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343B1 -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343B1
KR101021343B1 KR1020100084851A KR20100084851A KR101021343B1 KR 101021343 B1 KR101021343 B1 KR 101021343B1 KR 1020100084851 A KR1020100084851 A KR 1020100084851A KR 20100084851 A KR20100084851 A KR 20100084851A KR 101021343 B1 KR101021343 B1 KR 101021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ignal
survey
data
under invest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숙
Original Assignee
민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숙 filed Critical 민경숙
Priority to KR102010008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6752 priority patent/WO20120300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 TV 시청률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조사 대상 장비에서 인터넷 망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미러링하고 미러링된 패킷에서 채널 변경 정보 및 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를 통해서만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의 싱크를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gathering TV audience rating}
본 발명은 TV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는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청률 조사방법에는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도록 하는 일기식 조사, 방문 또는 전화면접조사인 인터뷰 조사, 기계가 자동적으로 기록하도록 하는 미터 조사와 피플미터를 이용한 조사가 있다.
일기식 조사는 인쇄된 작은 책자를 시청자에게 배포하여 그들의 미디어 노출기록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가장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청자의 기억력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채널번호를 잘못 기억한다든지, 프로그램과 채널을 착각한다든지 하는 경우, 시청률 조사의 신뢰성을 훼손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수집 및 처리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갖는다.
인터뷰 조사는 방문 또는 전화면접을 통해 시청률을 조사하는 것이다. 시청기록을 스스로 작성하는(selfreported) 일기식 조사와 비교하여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인간의 기억에서 비롯된 한계, 면접자의 비협조, 더 많은 조사비용 등의 한계를 갖는다.
피플미터를 이용한 조사방법은 미터 조사방법과 마찬가지로 패널이라고 하는 표본추출방식에 의해 뽑힌 일정한 수의 가구를 대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에 피플미터라는 장치를 설치하고 리모콘 형태의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자 간섭에 의해 체크하는 방식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청률 조사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피플미터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방법은 표본 패널 대상가구에 피플미터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의 협조에 의한 것으로, 한정된 표본 패널 대상 가구 수에 따른 부정확성과 실시간 시청률 조사를 할 수 없다. 그리고 피플미터는 다른 방식에 비해 정확한 편이지만, 피플미터의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패널의 지속적이고 충실한 협조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패널의 분포와 수 및 그 조사방법에 따라 시청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방송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통적인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방송 등에 부가하여 케이블 TV, IPTV 방송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특히, IP(Internet Protocol)TV는 품질, 보안 및 신뢰성이 보장된 IP 망을 통하여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문서, 그래픽 및 데이터 서비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장차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방송분야이다.
그런데, 종래의 시청률 조사 방법은 주로 지상파 방송의 시청률 조사에 사용되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IPTV와 같은 새로운 방송기술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시청률 조사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시청률 조사 방법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함과 아울러 인터넷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시청률 조사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는 수신된 리모콘 신호에서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신호와 조사 대상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 2 신호는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해주는 리모콘 송수신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기 지정된 시간 또는 데이터 전송 명령에 따라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만이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재전송시 상기 제 2 신호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이 온 된 경우에만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률 데이터 수집을 명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는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서 및 상기 전원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가 온 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률 데이터 수집을 명령하며, 기 지정된 시간 또는 데이터 전송 명령에 따라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고리 형태로 감싸 상기 전원 케이블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로 전압값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량 측정장치(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IP 패킷들을 미러링한 후 미러링된 패킷에서 IPTV 채널 변경 정보 또는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하여 캡쳐함으로써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는 수신된 리모콘 신호에서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신호와 조사 대상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 2 신호는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하며, 상기 재전송시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리모콘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 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에서 추출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집하여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청률 조사 장치는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만이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은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시간 또는 데이터 전송 명령에 따라 출력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명령을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전송받아 시청률을 산출하는 시청률 조사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에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리모콘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고리 형태로 감싸 상기 전원 케이블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로 전압값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량 측정장치(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IP 패킷들을 미러링한 후 미러링된 패킷에서 IPTV 채널 변경 정보 또는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시청률 조사 방법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함과 아울러 인터넷 환경에서 보다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사 대상 장비에 대한 리모콘 신호를 시청률 조사 장치에서 재전송해주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 간의 싱크를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시청률 조사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리모콘 송수신부에서의 리모콘 신호 재전송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전원 감지부에서 TV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로, IPTV에 대한 시청률 조사를 위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은 시청률 조사 장치(100) 및 시청률 조사 서버(200)를 포함한다.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인터넷 망(IP 망)과 TV의 셋톱박스(STB) 사이에 연결되어 셋톱박스(STB)에서 인터넷 망으로 전송되는 IP 패킷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셋톱박스(STB)에 연결된 TV에 대한 실시간 IP 방송 및 IP-VoD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를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기 지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또는 시청률 조사 서버(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시청률 데이터를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뿐만 아니라 TV와 셋톱박스(STB)와 같은 시청률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모두 수신한 후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는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해줌으로써 조사 대상 장비의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TV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며, TV가 온 되어 있는 경우에만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한다. 더불어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시청률 조사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시청률 조사 장치(100)에 대한 기능 설정, 설정된 데이터 조회, 시청률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항목 설정 및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 조회 등을 시청률 조사 서버(200)를 통해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시청률 조사 서버(200)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들로부터 시청률 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시청률 데이터를 가공하여 카테고리별(TV별, 채널별, 방송 방식별, 방송 프로그램별, 일자별) 시청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데이터를 관리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시청률 조사 서버(200)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웹페이지)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시청자가 웹페이지를 통해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격에서 시청률 조사 장치(100)에 대한 기능 설정, 설정된 데이터 조회, 시청률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항목 설정, 시청률 조회 및 시청률 데이터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정보 조회 및 기능 제어에 대한 권한은 관리자와 시청자 간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리모콘 송수신부(110), 전원 감지부(120), 표시부(130), 네트워크 프로세서(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아니면 조사 대상 장비(TV, STB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반면에 조사 대상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다시 적외선 신호로 변환한 후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하여 조사 대상 장비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때,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리모콘 신호가 조사 대상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당 신호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이러한 리모콘 신호 재전송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3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원 감지부(120)는 TV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전원 감지부(120)는 TV 전원 케이블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원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TV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TV전원 온/오프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표시부(130)는 시청자 정보, 전원 상태 등의 정보를 LCD 화면 또는 LED를 통해 보여준다.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는 셋톱박스(STB)에서 인터넷망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모니터링하여 시청률 조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는 셋톱박스(STB)에서 인터넷망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미러링(mirroring)한 후 미러링된 패킷들에서 실시간 방송에 대한 채널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패킷과 VOD(Video on Deman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HTTP 패킷을 구분하여 캡쳐한 후 캡쳐된 패킷을 분석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는 인터넷망을 통해 시청률 조사 장치(100)와 시청률 조사 서버(200)가 서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저장부(150)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OS, 동작 프로그램 및 설정 정보 등) 및 네트워크 프로세서(140)와 리모콘 신호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저장부(150)는 반도체 메모리뿐만 아니라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수단을 통칭한다.
제어부(160)는 리모콘 송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 신호 중 내부 동작(시청률 조사 장치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시청률 조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신호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따라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기 지정된 시간 또는 시청률 조사 서버(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시청률 데이터를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해준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전원 감지부(120)를 통해 TV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TV가 온 되어 있는 경우에만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를 동작시키며, 저장부(150)에 저장된 시청률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저장기간(일수)이 경과한 데이터는 삭제한다. 이때, 시청률 데이터의 저장기간은 시청률 조사 서버(200) 관리자가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시청자 정보(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설치된 가정의 구성원 중 현재의 채널을 누가 TV를 시청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해당 채널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집되는 시청률 데이터와는 별도로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도 3은 도 2의 리모콘 송수신부(110)에서의 리모콘 신호 재전송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동기화를 위해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100) 모두에 리모콘 신호가 인가되어야 하는데,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별개의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리모콘 수신 각도의 제한으로 인해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100)에 모두 인가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리모콘의 수신 각도는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 설치된 센서(적외선 센서)를 중심으로 40°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수신 각도에 인접한 위치에서 리모콘을 조작하는 경우, 조사 대상 장비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였으나 시청률 조사 장치(100)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사 대상 장비의 기능 및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사 대상 장비에 대한 리모콘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통해서만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미도시) 전면에 리모콘 센서를 덮으며 발광소자(미도시)가 설치된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를 부착시켜 리모콘에서 출력된 신호가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통해 재전송된 리모콘 신호만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에 인가되도록 한다.
즉,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리모콘 뿐만 아니라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리모콘 신호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리모콘 센서에만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들 중 조사 대상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를 통해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에 다시 적외선 리모콘 신호 형태로 출력된다. 이러한 재전송 과정에서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해줄 수 있다. 이처럼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통해서만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통합된 별도의 리모콘 없이 각 조사 대상 장비 리모콘을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조사 대상 장비와 시청률 조사 장치의 싱크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를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에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를 미리 등록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시청률 조사 장치(100)에서 리모콘 등록 메뉴를 선택한 후 TV 제어용 리모콘과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콘을 눌러 해당 리모콘 신호를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리모콘 센서(미도시)에 인가시킴으로써 TV 제어용 리모콘 신호와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콘 신호의 주파수(또는 다른 고유 데이터)를 사전 등록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본체와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가 유선으로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었으나, 이들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리모콘 출력부(112)를 조사 대상 장비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법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방법은 기 공지된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조사 대상 장비인 TV와 셋톱박스(STB)가 별개의 장치로 분리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TV와 셋톱박스(STB)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TV의 리모콘 센서 전면에만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를 부착하면 된다.
도 4는 도 2의 전원 감지부(120)에서 TV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감지부(120)는 TV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크기에 따라 TV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한다.
모든 가전제품은 전기를 사용하여 구동되고 정격소비전력에 따라 전기가 소모되는데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에 비례해서 외부에서 해당 가전제품에 인가되는 전류량이 결정된다. 이때,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주위에는 자기장이 유기되며, 이러한 자기장은 전자기유도작용을 통해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감지부(120)는 TV의 전원 케이블을 고리 형태로 감싸도록 전류량 측정장치(Current Transformer)를 설치하여 전원 케이블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전류량 측정장치에 발생된 유도전류를 전압값으로 변환시킨 후 그 전압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전원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TV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TV의 전원 온/오프 감지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같은 방법으로 다른 조사 대상 장비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시청자가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킨다(단계 512).
이때, 시청자가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사 대상 장비를 먼저 온 시키려 하더라도 조사 대상 장비에 대한 리모콘 신호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통해서만 조사 대상 장비에 전달되기 때문에,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는 조사 대상 장비를 온 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TV 시청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반드시 시청률 조사 장치(100)를 먼저 온 시켜야 한다.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온 된 후, 시청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리모콘 신호를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리모콘 센서에 인가함으로써 리모콘 송수신부(110)에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514),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수신된 리모콘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용 리모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된 리모콘 신호를 기 등록된 리모콘 신호와 비교하여 해당 리모콘 신호가 어떤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16).
판단 결과, 해당 리모콘 신호가 시청률 조사 장치용 리모콘 신호인 경우,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수신된 신호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하여 해당 신호에 따라 시청률 조사 장치(100)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해준다(단계 518).
이때, 수신된 정보가 시청자 정보인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시청자 정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러한 시청자 정보는 시청률 조사 대상 가구의 각 구성원에게 부여된 고유의 번호로서, 각 시청자(구성원)별로 TV 시청을 시작할 때 자신의 번호를 입력하여 추가하고 시청 종료시 자신의 번호를 삭제시킴으로써 시청자별 시청률 조사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단계 516의 판단결과, 해당 리모콘 신호가 조사 대상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수신된 리모콘 신호를 해당 조상 대상 장비에 재전송한다(단계 520).
즉, 리모콘 송수신부(110)는 수신된 리모콘 신호(적외선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를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다시 해당 리모콘에서 출력된 리모콘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적외선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함으로써 해당 리모콘 신호가 해당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러한 재전송에 따라 조사 대상 장비가 온 됨으로써 시청자가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단계 522).
조사 대상 장비(TV)가 온 되어 TV의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 감지부(120)가 이를 감지하여 TV ON 신호를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TV ON 신호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프로세서(140)에게 시청률 데이터 수집을 명령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는 조사 대상 장비(STB)에서 인터넷 망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미러링하고(단계 524), 미러링된 패킷들을 분석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526).
즉, 시청자가 TV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IP-VOD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선택정보가 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 방송 서버로 전달되므로,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는 셋톱박스(STB)에서 인터넷 망으로 전달되는 패킷들을 미러링한 후 미러링된 패킷들에서 IPTV 채널 변경 정보가 포함된 IGMP 패킷 또는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HTTP 패킷을 추출하여 캡쳐한 후 캡쳐된 패킷들을 분석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한다.
IPTV 방송에서 시청자가 특정 방송 채널의 시청을 시작한다는 것은 특정 그룹 어드레스와 그룹 어드레스 쌍으로 IP 네트워크에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조인(JOIN)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IGMP 패킷에서 특정 그룹 어드레스 또는 특정 소스 어드레스 및 그룹 어드레스 쌍으로 이루어진 채널 식별자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HTTP 패킷의 경우, HTTP protocol 중 QueryString 내용을 분리한 후 QueryString 중에서 VOD 방송 프로그램 ID를 추출하고, HTTP protocol URL에서 방송 요청 내용을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프로세서(140)가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추출된 채널 정보를 시청자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즉, 저장부(160)에는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와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된다.
제어부(160)는 기 지정된 시간에 또는 시청률 조사 서버(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두 종류의 시청률 데이터를 모두 IP망을 통해 시청률 조사 서버(200)로 전송한다(단계 528).
제어부(160)는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한 시청률 데이터를 바로 삭제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최대 저장 일수) 동안 저장부(150)에 저장한 후 최대 저장 일수가 도과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시청률 조사 서버(200)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로부터 시청률 데이터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와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가공하여 TV별, 시청자별, 채널별, 방송 방식별, 방송 프로그램별, 일자별, 시간대별 등 관리자가 요청하는 카테고리별로 시청률을 산출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카테고리별로 시청률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해준다(단계 53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청률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로, 본 발명의 시청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셋톱박스(STB)가 없는 일반 유선방송용 TV에 대한 시청률 조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조사 대상 장비용 리모콘 신호만을 이용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중 하나로 셋톱박스에서 IP망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분석하였으나, 일반 유선 방송의 경우에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로의 패킷 유입이 없기 때문에 그러한 패킷 분석을 통한 시청률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유선 방송의 경우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셋톱박스와 연결되었던 포트를 통해 패킷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집된 시청률 데이터만을 IP망을 통해 시청률 조사 서버(200)에 전송하게 된다.
리모콘 신호 출력부(112)를 이용한 리모콘 신호 재전송 기능 및 TV 전원 감지 기능은 도 1의 시청률 조사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발명의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60)가 리모콘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채널 정보와 시청자 정보를 매칭시켜 이를 시청률 데이터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 후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채널 정보만을 시청률 데이터로서 전송해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시청률 조사 장치(100)가 기 지정된 시간 또는 서버(2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명령이 있는 경우에 시청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시청률 데이터가 수집되는 즉시 실시간으로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100 : 시청률 조사 장치 110 : 리모콘 송수신부
120 : 전원 감지부 130 : 표시부
140 : 네트워크 프로세서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시청률 조사 서버

Claims (21)

  1. 리모콘에서 출력된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리모콘 신호에서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신호와 조사 대상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 2 신호는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해주는 리모콘 송수신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만이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재전송시 상기 제 2 신호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이 온 된 경우에만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률 데이터 수집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8.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서; 및
    상기 전원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가 온 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률 데이터 수집을 명령하며,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고리 형태로 감싸 상기 전원 케이블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를 전압값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량 측정장치(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IP 패킷들을 미러링한 후 미러링된 패킷에서 IPTV 채널 변경 정보 또는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하여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청률 조사 장치.
  11. 리모콘에서 출력된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리모콘 신호에서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신호와 조사 대상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 2 신호는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하며, 상기 재전송시 상기 제 2 신호에서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리모콘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 신호를 포함한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에서 추출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집하여 기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만이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수신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리모콘에서 출력된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16. 삭제
  17.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기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명령을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로부터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전송받아 시청률을 산출하는 시청률 조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조사 대상 장비에 재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리모콘 센서를 덮도록 상기 리모콘 센서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리모콘 신호가 상기 리모콘 센서에 직접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재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센서에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케이블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장비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고리 형태로 감싸 상기 전원 케이블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를 전압값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량 측정장치(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률 조사 장치는
    상기 조사 대상 장비에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IP 패킷들을 미러링한 후 미러링된 패킷에서 IPTV 채널 변경 정보 또는 IP-VOD 방송 프로그램 선택 정보가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하여 상기 시청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률 조사 시스템.
KR1020100084851A 2010-08-31 2010-08-31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KR10102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1A KR101021343B1 (ko) 2010-08-31 2010-08-31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PCT/KR2010/006752 WO2012030016A1 (ko) 2010-08-31 2010-10-04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1A KR101021343B1 (ko) 2010-08-31 2010-08-31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343B1 true KR101021343B1 (ko) 2011-03-14

Family

ID=4393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51A KR101021343B1 (ko) 2010-08-31 2010-08-31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1343B1 (ko)
WO (1) WO20120300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04B1 (ko) * 2018-05-02 2019-08-22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블록체인 기반의 리모컨 채널변경 인식을 통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4774B2 (en) 2014-01-06 2017-10-10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an operational status of a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102A (ja) * 2001-10-12 2003-04-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アルタイム視聴率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集計サーバおよび集計方法と集計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67907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テレビ視聴率調査システム及び視聴状況データ収集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702A (ko) * 2005-09-15 2007-03-20 최형락 인터넷 티브이 시청률 조사 시스템
KR100922730B1 (ko) * 2006-09-29 200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망에서의 실시간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1310B1 (ko) * 2007-01-02 2009-03-31 주식회사 셀런 셋톱박스 환경에서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102A (ja) * 2001-10-12 2003-04-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アルタイム視聴率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集計サーバおよび集計方法と集計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67907A (ja) * 2003-12-05 2005-06-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テレビ視聴率調査システム及び視聴状況データ収集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04B1 (ko) * 2018-05-02 2019-08-22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블록체인 기반의 리모컨 채널변경 인식을 통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0016A1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747B2 (en) Rating multimedia programs accessed from a provider network
JP4287053B2 (ja) デジタルテレビ用視聴率測定システム
KR102105313B1 (ko) 셋탑 박스에서 오디오 핑거프린트들의 시퀀스 생성
KR101799443B1 (ko)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US200700838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xport tuning data collected in a receiving device
US20210021807A1 (en) Set-Top Box with Self-Monitoring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080000968A (ko)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시청률 조사 방법
KR101021343B1 (ko)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KR20070013389A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미들웨어를 이용한 시청정보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0076B1 (ko) Iptv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91310B1 (ko) 셋톱박스 환경에서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시스템
KR101722535B1 (ko) 시청률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 시스템
JP2005151098A (ja) 視聴情報収集方法、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
JP2005167907A (ja) テレビ視聴率調査システム及び視聴状況データ収集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60937B1 (ko) 시청률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1284830B1 (ko) Iptv 셋탑박스, iptv의 시청률 조사장치 및 방법
JP3850849B2 (ja) 情報データ提供システム
BR102013021175A2 (pt) Sistema e método de medição de audiência de mídia
KR20050019417A (ko)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KR101757455B1 (ko) 시청률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1793950B1 (ko) 비콘 기반의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98322A1 (en) Set-Top Box with Self-Monitoring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097142B1 (ko) 시청률 집계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시청률 집계 서버
CN104023270A (zh) 显示消息窗口的显示设备和该显示设备的执行服务的方法
KR20060058392A (ko) 방송 시청율 조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케이블텔레비전의 셋톱 박스, 방송 시청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