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862B1 -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862B1
KR101020862B1 KR1020080101601A KR20080101601A KR101020862B1 KR 101020862 B1 KR101020862 B1 KR 101020862B1 KR 1020080101601 A KR1020080101601 A KR 1020080101601A KR 20080101601 A KR20080101601 A KR 20080101601A KR 101020862 B1 KR101020862 B1 KR 10102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uthoring
feature points
camer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449A (ko
Inventor
우운택
홍동표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0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은, (a)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공간 맵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 박스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주변의 3차원 공간이 콘텐츠 저작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여러 툴박스가 필요하게 마련인 콘텐츠 저작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space for author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의 저작을 위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 각종 콘텐츠의 저작을 위해서 사용자는 여러 개의 작업 창을 모니터 상에 띄워 놓고 마우스와 키보드로 작업창 간을 이동하여 가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모니터의 크기와 해상도가 커지고 있으나, 모니터의 크기는 물리적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작업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다양한 여러 툴박스들을 모니터 상에 나열하여 놓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의 저작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은, (a) 카메라를 이용하여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공간 맵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 박스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GPS 센서, 기울기 센서, 방향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을 상기 특징점들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 각각과 상기 카메라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은, 센서;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하는 공간 맵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 맵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 박스를 매핑하는 툴 박스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 추출부는,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을 상기 특징점들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맵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 각각과 상기 카메라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주변의 3차원 공간이 콘텐츠 저작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여러 툴박스가 필요하게 마련인 콘텐츠 저작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은 센서(110), 카메라(120), 특징점 추출부(130), 공간 맵 생성부(140), 툴박스 설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110)로부터 획득된 정보와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카메라(120)는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한다. 이와 동시에 센서(110)는 카메라(120) 및 촬영되는 공간과 관련된 여러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센서(110)로는 예를 들어 GPS 센서, 기울기 센서, 방향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120)의 GPS 위치 정보, 카메라(120)의 상대적 기울기에 관한 정보, 카메라(120)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220단계에서 특징점 추출부(13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센서(1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추출한다. 이 특징점 들은 촬영된 이미지 상에 저작 공간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점들로서, 예를 들어 이미지 내에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을 특징점들로서 추출한다. 특징점들을 추출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컬러,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의 카메라(110)의 GPS 위치, 기울기, 방향 등을 조합하여 특징점들을 찾을 수 있다. 도 3은 촬영된 영상에서 특징점들이 추출된 결과의 예를 나타낸다.
특징점들이 추출되면, 230단계로 진행하여 공간 맵 생성부(140)는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한다. 공간 맵은 센서(110)로부터 획득된 카메라(110)의 GPS 위치, 기울기, 방향 등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출된 특징점들 각각과 카메라(110)와의 거릴르 이용하여 생성된다. 도 4는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의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와 함께 특징점 추출시와 공간 맵 생성시에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센서(1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징점 추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공간 맵에서 원하는 영역을 쉽게 찾을 수가 있으며 처리 속도 또한 빨라지게 된다.
230단계가 완료되면, 생성된 공간 맵이 콘텐츠를 위한 저작 공간으로 구축되고 사용자는 이 저작 공간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240단계에서 툴박스 설정부(2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간 맵 상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박스를 매핑한다. 예를 들어 공간 맵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툴박스를 선택된 위치에 매핑하거나, 사용자가 툴박스를 선택하면 그와 가장 매치되는 공간 맵 상의 영역을 찾아서 툴박스를 그 영역에 매핑한다. 툴박스는 저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크기, 회전, 이동에 관한 기능, 콘텐츠를 로딩하고 저장하는 기능, 콘텐츠의 컬러 속성을 변경하는 기능, 콘텐츠의 움직임을 저장하여 애니메이션을 저작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툴박스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툴박스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공간 맵 상의 영역에 툴박스가 매핑되면 사용자는 이 툴박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저작하게 된다. 카메라(120)가 촬영할 수 있는 공간은 카메라(120) 주변의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촬영된 여러 공간 내의 여러 영역들이 툴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한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를 초월하여 사용자 주변의 3차원 공간이 모두 콘텐츠 저작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여러 툴박스가 필요하게 마련인 콘텐츠 저작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3차원 공간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3차원적인 작업 환경이 형성되어 보다 실감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촬영된 영상에서 특징점들이 추출된 결과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의 예를 나타낸다.

Claims (9)

  1. 센서-상기 센서는 GPS 센서, 기울기 센서, 방향계 센서를 포함함;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 상에 저작 공간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점들로서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하는 공간 맵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 맵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 박스를 매핑하는 툴 박스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추출부는,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을 상기 특징점들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맵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 각각과 상기 카메라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
  4. 제1항에 기재된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시스템에서 콘텐츠 저작 공간을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카메라가 저작 공간으로 사용할 공간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특징점 추출부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 상에 저작 공간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점들로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공간 맵 생성부가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로 이루어지는 공간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툴 박스 설정부가 상기 생성된 공간 맵의 소정 영역에 콘텐츠 저작을 위한 툴 박스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꼭지점들을 상기 특징점들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 각각과 상기 카메라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삭제
  9. 삭제
KR1020080101601A 2008-10-16 2008-10-16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102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601A KR101020862B1 (ko) 2008-10-16 2008-10-16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601A KR101020862B1 (ko) 2008-10-16 2008-10-16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49A KR20100042449A (ko) 2010-04-26
KR101020862B1 true KR101020862B1 (ko) 2011-03-09

Family

ID=4221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601A KR101020862B1 (ko) 2008-10-16 2008-10-16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91B1 (ko) * 2013-07-17 2015-12-23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에서의 원격 협업을 위한 디지로그 공간 생성기 및 그를 이용한 디지로그 공간 생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4935A1 (en) 2001-01-26 2004-06-03 Todd Williamson Virtual reality immersion system
KR20040082827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5159A (ko) * 2004-12-10 2006-06-14 (주)제니텀 엔터테인먼트 컴퓨팅 3차원 마커 인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복합현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5233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컨텐츠 저작을 위한 개인형 멀티미디어 스튜디오플랫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4935A1 (en) 2001-01-26 2004-06-03 Todd Williamson Virtual reality immersion system
KR20040082827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5159A (ko) * 2004-12-10 2006-06-14 (주)제니텀 엔터테인먼트 컴퓨팅 3차원 마커 인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복합현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5233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컨텐츠 저작을 위한 개인형 멀티미디어 스튜디오플랫폼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49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914B2 (en) Sett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433305B1 (ko) 증강 현실 환경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콘텐츠 맵핑
CN107251101B (zh) 针对使用具有参数的标记的增强现实的场景修改
US10157478B2 (en) Enabling use of three-dimensional locations of features with two-dimensional images
JP4964801B2 (ja) 2次元実写映像から3次元モデル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CN105793730B (zh) 对象运动的基于激光雷达的分类
KR102197732B1 (ko) 실내공간의 3차원 지도 생성 방법 및 장치
JP6674192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US84879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 using 2D photograph images
JP6658001B2 (ja) 位置推定装置、プログラム、位置推定方法
US20120075433A1 (en) Efficient information presentation for augmented reality
US8838381B1 (en) Automatic video generation for navigation and object finding
JP6223976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JP6880618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1221980A (ja) バーチャル・モデル生成システム、バーチャル・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バーチャル・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Caradonna et al. Multi-image 3D reconstruction: a photogrammetric and structure from motion comparative analysis
JP4376340B2 (ja) 曲線スライダ装置
KR101020862B1 (ko) 콘텐츠 저작 공간 구축 방법 및 시스템
JP444789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320638B2 (ja) 3次元点群選択装置および3次元点群選択方法
JP2007149108A (ja) 地図デー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処理装置
JP200515761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71334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79978B1 (ko) Vr을 이용한 변화된 공간에 대한 가상 이미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525112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