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705B1 - 복강경 트로카 - Google Patents

복강경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705B1
KR101268705B1 KR1020120095411A KR20120095411A KR101268705B1 KR 101268705 B1 KR101268705 B1 KR 101268705B1 KR 1020120095411 A KR1020120095411 A KR 1020120095411A KR 20120095411 A KR20120095411 A KR 20120095411A KR 101268705 B1 KR101268705 B1 KR 10126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otrusion
trocar
fluid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상
Original Assignee
한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상 filed Critical 한희상
Priority to KR102012009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측에 투관부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이 조립 연결되어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트로카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측을 통하여 도구가 수용되고 내측에 유동공간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유동공간에 설치되어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조립홈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는,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환형의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원추형 탄성부재와, 상기 유동체를 둘러싸도록 외측에 연결 설치되고 환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체의 유동을 가능케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복강경 트로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켜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수술 도구 이동시 유동부의 탄성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취입 기체의 유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편리하며, 투관부와의 일체형 구조 및 상·하부 하우징의 회전락 잠금 구조로 인하여 수술 도중에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됨은 물론, 상·하부 하우징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고, 투관부 상측에 씰링부를 형성하여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의 적출물을 제거할 때도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트로카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인체의 조직 손상을 줄이고, 수술 도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강경 트로카{TROCAR FOR LAPAROSCOPE}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내삽된 투침으로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복강경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배를 개복하여 수술하는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최근에는 트로카(trocar)라는 수술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1개 또는 여러 개 내고, 트로카를 통한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를 복강 내의 수술 부위에 진입시킨 다음, 이를 관찰하면서 시행하는 수술 방법인 복강경 내시경 수술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강경 내시경 수술 방법은 피부의 절개 부분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환자를 빠르게 회복시키며, 감염의 위험성과 흉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담낭 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출수 돌기 절제술을 비롯하여 일반 외과 수술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로카는 트로카 하우징(H)과, 상기 트로카 하우징(H)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삽입관(T)과, 상기 트로카 하우징(H) 및 삽입관(T)의 내부를 관통하여 복부를 절개시키는 절개봉(S)으로 구성되고, 이때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밸브를 통하여 환자의 복부에 기체를 투입하여 기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절개봉을 조작하여 복부에 밀착 가압시켜 주면 절개봉의 칼날이 피부 조직층을 뚫고 지나가게 되면서 천공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천공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T)이 절개된 복벽에 밀착된 상태로 내부로 진입하여 수술을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되면, 트로카 하우징(H)으로부터 상기 절개봉(S)을 역으로 빼내고 필요로 하는 수술 도구를 투입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로카를 이용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수술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각 수술 도구의 직경에 일치되는 별도의 헤드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교체해야 하므로 수술 과정이 불편하고 수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키거나 수술 중에 수술 도구가 트로카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수술 도구와 트로카가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여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수술 도구를 움직일 경우에는 트로카 내부의 틈새가 벌어져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 현상이 더욱 현저히 발생하고, 수술이 불편함 문제가 있다.
더불어,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 적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립된 트로카 하우징을 분리하는 경우, 취입 기체가 새어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과 분리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트로카의 삽입관(T)이 절개봉(S)에 의해 형성된 천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관(T)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로 인하여 피부의 조직이 손상될 수 있고, 수술 중에는 트로카가 복부에서 빠지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켜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수술 도구 이동시 유동부의 탄성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취입 기체의 유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편리한 복강경 트로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을 투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하부 하우징을 회전락 잠금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하우징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 씰링부를 형성하여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 적출물을 제거할 때에 발생하던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트로카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인체의 조직 손상을 최대한 줄이며, 수술 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측에 투관부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이 조립 연결되어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측을 통하여 도구가 수용되고 내측에 유동공간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유동공간에 설치되어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조립홈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는,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환형의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원추형 탄성부재와, 상기 유동체를 둘러싸도록 외측에 연결 설치되고 환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체의 유동을 가능케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복강경 트로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지고, 경도(타입 A)가 35 내지 40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유동체는 하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부 유동체와, 상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하부 유동체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유동체와 하부 유동체의 사이에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벨로우즈는 실리콘 재질이고, 환형의 산과 골을 이루어 환형의 주름을 형성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의 하측에 외측으로 단턱져 형성되어 수용된 도구가 회동하는 회동로와, 도구의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의 외측에 요입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회동로 상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도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측에 투관부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이 조립 연결되어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측을 통하여 도구가 수용되고 내측에 유동공간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유동공간에 설치되어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조립홈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환형의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벽이 투관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조립돌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홈부와, 상기 내벽의 상단에 안착 설치되어 도구의 인·출입에 따라 개폐되는 씰링부와, 외부 기체의 상기 하부 몸체로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부와, 상기 하부 몸체와 연통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투관부를 포함하는 복강경 트로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는 양측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조립돌부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의 내측돌기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조립핀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홈부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기의 외측에 끼움 연결되는 환형의 외측돌기와,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핀과 조립 연결되는 조립홈과,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벽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홀과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홈의 주변에 조립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 화살표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조립핀은 단부에 조립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홈은 내측으로 돌출된 단속턱을 구비하되, 상기 조립핀이 상기 조립홈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켜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단속턱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씰링부는,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내벽 상단에 안착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서 하측 중앙을 향해 만곡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도구의 유출·입에 따라 한쌍이 서로 접촉 또는 개방된 씰링편과, 상기 씰링편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씰링편의 개폐를 한정하는 개폐립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씰링편은 상측에 도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관부는 하단에 사선으로 절개된 팁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추가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길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도구는 투침이고, 상기 투침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벽면에 복수 개의 에어홀이 형성되며, 선단이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켜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수술 도구 이동시 유동부의 탄성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취입 기체의 유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을 투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하부 하우징을 회전락 잠금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하우징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 씰링부를 형성하여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 적출물을 제거할 때에 발생하던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트로카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인체의 조직 손상을 최대한 줄이며, 수술 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로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유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수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조립돌부와 조립홈부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일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조립돌부와 조립홈부의 회전 전과 회전 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의 투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자는 종래의 복강경 트로카가 각 수술 도구의 직경에 일치되는 별도의 헤드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교체해야 하므로 수술 과정이 불편함은 물론 수술 시간이 지연되고, 수술 도구와 트로카가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여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수술 중에 수술 도구 작동시 트로카 내부의 틈새가 벌어져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 현상이 더욱 현저히 발생하고,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 적출물을 제거시 조립된 트로카 하우징을 분리하는 경우 취입 기체가 새어나가고 그 조립과 분리가 번거로우며, 삽입관의 삽입 과정에서 피부 조직이 손상되거나 수술 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빠질 수 있는 문제들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켜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수술 도구 이동시 유동부의 탄성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취입 기체의 유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편리하며, 투관부와의 일체형 구조 및 상·하부 하우징의 회전락 잠금 구조로 인하여 수술 도중에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됨은 물론, 상·하부 하우징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고, 투관부 상측에 씰링부를 형성하여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의 적출물을 제거할 때도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인체의 조직 손상을 줄이고, 수술 도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강경 트로카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1)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측에 투관부(250)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200)이 조립 연결되어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트로카이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00)은 상부 몸체(110), 유동부(120), 조립돌부(130) 및 수용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110)는 상측 중앙에 형성된 수용공(113)을 통하여 여러 가지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가 수용되어 인·출입시켜 사용되고, 내측에 유동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부(120)는 상기 상부 몸체(110)의 상측에 구비된 유동공간(111)에 설치되어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동공간(111) 내에서 유동한다.
이때, 상기 유동부(120)는 수용된 수술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환형의 유동체(121)와, 상기 유동체(121)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앙에 수술 도구가 밀착 삽입되는 삽입공(122a)이 형성된 원추형 탄성부재(122)와, 상기 유동체(121)를 둘러싸도록 외측에 연결 설치되고, 환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체(121)의 유동을 가능케하는 벨로우즈(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체(121)는 상부 유동체(121a)와 하부 유동체(121b)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바, 상기 상부 유동체(121a)는 하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121a-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동체(121b)는 상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121b-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유동체(121a)와 하부 유동체(121b)의 사이에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122b)이 관통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122)가 함께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122)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지고, 경도(타입 A)가 3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탄성부재(122)의 경도가 35 미만인 경우 수술 도구의 반복된 인·출입 사용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22)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상기 탄성부재(122)의 경도가 40을 초과하는 경우 압축률이 떨어질 수 있어 적절한 씰링 특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22)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키거나 수술 중에 수술 도구가 트로카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수술 도구와 트로카가 긴밀하게 접촉되어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122)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22a)의 크기는 3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삽입공(122a)에 수술 도구가 삽입되어 사용시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과 탄성부재(122)의 팽창을 고려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벨로우즈(123)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환형의 산(123a)과 골(123b)이 반복 형성되어 복수 개의 환형 주름(123c)이 형성되어 수술 중에 수술 도구를 이동시켜 움직일 경우 상기 유동체(121)도 전·후·좌·우를 비롯한 사방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벨로우즈(123)는 상기 유동체(121)의 움직임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수술이 편리해 지고, 복강경 트로카(1) 내부의 틈새가 벌어져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수용공(113)의 하측에 외측으로 단턱져 형성되어 수용된 수술 도구가 회동하는 회동로(141)와, 수술 도구의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113)의 외측에 요입 형성된 결합홈(142)과, 상기 회동로(141) 상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수술 도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턱(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수술 도구를 수용공(113)에 삽입하게 되면 수술 도구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142)에 결합되고, 이때, 결합돌기가 결합홈(142)에 결합된 채로 수술 도구를 상기 회동로(141)를 따라 상기 제한턱(143)에 걸릴 때까지 회동시켜 수술 도구의 삽입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물론, 수술 도구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술 도구의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142)에 위치될 때까지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후에 수술 도구를 상기 수용공(11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하부 몸체(210), 씰링부(220), 조립홈부(230), 유입부(240) 및 투관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210)는 투관부(2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될 수 있고, 환형의 내벽(211)과 외벽(2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211)은 상기 외벽(212)보다 높이가 낮고, 상기 내벽(211)은 투관부(2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210)의 양측에 손잡이(213)가 돌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부(220)는 상기 내벽(211)의 상단에 안착 설치되어 수술 도구의 인·출입에 따라 개폐되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내벽(211)의 상단에 안착 설치되는 플랜지(221)와, 상기 플랜지(221)의 양측에서 하측 중앙을 향해 만곡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수술 도구의 인·출입에 따라 한쌍이 서로 접촉 또는 개방되는 씰링편(222)과, 상기 씰링편(222)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씰링편(222)의 개폐를 한정하는 개폐립(2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의 탄성부재(122)와 더불어 하부 하우징(200)의 내측에 씰링부(220)가 구비되어 상·하 이중 씰링 구조를 형성하여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 적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립된 상·하부 하우징(100,200)을 서로 분리할 때에 발생하던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씰링편(222)은 상측에 수술 도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22a)가 형성되어 삽입된 수술 도구가 상기 씰링편(222)에 밀착 되게 한다.
상기 유입부(240)는 외부 기체의 상기 하부 몸체(210)로의 유입을 조절하는 바, 이를 위하여 외부 기체가 상기 하부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241)가 상기 하부 몸체(210) 내벽(211)에 형성된 연통공(미도시)과 연통되도록 연결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241) 상에는 코크밸브(242)가 설치되어 외부 기체의 유·출입을 단속한다.
상기 투관부(250)는 상기 하부 몸체(210)와 연통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에 사선으로 절개된 팁(251)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이탈방지돌기(252)가 형성된다.
이때, 도 3의 일부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돌기(252)는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투침시 인체의 조직 손상을 최대한 줄이며, 수술 중에 복강경 트로카(1)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돌부(130)는 상기 상부 몸체(110)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공간(112)에 장착되고, 상기 조립홈부(230)는 상기 하부 몸체(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00)의 조립돌부(130)와 끼워진후 회동하여 견고히 조립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립돌부(13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의 내측돌기(131)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조립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홈부(23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기(131)의 외측에 끼움 연결되는 환형의 외측돌기(231)와,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핀(132)과 조립 연결되는 조립홈(232)과, 측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벽(212)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홀(212a)과 연결되는 연결돌기(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조립홈(232)의 주변에 상기 조립돌부(130)의 조립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 화살표(233)가 형성되어 상·하부 하우징(100,200)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핀(132)은 단부에 조립단(132b)이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돌기(132a)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홈(232)은 내측으로 돌출된 단속턱(232a)을 구비하되, 상기 조립핀(132)이 상기 조립홈(232)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하우징(100)을 회전시켜 상기 조립돌기(132a)가 상기 단속턱(232a)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200)이 상기 투관부(2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하우징(100,200)을 회전락 잠금 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부 하우징(100,200)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강경 수술을 위하여 투침(300)이 상기 상·하부 하우징(100,200)의 내부를 관통하여 복부를 절개시키는 바, 상단의 헤드부(310), 내부가 중공된 관으로 이루어진 관부(320) 및 하단에 원추형으로 날카롭게 형성된 팁부(3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부(310)는 사용자의 투침(300) 파지를 위하여 양측면에 파지돌기(311)가 형성되고, 다른 면의 양측에는 파지공간(31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관부(320)의 관벽에는 다수의 에어홀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투침(300)이 복강경 트로카(1)의 상·하부 하우징(100,200)과 결합시 상기 투관부(250) 내부에 기체에 의한 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해 준다.
그리고, 상기 팁부(330)가 완전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투관시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환자의 복부에 기체를 투입하여 기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투침(300)을 조작하여 복부에 밀착 가압시켜 주면 상기 투침(300)의 팁부(330)가 피부 조직층을 뚫고 지나가게 되면서 천공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천공을 통하여 상기 복강경 트로카(1)가 절개된 복벽에 밀착된 상태로 내부로 진입하여 수술을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되면, 복강경 트로카(1)의 상·하부 하우징(100,200)으로부터 상기 투침(300)을 역으로 빼내고 필요로 하는 수술 도구를 투입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트로카(1)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출입시켜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수술 도구 이동시 유동부의 탄성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취입 기체의 유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편리하며, 투관부와의 일체형 구조 및 상·하부 하우징의 회전락 잠금 구조로 인하여 수술 도중에 취입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기복이 유지됨은 물론, 상·하부 하우징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고, 투관부 상측에 씰링부를 형성하여 거즈를 꺼내거나 장기의 적출물을 제거할 때도 취입 기체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인체의 조직 손상을 줄이고, 수술 도중에 트로카가 복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H. 트로카 하우징 T. 삽입관
S. 절개봉
1. 복강경 트로카 100. 상부 하우징
110. 상부 몸체 111. 유동공간
112. 장착공간 113. 수용공
120. 유동부 121. 유동체
121a. 상부 유동체 121a-1. 고정돌기
121b. 하부 유동체 121b-1. 고정홈
122. 탄성부재 122a. 삽입공
122b. 고정홀 123. 벨로우즈
123a. 산 123b. 골
123c. 주름 130. 조립돌부
131. 내측돌기 132. 조립핀
132a. 조립돌기 132b. 조립단
140. 수용부 141. 회동로
142. 결합홈 143. 제한턱
200. 하부 하우징 210. 하부 몸체
211. 내벽 212. 외벽 212a. 연결홀
213. 손잡이 220. 씰링부
221. 플랜지 222. 씰링편
222a. 가이드돌기 223. 개폐립
230. 조립홈부 231. 외측돌기
232. 조립홈 232a. 단속턱
233. 지시 화살표 234. 연결돌기
240. 유입부 241. 유입로
242. 코크밸브 250. 투관부
251. 팁 252. 이탈방지돌기
300. 투침 310. 헤드부
311. 파지돌기 312. 파지공간
320. 관부 321. 에어홀
322. 결합돌기 330. 팁부

Claims (15)

  1. 상부 하우징과, 하측에 투관부가 구비된 하부 하우징이 조립 연결되어 환자의 배를 개복하지 아니하고 구멍을 내어 복강경 수술을 하는데 사용되는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측을 통하여 도구가 수용되고 내측에 유동공간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유동공간에 설치되어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조립홈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환형의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벽이 투관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조립돌부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홈부와, 상기 내벽의 상단에 안착 설치되어 도구의 인·출입에 따라 개폐되는 씰링부와, 외부 기체의 상기 하부 몸체로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부와, 상기 하부 몸체와 연통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투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조립돌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의 내측돌기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조립핀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홈부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기의 외측에 끼움 연결되는 환형의 외측돌기와,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핀과 조립 연결되는 조립홈과,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벽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홀과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조립핀은 단부에 조립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조립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홈은 내측으로 돌출된 단속턱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핀이 상기 조립홈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켜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단속턱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조립홈의 주변에 조립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 화살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상측 중앙에 형성된 수용공의 하측에 외측으로 단턱져 형성되어 수용된 도구가 회동하는 회동로와, 도구의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의 외측에 요입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회동로 상에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도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투관부는 하단에 사선으로 절개된 팁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내벽 상단에 안착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서 하측 중앙을 향해 만곡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도구의 인·출입에 따라 한쌍이 서로 접촉 또는 개방된 씰링편과, 상기 씰링편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씰링편의 개폐를 한정하는 개폐립을 포함하는 복강경 트로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편은 상측에 도구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윗변이 아랫변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수용된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는 환형의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원추형 탄성부재와, 상기 유동체를 둘러싸도록 외측에 연결 설치되고 환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체의 유동을 가능케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복강경 트로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지고, 경도(타입 A)가 35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하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부 유동체와, 상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하부 유동체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유동체와 하부 유동체의 사이에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실리콘 재질이고, 환형의 산과 골을 이루어 환형의 주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트로카.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95411A 2012-08-30 2012-08-30 복강경 트로카 KR10126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11A KR101268705B1 (ko) 2012-08-30 2012-08-30 복강경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11A KR101268705B1 (ko) 2012-08-30 2012-08-30 복강경 트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705B1 true KR101268705B1 (ko) 2013-05-28

Family

ID=4866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411A KR101268705B1 (ko) 2012-08-30 2012-08-30 복강경 트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705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678A (ko) 2014-11-28 2016-06-08 (주)지 메디 복강경 트로카
CN108771560A (zh) * 2018-06-29 2018-11-09 广东弘和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腹腔镜用穿刺器
KR20190030290A (ko) 2017-09-14 2019-03-22 (주)에이치엔써지컬 끝 부분 당김 방지 구조의 트로카
KR102050881B1 (ko) 2019-07-08 2019-12-02 주식회사 레고켐제약 취급 구조가 개선된 트로카
KR2020002273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바텍 포터블 엑스선 발생장치 및 포터블 엑스선 발생장치용 암 어셈블리
KR20200031270A (ko) * 2018-09-14 2020-03-24 (주)미래컴퍼니 수술용 트로카
KR20200051941A (ko) 2018-11-06 2020-05-14 (주)에이치엔테크 압력 형성 홀을 가진 의료용 트로카
KR20200066804A (ko) 2018-12-03 2020-06-11 라파코리아(주) 기밀 성능이 향상된 트로카
KR20200068199A (ko) 2018-12-05 2020-06-15 남병욱 클리닝 기능을 가진 트로카
KR20210088319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도구 유동성 향상 구조의 트로카
KR20210135711A (ko) 2020-05-06 2021-11-16 박진서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20210142232A (ko) 2020-05-18 2021-11-25 박진서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KR20210145336A (ko) 2020-05-25 2021-12-02 박진서 기체 유입 조절 안정성이 향상된 트로카
KR20220116840A (ko) 2021-02-16 2022-08-23 (주)나노맥 필터 내장형 트로카
KR20230016789A (ko) 2021-07-27 2023-02-03 엑세스(주) 의료 도구용 밀폐 물품
KR20230115740A (ko) 2022-01-27 2023-08-03 남병욱 의료 기기용 실링 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569A1 (en) * 2010-07-08 2012-01-12 Parihar Shailendra K Access device with twist locking removable cap
KR101151310B1 (ko) * 2011-09-30 2012-06-14 이레에스아이(주) 복강경 투관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569A1 (en) * 2010-07-08 2012-01-12 Parihar Shailendra K Access device with twist locking removable cap
KR101151310B1 (ko) * 2011-09-30 2012-06-14 이레에스아이(주) 복강경 투관침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678A (ko) 2014-11-28 2016-06-08 (주)지 메디 복강경 트로카
KR20190030290A (ko) 2017-09-14 2019-03-22 (주)에이치엔써지컬 끝 부분 당김 방지 구조의 트로카
CN108771560A (zh) * 2018-06-29 2018-11-09 广东弘和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腹腔镜用穿刺器
KR102207380B1 (ko) * 2018-08-23 2021-01-26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발생장치
KR20200022733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바텍 포터블 엑스선 발생장치 및 포터블 엑스선 발생장치용 암 어셈블리
KR20200031270A (ko) * 2018-09-14 2020-03-24 (주)미래컴퍼니 수술용 트로카
KR102161142B1 (ko) * 2018-09-14 2020-09-29 (주)미래컴퍼니 수술용 트로카
KR20200051941A (ko) 2018-11-06 2020-05-14 (주)에이치엔테크 압력 형성 홀을 가진 의료용 트로카
KR20200066804A (ko) 2018-12-03 2020-06-11 라파코리아(주) 기밀 성능이 향상된 트로카
KR20200068199A (ko) 2018-12-05 2020-06-15 남병욱 클리닝 기능을 가진 트로카
KR102050881B1 (ko) 2019-07-08 2019-12-02 주식회사 레고켐제약 취급 구조가 개선된 트로카
KR20220044689A (ko) 2020-01-06 2022-04-11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도구 유동성 향상 구조의 트로카
KR20210088319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도구 유동성 향상 구조의 트로카
KR20240013716A (ko) 2020-01-06 2024-01-30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도구 유동성 향상 구조의 트로카
KR20210135711A (ko) 2020-05-06 2021-11-16 박진서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102474776B1 (ko) * 2020-05-06 2022-12-06 엑세스(주)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20210142232A (ko) 2020-05-18 2021-11-25 박진서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KR20210145336A (ko) 2020-05-25 2021-12-02 박진서 기체 유입 조절 안정성이 향상된 트로카
KR20220116840A (ko) 2021-02-16 2022-08-23 (주)나노맥 필터 내장형 트로카
KR20230016789A (ko) 2021-07-27 2023-02-03 엑세스(주) 의료 도구용 밀폐 물품
KR20230115740A (ko) 2022-01-27 2023-08-03 남병욱 의료 기기용 실링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05B1 (ko) 복강경 트로카
US9636104B2 (en)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US835708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JP5242581B2 (ja) 後退誘発ヒンジを備えるトロカールシール
US8652105B2 (en) Endoluminal access device
EP2851020B1 (en) Insufflating access system
KR100909672B1 (ko) 착탈 가능한 실링부재를 갖는 멀티채널 트로카
US20100280368A1 (en) Trocar tube, Trocar, Obturator and/or Rectoscope for th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Via Natural Body Orifices
JPH0263471A (ja) 器具ポートを有するガス吹き込みニードル
US9795409B2 (en) Trocar device and use thereof
WO1996039958A1 (en) Cannula assembly with squeeze operated valve
US10420585B2 (en)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KR20190052209A (ko)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싱글포트
KR100899445B1 (ko) 내시경 수술용 적출물 인출구
EP4103081A1 (en) Obturator for cannula with internal features
JP2024501431A (ja) 煙排出ハウジングを有するカニューレ
JP2010518901A (ja) シールを有する可撓性カニューレ
KR100960436B1 (ko) 내시경 수술용 장기 지지홀더
JP5982497B2 (ja) 腹腔鏡検査用シールブリッジ
JP4832763B2 (ja) アクセス用医療装置および医療処置実行方法
CN109820577B (zh) 一种组合式穿刺器
US10413322B2 (en) Assembling surgical access device
KR101066770B1 (ko) 수술도구 가이더포트용 가스배출밸브
KR20230063566A (ko) 운드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싱글 포트
US20230248387A1 (en) Surgical Implement for Piercing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