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71B1 -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71B1
KR101019371B1 KR1020100128971A KR20100128971A KR101019371B1 KR 101019371 B1 KR101019371 B1 KR 101019371B1 KR 1020100128971 A KR1020100128971 A KR 1020100128971A KR 20100128971 A KR20100128971 A KR 20100128971A KR 101019371 B1 KR101019371 B1 KR 10101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wer
cable
wall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유)남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양기술단 filed Critical (유)남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10012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사이의 점검이 간편하도록 한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구(20)의 벽면(22)에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30)에 복수의 가이드샤프트(70)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벽면고정블록(30)에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중간블록(40)(50)과 마감블록(60)에 가이드샤프트(70)가 관통되는 슬라이드구멍(32)(42)(52)을 형성하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부위 상하단부에 벽면(22)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34)(44)(54)과 경사플랜지(46)(56)(66)를 형성하고, 경사플랜지(46)(56)(66)와 경사면(34)(44)(54)에 관통구멍(46h)(56h)(66h)과 나사구멍(34h)(44h)(54h)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80)(82)(84)로 결합하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면에 전력케이블(90)(92)(94)이 끼워지는 복수의 하향경사홈(35)(45)(55)과 케이블가압홈(47)(57)(67)을 상하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으로, 전력구에 전력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전력케이블의 2차원적 배열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Channel alignment devices of underground power cables}
본 발명은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전력구에 설치되는 전력케이블을 상하좌우 복렬로 배치하는 경우 케이블 사이의 점검이 간편하도록 한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케이블은 지상에 설치되는 가공선과 지하에 설치되는 지중선으로 대별되는데, 이중 지중선은 지중전력구에 설치하여 도시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점검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 때문에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종래의 송전과 변전 및 배전 전력구는 양측벽에 송배전 케이블들이 배치되어 있고, 중앙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력구의 양측벽에 설치되는 송배전 케이블들은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높이가 다르게 설치되는 여러 개의 선반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구에 설치되는 선반은 점검을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전력구의 크기를 줄이는데 제한이 있어 전력구 설치비용 절감에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전력케이블을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 곤란하여 설치장소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중케이블의 상하좌우배열이 가능하여 전력구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케이블점검이 보다 용이한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에 복수의 가이드샤프트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그 벽면고정블록에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중간블록과 마감블록에 가이드샤프트가 관통되는 슬라이드구멍을 형성하며, 벽면고정블록과 중간블록 및 마감블록의 각 밀착부위 상하단부에 벽면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과 경사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경사플랜지와 경사면에 관통구멍과 나사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로 결합하며, 벽면고정블록과 중간블록 및 마감블록의 각 밀착면에 전력케이블이 끼워지는 복수의 하향경사홈과 케이블가압홈을 상하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력구에 전력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벽면고정블록과 중간블록 및 마감블록에 의해 전력케이블의 2차원적 배열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구 크기를 줄여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가이드샤프트에 의해 포설된 전력케이블의 점검이 간단히 이루어지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고정블록과 중간블록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가 전력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20)의 벽면(22)에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30)에 복수의 가이드샤프트(70)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그 벽면고정블록(30)에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중간블록(40)(50)과 마감블록(60)에 가이드샤프트(70)가 관통되는 슬라이드구멍(32)(42)(52)을 형성한다.
또,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부위 상하단부에 벽면(22)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34)(44)(54)과 경사플랜지(46)(56)(66)를 형성하고, 그 경사플랜지(46)(56)(66)와 경사면(34)(44)(54)에 관통구멍(46h)(56h)(66h)과 나사구멍(34h)(44h)(54h)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80)(82)(84)로 결합한다.
또한,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면에 전력케이블(90)(92)(94)이 끼워지는 복수의 하향경사홈(35)(45)(55)과 케이블가압홈(47)(57)(67)을 상하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밀착면에는 위치결정구멍(38)(48)(58)과 보스(49)(59)(69)를 형성하여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도록 한다.
상기 벽면고정블록(30)에는 앵커구멍(31)을 갖는 앵커연결편(33)을 형성하여 전력구(20) 벽면(22)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00)가 앵커구멍(31)을 통해 삽입된 후 너트(102)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벽면고정블록(30)에는 가이드샤프트(70) 삽입을 위한 억지끼움 형태의 압입구멍(30h)을 형성하며, 가이드샤프트(70)의 한쪽 단부에는 원판형의 두부(71)를 형성하여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된 두부걸림부(37)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또한,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압입구멍(30h)은 가이드샤프트(7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가이드샤프트(70)를 삽입할 때 압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마감블록(60)에 형성된 보스(69)의 반대편 측면에는 가이드샤프트(70)의 안내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장보스(61)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20) 벽면(22)에 전력케이블(90)(92)(94)을 설치하는 과정은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연결편(33)의 앵커구멍(31) 구멍숫자와 구멍간격에 맞도록 벽면(22)에 앵커볼트(100)를 박아 놓은 상태에서 진행하게 된다.
그 다음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압입구멍(30h)에 복수의 가이드샤프트(70)를 삽입하게 되면, 가이드샤프트(70)에 형성되어 있는 두부(71)가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두부걸림부(37)에 삽입되는 동시에 가이드샤프트(70)가 압입구멍(30h)에 고정된다.
즉, 가이드샤프트(70)를 압입구멍(30h)에 삽입할 때 가이드샤프트(70)는 압입구멍(30h)에 압입되면서 벽면고정블록(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전력구(20)의 벽면(22)에 설치된 앵커볼트(100)의 중심에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된 앵커연결편(33)의 앵커구멍(31)의 중심을 일치시킨 다음 벽면고정블록(30)을 벽면(22)에 밀착시키게 되면, 앵커볼트(100)가 앵커연결편(33)에 형성되어 있는 앵커구멍(31)을 통과해 돌출된다.
이때 돌출된 앵커볼트(100)에 너트(102)를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벽면고정블록(30)가 전력구(20)의 벽면(22)에 고정되며, 가이드샤프트(70)의 두부(71)는 벽면(22)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벽면고정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경사홈(35)에 전력케이블(90)를 끼우게 되면, 전력케이블(90)의 자중에 의해 하향경사홈(35)에 삽입된다.
그 다음 가이드샤프트(70)의 중심과 한쪽 중간블록(40)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32)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중간블록(40)을 가이드샤프트(70)에 끼워서 벽면고정블록(30)을 향해 밀게 되면, 결국 중간블록(40)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가압홈(47)이 전력케이블(90)에 밀착되는 동시에 중간블록(40)의 상하단에 형성된 경사플랜지(46)가 벽면고정블록(30)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4)에 밀착된다.
위와 같이 밀착된 경사면(34)과 경사플랜지(46)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34h)과 관통구멍(46h)의 중심이 일치되는데, 이때 관통구멍(46h)을 통해 볼트(80)를 통과시켜 나사구멍(34h)에 결합하게 되면, 중간블록(40)이 벽면고정블록(3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전력케이블(90) 또한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 벽면고정블록(30)에 중간블록(40)을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중간블록(40)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49)가 위치결정구멍(38)에 삽입되면서 측면으로 작용되는 힘에 저항하여 가이드샤프트(70)가 받게 되는 측방향 하중을 덜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머지 전력케이블(92)(94)과 중간블록(50) 및 마감블록(60)도 동일한 과정으로 설치되며, 전력케이블의 수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가이드샤프트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중간블록의 수를 증대시키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90”으로 표기된 전력케이블을 점검하는 경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을 연결하고 있는 볼트(80)를 풀어서 제거한 다음 나머지 중간블록(40)(50)과 마감블록(60)을 당기게 되면, 중간블록(40)(50)과 마감블록(60)이 가이드샤프트(70)의 안내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때 전력케이블(90)을 하향경사홈(35)으로부터 빼내어 점검하거나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새로운 전력케이블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 나머지 전력케이블(92)(94)도 볼트(82)(84)만 풀게 되면 간단히 점검할 수 있으며, 점검을 마친 후에는 벽면고정블록(30)와 중간블록(40)(50) 또는 마감블록(60)을 밀착시키고 분리된 볼트(80)(82)(84)를 조이게 되면, 점검을 마칠 수 있다.
20 : 전력구 22 : 벽면
30 : 벽면고정블록 40,50 : 중간블록
60 : 마감블록 31 : 앵커구멍
30h : 압입구멍 33 : 앵커연결편
32,42,52 : 슬라이드구멍 34,44,54 : 경사면
46,56,66 : 경사플랜지 46h,56h,66h : 관통구멍
34h,44h,54h : 나사구멍 35,45,55 : 하향경사홈
37 : 두부걸림부 38,48,58 : 위치결정구멍
47,57,67 : 케이블가압홈 49,59,69 : 보스
61 : 연장보스 70 : 가이드샤프트
71 : 두부 80,82,84 : 볼트
90,92,94 : 전력케이블 100 : 앵커볼트
102 : 너트

Claims (2)

  1. 전력구(20)의 벽면(22)에 설치되는 벽면고정블록(30)에 복수의 가이드샤프트(70)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그 벽면고정블록(30)에 순차적으로 밀착되는 중간블록(40)(50)과 마감블록(60)에 가이드샤프트(70)가 관통되는 슬라이드구멍(32)(42)(52)을 형성하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부위 상하단부에 벽면(22)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34)(44)(54)과 경사플랜지(46)(56)(66)를 형성하고, 그 경사플랜지(46)(56)(66)와 경사면(34)(44)(54)에 관통구멍(46h)(56h)(66h)과 나사구멍(34h)(44h)(54h)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80)(82)(84)로 결합하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각 밀착면에 전력케이블(90)(92)(94)이 끼워지는 복수의 하향경사홈(35)(45)(55)과 케이블가압홈(47)(57)(67)을 상하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고정블록(30)과 중간블록(40)(50) 및 마감블록(60)의 밀착면에 상호 결합되는 위치결정구멍(38)(48)(58)과 보스(49)(59)(69)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KR1020100128971A 2010-12-16 2010-12-16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KR10101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71A KR101019371B1 (ko) 2010-12-16 2010-12-16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71A KR101019371B1 (ko) 2010-12-16 2010-12-16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371B1 true KR101019371B1 (ko) 2011-03-07

Family

ID=4393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971A KR101019371B1 (ko) 2010-12-16 2010-12-16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624B1 (ko) * 2017-02-01 2017-08-30 (주) 신화기술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334A (ja) 1999-03-29 2000-10-13 Kurimoto Ltd 多段管路の地中埋設構造及びその埋設方法
KR100733714B1 (ko) 2007-02-26 2007-06-28 세정감리(주)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KR100984002B1 (ko) 2008-05-10 2010-09-30 김재욱 전력선관로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334A (ja) 1999-03-29 2000-10-13 Kurimoto Ltd 多段管路の地中埋設構造及びその埋設方法
KR100733714B1 (ko) 2007-02-26 2007-06-28 세정감리(주)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KR100984002B1 (ko) 2008-05-10 2010-09-30 김재욱 전력선관로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624B1 (ko) * 2017-02-01 2017-08-30 (주) 신화기술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61B1 (ko)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122272B1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EP2923134B1 (en) Sealing system
KR200443376Y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38974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구조
US10014673B2 (en) Quick lock system for joining and aligning tubes, conduits and junction boxes
KR100846135B1 (ko)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19371B1 (ko)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KR101098548B1 (ko)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N202084855U (zh) 一种电缆牵引工具
US20190296533A1 (en) Quick lock system for joining and aligning tubes, conduits and junction boxes
CN208890295U (zh) 一种电力工程架设用过线盒
KR101920670B1 (ko) 강관 전신주 연결 커플러
KR20180016135A (ko) 변류기
CN205846634U (zh) 一种短距离线盒连接装置
KR200455943Y1 (ko) 케이블 포설기구
KR100786735B1 (ko) 지중 전력구의 배전케이블 배열장치
CN112202137B (zh)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KR100993294B1 (ko) 건축용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KR100883912B1 (ko) 송·배전선용 길이조정 링크
KR100885836B1 (ko) 지하 전력구 배전용 케이블 지지대.
CN210779845U (zh) 一种电力施工用辅助固定装置
CN102377150A (zh) 缆线-和线路引导件
CN202812472U (zh) 一种漏缆型馈线卡
KR101056640B1 (ko) 통신용 광케이블 이격가설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