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523B1 -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523B1
KR101019523B1 KR1020047015679A KR20047015679A KR101019523B1 KR 101019523 B1 KR101019523 B1 KR 101019523B1 KR 1020047015679 A KR1020047015679 A KR 1020047015679A KR 20047015679 A KR20047015679 A KR 20047015679A KR 101019523 B1 KR101019523 B1 KR 10101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hydraulic control
mooring
win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038A (ko
Inventor
게흘링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보쉬 렉스로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쉬 렉스로트 아게 filed Critical 보쉬 렉스로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9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치(winch)의 작동 모드(operational mode)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 장치(actuating device)(260) 및, 윈치가 제어되는 동안 계선(mooring)을 차단하기 위한 인터로킹 스톱(interlocking stop)(254)이 비작동 위치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 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253, 263)를 구비하는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hydraulic control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이때 위치 결정 장치는, 인터로킹 스톱(254)이 작동 장치의 종방향 운동으로 인해 비작동 되거나, 또는 인터로킹 스톱이 위치 결정 장치의 회전 운동에 의해 비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윈치, 작동 모드, 유압 제어, 계선, 인터로킹 스톱, 위치 결정

Description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WINCH}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의 하강(slacking), 상승(hoisting) 및 계선(mooring) 작동함에 있어서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윈치 작동을 위한 유압 제어 장치는 WO 00/57067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캠 디스크(cam disk)(10)의 회전을 위해 캠 디스크에 고정되는 조정 레버(adjusting lever)를 구비한다. 캠 디스크(10)가 회전하면, 유압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되는 방향 조절 밸브(directional control valve)의 캠 디스크와 연결되는 회전 밸브(rotary valve)의 위치가 달라진다. 캠 디스크(10)는 컨트롤 디스크(plate cam)(20)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컨트롤 디스크(20)는 컨트롤 캠(control cam)(24)을 구비하고, 컨트롤 캠은 유압 제어 장치 내에 제공되는 감압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의 태핏(tappet)(43)과 상호작용하며, 감압 밸브는 방향 조절 밸브의 압력을 제어한다. 컨트롤 캠(24)은 제1 위치(elevation)(21)와 제2 위치(22) 및, 두 개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덴트(dent)(23)를 구비한다.
조정 레버가 캠 디스크(10)를 태핏(43)이 제2 위치(22)와 중간 덴트(23) 사 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방향 조절 밸브는 유압 모터(hydraulic motor)의 압력이 케이블을 윈치로부터 풀어낼 수 있도록, 즉 케이블의 하강이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제2 위치는 이때 캠 디스크(10)가 제2 위치(22)를 넘어서 계속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스톱(stop)을 나타낸다.
태핏(43)이 캠 디스크(10)의 회전 후 중앙 덴트(23)와 제1 위치(21) 사이에 위치한다면, 방향 조절 밸브는 유압 모터의 압력이 케이블을 윈치로 감아 올리도록, 즉 케이블의 상승이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캠 디스크(10)는 제1 캠 트랙(cam track)(11)을 구비한다. 제1 캠 트랙은 캠 디스크(10)의 상승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하강 위치에서도,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편(pressure piece)(30)의 허브(hub)(35)와 접촉한다. 가압편(30)은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과 연결되는 스크루 플러그(screw plug)(40)에 대항하는 리셋 스프링(reset spring)(41)에 의해 편향된다. 리셋 스프링(41)은, 캠 디스크(10)를 상승 위치나 하강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조정 레버가 작동한 후 그리고 이어서 조정 레버가 조작자에 의해 풀릴 때, 캠 디스크(10)를 중간 덴트(23)에 태핏(43)이 있는 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한다.
가압편(30)에는 종방향으로 정반대 쪽에 제1 그루브(groove)(33) 및 제2 그루브(34)가 있고, 가압편의 방향에 따라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에 고정된 핀(pin)(44)이 제2 그루브에 맞물린다. 가압편(30)은 핀(44)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제1 그루브(33)의 축 방향 길이는 가압편(30)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캠 디스크(10)가 조정 레버의 작동을 통해 태핏(43)이 제1 위치(21)를 넘어설 정도로 회전하게 되면, 윈치는 유압 제어 장치에 의해 계선 영역에서 작동되고, 계선 영역에서 케이블은 소정의 편향력 이하로 유지된다. 캠 디스크(10)의 계선 위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캠 디스크(10)의 외부 원주에 있는 제2 캠 트랙(12)이 가압편(30)의 리세스(recess)(31) 내로 잠기고, 도 1의 캠 디스크가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리세스(31)의 표면(surface)(32)을 따라 정지면(stop surface)(32a)까지 이동하여 캠 디스크(10)가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편(30)은 제2 캠 트랙(12)이 리세스(31)에 들어갈 때 리셋 스프링(41)뿐만 아니라 압축 스프링(press spring)(42)에 의해서도 편향된다. 제2 캠 트랙(12)이 리세스(31)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프링(41 및 42)이 캠 디스크(10) 및 이와 함께 조정 레버에 더 이상 복원력(restoring force)을 행사하지 못하므로, 조작자는 윈치가 계선 영역에서 계속 작동되는 동안 조정 레버를 해제해도 된다.
모든 윈치가 계선 작동을 위해 구비되지는 않기 때문에 가압편(30)에는 제1 그루브(33)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반대쪽에 정지면(34a)을 갖는 제2 그루브(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그루브(34)로 인해 핀(44)은 가압편(30)이 180° 회전된 후 제2 그루브에 맞물리고, 이로써 태핏(13)이 제1 위치(21)를 넘어서지 못하게 되고 윈치가 계선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제어 장치의 작동 및 유압 회로의 구성에 대한 기타 개별적인 사안들에 대해서는 WO 00/57067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해결방안은, 계선 영역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스크루 플러그(40)를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에서 제거해야 하고 가압편(30)을 180° 회전해야 한다는 단점을 지닌다.
종래 기술에 따른 또 하나의 유압 제어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에서도 윈치의 제어를 위한 방향 조절 밸브의 회전 밸브는 캠 디스크(11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조절 부재(control element)(120)는 캠 디스크에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조절 부재와 함께 가압편(130)은 도 2a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 설치되며, 가압편은 제어 장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크루 플러그(140)를 향한 리셋 스프링(141)에 의해 편향된다. 가압편(130)도 마찬가지로 그루브(133)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 하우징과 연결되는 핀(144)이 그루브에 맞물린다.
가압편(130)은 조절 부재(120)가 회전할 수 있는 아치형 리세스(132)를 갖는다. 도 2a의 가압편(130)이 조절 부재(120)가 리세스(132) 내에 위치할 정도로 편향된다면, 가압편(130)도 마찬가지로 압축 스프링(142)에 의해 편향력 이하로 유지된다.
캠 디스크(110)는 직경이 작은 섹션 및 직경이 큰 섹션 사이에 제1 정지면(111) 및 제2 정지면(112)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핀(151) 또는 제2 핀(152)이 제2 정지면과 함께 설치된다. 핀(151 및 152)은 도 2b에서 절단면에서 25°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제2 정지면(112)은 케이블의 하강이 끝나는 지점에서 핀(151)과 함께 설치되는 반면, 핀(152)은 계선 차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승이 끝나는 지점에서 제1 정지면(111)과 함께 설치된다. 핀(152)을 제거함으로써 제1 정지면(111)은 제1 핀(152)에 상당히 가까이 접근할 수 있고, 이로써 윈치의 계선 작동이 가능해진다.
WO 00/57076에 개시된 종래 기술과 달리, 마지막에 언급된 종래 기술에서는 가압편에 그루브(133)가 단 하나만 구비되므로, 계선 차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압편(13)의 제거 및 회전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제2 핀(152)을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해서도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을 여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노동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고, 계선 차단을 하우징을 열지 않고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유압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는 윈치의 작동 모드(operational mode)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 장치(actuating device) 및 위치 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를 갖는다. 윈치가 제어되는 동안 위치 결정 장치는 계선을 차단하기 위한 인터로킹 스톱부(interlocking stop; 333a, X)가 비작동 되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으므로, 윈치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계선 차단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로킹 스톱부(333a, X)는 위치 결정 장치의 회전 운동에 의해 비작동 상태로 된다. 이로써 간단한 기계적인 운동을 통해 계선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는 두 개의 윤곽점을 갖는 회전 부재(rotary element)를 갖고, 두 개의 윤곽점은 위치 결정 장치의 회전축에 대해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르다. 위치 결정 장치는 밀링가공부(milled portion)를 갖는 볼트(bolt)를 구비할 수 있고, 볼트는 그루브에 의해 제어 장치의 가압편에 받아들여진다. 밀링가공부를 갖춤으로써 윤곽점은 위치 결정 장치의 회전축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위치 결정 장치의 회전축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갖는 윤곽점은, 그루브의 섹션과 함께 설치되는 지점에서 작동 장치가 회전하여 계선 위치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형태 덕분에 계선 차단의 해제는 간단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계선이 차단된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및 계선이 차단되지 않은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사이에서의 변환은, 볼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sphere)에 의해 수월해진다. 구는 볼트의 상응하는 위치에서 제어 장치 하우징과 연관하여 고정 설치되는 그루브와 맞물린다. 이런 방법을 통해 제동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것은 구의 스프링 편향력에 의해 계속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하나의 구 대신 다수의 구, 주로 네 개의 구가 볼트 외부 원주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볼트의 회전 양태가 개선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선 형태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하기에서는 동봉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유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유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며, 도 2a는 횡단면을, 도 2b는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며, 도 3a는 조정 레버를 갖는 덮개판(cover panel)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내장된 덮개판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를 나타내며, 도 4a의 유압 제어 장치는 계선 해제 시 중립 위치에 있게 되고, 도 4c는 유압 제어 장치가 계선의 단부 위치에 있게 되는 도 4b의 단면도이며, 도 4d의 유압 제어 장치는 상승의 단부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4e는 도 4d의 단면도이고, 도 4f는 계선이 가능하지만 계선 차단이 실행될 수 없는 실시예의 제1 변형이며, 도 4g 및 도 4h는 계선 차단을 조절하기 위한 볼트의 종단면 및 원근법적인 묘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유압 제어 장치에 씌울 수 있는 덮개판(250)을 보여준다. 덮개판(250)은 스크루(252a 및 252b)에 의해 유압 제어 장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톱 링(stop ring)(251)을 구비한다. 덮개판(250)의 중앙 리세스를 관통하여 회전 샤프트(rotary shaft)(255)가 연장되고, 회전 샤프트에 의해 유압 제어 장치의 캠 디스크에 회전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조정 레버(260)의 작동을 통해 회전 샤프트(255)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255)에 조정 레버(260)는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조정 레버는 볼트 섹션(bolt section)(262) 및 구형 헤드(spherical head)(261)를 구비한다. 볼트 섹션(262)은 종방향에 리세스(263)를 구비하고, 리세스를 관통하여 스크루(253), 주로 윙 스크루(wing screw)(253)가 연장되며, 스크루에 의해 조정 레버(260)가 볼트 섹션(262)에 고정된다. 리세스(263)의 크기는, 조정 레버(260)가 스크루(253)가 풀린 후 종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이어서 스크루에 의해 다시 회전 샤프트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이다.
조정 레버(260)는 종방향과 연관하여 다수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두 개의 위치가 특히 관심을 끈다. 도 3a에 도시된 지점의 조정 레버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이 지점에서 구형 헤드(261)은 회전 샤프트(255)에 대해 최소의 간격을 갖는다. 구형 헤드(261)는 제2 위치에서는 회전 샤프트(255)에 대해 최대의 간격을 갖는다. 조정 레버(260)는 스크루(253)가 풀린 후 회전 샤프트(255)로부터 멀어지고 이어서 스크루(253)가 다시 조여짐으로써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스톱 링에 계선 차단 스톱(254), 주로 하나의 스크루, 예컨대 캡스크루(cap screw)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조정 레버(260)가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위치에 계선 차단 스톱(254)과 함께 설치되고 이로써 계선 차단 스톱이 윈치의 상승 영역에서 밖으로 회전 시 제지당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조정 레버(260)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조정 레버는 계선 차단 스톱(254)을 넘어서 움직일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것은 조절 레버(260)의 구형 헤드 반대쪽 단부 섹션(end section)(264)이 회전 샤프트(255)의 회전축에 대해 갖는 간격이 계선 차단 스톱(254)이 갖는 간격보다 작기 때문이다. 조정 레버(260)의 제2 위치 덕분에 윈치는 계선 작동에 진입할 수 있다.
덮개판(250)을 장착함으로써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는 하우징을 열지 않고도, 계선 작동이 차단되고 오직 케이블의 상승과 하강만 가능한 작동 상태로부터 계선 작동이 가능한 작동 상태로 옮겨질 수 있다.
조정 레버(260)의 구형 헤드(261)이 회전 샤프트(255)의 회전축에 대해 갖는 간격을 보고 조작자는 계선 차단이 작동되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이 유압 제어 장치의 이점은, 덮개판(250)을 조정 레버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하우징의 개방을 통해서만 계선 차단을 해제할 수 있었던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제어 장치를, 조정 레버를 세로로 옮김으로써 계선 차단을 해제할 수 있는 유압 제어 장치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삭제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h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에에 따른 유압 제어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어 장치와 마찬가지로, 조절 부재(320)를 갖는 캠 디스크(3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조절 부재(320)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리셋 스프링(341)에 의해 편향되는 가압편(330)과 함께 설치된다. 가압편(330)의 편향력을 위한 스프링(341)은 스크루 플러그(340)에서 지지된다.
개별 부품들의 상호작용과 연관하여서는 도 2a 및 도 2b의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장치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구분된다. 즉, 도 2a의 제2 핀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비되지 않으므로, 도 4b에 도시된 정지면(311)이 계선 차단을 실행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핀(144) 대신, 라이닝(lining)(37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트(370)가 제어 장치의 하우징(301)에 구비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절 부재(320)는 반대쪽 단부 섹션에 제1 경사면 섹션(321) 및 제2 경사면 섹션(322)을 구비한다. 경사면 섹션(321 및 322)은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 화살표 같은 횡단면을 갖는다. 제1 경사면 섹션(321)은, 조절 부재가 도 4a에서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경사면 섹션(321) 및 가압편(330) 사이의 설치 지점을 넘어서서 가압편(330)을 캠 디스크(310)로부터 밀어내고 가압편(330)의 아치형 리세스(332) 내로 진입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경사면 섹션(322)은, 조절 부재(320)가 도 4d에서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경사면 섹션(322) 및 가압편(330) 사이의 설치 지점을 넘어서서 가압편(330)을 캠 디스크(310)로부터 밀어내고 가압편(330)의 아치형 리세스(332) 내로 진입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볼트(370)는 도 4g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spindle)(371) 및 스핀들의 단부 섹션에 고정되는 토글(toggle)(372)을 구비하고, 토글이 있어서 스핀들의 회전이 조작자의 수동 작동에 의해 가능해진다. 토글(372)의 고정 위치 반대쪽에 위치하는 스핀들(371)의 종방향 단부 섹션에서, 스핀들의 원주 방향에 있는 밀링가공부(371a, 371b)는 스핀들의 반대쪽 섹션에 구비된다. 밀링가공부(371a)에 의해 도 4h에 도시된 윤곽점(Y)이 생겨난다. 이 윤곽점은 스핀들(371)의 외부 윤곽에 구비되고, 스핀들(371)의 중앙축(Z)으로부터 윤곽점(X)의 간격(x)보다 작은 간격(y)을 가지며, 윤곽점(X)은 스핀들(371) 외부 원주에서 밀링가공부 없이 스핀들 영역에 구비된다.
밀링가공부(371a, 371b)를 구비하는 스핀들(371) 단부 섹션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실시예에 상응하게 제어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가압편(330)의 종방향에 구비되는 가압편(330)의 그루브(333)에 배치된다. 그루브(333)는 조절 부재(320) 쪽을 가리키는 하나의 단부 섹션에 전면(333a)을 구비한다.
스핀들(371) 및 그루브(333)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밀링가공부가 그루브의 전면(333a) 쪽을 가리키는 스핀들(371)의 위치에서, 도 4c에 도시된 도 4b의 단면도에 상응하게 가압편(330) 및 캠 디스크(310) 사이의 간격이 최대일 때 윤곽점(Y) 및 그루브(333) 전면(333a) 사이에 간격이 미미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조절 부재(320)의 경사면 섹션(321)이 가압편(330)의 아치형 리세스(332)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또 가압편이 리셋 스프링(341)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된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갖는 압축 스프링(342)에 의해서도 캠 디스크(310) 쪽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전면(333a) 및 윤곽점(Y) 사이에 설치가 방지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캠 디스크(310) 및 가압편(330) 사이의 간격이 최대일 때, 캠 디스크(310)의 정지면(311)은 제어 장치 하우징(301)에 구비되는 핀(351)과 함께 설치된다. 이런 방법을 통해, 제어 부재(320)가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도 4b에 도시된 지점을 넘어서서 계속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핀들(371) 및 그루브(333)는 또한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윤곽점(X)을 구비하는 스핀들(371) 원주면이 그루브(333)의 전면(333a) 쪽을 가리키는 스핀들(371)의 위치에서, 가압편(330) 및 캠 디스크(310) 사이의 간격이 최대일 때 전면(333a)이 윤곽점(X)과 함께 설치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것은 도 4d에서 확대한 단면도 4e를 통해 알 수 있다. 윤곽점(X) 및 그루브(333) 전면(333a) 사이에 이처럼 설치되고 또 아치형 리세스(332) 및 조절 부재(320)의 크기를 상응하게 정함으로써, 조절 부재(320)가 도 4d에 도시된 지점을 넘어서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d에 도시된 지점은 상승 영역의 단부 지점이다. 조절 부재(320)가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계선 영역은 차단된다. 조작자가 도 4d에 도시된 조작자의 입장에서 제어 장치의 조정 레버를 계속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그루브(333)의 전면(333a)은 이러한 힘을 볼트(370)의 윤곽점(X) 및 이를 통해 하우징(301)에 전달하므로 계선 영역에서의 윈치의 제어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하기에서는 도 4d, 도 4g 및 도 4h와 연관하여 볼트(370)를 하우징(301)에 고정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된다.
볼트(370)의 스핀들(371)은 도 4h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루(378), 주로 스핀들(371)과 연관하여 반대로 배치되는 두 개의 스크루를 이용한 라이닝(373)에 의해 하우징(301)에 고정된다. 라이닝(373)은 이때 스텝 섹션(step section)(303)을 구비하는 보어(302)에 위치한다. O-링(O-ring)(375)은 보어(302)와 연관하여 라이닝(373)을 밀폐한다. 라이닝의 내부 리세스 및 스핀들(371)의 외부 원주 사이에 마찬가지로 O-링(374)이 구비되고, O-링은 이러한 부품들 사이를 밀폐되게 연결할 수 있다. 스핀들(371)은 밀링가공부(371a)가 구비되는 단부 섹션에 보어를 갖는 구 리시버를 구비하고, 보어들마다 각각 구(376) 및 압축 스프링(377)이 제공된다. 도 4h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 네 개의 구가 90°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볼트(370)가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에서 구(376)는 스프링(377)에 의해 보어(302)의 스텝 섹션(303)으로부터 멀리 밀려나고, 라이닝(373)에 구비되는 그루브(373a) 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루브(373a)는 도 4h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90° 간격으로 스핀들(371)의 외부 원주로부터 연장되면서 구비된다.
이로써 네 개의 구는 스핀들(371)이 90°로 회전할 때 연결되는 그루브(373a) 내로 진입하고, 이와 함께 볼트(370)는 각각의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에 위치한다. 그루브(373) 및 구(376)는 밀링가공부(371a, 371b)와 연관하여 구가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윤곽점(Y)이 그루브(333)의 전면(333a) 맞은편에 배치되는 볼트(370)의 회전 지점에서뿐만 아니라,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윤곽점(X)이 그루브(333)의 전면(333a) 맞은편에 배치되는 볼트(370)의 회전 지점에서도 각각의 그루브(373a)의 잠금 지점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볼트(370)는 안전하게 정렬된 채 유지되므로, 볼트가 도 4d에 도시된 계선 차단 지점으로부터 도 4b에 도시된 계선 해제 지점으로 회전하는 것 및 그 반대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4f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장치의 변형이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 형태는 유압 제어 장치의 활용 시 계선 차단을 바꿀 필요가 없고 계선 작동이 계속 가능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제1 변형 형태는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실시 형태와는 구분되는데, 도 4a 내지 도 4e에 나오는 볼트(370)가 외부로 유도되지 않고 또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4f의 볼트(391)는 도 4a 내지 도 4e의 밀링가공부 대신 크기가 줄어든 섹션(391a)을 구비하고, 이러한 섹션은 그루브(333) 내로 진입한다. 이처럼 줄어든 크기는 도 4h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크기(y)에 상응한다. 크기가 줄어든 섹션(391a)은 주로 원형 횡단면을 갖지만, 볼트(391)의 중앙축 및 윤곽점(X) 사이에 간격(y)이 있는 한 각각 다른 형태도 생각해볼 수 있다. 크기가 줄어든 섹션(391a)이 또한 중앙축으로부터의 간격(y)보다 간격이 큰 윤곽점을 구비한다면, 볼트(391)는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볼트(391)는 도 4f에서 덮개판(390)에 의해 폐쇄되는 보어(302)에 수용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압 제어 장치를 활용할 때 계선 작동이 지속적으로 차단될 수밖에 없는 경우에도 볼트를 하우징(301)의 보어(302)에 수용할 수 있고, 볼트는 섹션과 함께 그루브(333) 내로 돌출하며, 그루브의 크기는 볼트의 중앙축으로부터 캠 디스크(310) 쪽으로 앞서 말한 간격(x)에 상응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도 4e에 도시된 설치는 이러한 볼트의 윤곽점(X) 및 그루브(333)의 전면(333a) 사이에서 가능하게 된다.

Claims (11)

  1. 윈치용 유압 제어 장치로서,
    윈치의 상승(hoisting) 작동, 하강(lowering) 작동, 또는 계선(mooring) 작동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작동 수단(260) 및,
    윈치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계선(mooring) 차단용 인터로킹 스톱부(333a, X)가 비작동 되는 위치로 옮겨질 수 있는 위치 결정 수단
    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각도를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윤곽점(X, Y)을 갖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의 회전축으로부터 제1 윤곽점(Y)까지의 간격(y)이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의 회전축으로부터 제2 윤곽점(X)까지의 간격(x)보다 작으며,
    가압편(330)의 그루브(333)의 일부와 맞물린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윤곽점(X)은, 상기 작동 수단(260)이 계선(mooring)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밀링가공부(371a)를 갖는 볼트(37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330)은, 상기 제2 윤곽점(X)이 상기 그루브(333)의 일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볼트(370)가 위치할 때, 상기 작동 수단(260)이 계선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70)는 적어도 하나의 구(sphere)(376)를 구비하고, 상기 구는, 제2 윤곽점(X)이 그루브(333)의 일부(333a)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볼트(370)가 위치할 때, 제어 장치 하우징에 구비되는 그루브(373a)와 맞물려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376)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구(376)는 볼트(370)의 서로 반대되는 원주 부분에 구비되고, 제어 장치 하우징에 구비되는 두 개의 그루브(373a)와 맞물림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47015679A 2002-04-03 2003-02-07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KR101019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14732.9 2002-04-03
DE10214732A DE10214732A1 (de) 2002-04-03 2002-04-03 Hydraulische Steuer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Winde
PCT/DE2003/000359 WO2003082726A1 (de) 2002-04-03 2003-02-07 Hydraulische steuer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wi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38A KR20040098038A (ko) 2004-11-18
KR101019523B1 true KR101019523B1 (ko) 2011-03-07

Family

ID=2805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679A KR101019523B1 (ko) 2002-04-03 2003-02-07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0289B1 (ko)
JP (1) JP4342321B2 (ko)
KR (1) KR101019523B1 (ko)
DE (2) DE10214732A1 (ko)
NO (1) NO330654B1 (ko)
WO (1) WO20030827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154Y2 (ja) * 1989-11-30 1996-09-25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7426A (en) * 1953-12-07 1957-01-15 Model Engineering & Mfg Inc Hydraulic speed control valve
DE4316229C2 (de) * 1993-05-14 1998-08-13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s Vorsteuergerät mit wenigstens einem über einen handbetätigbaren Betätigungshebel einstellbaren hydraulischen Druckregelventil
DE19913277B4 (de) * 1999-03-24 2007-11-22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 Winde
DE19913275A1 (de) * 1999-03-24 2000-09-28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zum Betreiben einer Winde im Fieren-, Hieven- und Mooring-Betrie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154Y2 (ja) * 1989-11-30 1996-09-25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0289A1 (de) 2004-12-29
WO2003082726A1 (de) 2003-10-09
NO330654B1 (no) 2011-05-30
NO20043766L (no) 2004-10-28
DE50307701D1 (de) 2007-08-30
EP1490289B1 (de) 2007-07-18
JP4342321B2 (ja) 2009-10-14
DE10214732A1 (de) 2003-10-16
JP2005521611A (ja) 2005-07-21
KR20040098038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5420B1 (de) Sicherheitsbremse für ein hubwerk
US5987824A (en) Locking manhole cover
KR100486397B1 (ko) 브레이크장치및작동방법
EP2290228A2 (en) Blade pitch lock device
ES2825075T3 (es) Embrague bidireccional para sistema de orientación de turbina eólica
US20050034937A1 (en) Brake, especially for wind farms
US20090307976A1 (en) Rotary lock comprising a locking arm that can be pivoted parallel to the main rotary axis
CN101091034A (zh) 包括至少一个调节臂的伺服驱动
CA2651926A1 (en) Wear compensating device for a brake device, and brake device
US20220025737A1 (en) Closing device for wells or the like
US6585228B1 (en) Electric valve actuator with eddy current clutch
CN101603387B (zh) 带逃脱解锁工具的安全联锁装置
US20020037119A1 (en) Lockable bearing unit
KR101019523B1 (ko)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제어 장치
CN101607397A (zh) 工具机,特别是手持式工具机
EP0662444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the safety gear of an elevator
US20190382240A1 (en) Elevator braking device, powerhead and methods
CN1173130C (zh) 负载体驱动装置
US6105484A (en) Lockout device for valve actuators
EP3719340B1 (en) Protection device braking mechanism
WO2019174685A1 (en) A butterfly valve, a method for rotatably locking a disc of a butterfly valve and use of a butterfly valve
CA1293962C (en) Ball valve
US6983829B2 (en) Motor actuated park brake for a vehicle
KR101031810B1 (ko)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EP3705673B1 (en) Electric drive system for moving a window-related element with mechanical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