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11A -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 Google Patents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11A
KR20210135711A KR1020200053689A KR20200053689A KR20210135711A KR 20210135711 A KR20210135711 A KR 20210135711A KR 1020200053689 A KR1020200053689 A KR 1020200053689A KR 20200053689 A KR20200053689 A KR 20200053689A KR 20210135711 A KR20210135711 A KR 2021013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pair
extension
sealing article
line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776B1 (ko
Inventor
박진서
Original Assignee
박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서 filed Critical 박진서
Priority to KR102020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7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61B2017/3441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with dist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2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used with other surgical instruments, e.g. endoscope, tro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7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comprising means actively pressing on the device passing through the seal, e.g. inflatable seals, diaphragms,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에 관한 것이다.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에서 한쪽 끝 가장자리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각각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연장 돌기(14a, 14b); 및 조절 연장 돌기(14a, 14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의 안쪽 면에 각각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15a, 15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An Article for a Surgery Device}
본 발명은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도구의 내부에 고정되어 수술 과정에서 수술 도구에 형성된 유동 경로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복부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부위의 수술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인체 내부로 주입될 수 있고, 수술 도구가 인체 외부로부터 인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인체 내부로 트로카 또는 가이드 포트와 같은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수술 도구가 인체 내부로 주입되면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인체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번호 10-2014-0097814는 복강경 수술용 기구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는 트로카 조립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268705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술 도구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탄성 부재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면서 기체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강경 트로카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실시 예와 같은 수술 도구에서 인체 내부로부터 기체 또는 냄새 성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 수술 과정의 불편을 초래하면서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체 주입 통로 또는 수술 도구 투입 경로에 적절한 밀폐 수단 또는 실링 수단이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기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4-0097814(주식회사 세종메디칼, 2014년08월07일 공개) 트로카 조립체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1268705(한희상, 2013년05월28일 공고) 복강경 트로카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주입 또는 수술 투입 경로에 설치되어 기체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에서 한쪽 끝 가장자리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 몸체; 한 쌍의 유도 몸체 각각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연장 돌기; 및 조절 연장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유도 몸체의 안쪽 면에 각각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연장 돌기는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형상 유지 돌기는 서로 다른 유도 몸체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은 다양한 수술 도구의 기체 주입 또는 수술 투입 경로에 설치되어 인체 내부로부터 냄새를 포함하는 가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은 예를 들어 트로카와 같은 수술 도구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의 외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의 내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10)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에서 한쪽 끝 가장자리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각각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연장 돌기(14a, 14b); 및 조절 연장 돌기(14a, 14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의 안쪽 면에 각각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15a, 15b)를 포함한다.
실링 물품(10)은 전체적으로 한쪽 면은 열린 구조가 되면서 다른 면은 개폐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를 기준으로 대칭이 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의 위쪽 부분에 실링 물품(10)은 고정 수단에 고정시키는 원형의 고정 테두리(12)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는 안쪽으로 볼록한 렌즈 형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예를 들어 볼록 렌즈의 중간 부분에서 서로 만나는 영역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서로 만나는 영역에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선형 개폐 부위(12)를 형성할 수 있다. 선형 개폐 부위(12)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원형의 고정 테두리(13)의 하나의 직경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형 개폐 부위(12)의 폭의 이등분선을 따라 개폐 가능한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슬릿을 통하여 수술 도구가 인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슬릿은 수술 도구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수술 도구의 투입에 따라 강제적으로 열리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수술 도구가 유도 몸체(11a, 11b)의 내부로 유도되어 선형 개폐 부위(12)를 경유하여 인체 내부로 투입되어 사용된 이후 제거되고, 다른 수술 도구가 선형 개폐 부위(12)를 통하여 인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슬릿은 기체의 누설이 방지되는 밀폐 구조로 회복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원 과정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신속한 복원에 따른 밀폐 기능의 유지를 위하여 조절 연장 돌기(14a, 14b) 및 형상 유지 돌기(15a, 15b)가 유도 몸체(11a, 11b)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의 외부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의 중간 부분을 따라 고정 테두리(13)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선형 개폐 부위(12)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 연장 돌기(14a,14b)는 선형 개폐 부위(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의 안쪽 면에 형상 유지 돌기(15a 내지 15d)가 형성될 수 있다. 형상 유지 돌기(15a 내지 15d)는 조절 연장 돌기(14a, 14b)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에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 각각은 조절 연장 돌기(14a, 14b)와 유도 몸체(11a, 11b)의 안쪽 및 바깥쪽 면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의 분리 간격을 따라 조절 연장 돌기(14a, 14b)가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테두리(13)의 안쪽 테두리를 따라 고정 테두리(13)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밀폐 테두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다) 및 (라)는 각각 실링 물품(10)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는 안쪽 방향으로 볼록한 반 렌즈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유도 몸체(11a, 11b)는 두 개의 반 렌즈 형상의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선형으로 서로 만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유도 몸체(11a.11b)의 양쪽 측면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면 점차로 폭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의 경사 방향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실링 물품(10)이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의 외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실링 물품의 입구는 원형이 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출구는 선형 개폐 부위(12)에 형성된 슬릿 구조가 될 수 있다. 실링 물품은 예를 들어 케뉼라 또는 트로카와 같은 수술 도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술 도구에 실링 물품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실링 물품은 그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실링 물품의 위쪽 부분은 적절한 밀폐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고정 테두리(13)에 서로 마주보도록 원형의 고정 테두리(13)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한 쌍의 스토퍼(21a, 2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테두리(13)와 밀폐 테두리(16) 사이에 실링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밀폐 특성을 향상시키는 경사 벽(22)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물품의 위쪽 부분에 제시된 A-A로 표시된 선을 따른 단면을 참조하면, 스토퍼(21a, 21b)는 고정 테두리(13)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경사 벽(22)은 고정 테두리(13)의 안쪽 부분으로부터 곡면 형상으로 고정 테두리(13)의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 벽(22)의 끝 부분으로부터 분리 간격을 두고 밀폐 테두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아래쪽 부분은 실링 물품의 뒤쪽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의 바깥쪽 면에 조절 연장 돌기(14a,14b)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도 몸체(11a, 11b)에 일정한 폭으로 고정 테두리(13)로부터 선형 개폐 유닛(1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형 개폐 유닛(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개폐 슬릿(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테두리(13)와 유도 몸체(11a) 사이에 분리 홈(23)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 홈(23)의 끝 부분으로 조절 연장 돌기(14a, 14b)가 선형 개폐 부위(12)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의 아래쪽 부분에 도시된 B-B 선을 따른 단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연장 방향을 따라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는 여유 부분(141); 복원 부위로부터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변형 제한 부분(142); 및 변형 제한 부분(142)의 끝 부분으로부터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원 부분(1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원 부분(143)의 끝 부분으로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선형 개폐 부위(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 제한 부분(142)은 점차로 돌출 높이가 작아진 이후 가장 큰 돌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형 개폐 부위(12)에 형성된 개폐 슬릿(24a)은 연장 방향을 따라 경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의 내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형상 유지 돌기(15a, 15b)는 서로 다른 유도 몸체(11a, 11b)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다.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는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테두리로부터 선형 개폐 부위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C-C 선을 따른 단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는 시작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한 높이로 선형 개폐 부위(1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에 이등분선을 기준으로 양쪽을 한 쌍의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가 형성되어 각각의 유도 몸체(11a, 11b)가 안정적으로 형상이 유지되면서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을 복원되도록 한다. 형상 유지 돌기(15a, 15b, 15c, 15d)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물품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링 부품(10)은 트로카(41)에 배치될 수 있고, 트로카(41)는 투침 몸체(411) 및 유도 튜브(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침 몸체(411)의 내부에 고정 캡(42)이 결합되고, 고정 캡(41)에 실링 부품(1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 부품(1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덮개(41), 제1, 2 및 3 고정 유닛(44, 45, 46)이 결합될 수 있다. 실링 부품(10)은 다양한 수술 도구에 배치되어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a, 11b: 유도 몸체 12: 선형 개폐 부위
13: 고정 테두리 14a, 14b: 조절 연장 돌기
15a, 15b: 형상 유지 돌기 16: 밀폐 테두리
21a, 21b: 스토퍼 22: 경사 벽
23: 분리 홈

Claims (3)

  1.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에서 한쪽 끝 가장자리가 만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한 쌍의 유도 몸체(11a, 11b) 각각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면서 선형 개폐 부위(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연장 돌기(14a, 14b); 및
    조절 연장 돌기(14a, 14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유도 몸체(11a,11b)의 안쪽 면에 각각 형성된 형상 유지 돌기(15a, 15b)를 포함하는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절 연장 돌기(14a, 14b)는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형상 유지 돌기(15a, 15b)는 서로 다른 유도 몸체(11a, 11b)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1020200053689A 2020-05-06 2020-05-06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10247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89A KR102474776B1 (ko) 2020-05-06 2020-05-06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89A KR102474776B1 (ko) 2020-05-06 2020-05-06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1A true KR20210135711A (ko) 2021-11-16
KR102474776B1 KR102474776B1 (ko) 2022-12-06

Family

ID=7871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89A KR102474776B1 (ko) 2020-05-06 2020-05-06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7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9898A1 (en) * 2009-03-19 2010-09-22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port seal
KR101027728B1 (ko) * 2010-08-13 2011-04-12 (주)다림써지넷 멀티실링
KR101268705B1 (ko) 2012-08-30 2013-05-28 한희상 복강경 트로카
KR20140097814A (ko)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20150144954A (ko) * 2014-06-18 2015-12-29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9898A1 (en) * 2009-03-19 2010-09-22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port seal
KR101027728B1 (ko) * 2010-08-13 2011-04-12 (주)다림써지넷 멀티실링
KR101268705B1 (ko) 2012-08-30 2013-05-28 한희상 복강경 트로카
KR20140097814A (ko)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20150144954A (ko) * 2014-06-18 2015-12-29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776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633A (en) Selectable seal cannula
EP0653222B1 (en) Self sealing flexible elastomeric valve and trocar assembly for incorporating same
US7914496B2 (en) Access assembly with ribbed seal
JP5535904B2 (ja) 流体排出機能を備えたダックビル型シール
US5401248A (en) Seal for trocar assembly
US8152774B2 (en) Valve assembly
US9078697B2 (en) Surgical portal apparatus including movable housing
US20050096605A1 (en) Valve assembly for introducing instruments into body cavities
JPH0698856A (ja) 腹壁鏡カニュール
KR102040079B1 (ko)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CA2632369A1 (en) Access apparatus with shallow zero closure valve
KR101956592B1 (ko) 트로카용 실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트로카
KR101525126B1 (ko) 트로카 조립체
KR20210135711A (ko) 수술 도구용 실링 물품
KR20150105756A (ko) 트로카 조립체
KR20190030290A (ko) 끝 부분 당김 방지 구조의 트로카
KR102210812B1 (ko) 기밀 성능이 향상된 트로카
KR101589634B1 (ko) 트로카용 일자 실리콘 밸브 및 이에 의한 슬리브
KR20230016789A (ko) 의료 도구용 밀폐 물품
KR102050881B1 (ko) 취급 구조가 개선된 트로카
KR20200051941A (ko) 압력 형성 홀을 가진 의료용 트로카
KR102457737B1 (ko)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KR20230115740A (ko) 의료 기기용 실링 패드
KR20190136356A (ko) 분리 구조의 의료용 가이드 포트
AU2011200661A1 (en) Seal assembly for use with an acc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