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714B1 -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 Google Patents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714B1
KR100733714B1 KR1020070019025A KR20070019025A KR100733714B1 KR 100733714 B1 KR100733714 B1 KR 100733714B1 KR 1020070019025 A KR1020070019025 A KR 1020070019025A KR 20070019025 A KR20070019025 A KR 20070019025A KR 100733714 B1 KR100733714 B1 KR 10073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wiring
line
distribu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세정감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정감리(주) filed Critical 세정감리(주)
Priority to KR102007001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8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stone, brick or concret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으며, 배전선로의 증설이 가능하고,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며,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의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 위에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를 가진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100),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로 조립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배전선(2200) 설치 부위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Description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Line o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in a underground utility-pipe conduit for electric power which could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class of distribution line}
도 1은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상부벽측 덮개부(217),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가 열려셔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상부벽측 덮개부(217),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가 덮여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기저 배선부(100)만 설치되고 상부 배선부(200)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저 배선부 101 : 기저 배선부 몸체부
110 : 상부 배선부 결합오목부 120 : 기저배선부 중앙오목부
150 : 기저배선부 오목곡면부 200 : 상부 배선부
201 : 상부 배선부 몸체부 210 : 상부 벽측 배선부
211 :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 215 : 상부벽측 오목곡면부
217 : 상부벽측 덮개부 220 : 상부 외측 배선부
221 :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 225 : 상부외측 오목곡면부
227 : 상부외측 힌지덮개부 229 : 상부 외측힌지부
270 : 기저 배선부 결합돌출부
2100 :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 2200 : 배전선
본 발명은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의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 위에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를 가진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100),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로 조립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배전선(2200) 설치 부위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2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으며, 배전선로의 증설이 가능하고,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 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며,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지중 전력구에는 복수 개의 배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당초 시공된 대로 계속 사용된다면 큰 문제가 없겠으나, 선의 교체나 증설 작업은 불가피한 일이다.
만약, 배전선로의 증설이 단순한 방법으로 가능하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진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증설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저 배선부(100), 상부 배선부(2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상부벽측 덮개부(217),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가 열려셔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상부벽측 덮개부(217),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가 덮여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의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 위에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를 가진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100),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로 조립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배전선(2200) 설치 부위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 배선부(100)는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 몸체부(101)의 양 가장자리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선부(200)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 결합오목부(110), 상기 기저 배선부 몸체부(101)의 양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배선부 결합오목부(110) 사이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기저배선부 중앙오목부(120), 상기 기저배선부 중앙오목부(120)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저배선부 오목곡면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기저 배선부(100)만 설치되고 상부 배선부(200)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과 같이, 상기 기저 배선부(1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전선(2200)의 분량이 늘어나면, 상기 기저 배선부(100) 위에 상기 상 부 배선부(200)를 조립하면 배전선로가 간단하게 증설되며 추가로 늘어난 배전선들을 설치해 주면 된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증설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배선부(200)는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구분된 부분들 중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 벽측 배선부(210), 상기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의 두 개의 구분된 부분들 중 다른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벽측 배선부(210)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 외측 배선부(220), 상기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의 양 가장자리에 기다란 돌출부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기다란 돌출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 결합돌출부(2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전선(2200)의 분량이 늘어나면, 상기 기저 배선부(100) 위에 상기 상부 배선부(200)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상기 상부 벽측 배선부(210)는 상기 상부 벽측 배 선부(210)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 상기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벽측 오목곡면부(215), 상기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를 덮어주는 판형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상부벽측 덮개부(21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상기 상부 외측 배선부(220)는 상기 상부 외측 배선부(220)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21), 상기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21)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외측 오목곡면부(225), 상기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11)를 덮어주는 판형덮개 부재로 형성되되 힌지 부재인 상부 외측힌지부(229)에 의해 힌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배선부(100)에는 자주 교체되지 않는 배전선들을 배치하고,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상기 상부 외측 배선부(220)에는 자주 교체될 가능성이 큰 배전선들을 배치해 주면 교체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진다.
즉,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 히 용이 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기저 배선부(100)와 상기 상부 배선부(200)는 불연소 합성수지와 같은 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서,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배전선로의 증설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배전선 종류별로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추후 교체 작업이 상당히 용이 해질 수 있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어 한 공간에서 생긴 화재가 다른 부위로 옮겨 가지 않도록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지중 전력구의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 위에 얹혀지도록 형성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를 가진 블럭 부재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100),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로 조립되는 불연성 재질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배전선(2200) 설치 부위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배선부(100)는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 몸체부(101)의 양 가장자리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선부(200)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 결합오목부(110),
    상기 기저 배선부 몸체부(101)의 양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배선부 결합오목부(110) 사이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기저배선부 중앙오목부(120),
    상기 기저배선부 중앙오목부(120)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저배선부 오목곡면부(15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선부(200)는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에 복수 개의 배전선(22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구분된 부분들 중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선로 지지 프레임(210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 벽측 배선부(210),
    상기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의 두 개의 구분된 부분들 중 다른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벽측 배선부(210)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 외측 배선부(220),
    상기 상부 배선부 몸체부(201)의 양 가장자리에 기다란 돌출부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기다란 돌출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기저 배선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기저 배선부 결합돌출부(270),
    를 포함하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상기 상부 벽측 배선부(210)는
    상기 상부 벽측 배선부(210)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
    상기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벽측 오목곡면부(215);
    상기 상부 벽측 중앙오목부(211)를 덮어주는 판형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상부벽측 덮개부(217);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선부(200)의 상기 상부 외측 배선부(220)는
    상기 상부 외측 배선부(220)의 중앙 부분이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설치되는 부위로 형성되는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21);
    상기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21)의 표면에 상기 배전선(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파여지되, 단면이 부분 원호형상으로 파여져서 상기 배전선(2200)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2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외측 오목곡면부(225);
    상기 상부 외측 중앙오목부(211)를 덮어주는 판형덮개 부재로 형성되되 힌지 부재인 상부 외측힌지부(229)에 의해 힌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외측 힌지덮개부(227);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KR1020070019025A 2007-02-26 2007-02-26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KR10073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25A KR100733714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25A KR100733714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714B1 true KR100733714B1 (ko) 2007-06-28

Family

ID=3837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025A KR100733714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401B1 (ko) 2007-09-17 2008-02-29 (주)상일전설 종류별 배전선 설치가 가능한 지중전력구 배전선로
KR101019371B1 (ko) 2010-12-16 2011-03-07 (유)남양기술단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KR102129054B1 (ko) 2020-02-07 2020-07-0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6U (ko) * 1994-07-07 1996-02-17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 차화판
KR970024415A (ko) * 1995-10-10 1997-05-30 김의경 이중바닥용 가변 배전선 덕트(Duct)
KR200340057Y1 (ko)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배전 케이블의 3회선 크리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6U (ko) * 1994-07-07 1996-02-17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 차화판
KR970024415A (ko) * 1995-10-10 1997-05-30 김의경 이중바닥용 가변 배전선 덕트(Duct)
KR200340057Y1 (ko)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배전 케이블의 3회선 크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401B1 (ko) 2007-09-17 2008-02-29 (주)상일전설 종류별 배전선 설치가 가능한 지중전력구 배전선로
KR101019371B1 (ko) 2010-12-16 2011-03-07 (유)남양기술단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정렬장치
KR102129054B1 (ko) 2020-02-07 2020-07-0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628B2 (en) Enhancements for a suspension, coupling and alignment system and passage for electrical energy cables for fluorescent luminaires
KR100733714B1 (ko) 배전선 종류별로 설치 가능한 지중 전력구 배전선로.
DE69806947T2 (de) Bohrlochverrohrung mit erosionschutz für inneres sieb
DE19982677T1 (de) Vierteildrehungs-Schnellverbindungs-Rohrverbindungsstückanordnung
US6448497B1 (en) Cable tray and walkway system
KR20170010711A (ko) 이동식 소켓들을 위한 가압 레일의 배열
CA2290287A1 (en) Concealed service poke-through device
DE69915222D1 (de) Elektrischen Verbindung Anordnung
CN100402909C (zh) 保护装置
DE69710903T2 (de) Aussenschutz mit Abschirmungsunterbrechung für Hochspannungskabelverbindung
FR2801432B1 (fr) Socle de prise de courant muni d&#39;un joint d&#39;etancheite a soufflet
DE60018007D1 (de) Leitfähige feuerhemmende thermoplastische Elastomer-Mischung
JP4478987B2 (ja) 配線ダクト用上下自在カバー
KR101235009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의 행거 고정장치
FR2721447B1 (fr) Canalisation de distribution électrique pourvue d&#39;une pièce d&#39;étanchéité.
KR101046399B1 (ko) 지중송전선 지중배치를 위한 고정관
JPH10226249A (ja) 剛体電車線保護カバー
KR100744465B1 (ko) 건축물 층간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FR3082368B1 (fr) Boitier de protection pour une installation electrique et installation electrique comportant un tel boitier de protection
KR102112174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20200048131A (ko) 지중케이블 밀림방지용 고정장치
KR10217473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배선 구조 시스템
KR100905198B1 (ko) 이탈방지기능을 가지는 통수관 접속장치
JP2006204481A (ja) 補助天板
KR100671065B1 (ko)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