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611B1 - 전선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611B1
KR101019611B1 KR1020080112798A KR20080112798A KR101019611B1 KR 101019611 B1 KR101019611 B1 KR 101019611B1 KR 1020080112798 A KR1020080112798 A KR 1020080112798A KR 20080112798 A KR20080112798 A KR 20080112798A KR 101019611 B1 KR101019611 B1 KR 10101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coupled
guide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915A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8011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6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선용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선용 커넥터는: 쉴드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와, 제1단자부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어서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주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따라 삽입되어 제2커넥터에 결합하도록 제1커넥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12798
쉴드케이블, 제1단자부, 제1커넥터, 제2커넥터, 가이드부재

Description

전선용 커넥터{CONNECTOR FOR ELECTRIC WIRES}
본 발명은 전선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전선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연결은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전선은 고압 및 대전류를 유지해야 하며, 차량에 전해지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커넥터의 접촉부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전선용 커넥터는 끼움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져서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저항이 증가함으로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커넥터의 결합에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는: 쉴드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와, 제1단자부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어서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주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따라 삽입되어 제2커넥터에 결합하도록 제1커넥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2커넥터는,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패널부 및 전면패널부에 결합되며 제2단자부가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후면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돌기가 삽 입되도록 고정부재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연결된 고정부재가 체결볼트에 의해 제2커넥터에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부재 주변을 감싸며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용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용 커넥터에서 제2단자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커넥터가 체결볼트에 의해 제2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는, 쉴드케이블(5)에 연결되는 제1단자부(7)가 내측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1)와, 제1단자부(7)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40)가 내측에 장착되어서 제1커넥터(1)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0)와, 제2커넥터(20)의 주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4) 및 가이드부재(24)를 따라 삽입되어 제2커넥터(20)에 결합하도록 제1커넥터(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10)를 포함한다.
통전을 위한 전선의 외측에 차폐를 위한 차폐쉴드가 구비되는 쉴드케이블(5)은 제1단자부(7)와 연결된다.
제1단자부(7)를 고정시키는 장착부재(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커넥터(1)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2커넥터(20)와 마주하는 제1커넥터(1)의 일측에는 고정부재(10)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커넥터(20)는, 가이드부재(24)가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패널부(22) 및 전면패널부(22)에 결합되며 제2단자부(40)가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재(32)를 구비하는 후면패널부(30)를 포함한다.
전면패널부(22)와 후면패널부(30)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연결부재(32)가 전면패널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제1단자부(7)가 제2단자부(40)의 내측에 삽입되어 통전이 이루어진 다.
가이드부재(24)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부재(24)의 내측에는 가이드돌기(28)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4)의 내측 형상은 고정부재(10)를 포함한 제1커넥터(1)의 결합부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28)가 삽입되도록 고정부재(10)의 측면에는 가이드홈(14)이 구비된다.
가이드돌기(28)와 가이드홈(14)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결합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10)는 체결볼트(16)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재(10)에는 체결공(12)이 구비되고 전면패널부(22)에는 장착공(26)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단자부(40)가 연결부재(32)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면패널부(30)와 전면패널부(22)를 결합시켜 제2커넥터(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쉴드케이블(5)의 일단에 결합된 제1단자부(7)를 장착부재(3) 내측에 고정시킨 후에 장착부재(3)를 제1커넥터(1)에 설치한다.
고정부재(10)의 가이드홈(14)에 가이드부재(24)의 가이드돌기(28)가 삽입되도록 한 후에 제1커넥터(1)를 제2커넥터(20)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한다.
그리고, 체결볼트(16)가 고정부재(10)의 체결공(12)과 제2커넥터(20)의 장착공(26)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체결볼트(16)에 의해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는 것과, 고정부재(10) 주변을 가이드부재(24)가 감싸며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4)의 형상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가이드돌기(28)와 가이드홈(14)에 의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용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용 커넥터에서 제2단자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커넥터가 체결볼트에 의해 제2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1커넥터 3: 장착부재
5: 쉴드케이블 7: 제1단자부
10: 고정부재 12: 체결공
14: 가이드홈 16: 체결볼트
20: 제2커넥터 22: 전면패널부
24: 가이드부재 26: 장착공
28: 가이드돌기 30: 후면패널부
32: 연결부재 40: 제2단자부

Claims (5)

  1. 쉴드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단자부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가 내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의 주변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홈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패널부; 및
    상기 전면패널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단자부가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후면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12798A 2008-11-13 2008-11-13 전선용 커넥터 KR10101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98A KR101019611B1 (ko) 2008-11-13 2008-11-13 전선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98A KR101019611B1 (ko) 2008-11-13 2008-11-13 전선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15A KR20100053915A (ko) 2010-05-24
KR101019611B1 true KR101019611B1 (ko) 2011-03-07

Family

ID=4227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798A KR101019611B1 (ko) 2008-11-13 2008-11-13 전선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6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334A (ja) 2002-05-31 2004-01-08 Olympus Corp 医療装置及び医療装置の制御方法
KR100678538B1 (ko) 2005-11-02 2007-02-02 이동수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KR20080034854A (ko) * 2005-07-12 2008-04-22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폭발 방지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334A (ja) 2002-05-31 2004-01-08 Olympus Corp 医療装置及び医療装置の制御方法
KR20080034854A (ko) * 2005-07-12 2008-04-22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폭발 방지 커넥터
KR100678538B1 (ko) 2005-11-02 2007-02-02 이동수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15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947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
JP6132868B2 (ja) コネクタ
JP5848963B2 (ja) シールド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024985B2 (ja) 端子台
JP635814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JP4974153B2 (ja) シールド端末処理構造
JP6191554B2 (ja) グロメット付きコネクタ
JP5952559B2 (ja) コネクタ
CN102074837B (zh) 可连接到连接物体而不在连接物体上形成大开口的连接器
WO201506011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484174B2 (en) Fuse unit
WO2014061727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3065728A1 (ja) 電線分岐構造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KR101019611B1 (ko) 전선용 커넥터
JP4976185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151901B1 (ko)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5772386B2 (ja) シールド部材及びシールド導電体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414946Y1 (ko) 이동식 용접기의 배선연결장치
JP201216921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70301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KR100957534B1 (ko) 콘센트의 접지홀 구조
WO2014157317A1 (ja) 充電コネクタ
JP4317483B2 (ja) 機器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