는 광의 행방(출사점)과 그 광로를 보기 위해서는, 이 22.5° 범위의 점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쫓는다. 이 광로의 대칭성으로 전체 광로를 추정하였다.
(2) 광로 추적의 경우, 광선을 시점 좌표(Xi, Yi, Zi)와 방향(l, m, n)을 갖는 벡터로 나타내며, 다이아몬드의 각 면을 면 내에 있는 기지의 점 좌표(a, b, c)와 법선 방위(u, v, w)을 갖는 벡터로 나타내었다. 이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면은 45°의 범위에서 테이블면,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 상부 거들 패싯 2면, 스타 패싯, 퍼빌리언 메인 패싯, 하부 거들 패싯 2면의 합계 8면과 그 45°씩 7회전한 면이 된다.
(3) 광로, 출사각, 출사점, 반사ㆍ굴절의 판정(광선과 면과의 교차각)의 계산은 벡터 계산으로 행한다.
즉, 반사ㆍ굴절ㆍ출사점은 이들 직선과 면의 교점(연립식의 해)으로서 구해진다.
직선의 식: (x - Xi)/l = (y - Yi)/m = (z - Zi)/n
평면의 식: u(x - a) + v(y - b) + w(z - c) = 0
교점은 이들 연립방정식의 해로서 구할 수 있으며, 각 면과의 교점을 차차 계산하여 조건에 맞는 정확한 해를 만들었다.
입사ㆍ굴절시의 광로의 방향 변화는 굴절율과, 입사광과 면 방위 벡터의 합성 벡터로(입사 후의 벡터가) 구해진다. 반사의 경우도 합성 벡터형은 다르지만,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 굴절ㆍ반사 후의 광선은 이 교점을 시점으로 한 직선으 로 표현된다.
면과 광선이 이루는 각은 면의 법선 벡터와 광선의 방위 벡터의 스칼라 곱으로 구해지며, 이 각도가 임계각보다도 작으면 굴절하여 출사하고, 크면 반사하여 간다. 반사한 경우는 다시 반사 후의 광선과 다음에 교차하는 면과의 교점을 구하여, 같은 계산을 하였다.
(4) 이들 광로의 계산은 시선(관측 측에서 광원까지를 거슬러 간다)에도 광선(광원에서 관측점까지를 거슬러 간다)에도 적당히 적용하였다. 즉, 출사 측에서 광원까지의 광로를 거슬러 가는 것과, 광원 측에서 출사점까지 광로를 거슬러 가는 계산 방법은 같은 원리에 따라서 행하였다.
(5) 또한, 광의 스펙트럼의 분리 출사는 동일점에서 동시에 입사한 백색 광이 예를 들면 3회째의 굴절면에서 비교적 파장이 짧은 청색 측의 광이 전부 반사하여 비교적 파장이 긴 적색 측의 광이 임계각 이내에서 출사하는 입사 조건ㆍ광로를 골라내었다. 또한, 전부 반사하고 남은 청색 광의 행방은 상기 방법으로 광로를 구하였다.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도입
이하의 검토에 있어서 시지각(반사)광의 양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시지각 광의 양에 관해서, 페히나(Fechner)의 법칙과 스티븐스의 법칙이 있다(마츠다 타카오(松田隆夫)저 바이후우칸(培風館) 발행 「시지각」 2000년판 10 내지 12페이지). 페히나의 법칙에서는 시지각 광의 양을 물리적 광량의 대수로 하고 있다. 광원을 점 광원으로 간주하여 스티븐스의 법칙을 적용하면, 물리적 광량 의 평방근이 시지각 광의 양이 된다. 페히나 및 스티븐스 어느 쪽의 법칙에 근거한다 하여도 정량적으로는 다르지만, 많은 결론은 같아 대체로 오류는 없다고 생각된다. 여기서는 스티븐스의 법칙에 근거하여, 시지각 광의 양을 구하고, 그것이 반사광인 때에는 시지각 반사광의 양으로서, 다이아몬드의 광채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의 검토에 있어서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다이아몬드의 반사광 패턴 중 30메쉬(meshes) 이상의 크기를 가진 패턴마다 물리적 반사광량(10)을 단위로 하여, 그 평방근을 구하고, 그 값을 모든 패턴에 대해서 합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물리적 반사광량을 구할 때에, 다이아몬드의 반경을 100등분한 메쉬로 절단하여, 메쉬마다의 광량 밀도를 구하였다. 다이아몬드는 반경이 수 mm 정도이기 때문에, 각 메쉬는 수백 ㎛2이 된다. 사람이 시각할 수 있는 크기를 감안하여 30메쉬 이상의 크기를 한 패턴에 대해서만 광의 양을 계산하였다.
또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에서 관찰하면 45°마다 회전 대칭으로, 그 45°의 범위 내에서 22.5°마다 면 대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축(z축)을 지나는 22.5°마다의 면에서 절단된 절단 부재마다 광량을 구하면 된다.
즉,
시지각 반사광의 양 = Σ{(절단 부재 내의 30메쉬 이상의 패턴마다에 대한 물리적 반사광량)/10}1/2
로 하였다. 또한, 여기서 Σ는 1절단 부재 내의 패턴의 합이다.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 물리적 반사광량과의 비교
본 발명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와, 종래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에 대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블면 위에서 z축 방향에서 관찰하여 물리적 반사광량, 시지각 반사광의 양, 반사광 패턴수를 조사하였다. 이 관찰은 z축에 대하여 시선 각도를 0°에서 27.92°까지 기울여가면서 행하였다. 그 기울인 시선은 도 2의 zx면 내에서 행하였다. 시선을 더욱 xy면 내에서 z축 주위로 돌려 반사광의 양의 검토를 하였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다이아몬드 시료의 형상은 본 발명품으로서 퍼빌리언 각(p): 38.5°, 크라운 각(c): 27.92°, 테이블 직경(Del): 0.55,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5,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26이고, 종래품으로서는 퍼빌리언 각(p): 40.75°, 크라운 각(c): 34.5°, 테이블 직경(Del): 0.53,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314, 거들 높이(h): 0.02이다. 시선 각도를 바꾸었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물리적 반사광량 합계를 그래프로서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시선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각 면으로부터의 물리적 반사광량을 그래프로서 도 4에 도시한다. 도 5에는 시선 각도를 바꾸었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합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에는 시선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각 면으로부터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에 시선 각도를 바꾸었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반사광 패턴수 합 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에 시선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각 면으로부터의 반사광 패턴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더욱이, 도 9에는 시선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패턴당 반사광의 양을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의 z축 방향 바로 위에서(시선 각도 0°로) 관찰하였을 때의 물리적 반사광량의 합계는 도 3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보다도 종래품 쪽이 조금 많다. 도 2에서 정의하고 있는 시선 각도를 크게 하여 가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선 각도가 25° 전후로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물리적 반사광량이 거의 같아진다. 다이아몬드의 거들보다도 위의 각각의 면, 즉 테이블면과 크라운면(베젤 패싯, 상부 거들 패싯, 스타 패싯)으로부터의 물리적 반사광량을 도 4의 그래프에 도시하고 있다. 종래품에서는 베젤 패싯으로부터의 물리적 반사광량이 특히 많다. 본 발명품에 있어서도 베젤 패싯으로부터의 반사광량은 많지만, 본 발명품에서는 테이블면으로부터의 반사광량이 종래품에서의 테이블면으로부터의 반사광량보다도 많게 되어 있다.
본 발명품과 종래품을 동일하게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광의 양을 시지각 반사광의 양으로 비교한 것을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각 면으로부터의 합계를 도 5에 도시하고 있으며, 시선 각도 15° 미만에서 관찰한 경우, 본 발명품에서는 종래품보다도 30% 정도 밝게 되어 있으며, 시선 각도 15° 내지 25°에서는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거의 같다. 도 5를 도 3과 비교해 보면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물리적 반사광량에서는 종래 품보다도 약하지만, 시지각 반사광의 양에서는 훨씬 밝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자에게 지각되는 광의 양이 많으며, 관찰자에게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는 종래품보다도 강하게 빛나 지각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시선 각도를 15°보다도 크게 하여 가면, 본 발명품과 종래품과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거의 같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는 테이블면 위의 z축의 부근에서 관찰하는 것이 좋다. 도 6에 있는 바와 같이, 베젤 패싯으로부터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테이블면, 그에 이어서 거들 패싯으로 되어 있다.
반사광 패턴수로 본 발명품과 종래품을 비교한 것이 도 7과 도 8이고, 도 7은 반사광 패턴수 합계를, 도 8은 각 면으로부터의 반사광 패턴수를 시선 각도와의 관련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의 패턴수는 종래품보다도 60 내지 70% 많으며, 도 8로부터는 베젤 패싯의 패턴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반사광 패턴당의 반사광의 양을 시선 각도와의 관련으로 구하여 그래프에 도시한 것이 도 9이다.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바로 위 부근에서 관찰하였을 때(시선 각도가 작을 때)는 본 발명품의 패턴당 반사광의 양은 종래품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이것을 도 7과 합쳐서 생각하면 본 발명품은 세밀한 패턴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시선 각도가 15° 이상이 되면, 본 발명품의 패턴당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종래품의 것과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반사광 패턴수 합계를 도시하는 도 7에 있는 시선 각도 0°, 10°, 20°, 27.92°의 다이아몬드에 대해서, 반사광 패턴을 입사광의 입 사 각도로 나누어 대 z축의 입사 각도의 간격 10°마다의 패턴 빈도를 각각 도 10,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가로축은 10° 간격이고, 그곳에 도시하고 있는 숫자는 각각의 중간치, 예를 들면 5는 입사 각도가 0° 내지 10°의 범위를 의미하고 있다. 시선 각도 0°에서의 관찰을 도시하는 도 10에서는, 25인 곳, 즉 20° 내지 30°의 각도 범위의 입사 각도로 다이아몬드에 들어온 광에 의한 패턴이 대략적인 것으로, 50° 이상의 입사 각도로 다이아몬드에 입사한 광에 의한 패턴은 없다. 그러나, 종래품에서는 0°에서 70°까지의 입사 각도 범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시선 각도 10°의 도 11에 의하면, 본 발명품에서도 입사 각도가 0°에서 80°까지 분포하게 되지만, 대개의 패턴은 입사 각도가 10°에서 40°까지의 입사광으로 형성된다. 시선 각도 20°의 도 12에서는, 본 발명품에서 입사 각도 10°에서 50°까지의 입사광으로 패턴이 거의 형성되어 있어, 시선 각도 27.92°의 도 13에서는 패턴을 형성하는 입사광의 분포가 더욱 확장되어 있으며, 점차로 종래품의 분포에 유사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와 종래품과의 비교로부터 다음의 것이 분명해졌다.
(a) 물리적 반사광량에서는, 종래품이 조금 우수하지만, 시지각 반사광의 양에서는, 본 발명품이 극히 우수하다.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특히 많다.
(b) 본 발명품의 반사광 패턴수는 종래품보다도 많다. 또한 패턴당 반사광의 양은 본 발명품에서는 종래품보다도 적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품의 패턴은 세밀한 것이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c) 시선 각도 20°에서 본 발명품을 관찰하였을 때에는 z축에 대한 입사 각도가 10° 내지 50°의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 패턴이 주로 관찰되고, 시선 각도 10°에 있어서는 10° 내지 40° 범위의 입사광에 의해 반사광 패턴이 주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z축에 대한 입사 각도가 작은 입사광은 정면에서 관찰하는 사람에게 가려져 다이아몬드에 입사하지 않기 때문에, z축에 대하여 20 내지 45°의 각도 범위에서 입사한 광에 의한 반사광의 양으로 평가한다.
(d) 상기 특징은 시선 각도가 20° 미만, 특히 15° 미만으로 뛰어나다. 즉, 테이블면의 바로 위에서 다이아몬드를 관찰할 때에 지각할 수 있다.
거들 높이와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관계
거들 높이(h)와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퍼빌리언 각(p)이 38.5°, 크라운 각(c)이 27.92°인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거들 높이(h)를 0.025에서 0.3까지 바꾼 것을 테이블면 위의 z축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그래프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서 가로축은 거들 높이(h)로, 다이아몬드의 거들 반경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세로축은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다. 동일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그래프는 z축 방향에서의 관찰, 파선으로 도시한 그래프는 z축으로부터 10°의 각도(이하, 「시선 각도」라 한다)로부터의 관찰, 일점파선으로 도시한 그래프는 z축으로부터 20°의 각도(시선 각도 20°)로부터의 관찰이다. 또한, 동일 도면에서 좌측 아래 부분에 도시하고 있는 「종래 0」 「종래 10」 「종래 20」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는 도트는 퍼빌리언 각(p)이 40.75°, 크라운 각(c)이 34.5°를 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로 거들 높이(h)를 거들 반경의 0.02로 한 것을 각각 z축 방향, z축으로부터 10°각도의 방향, z축으로부터 20°의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다.
도 1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는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극히 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컷 디자인에서는, 거들 높이(h)를 증가시킴에 따라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아지고 있다. 시선 각도 0°에서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가장 크고, 시선을 기울여 감에 따라 작게 되어 있지만, 시선 각도 20°라도 종래의 컷 디자인의 최대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시선 각도 0°에 있어서는 h: 0.2로 최대가 되며, 그 이상에서는 조금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시선 각도 0°의 그래프는 h: 0.3이라도 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시선 각도 10°의 경우보다도 크다. 이 결과로부터, 거들 높이(h)를 증가시키는 것은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거들 높이(h)가 0.3까지는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크다.
도 15에 다이아몬드의 z축 방향에서 반사광을 관찰하였을 때에, 다이아몬드의 각 면에 나오는 광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a에서는, 퍼빌리언 각(p): 38.5°, 크라운 각(c): 27.92°를 하고 있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면으로 나오는 광은 크라운면에서 입사한 것이다. 테이블면의 외주 가까이에서 나오는 광은 크라운면의 거들에 가까운 곳에서 입사한 광이다. 거들면에서 입사한 광도 테이블면의 외주 근처로 나온다.
z축 방향으로 출사되어 오는 반사광 중 거들면에서 입사한 광의 비율을 구하여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 도 16이다. 거들 반경을 100등분하였을 때에, 거들 단면(z축에 수직인 단면)은 약 31,000개의 메쉬가 된다. 그 각 메쉬당 1개의 광선이 나온다고 하고, 그것을 단위로 하여 도 16의 세로축은 거들면으로부터의 입사 광선수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 도면의 가로축은 대 거들 반경의 비로 나타낸 거들 높이(h)이다.
도 16에서는, 시선 각도를 파라미터로 하여 거들 높이(h)를 0.026에서 0.2까지 바꾼 경우의 거들면으로부터의 입사 광선수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시선 각도에 있어서도, 거들 높이(h)가 커짐에 따라 거들면에서 입사하는 광선의 양이 늘어나고 있다. 시선 각도 0°에서는 거들로부터의 입사 광선수는 적다. 그러나, 시선 각도 10°에서는 거들 높이(h): 0.15에서 976개가 거들면에서 입사하고 있어, 모든 광선의 약 3%가 된다. 또한, 시선 각도 20°에서는 거들 높이(h): 0.15로 1,734개가 거들면에서 입사하고 있어, 모든 광선의 약 5.5%가 된다.
거들면에서 입사한 광의 대부분은,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면 주변에 가까운 곳이 관찰된다. 그러나, 장식용 다이아몬드는 받침대 가운데에 다이아몬드의 거들 부분까지 매립되어 사용되는 일이 많다. 받침대 가운데에 매립된 다이아몬드는 거들면이 받침대에서 덮여버린다. 그 때문에, 거들면에서 입사되어 오는 광이 없어져, 테이블면 주변에 가까운 곳이 어두워진다. 거들 높이를 크게 하면, 거들면에서 입사되어 오는 광선의 비율이 많아지기 때문에, 다이아몬드를 받침대 가운데 에 매립하여 거들면에서 입사되어 오는 광선을 차단하면 테이블면 주변에 가까운 곳에 생기는 어두운 부분이 커져버린다. 거들면에서 입사하는 광선의 모든 광선에 대한 비율을 약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다이아몬드의 관찰은 테이블면의 바로 위에서 뿐만 아니라, 조금 기울여 관찰하는 경우도 있다. 거들 높이(h)가 0.15 이하의 다이아몬드를 받침대 가운데에 매립하였을 때에 받침대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어두워지는 비율을 약 5%까지 허용되는 것으로 하면, 관찰할 때의 다이아몬드 경사, 즉 시선 각도를 약 20° 미만으로 하면 된다. 이 어두워지는 비율을 3% 이하까지 허용되는 것으로 하면, 시선 각도를 10° 이하로 하면 된다.
거들 높이(h)의 하한을 검토한다. 크라운에 있는 상부 거들 패싯(16)은 거들면(12)과 원호로 교차하고 있다. 상부 거들 패싯(16)의 원호는 아래에 볼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퍼빌리언에 있는 하부 거들 패싯(18)은 거들면(12)과 원호로 교차하고 있다. 하부 거들 패싯(18)의 원호는 위에 볼록으로 되어 있어, 거들면 상에서 상부 거들 패싯(16)의 원호와 대향하고 있다. 거들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상부 거들 패싯(16)의 원호와 하부 거들 패싯(18)의 원호가 대향하고 있는 모양을 도 17에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다. 거들 높이(h)를 작게 하여 가면, 상부 거들 패싯(16)의 원호와 하부 거들 패싯(18)의 원호가 교차하여, 다이아몬드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거들 외주가 불완전해져, 원형 또는 다각형이 아니게 된다. 상부 거들 패싯의 원호와 하부 거들 패싯의 원호가 접할 때의 거들 높이(h)를 「최소 거들 높이」로 하면, 최소 거들 높이는 표 1에 있는 바와 같이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으로 결정 된다. 그러나, 거들 높이(h)가 대 거들 반경의 비로 0.026 이상 있을 때는, 상부 거들 패싯과 하부 거들 패싯의 양 원호가 조금 교차하지만, 그것들로 형성되는 교차선은 극히 짧은 것이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이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들 높이(h)의 바람직한 값은 대 거들 반경의 비로 0.030 이상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거들 높이(h)는 대 거들 반경의 비로 0.026 내지 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 내지 0.15이다.
크라운 각(c) 28.82 27.92 26 24
퍼빌리언 각(p) 38.25 38.5 39 39.5
최소 거들 높이(h) 0.0301 0.0297 0.0289 0.02780

거들 높이(h)와 퍼빌리언 각(p)과의 관련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거들 높이(h)를 거들 반경 대비로 0.026, 0.05, 0.10, 0.15로 하여 퍼빌리언 각(p)을 38.25°에서 39.5°까지 늘려 검토하였다. 그들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의 위쪽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시선 각도를 0°, 10°, 20°로 하여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구한 결과를 도 18에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거들 높이(h)를 크게 하여 가면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아지고, 퍼빌리언 각(p)을 크게 하면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선 각도를 0°에서 10°로, 10°에서 20°로 올리면, 이 경향이 작아진다. 이것으로부터도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는 시선 각도 20° 미만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그 특징이 지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퍼빌리언 각과 크라운 각과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으로의 관계
다음으로,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을 바꾸었을 때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검토하였다. 그 예비 검토로서,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을 바꾸어, 다이아몬드의 z축 방향에서 반사광을 관찰하였을 때의 광로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광로를 도 15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테이블면 오른쪽 절반부로부터 위쪽으로 나와 있는 굵은 실선은, 좌측 크라운면에서 입사해서 다이아몬드 내에서 반사하여 테이블면 오른쪽 절반부로부터 출사하고 있는 광로가 존재하고 있는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광로 사이에 같은 광로를 취하는 광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우측 크라운면에서 위쪽으로 나와 있는 굵은 파선은, 좌측 크라운면에서 입사해서 다이아몬드 내에서 반사하여 우측 크라운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있는 광로가 존재하는 범위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들 2개의 굵은 파선으로 도시한 광로 사이에 같은 광로를 취하는 광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우측 크라운면에서 위쪽으로 나와 있는 가는 실선은, 테이블면 좌단으로부터 입사해서 다이아몬드 내에서 반사하여 우측 크라운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있는 광로가 존재하는 범위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들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 광로 사이에 같은 광로를 취하는 광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5d에서는 크라운면에 입사해서 크라운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적기 때문에 굵은 파선에서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15a는 퍼빌리언 각(p): 38.5°, 크라운 각(c): 27.92°를 한 라운드 브릴 리언트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위의 z축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우측 테이블면에서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은 좌측 크라운면에서 입사한 광이다. 우측 크라운면의 거들에 가까운 부분부터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은 좌측 크라운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입사한 광이다. 우측 크라운면의 테이블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서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은 좌측 크라운면 상에서 좌측 테이블의 외주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입사한 광이다.
퍼빌리언 각(p)을 38.5°로 한 채로, 크라운 각(c)을 3° 크게 해서 30.92°로 한 다이아몬드의 반사광의 광로를 도 15b에 도시하고 있다. 우측 크라운면의 거들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나와 있는 반사광은 좌측 크라운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입사한 광인 것은 변함 없지만, 그 입사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입사광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반사광이 약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크라운 각(c)을 더욱 크게 한 경우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크라운 각(c)을 더욱 크게 하면, 입사 각도가 더욱 커지고, 크라운 각(c): 31.395°에서 임계로 되어, 크라운면에서 입사해서 크라운면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없어진다.
퍼빌리언 각(p)을 38.5°인 채로 하여, 크라운 각(c)을 위와 반대로 2° 작게 해서 25.92°로 한 다이아몬드의 반사광 광로를 도 15c에 도시하고 있다. 우측 테이블면에서 z축 방향으로 나오는 반사광은 좌측 크라운면에서 입사한 광이기는 하지만, 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없어져 그 부분이 어둡게 되어 있다.
비교를 위해 퍼빌리언 각(p): 40.75°, 크라운 각(c): 34.5°인 종래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에서 z축 방향으로의 반사광의 광로를 도 15d에 도시하고 있다. 우측 테이블면에서 나와 있는 반사광은 좌측 테이블면의 테이블 외주에 가까운 곳에서 좌측 크라운면에 걸친 부분으로부터 입사한 광이다. 우측 크라운면에서 나와 있는 반사광은 좌측 테이블면의 중앙에 가까운 곳에 입사한 광이다.
본 발명의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에서는 크라운면, 즉 베젤 패싯이 밝게 빛나고 있는 모양이 도 15로부터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을 실시한 다이아몬드에서 크라운 각(c)을 크게 하여 가면, 도 15b에 있는 바와 같이 크라운면 즉 베젤 패싯이 어둡게 되어 가, 입사각이 임계 이상이 되는 크라운 각도가 되면 베젤 패싯의 광이 극히 약해지기 때문에, 크라운 각(c)을 그 임계가 되는 값보다도 작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입사각이 임계가 되는 것은 퍼빌리언 각(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일 때이기 때문에, 크라운 각(c)과 퍼빌리언 각(p)은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를 만족하는 범위가 아니면 안 된다.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의 유효한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퍼빌리언 각(p)을 38°, 38.5°, 39°, 39.5°로 하여, 그 각각에 있어서 크라운 각(c)을 25.3 내지 34.3°, 23.42 내지 42°, 21.5 내지 30.5°, 19.5 내지 29.5°의 사이에서 변화시켜, z축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 패턴수를 조사하였다. 크라운면(거들면을 포함하여)과 테이블면에 입사한 모든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의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 패턴수의 크라운 각(c)과의 관계를 퍼빌리언 각(p) 을 파라미터로 하여, 도시한 것이 각각 도 19와 도 20이다. 상기 범위의 퍼빌리언 각, 크라운 각을 하고 있는 다이아몬드에서는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모두 588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종래의 컷 디자인[퍼빌리언 각(p): 40.75°, 크라운 각(c): 34.5°]을 하고 있는 다이아몬드에서는 507이기 때문에, 본 발명품은 종래의 다이아몬드보다도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크다. 또한 본 발명품의 패턴수는 종래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에서는 192이기 때문에, 어느 퍼빌리언 각, 크라운 각에 있어서도 많게 되어 있다.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도입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 관찰자의 바로 뒤에서 오는 광은 관찰자에게 가려져 다이아몬드에 입사하지 않는다. 또한, z축에 대하여 45° 이상의 각도로 다이아몬드에 입사하는 광은 도 10, 도 11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광 패턴의 형성, 즉 다이아몬드의 광채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 다이아몬드를 테이블면의 위쪽(z축 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z축에 대하여 20 내지 45°의 각도 범위에서 다이아몬드의 크라운면과 테이블면에 입사하여 오는 광에 의한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다이아몬드의 광채에 있어서 유효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으로 한다.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퍼빌리언 각(p): 37.5°, 38°, 38.5°, 39°, 39.5°, 40° 및 41°에 대해서, 그 각각에 있어서 크라운 각(c)을 변화시켜 조사한 결과를 도 21에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에서는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약 250이다. 퍼빌리언 각(p): 37.5°일 때 크라운 각(c): 31°에서 최대가 되며, 크라운 각(c): 27°로부터 34°의 범위에서 약 300 또는 그 이상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갖는다. 퍼빌리언 각(p): 38°일 때 크라운 각(c): 28.3°에서 최대가 되고, 크라운 각(c)이 25.3°가 되어도 320 이상 있지만, 크라운 각(c)이 31.3°까지 커지면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꽤 작아진다. 이것은 크라운 각(c)이 32.6° 전후에서, 도 15b와 관련하여 서술한 크라운면으로 출사하는 반사광으로 크라운면에서 입사하는 광의 입사광이 임계가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크라운 각이 커지면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일시적으로 커지는 일은 있지만, 그 이상의 크라운 각에서는 작아지고, 크라운 각(c) 34.3°에서는 211이 되어 종래의 다이아몬드보다도 광채가 작아진다.
퍼빌리언 각(p): 38.5°일 때, 크라운 각(c): 27.92°에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최대가 된다. 그 값으로부터 크라운 각(c)이 더욱 커지면, 반사광의 양은 작아지며, 크라운 각(c): 30.92°에서 극소가 된다. 크라운 각(c)이 31.4° 정도에서 크라운면에서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임계가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크라운 각이 27.92°보다도 작아지면 반사광의 양도 줄어 크라운 각 25° 이하에서는 300 전후가 된다. 크라운 각(c)이 23° 이상에서는 종래품보다도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커진다.
퍼빌리언 각(p): 39°일 때, 크라운 각(c): 26°에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최대가 된다. 크라운 각(c)이 그 값보다도 커지면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줄어 가고, 크라운 각(c) 30.5°에서는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약 300이 된다. 크라운 각(c) 30.2° 정도에서 크라운면에서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임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대로 크라운 각이 26°에서 작아져 가면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줄어, 크라운 각(c) 23°에서 거의 300이 되며, 크라운 각(c)이 그보다도 작아지면 더욱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감소한다. 크라운 각(c)이 22.5° 이상으로, 종래의 다이아몬드보다도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다.
퍼빌리언 각(p): 39.5°에서는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전반적으로 작아져, 크라운 각(c): 25° 근방에서 최대가 되지만 그 값은 380 정도이다. 크라운 각(c)이 그보다도 커지면 반사광의 양이 감소하며, 또한 크라운 각(c)이 그보다도 작아졌을 때도 반사광의 양이 감소하여, 크라운 각(c): 약 20°에서 종래의 다이아몬드보다도 반사광의 양이 작아지기 때문에, 반사광의 양을 종래의 것의 값 250보다도 충분히 여유를 가지고 27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크라운 각은 21°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퍼빌리언 각(p): 40°에 있어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퍼빌리언 각(p): 39.5°에 있어서의 것과 거의 같고, 그 최대가 되는 크라운 각(c)의 값은 퍼빌리언 각(p): 39.5°에 있어서의 것보다도 낮은 각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라운 각(c)을 조금 작게 하면 퍼빌리언 각(p): 40°에 있어서도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크고 강한 광채가 관찰된다. 또한, 퍼빌리언 각(p): 41°에 있어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크라운 각이 작아져도 그다지 저하하지 않는다. 그래서 퍼빌리언 각(p)은 41°까지는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퍼빌리언 각(p)이 37.5° 미만이 되면, 크라운 메인 패싯(베젤 패싯)의 상부 즉 테이블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입사한 광이 큐렛에 가까운 곳에서 다이아몬드의 뒤로 새버린다. 다이아몬드의 테이블 위의 z축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 에, 베젤 패싯 상부나 스타 패싯이 어두워지는 일이 있다. 그래서 퍼빌리언 각(p)은 37.5° 이상 필요하다.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관점에서 하면, 퍼빌리언 각(p)이 38°, 39.5° 각각에 있어서, 크라운 각(c)은 25.3°, 21° 이상이어야만 한다. 퍼빌리언 각(p): 38°에서 크라운 각(c): 25.3°인 점과,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에 있어서 가장 엄격한 퍼빌리언 각(p): 39.5°에 있어서 크라운 각(c): 21°인 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c = -2.8667 ×p + 134.233이다. 이 직선보다도 크라운 각(c)이 크고, 이미 서술한 입사각이 임계 이하가 되는 관계식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및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인 조건을 모아 그래프로 하여 도 22에 도시한다.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이 도 22에 도시된 4개의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있을 때에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커져, 광채가 큰 다이아몬드를 얻을 수 있다.
테이블 직경과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의 관계
테이블 직경(Del)이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퍼빌리언 각(p)을 38.5°로 하고, 테이블 직경(Del)을 거들 직경 대비로 0.45, 0.5, 0.55로 한 다이아몬드에 대해서, 그 크라운 각(c)을 각각 24.92 내지 30.92°로 바꾸어,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과, 모든 패턴수와,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구하여 각각을 도 23, 도 24, 도 25에 도시하였다.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 대 비로 0.5, 0.55로 하면, 0.45인 것보다도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 모든 패턴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 모두 많아지고 있다. 테이블 직경은 거들 직경 대비로 0.45 이상 있는 것이 필요하다. 테이블 직경 0.5와 0.55인 것을 비교하여, 테이블 직경 0.55로 하여도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 모두 그다지 증가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테이블 직경을 0.5에서 0.55로 크게 하면 패턴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테이블 직경은 크더라도 0.60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는 테이블보다도 베젤 패싯의 광채가 강하기 때문에, 테이블 직경을 비교적 작게 하는 쪽이 베젤 패싯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의 적용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컷 디자인을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대해서 설명했다.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은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들(12)을 끼고 상하에 상부 거들 패싯(16)과 2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이, 또한 베젤 패싯(14)과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대향하고 있는 것이다.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서는 베젤 패싯(14)에 들어간 광이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에 닿아 그곳에서 반사하고, 반대 측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에 닿아 그곳에서 반사하여, 베젤 패싯(14) 또는 테이블면(11)으로부터 출사되어 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컷 디자인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이란 도 1에 도시하는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 있어서의 크라운 또는 퍼빌리언의 한쪽을 z축 주위로 22.5° 회전시킨 것으로, 도 26에 도시하는 것이다. 도 26은 도 1에 대응하여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1')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a는 그 상면도, 도 26b는 그 측면도, 도 26c는 그 저면도이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1')에 있어서도,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1)와 마찬가지로,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한 거들(12)과,
거들 상부에 거들(12)로부터 위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대를 한 크라운과, 그 다각추대의 정상면을 형성하고 있는 정팔각형의 테이블면(11)과,
거들 하부에 거들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형을 한 퍼빌리언을 갖는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를 그리고 있는 도 26에서 도 1과 마찬가지로,
테이블면 중심과 원추형 퍼빌리언의 정점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축(z축),
중심축과 테이블면의 각 정팔각형의 정점을 지나는 평면을 제 1 평면(21),
중심축을 지나 이웃하는 2개의 제 1 평면(21)이 끼인각을 2등분하는 평면을 제 2 평면(22)이라 부른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의 크라운은 도 1에 도시한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와 같고, 8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14)과, 8개의 스타 패싯(15)과, 16개의 상부 거들 패싯(16)을 갖고 있다. 또한, 퍼빌리언은 8개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17')과 16개의 하부 거들 패싯(18')을 갖고 있다.
각 크라운 메인 패싯(14)은 정팔각형 테이블면(11)의 1개의 정점(예를 들면 도 26a의 A)과, 그 정점(A)을 지나는 제 1 평면(21)(예를 들면 zx면)이 거들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B)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C, D)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22)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크라운 메인 패싯(14)과 1개의 정점(C 또는 D)을 공유하고 있다. 각 스타 패싯(15)은 정팔각형 테이블면(11)의 1변(AA')과, 그 변의 양단의 점(A와 A') 각각을 1정점으로 하는 2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14)이 공유하고 있는 정점(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AA'C)이다. 각 상부 거들 패싯(16)은 크라운 메인 패싯(14) 각각이 갖는 변 중 거들(12)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예를 들면 CB)과, 그 변의 타단(C)을 지나는 제 2 평면(22)이 거들(12)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E)으로 형성되는 평면이다.
도 26c를 참조하여,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은 제 2 평면(22)이 거들(12)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F')과, 퍼빌리언 다각추형 중심 정점(G)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H', I')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1 평면(21)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17') 각각과 1개의 변(GH' 또는 GI')과 1개의 정점(H' 또는 I')을 공유하고 있다. 각 하부 거들 패싯(18')은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갖는 변 중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예를 들면 F' H')과, 그 변의 타단(H')을 지나는 제 1 평면(21)이 거들(12)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J')으로 형성되는 평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큐렛(13)을 제외하고 생각하는 것으로 한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1')에서는 도 26에 있는 바와 같이 거들(12)을 끼고 상하에 있는 상부 거들 패싯(16)과 하부 거들 패싯(18')은 대향하고 있지만, 22.5° 선회되어 있기 때문에, 베젤 패싯(14)에 대향한 위치에는 하부 거들 패싯(18')이 오고 있으며, 퍼빌리언 메인 패싯(17')이 오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베젤 패싯(14)에 들어간 광이 하부 거들 패싯(18')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한 광이 반대 측에 있는 하부 거들 패싯(18')에 닿아 그곳에서 반사하여, 크라운에 있는 베젤 패싯(14) 또는 테이블면(11)으로부터 출사하고 있다.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로 퍼빌리언 각: p를 37.5°, 38°, 39°, 40° 및 41°의 것 각각에 크라운 각을 바꾼 것에 대해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측정한 결과를 도 27에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4개의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퍼빌리언 각(p): 37.5°에서 크라운 각(c): 26.7 내지 33.8°, p: 38°에서 c: 25.3 내지 32.6°의 범위, p: 39°에서 c: 22.6 내지 30.2°의 범위, p: 40°에서 c: 19.5 내지 27.7°의 범위, p: 41°에서 c: 16.7 내지 25.3°의 범위]에 있는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을 갖는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은 도 27로부터, 종래의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약 250)보다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각 퍼빌리언 각(p)에 있어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최대치를 기입한 것을 도 28에 도시하고 있다. 도 28에는 테이블 직경(Del): 0.5,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5인 컷 디자인을 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최대치도 마찬가지 로 기입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7, 도 28로부터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는 본 발명의 퍼빌리언 각과 크라운 각 범위에 있어서, 큰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테이블 직경과 스타 패싯 선단 거리를 조금 작게 하여도 그 광의 양은 그다지 변화가 없는 것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9에,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최대가 되는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을 테이블 직경(Del): 0.5,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5와 테이블 직경(Del): 0.55,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5,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5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였다. 테이블 직경(Del)을 0.55에서 0.5로 바꾸어도 거의 같은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에서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의 최대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테이블 직경(Del): 0.55, 스타 패싯 선단 거리(fx): 0.75, 하부 거들 패싯 정점 거리(Gd): 0.2, 거들 높이(h): 0.05, 퍼빌리언 각(p): 40°, 크라운 각(c): 23°]를 z축 방향 바로 위에서(시선 각도 0°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반사광 패턴을 입사광의 입사 각도로 나누어 대 z축의 입사 각도의 간격 10°마다의 패턴 빈도를 도 30에 도시하고 있다. 60° 이상의 큰 입사 각도의 광에 의한 패턴이 없고, 대개의 패턴은 입사 각도 10 내지 50°또는 20 내지 45° 사이에 나타나고 있다. 10° 이하의 입사 각도에 1개의 피크가 나타나 있지만, 이 부분은 관찰하는 사람의 그늘에 가려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직경(Del)이 0.5인 것(fx: 0.7, Gd: 0.2, h: 0.05, p: 40°)과 0.55인 것(fx: 0.75, Gd: 0.2, h: 0.05, p: 40°)에 대해서, 크라운 각(c)을 변화시켜 모든 패턴수, 모든 시지각 반사광의 양 및 유효 시지각 반사광의 양을 측정한 결과를 각각 도 31, 도 32, 도 33에 도시하고 있다. 이들 그래프는 통상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에 있어서의 도 24, 도 23, 도 25에 각각 대응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값은 같은 레벨에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은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아몬드의 관찰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실시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관찰할 경우,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 입사하여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서 나오는 광을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에 세운 수선(z축)에 대하여 20° 미만의 각도 범위에서 테이블면의 위쪽에서 관찰하면 그 다이아몬드의 특징을 가장 잘 지각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 입사하는 광은 테이블면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0°에서 90°에 분포하고 있으면 좋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10°에서 50°의 각도 범위에 다이아몬드에 입사하여 오는 광이 분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0°에서 45°의 각도 범위에 분포하고 있는 것이 좋다.
육안에 의한 관찰의 경우에 대해서 상기에서는 설명하고 있지만, 다이아몬드로부터의 반사광 패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또는 CCD 카메라로 촬상한 신호를 CRT 등의 상에서 화상으로 하여, 사람이 관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와, 종래의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다이아몬드를 같은 조건에서, 예를 들면 테이블면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20° 내지 45°의 각도 범위에서 동일하게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에 입사하여 오는 광을 바탕으로, 테이블면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20° 미만의 각도 범위의 시선 각도로 테이블면 위쪽으로부터 동시에 관찰하여, 그들 2개의 다이아몬드의 비교를 행하여,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다이아몬드를 쌍대물렌즈를 가진 현미경으로, 동일 조건에서, 동일 시야에 넣어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조건에서 이들 2개의 다이아몬드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컷 디자인을 한 다이아몬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품과 비교하여,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으며 잘 빛나게 보인다. 반사광 패턴수에 있어서, 종래품보다도 많다. 이들 특징은 시선 각도가 20°미만, 특히 15° 미만에서 뛰어나다. 도 1에 도시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1)와 도 26에 도시한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실시한 다이아몬드(1') 모두 이들 특징을 갖고 있지만, 다이아몬드(1)와 다이아몬드(1')를 비교하여 관찰하면, 그들 사이에 조금의 차이가 인정되고, 장식품으로서의 새로움을 관찰자에게 인상지우는 것이다.
도 34, 도 35, 도 36 각각은 본 발명의 다이아몬드(1), 본 발명의 변형한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1') 및 종래의 다이아몬드를 상면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보이는 반사광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의 다이아몬드(1)의 반사광 패턴에서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의 윤곽선이 테이블면에서 베젤 패싯에 걸쳐 확실하게 나와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다이아몬드(1')의 반사광 패턴에서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이 테이블면에서 스타 패싯에 걸쳐 나타나 있지만, 테이블면 주변에 가까운 곳에서 퍼빌리언 메인 패싯의 윤곽선에 다중 반사한 패턴이 중복되어 있으며, 그 부분에서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의 윤곽선이 명료하게 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다이아몬드(1)의 반사광 패턴에서는 윤곽선이 확실하게 보여, 그 패턴이 유리 부재와 같은 강하고 차가운 인상을 준다. 그것과 비교하여, 변형한 다이아몬드(1')의 반사광 패턴에서는 각 패턴 선단이 휜 것 처럼 보여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또한, 변형한 다이아몬드(1')의 반사광 패턴에서는 다중 반사의 패턴이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광 패턴에 깊이 또는 입체감을 갖고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의 반사광 패턴을 비교하면, 다른 특징도 관찰되지만, 이것들은 관찰하는 사람에게 다른 특징적 인상을 주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삼가한다.
다이아몬드(1')를 다이아몬드(1)와 비교하였을 때, 다이아몬드(1')는 z축에 대하여 보는 각도를 크게 하여 관찰하여도 광의 양이 극단적으로 작아지지 않는다는 경향이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컷 디자인을 가진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는 그 테이블면에 세운 수선 부근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종래의 것보다도 강하게 빛나 보인다. 그 반사광의 패턴도 많이 세밀하기 때문에, 극히 광채가 강하게 관찰된다. 또한 입사 각도 10° 내지 50°, 특히 20° 내지 45°의 입사광에 의해 주로 반사광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정면에 있는 관찰자가 입사광을 가리는 일 없이 반사광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상부 수평 단면과 상부 수평 단면에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지며,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한 거들(girdle)과,
    거들 상부 수평 단면의 위에 테이블면과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 메인 패싯(facet)을 갖는 크라운(crown)과,
    거들 하부 수평 단면의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을 갖는 퍼빌리언(pavilion)을 갖는,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로서,
    거들의 상하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82 내지 0.3이고,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하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며,
    크라운 메인 패싯과 상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
    를 만족하는 범위로 되어 있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인 시지각(視知覺)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2. 제 1 항에 있어서,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30 내지 0.15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3.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4. 제 2 항에 있어서,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5. 상부 외주로 둘러싸인 상부 수평 단면과 하부 외주로 둘러싸이고, 상부 수평 단면과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지며,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을 한 거들과,
    거들 상부 수평 단면의 위에 거들로부터 위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대 형을 한 크라운과,
    거들 하부 수평 단면의 아래에 거들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형성된 거의 다각추형을 한 퍼빌리언을 갖는,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로서,
    상기 크라운은 그 다각추대의 정상면을 형성하고 있는 정팔각형의 테이블면과, 8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과, 8개의 스타 패싯과, 16개의 상부 거들 패싯을 가지며,
    상기 퍼빌리언은 8개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16개의 하부 거들 패싯을 갖고,
    다각추형 퍼빌리언의 중심 정점에서 테이블면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중심축,
    그 중심축으로부터 테이블면의 8정점 각각을 지나는 평면을 제 1 평면,
    중심축을 지나 이웃하는 2개의 제 1 평면이 끼인각을 2등분하는 평면을 제 2 평면으로 하였을 때에,
    각 크라운 메인 패싯은 테이블면의 1개의 정점과, 그 정점을 지나는 제 1 평면이 거들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을 대정점(對頂点)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2 평면 각각의 위에 가지며, 이웃에 있는 크라운 메인 패싯과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스타 패싯은 테이블면의 1변과 같은 저변과, 그 저변의 양단의 점 각각을 1정점으로 하는 2개의 크라운 메인 패싯이 공유하고 있는 정점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이고,
    각 상부 거들 패싯은 크라운 메인 패싯 각각이 갖는 변 중 거들의 상부 외주와 일단에서 교차하고 있는 1변과, 그 변의 타단을 지나는 제 2 평면이 거들의 상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이며,
    각 퍼빌리언 메인 패싯은 제 2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과, 퍼빌리언 다각추형 중심 정점을 대정점으로 하는 사변형 평면으로서, 그 사변형 평면은 다른 2개의 대정점 각각을 이웃에 있는 제 1 평면 각각의 위에 가지고, 이웃에 있는 퍼빌리언 메인 패싯 각각과 1개의 변과 2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각 하부 거들 패싯은 퍼빌리언 메인 패싯이 갖는 변 중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고 있는 1변과, 그 변의 타단을 지나는 제 1 평면이 거들의 하부 외주와 교차하는 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이고,
    거들의 상하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82 내지 0.3이며,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하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고,
    크라운 메인 패싯과 상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
    를 만족하는 범위로 되어 있는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6. 제 5 항에 있어서,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30 내지 0.15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7. 제 5 항에 있어서,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8. 제 6 항에 있어서,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인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9. 상부 수평 단면과 그것에 평행한 하부 수평 단면을 가진 거의 원형 또는 다각형 거들과,
    상부 수평 단면의 위에 크라운과,
    하부 수평 단면의 아래에 퍼빌리언을 가지며,
    크라운은 테이블면과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 메인 패싯을 가지고,
    퍼빌리언은 적어도 하나의 퍼빌리언 메인 패싯을 갖고 있으며,
    거들의 상하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82 내지 0.3이고,
    퍼빌리언 메인 패싯과 하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퍼빌리언 각(p)이 37.5° 내지 41°이며,
    크라운 메인 패싯과 상부 수평 단면 사이에 있는 크라운 각(c)이,
    c > -2.8667 ×p + 134.233과,
    p < 1/4 ×{(sin-1(1/n) + sin-1(1/nㆍsinc)) ×180/π+ 180 - 2c}
    [여기서, n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 π는 원주율이고, 퍼빌리언 각(p)과 크라운 각(c)은 도(°)로 나타냄]
    를 만족하는 범위로 되어 있는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을 한 장식용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테이블면, 및 크라운 메인 패싯과, 스타 패싯과, 크라운 거들 패싯을 포함한 크라운면에서 다이아몬드 내로 입사하여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및 크라운면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테이블면 수선(垂線)에 대하여 20° 미만의 시선 각도로 그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위쪽에서 관찰하는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에 입사하는 광은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각도 범위인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에 입사하는 광은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 중앙에 세운 수선에 대하여 20° 내지 45°의 각도 범위인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는 거들 높이(h)가 거들 반경의 0.030 내지 0.15인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는 테이블 직경이 거들 직경의 0.45 내지 0.60 인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KR1020030009997A 2002-02-19 2003-02-18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KR101021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1319 2002-02-19
JP2002041319 2002-02-19
JP2002253011A JP4482713B2 (ja) 2002-02-19 2002-08-30 装飾用ダイヤモンド
JPJP-P-2002-00253011 200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110A KR20030069110A (ko) 2003-08-25
KR101021428B1 true KR101021428B1 (ko) 2011-03-15

Family

ID=2762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997A KR101021428B1 (ko) 2002-02-19 2003-02-18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225641B2 (ko)
EP (1) EP1336350A1 (ko)
JP (1) JP4482713B2 (ko)
KR (1) KR101021428B1 (ko)
CN (1) CN1250129C (ko)
AR (1) AR038436A1 (ko)
AU (1) AU2003200199B9 (ko)
BR (1) BR0300467A (ko)
CA (1) CA2418534C (ko)
HK (1) HK1057152A1 (ko)
IL (1) IL154405A (ko)
MX (1) MXPA03001523A (ko)
MY (1) MY146889A (ko)
SG (1) SG104357A1 (ko)
TW (1) TWI2284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531A1 (en) * 2011-09-02 2013-03-07 Ritchie Anthony Hearts & arrows sic gemst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2713B2 (ja) 2002-02-19 2010-06-16 株式会社ほほえみブレインズ 装飾用ダイヤモンド
JP3962695B2 (ja) * 2003-02-13 2007-08-22 東京真珠株式会社 ダイアモンドのカッティング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ダイアモンド
CN100386043C (zh) * 2003-09-12 2008-05-07 深圳市真诚美珠宝有限公司 圆明亮式琢型钻石及其切割方法
CN100569137C (zh) * 2004-04-09 2009-12-16 株式会社微笑智能 椭圆形切割的钻石
JP4709088B2 (ja) * 2006-07-14 2011-06-22 株式会社ほほえみブレインズ 2段パビリオン装飾用ダイヤモンド
JP4709087B2 (ja) * 2006-07-14 2011-06-22 株式会社ほほえみブレインズ 2段パビリオン装飾用ダイヤモンド
CN101909475A (zh) 2008-01-09 2010-12-08 株式会社微笑智能 两层亭部装饰用钻石
AU2008346039B2 (en) * 2008-01-09 2012-12-20 Hohoemi Brains, Inc. Ornamental diamond having two-stage pavilion
RU2453256C2 (ru) * 2008-08-18 2012-06-20 Сергей Алексеевич Попов Способ цветовой огранки бриллианта
JP4768003B2 (ja) * 2008-09-25 2011-09-07 株式会社ほほえみブレインズ 装飾用宝石及び装飾用宝石のカッティング方法
CN102144832A (zh) * 2010-06-18 2011-08-10 林惠锋 钻石组合
CN102138716A (zh) * 2010-06-18 2011-08-03 林惠锋 钻石组合
US20120079853A1 (en) * 2010-10-01 2012-04-05 Blasbichler Guenther Gem with brilliant cut
KR101227754B1 (ko) 2010-11-29 2013-01-29 황규석 장식용 보석 및 그 가공방법
US8844319B2 (en) * 2011-01-14 2014-09-30 Jonathan WEINGARTEN Cut gemstone providing a specific optical pattern
WO2015155740A1 (en) * 2014-04-11 2015-10-15 Chow Tai Fook Jewellery Company Limited Faceted precious stones
US10405618B1 (en) * 2016-09-27 2019-09-10 Brian Steven Gavin Maximum light performance gemstone cutting technique
US11234499B2 (en) * 2016-09-29 2022-02-01 Gem S.T.S. Co., Ltd. Gemstone
CN108391912B (zh) * 2018-04-28 2024-05-14 深圳市翠绿首饰制造有限公司 一种反光成图案的首饰品及其加工方法和夹具
WO2020221353A1 (en) * 2019-04-30 2020-11-05 Goldway Technology Limited A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a marking on a diamond
USD992453S1 (en) * 2021-02-23 2023-07-18 Russell Kwiat Gem st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6350A1 (en) 2002-02-19 2003-08-20 Hohoemi Brains, Inc. Cut design of diamonds providing plenty of visual-perceptible reflection for ornamental use and observ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84A (en) * 1901-04-04 1902-02-11 David C Townsend Diamond.
US809531A (en) * 1904-05-03 1906-01-09 Ernest G H Schenck Diamond.
US2340659A (en) * 1943-05-05 1944-02-01 Goldstein Edward Precious stone
NL168408C (nl) * 1971-05-28 1982-04-16 Winter & Sohn Ernst Briljant.
US4083352A (en) * 1977-01-28 1978-04-11 Dmetro Andrychuk Method for cutting ornamental transparent gemstone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4708001A (en) 1985-09-04 1987-11-24 Alburger James R Faceted gem cut from shallow gemstone material
USD330873S (en) * 1990-12-20 1992-11-10 Lazare Kaplan International Inc. Gemstone
US5090216A (en) * 1990-12-31 1992-02-25 Cjc Holdings, Inc. Enhanced gemstone
DE19734036A1 (de) * 1997-08-06 1999-02-11 Helmut Buerger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s Edelsteinschliffs mit hoher Reflektion, Verfahren zum Schleifen eines Edelsteins mit hoher Reflektion sowie geschliffener Edelstein mit hoher Reflektion
US5970744A (en) * 1998-12-01 1999-10-26 Tiffany And Company Cut cornered square mixed-cut gemstone
USD437671S1 (en) * 1998-12-29 2001-02-20 Fajerstein Ronald M Diamond-shaped candy
US6305193B1 (en) * 2000-10-17 2001-10-23 Continental Jewelry (Usa) Inc. Gemstone
USD444098S1 (en) * 2000-11-17 2001-06-26 Sandberg & Sikorski Diamond Corp Jewelry stone clu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6350A1 (en) 2002-02-19 2003-08-20 Hohoemi Brains, Inc. Cut design of diamonds providing plenty of visual-perceptible reflection for ornamental use and observ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531A1 (en) * 2011-09-02 2013-03-07 Ritchie Anthony Hearts & arrows sic gemst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4741A1 (en) 2003-08-21
MY146889A (en) 2012-10-15
BR0300467A (pt) 2004-06-08
IL154405A (en) 2010-04-29
MXPA03001523A (es) 2003-08-26
US7225641B2 (en) 2007-06-05
CA2418534A1 (en) 2003-08-19
CN1444886A (zh) 2003-10-01
CA2418534C (en) 2008-01-29
TWI228401B (en) 2005-03-01
SG104357A1 (en) 2004-06-21
JP2003310318A (ja) 2003-11-05
AU2003200199B2 (en) 2007-03-01
AU2003200199B9 (en) 2007-04-05
IL154405A0 (en) 2003-09-17
JP4482713B2 (ja) 2010-06-16
AU2003200199A1 (en) 2003-09-04
AR038436A1 (es) 2005-01-12
CN1250129C (zh) 2006-04-12
KR20030069110A (ko) 2003-08-25
EP1336350A1 (en) 2003-08-20
TW200304788A (en) 2003-10-16
HK1057152A1 (en) 200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428B1 (ko) 시지각 반사광의 양이 많은 컷 디자인을 갖는 장식용 다이아몬드 및 장식용 다이아몬드의 관찰 방법
US7249471B2 (en) Cut design of diamonds providing plenty of visual-perceptible reflection for ornamental use and observation method thereof
JP3643541B2 (ja) 装飾用ダイヤモンドのカットデザイン
KR101066803B1 (ko) 타원형 컷 다이아몬드
US10271621B2 (en) Gemstone with a chaton cut
JP4768003B2 (ja) 装飾用宝石及び装飾用宝石のカッティング方法
US11553769B2 (en) Gemstone
US5657646A (en) Jewel having multiple culets
JP4709088B2 (ja) 2段パビリオン装飾用ダイヤモンド
WO2009087762A1 (ja) 2段パビリオン装飾用ダイヤモンド
JP4709087B2 (ja) 2段パビリオン装飾用ダイヤモンド
RU2421112C1 (ru) Алмаз для украшения, имеющий двухступенчатый павиль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