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222B1 -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222B1
KR101019222B1 KR1020100034430A KR20100034430A KR101019222B1 KR 101019222 B1 KR101019222 B1 KR 101019222B1 KR 1020100034430 A KR1020100034430 A KR 1020100034430A KR 20100034430 A KR20100034430 A KR 20100034430A KR 101019222 B1 KR101019222 B1 KR 10101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uide
bushing
tube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정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진 filed Critical 정경진
Priority to KR102010003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 A61B2017/3411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with a plurality of holes, e.g. holes in matrix arrang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용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트로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부위에 삽입되는 투관과, 상기 투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봉합바늘이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만을 관통하도록 상기 봉합바늘을 이동시키는 바늘 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안내관은, 상기 투관이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투관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봉합바늘을 수술부위 측으로 노출시키는 바늘노출공이 형성된 수용관과; 상기 삽입관과 상기 수용관을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투관의 아래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늘노출공을 통해 노출된 봉합바늘이 관통되는 상부안내공과 하부안내공이 각각 형성된 상부접힘편과 하부접힘편을 갖는 바늘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직접 봉합바늘을 핸들링하여 복벽을 관통하지 않더라도 트로카 조립체에 의해 봉합바늘이 안내되어 이동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수술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TROCAR ASSEMBLY FOR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트로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강경 수술시 봉합사를 이용하여 수술부위의 복벽을 봉합하기 위한 트로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복부를 0.5~1cm 정도 절개하여 3~4개의 구멍을 뚫고 복강경을 삽입하여 복강 내부를 관찰하면서 수술한다.
복강경 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복부에 다수의 트로카(trocar)를 삽입하고, 어느 하나의 트로카를 통해 탄산가스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복강내 기복을 만들어 수술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다른 트로카를 통해 삽입되는 내시경 및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시술하게 된다.
시술이 완료되면 트로카를 제거하고 수술부위를 봉합하는데, 바늘집게로 바늘을 잡고서 수술부위를 봉합하게 된다.
그런데, 바늘집게를 통해 수술부위를 봉합하는 과정은 번거롭고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과정이다. 특히, 바늘이 작은 절개부위를 통해 근육과 복벽 전층을 관통하여 수술부위를 봉합해야 하므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고 바늘을 섬세하게 핸들링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자가 봉합바늘을 핸들링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수술부위를 봉합할 수 있는 트로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술완료 후 트로카를 체외로 이동시킬 때 이에 연동하여 봉합바늘이 이동하며 복벽을 봉합하도록 유도하는 트로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복강용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트로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로카 조립체는, 수술부위에 삽입되는 투관과, 상기 투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봉합바늘이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만을 관통하도록 상기 봉합바늘을 이동시키는 바늘 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안내관은, 상기 투관이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투관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봉합바늘을 수술부위 측으로 노출시키는 바늘노출공이 형성된 수용관과; 상기 삽입관과 상기 수용관을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투관의 아래방향으로의 회전가압에 의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늘노출공을 통해 노출된 봉합바늘이 관통되는 상부안내공과 하부안내공이 각각 형성된 상부접힘편과 하부접힘편을 갖는 바늘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접힘편은 판면이 중심영역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부안내공을 경유한 봉합바늘을 상부안내공으로 안내하는 깔데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안내공은 접혔을 때 상기 하부안내공 보다 상기 트로카의 중심부위에 가깝게 구비되어 상부안내공을 관통한 봉합바늘이 삽입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관의 외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삽입안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에는 상기 삽입안내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투관을 상기 수용관으로 안내하는 진입가이드홈이 일정길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관에는 상기 진입가이드홈과 연속되게 구비되어 상기 투관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홈은 상기 투관을 아랫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관을 윗방향으로 안내하는 분리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를 사용하면 바늘 안내관이 봉합바늘의 이동궤적을 안내하여 트로카가 체외로 이동될 때 봉합바늘이 복벽만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에 시술자는 종래와 같이 봉합바늘을 직접 핸들링하여 복벽을 관통시키지 않고 바늘 안내관과 트로카의 이동에 따라 복벽 외부로 노출된 봉합바늘을 체외로 분리한 후 매듭을 형성하여 봉합만 하면 되므로 봉합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로카 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트로카 조립체가 수술부위에 삽입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를 이용한 봉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1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10)는 수술부위에 삽입되는 트로카(100)와, 트로카(100)의 외측에 결합되어 봉합바늘(300)이 복벽(C)을 관통하도록 봉합바늘(300)을 이동시키는 바늘 안내관(200)을 포함한다.
트로카(100)는 투침(미도시)을 내부에 삽입하여 수술부위가 천공되도록 투침(미도시)을 안내한다. 트로카(100)는 투침(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구(111)가 형성된 헤드(110)와, 헤드(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투침(미도시)을 안내하는 투관(120)을 포함한다.
헤드(110)의 일측에는 복강경 수술을 위해 복부의 내측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관(115)이 구비된다. 가스주입관(115)은 장기와 복부 벽면이 유착되어 있는 것을 떨어뜨려 놓음과 동시에 수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탄산가스를 주입한다.
투관(120)은 트로카(100)의 하부영역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투침(미도시)을 비롯한 수술기구(미도시)들이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투관(120)의 외측면에는 안내돌기(121)가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형성된다. 안내돌기(121)는 투관(120)이 바늘 안내관(200) 내부에 삽입될 때 진입가이드홈(213)과 이동가이드홈(221)에 수용되어 이동하면서 투관(1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한다.
안내돌기(121)는 진입가이드홈(213)과 이동가이드홈(221)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관(120)의 양측면에는 봉합바늘(300)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투관(120)의 양측면에는 봉합바늘(300)을 지지하기 위한 바늘지지편(123)이 투관(120)의 판면으로부터 절개된다. 바늘지지편(123)은 투관(120)의 판면으로부터 "ㄷ"자 형태로 절개되어 봉합바늘(300)의 일영역을 내측에 수용하여 봉합바늘(3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봉합바늘(300)은 투관(120)의 판면에 대해 누워 있는 상태로 결합된다. 봉합바늘(300)은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투관(120)의 바늘지지편(123) 내에 걸쳐진 상태로 결합된다.
바늘지지편(123)은 봉합바늘(300)의 일영역을 지지하여 투관(120)이 바늘 안내관(2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홈(221b)을 따라 회동될 때 봉합바늘(300)이 바늘 노출공(223)의 측벽에 지지되어 기립되도록 한다. 기립된 상태의 봉합바늘(300)은 바늘 안내관(200)의 바늘노출공(223)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다.
바늘지지편(123)의 일측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바늘 노출공(223)의 측벽에 접촉지지되며 봉합바늘(30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돌기(124)가 구비된다.
바늘 안내관(200)은 트로카(100)의 외측에 결합되어 트로카(100)가 수술부위로부터 분리될 때 봉합바늘(300)의 이동궤적을 안내하여 시술자가 별도로 봉합바늘(300)을 핸들링하지 않더라도 봉합바늘(300)이 복벽(C)을 관통하도록 하여 봉합사(400)의 봉합과정을 간편하게 한다.
바늘 안내관(200)은 트로카(100)가 삽입되는 삽입관(210)과, 삽입관(2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투관(120)을 수용하는 수용관(220)과, 삽입관(210)과 수용관(2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봉합바늘(300)의 이동경로을 안내하는 바늘안내부(230)를 포함한다.
삽입관(210)과 수용관(220)은 바늘안내부(2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삽입관(210)과 바늘안내부(230)는 투관(120)의 직경보다 일정길이 크게 구비되어 투관(120)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관(210)의 내측면에는 투관(120)의 안내돌기(121)를 수용하여 투관(1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진입가이드홈(213)이 구비된다. 진입가이드홈(213)은 삽입관(210)의 높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구비된다. 투관(120)의 안내돌기(121)가 진입가이드홈(213)에 맞물리도록 위치되면 안내돌기(121)가 진입가이드홈(213)을 따라 이동하면서 투관(120)이 삽입관(210)을 경유하여 수용관(2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용관(2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10)을 경유하여 이동한 투관(120)이 내부에 수용되면 투관(120)의 외측에 결합된 봉합바늘(300)은 바늘노출공(2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봉합바늘(300)은 투관(120)의 판면에 접촉된 상태이다.
수용관(220)은 내부에 투관(120)이 수용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수용관(220)의 내측면에는 투관(1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홈(221)이 구비된다. 이동가이드홈(221)은 투관(120)의 삽입경로를 안내하는 삽입홈(221a)과, 투관(120)이 삽입된 상태에서 봉합바늘(300)이 바늘노출공(223)의 측벽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투관(120)을 회동시키는 회동홈(221b)과, 투관(120)을 윗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분리홈(221c)을 포함한다.
삽입홈(221a)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가이드홈(213)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삽입관(210)을 통해 삽입된 투관(120)이 직선경로로 이동하여 수용관(220)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삽입홈(221a)은 일정 길이 직선형태로 구비되어 투관(12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회동홈(221b)은 삽입홈(221a)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투관(120)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관(220)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안내한다. 회동홈(221b)에 의해 투관(120)이 수용관(220) 내부를 회동하면 투관(12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의 봉합바늘(300)은 바늘노출공(223)의 측벽과 접촉되면서 기립되게 된다. 또한, 회동홈(221b)는 삽입홈(221a)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회동홈(221b)을 따라 투관(120)이 이동할 경우 투관(120)에 의해 가압되어 바늘안내부(230)가 절첩되도록 한다.
분리홈(221c)은 회동홈(221b)의 단부영역에서 직선형태로 윗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트로카(100)가 윗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바늘노출공(223)은 수용관(2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삽입홈(221a)을 통해 삽입된 봉합바늘(3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투관(120)이 분리홈(221c)에 의해 회동되면 봉합바늘(300)을 접촉지지하여 봉합바늘(300)이 기립되도록 한다. 바늘노출공(223)은 봉합바늘(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봉합바늘(300)은 바늘지지편(123)에 결합된 상태로 투관(120)의 판면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관(220) 내부에 삽입되고, 투관(120)의 회동에 따라 바늘노출공(223)의 측벽에 지지되어 투관(120)의 판면으로부터 기립된다.
바늘노출공(223)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기립된 상태로 노출된 봉합바늘(300)이 트로카(100)의 상승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바늘안내부(230)는 트로카(100)의 상승에 따라 바늘노출공(223)을 따라 윗방향으로 상승한 봉합바늘(300)이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봉합바늘(300)의 이동궤적을 안내한다.
바늘안내부(230)는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상부접힘편(231)과 하부접힘편(233)으로 구비된다. 상부접힘편(231)과 하부접힘편(233)은 트로카(100)가 삽입될 때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트로카(100)가 수술부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부접힘편(231)과 하부접힘편(233)의 판면에는 각각 봉합바늘(300)이 관통되며 이동하는 상부안내공(231a)과 하부안내공(233a)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접힘편(231)과 하부접힘편(233)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봉합바늘(300)이 하부안내공(233a)과 상부안내공(231a)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하부안내공(233a)과 상부안내공(231a)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부안내공(231a)이 하부안내공(233a)에 비해 수용관(220)에 가깝게 배치된다. 하부안내공(233a)과 상부안내공(231a)은 서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을 경유하는 봉합바늘(300)이 복벽(C), 지방층(B), 피부층(A) 중 복벽(C)과 지방층 일부 만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부접힘편(231)은 평판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중심영역이 주변영역에 비해 높게 형성된 깔데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하부안내공(233a)을 통해 이동된 봉합바늘(300)이 볼록하게 형성된 상부접힘편(231)의 판면과 접촉되며 상부안내공(231a)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하부안내공(233a)으로 삽입된 봉합바늘(300)이 직선궤적이 아니라 사선궤적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안내공(231a)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10)를 통한 동작과정을 도5 내지 도12를 참조로 설명한다.
트로카(100)와 투침(미도시)을 수술부위로 가압하면 투침(미도시)에 의해 수술부위가 관통되고 트로카(100)와 바늘 안내관(2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부위 내부로 삽입된다.
트로카(100)는 안내돌기(121)가 삽입관(210)의 진입가이드홈(213)과 수용관(220)의 이동가이드홈(221)을 따라 이동하여 바늘 안내관(200)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헤드(110)의 아랫부분이 바늘 안내관(200)의 상부영역과 접촉된 상태이고, 봉합바늘(300)은 투관(120)의 판면에 접촉된 상태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21a)을 따라 하강한 트로카(100)를 회동시키면 회동홈(221b)의 경로를 따라 트로카(100)는 수용관(220) 내부를 회동하면서 아래로 이동한다. 트로카(100)의 회동에 따라 트로카(1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봉합바늘(300)은 바늘노출공(223)의 측벽에 부딪치면서 기립되게 된다.
또한, 이 때 트로카(10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투관(120)을 가압하여 바늘안내부(230)의 상부접힘편(231)과 하부접힘편(233)이 접혀지게 된다.
삽입관(2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투관(120)을 도8과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점점 이동시키면 봉합바늘(300)은 복벽(C)을 관통하여 바늘노출공(223)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 때,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바늘(300)의 끝부분은 하부접힘편(233)의 하부안내공(233a)으로 삽입되면서 하부안내공(233a)을 관통하여 이동하여 상부접힘편(231)의 깔떼기 형상에 의해 상부안내공(231a)으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봉합바늘(300)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부안내공(233a)과 상부안내공(231a)이 배치된 사선방향으로 이동한다.
봉합바늘(300)은 수직으로 복벽(C)을 관통하고 이후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되고, 시술자는 봉합바늘(300) 끝부분을 핀셋 등의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분리한다. 이에 의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봉합바늘(300)과 봉합바늘(300)에 연결된 봉합사(400)가 외부로 노출되면 시술자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카를 제거한 후 양측의 봉합사(400)를 묶어 매듭을 형성하여 수술부위를 봉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를 사용하면 바늘 안내관이 봉합바늘의 이동궤적을 안내하여 트로카가 체외로 이동될 때 봉합바늘이 복벽을 관통하도록 한다. 즉이에 시술자는 종래와 같이 봉합바늘을 직접 핸들링하여 복벽을 관통시키지 않고 바늘 안내관과 트로카의 이동에 따라 복벽 외부로 노출된 봉합바늘을 체외로 분리한 후 매듭을 형성하여 봉합만 하면 되므로 봉합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트로카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트로카 조립체 100 : 트로카
110 : 헤드 111 : 삽입구
115 : 가스공급구 120 : 투관
121 : 안내돌기 123 : 바늘지지편
124 : 지지돌기 200 : 바늘 안내관
210 : 삽입관 211 : 삽입개구
213 : 진입가이드홈 220 : 수용관
221 : 이동가이드홈 221a : 삽입홈
221b : 회동홈 221c : 분리홈
223 : 바늘노출공 230 : 바늘안내부
231 : 상부접힙편 231a : 상부안내공
233 : 하부접힘편 233b : 하부안내공
300 : 봉합바늘 400 : 봉합사

Claims (5)

  1. 복강경용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트로카 조립체에 있어서,
    수술부위에 삽입되며 봉합사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봉합바늘을 갖는 투관과;
    상기 투관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봉합바늘이 상기 수술부위의 복벽만을 관통하도록 상기 봉합바늘을 이동시키는 바늘 안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안내관은,
    상기 투관이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투관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봉합바늘을 수술부위 측으로 노출시키는 바늘노출공이 형성된 수용관과;
    상기 삽입관과 상기 수용관을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투관의 아래방향으로의 회전가압에 의해 상호 절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늘노출공을 통해 노출된 봉합바늘이 관통되는 상부안내공과 하부안내공이 각각 형성된 상부접힘편과 하부접힘편을 갖는 바늘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관의 외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삽입안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에는 상기 삽입안내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투관을 상기 수용관으로 안내하는 진입가이드홈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에는 상기 진입가이드홈과 연속되게 구비되어 상기 투관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홈은 상기 투관을 아랫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의 단부영역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관을 윗방향으로 안내하는 분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힘편은 판면이 중심영역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부안내공을 경유한 봉합바늘을 상부안내공으로 안내하는 깔데기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내공은 접혔을 때 상기 하부안내공 보다 수술부위에 가깝게 구비되어 상부안내공을 관통한 봉합바늘이 삽입관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1020100034430A 2010-04-14 2010-04-1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KR10101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30A KR101019222B1 (ko) 2010-04-14 2010-04-1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30A KR101019222B1 (ko) 2010-04-14 2010-04-1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222B1 true KR101019222B1 (ko) 2011-03-04

Family

ID=4393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30A KR101019222B1 (ko) 2010-04-14 2010-04-14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2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572B1 (ko) * 2018-03-05 2018-10-10 육지형 봉합작업이 편리한 트로카
KR101909440B1 (ko) * 2018-02-05 2018-10-18 (주)써지코어 트로카를 이용한 복강경 포트 사이트 봉합 장치
KR20190017382A (ko) * 2017-08-11 2019-02-20 김기성 봉합기능을 갖는 복강경 수술용 투관침
KR20190126532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에이오스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WO2020171303A1 (ko) * 2019-02-21 2020-08-27 (주) 이롭 최소 침습 수술용 투관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0338A (en) 1993-10-08 1995-11-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US5860991A (en) * 1992-12-10 1999-01-19 Perclose, Inc. Method for the percutaneous suturing of a vascular puncture site
US6113610A (en) * 1995-06-07 2000-09-05 Medtronic, Inc. Device and method for suturing wound
JP2002336264A (ja) 2001-05-04 2002-11-26 Francis Navarro 患者の腹壁に設けた孔を皮下縫合により塞ぐことができる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991A (en) * 1992-12-10 1999-01-19 Perclose, Inc. Method for the percutaneous suturing of a vascular puncture site
US5470338A (en) 1993-10-08 1995-11-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US6113610A (en) * 1995-06-07 2000-09-05 Medtronic, Inc. Device and method for suturing wound
JP2002336264A (ja) 2001-05-04 2002-11-26 Francis Navarro 患者の腹壁に設けた孔を皮下縫合により塞ぐことができる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82A (ko) * 2017-08-11 2019-02-20 김기성 봉합기능을 갖는 복강경 수술용 투관침
KR102026748B1 (ko) 2017-08-11 2019-09-30 김기성 봉합기능을 갖는 복강경 수술용 투관침
KR101909440B1 (ko) * 2018-02-05 2018-10-18 (주)써지코어 트로카를 이용한 복강경 포트 사이트 봉합 장치
KR101905572B1 (ko) * 2018-03-05 2018-10-10 육지형 봉합작업이 편리한 트로카
KR20190126532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에이오스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WO2020171303A1 (ko) * 2019-02-21 2020-08-27 (주) 이롭 최소 침습 수술용 투관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104B2 (en)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KR101019222B1 (ko)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
KR101919211B1 (ko) 복강경 근막 폐쇄 시스템
CN101193598A (zh) 外科手术闭合器具和方法
CN100522079C (zh) 用于肥胖症治疗的设备和方法
CN100574715C (zh) 用于肥胖症治疗的设备
US5403328A (en)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turing body tissue
JP5298023B2 (ja) 医療用器具
CN110799103B (zh) 具有横向针孔口的套管针闭塞器
KR101268705B1 (ko) 복강경 트로카
US20040068273A1 (en) Automatic laparoscopic incision closing apparatus
US20070112362A1 (en) Perforation suturing method
CN105848592B (zh) 用于腹腔镜穿刺口部位闭合装置的外科缝合线
EP0957776A1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and method
US20070167676A1 (en) Overtube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using the same
JP2005518862A (ja) 穿刺部位閉鎖装置関連出願及び優先権主張本出願は2002年3月1日に出願された発明の名称”LaparoscopicPortSiteFascialClosureDevice”の同時係属米国出願番号第10/086,318号に対して優先権を主張し、その全体が参照により組み込まれるものである。
US20170079639A1 (en)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CN113520542B (zh) 具有筋膜闭合功能的腹腔镜穿刺器
CN105962979A (zh) 一种微创筋膜闭合器
CN104434238A (zh) 一种腹腔镜线结推送缝合装置
US69025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hollow organs and/or sealing wall defects in hollow organs
CN105748121A (zh) 腔镜戳孔缝合器
KR101176324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장치
CN203789968U (zh) 一种筋膜缝合器及其定位装置
EP2836146B1 (en) Dual channel surgical device for abdomen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