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079B1 -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079B1
KR101018079B1 KR1020080036987A KR20080036987A KR101018079B1 KR 101018079 B1 KR101018079 B1 KR 101018079B1 KR 1020080036987 A KR1020080036987 A KR 1020080036987A KR 20080036987 A KR20080036987 A KR 20080036987A KR 101018079 B1 KR101018079 B1 KR 10101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anthocyanin
polypeptide
polynucleotide
trans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404A (ko
Inventor
최양애
이동희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08003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0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2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by biological means, e.g. cell mediated or natural vector
    • C12N15/8205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4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involving biosynthetic or metabolic pathways, i.e. metabolic engineering, e.g. nicotine, caffeine
    • C12N15/825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involving biosynthetic or metabolic pathways, i.e. metabolic engineering, e.g. nicotine, caffeine involving pigment biosynth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과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선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안토시아닌, 유전자, 과발현, 선별방법

Description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Polypeptide and Polynucleotide Having a Func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안토시아닌은 수용성 색소 배당체(glucoside)로서 식물체의 꽃, 과실, 줄기, 잎, 뿌리 등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천연 색소이다. 안토시아닌은 통상 식물체의 액포에 존재하며, 세포액의 산성 농도, 색소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 여러 금속이온들과의 결합 상태 등에 의해 자색, 적색, 청색 등의 색상을 나타낸다.
안토시아닌의 생리 활성으로서는 항노화 활성, 항균 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항콜레스테롤 활성, 항궤양 활성, 항산화 활성, 시력 보호 활성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항산화 활성의 경우 천연 항산화제인 토코페롤보다 5∼7배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안토시아닌은 그것의 가지는 여러 생리활성으로 인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염료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안토시아닌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안토시아닌의 신규 생리 활성 규명에 관한 기술이고, 둘째는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분리 및 기능 규명에 관한 기술이며, 셋째는 천연 식물로부터 안토시아닌의 분리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안토시아닌의 신규 생리 활성 규명에 관한 기술로서는, 안토시아닌의 동맥경화 개선 활성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785466호나 안토시아닌의 뇌경색 개선 활성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756656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분리 및 기능 규명에 관한 기술로서는 멜론에서 분리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37150호나 안토시아닌에 방향족 아실기를 전이시켜 안토시아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소의 유전자를 개시하고 있는 국제공개특허 WO 2006/046780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천연 식물로부터 안토시아닌의 분리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는 복분자 박으로부터의 안토시아닌 분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639394호, 식물 종자의 종피로부터의 안토시아닌 분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379021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자로부터 분리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전자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전자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는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의 염기서열((GeneBank accession number: CAB09230; NP176813; AAF66727; AAA82943)을 기초로 하여 제작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감자로부터 cDNA 단편을 얻고, 이 cDNA 단편의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3'RACE PCR과 5'RACE PCR로 3' 미지영역과 5' 미지영역을 결정한 후, 이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제작된 프라이머로 전장의 cDNA 얻었다. 그 다음 cDNA를 애기장대에 형질전환시켰는데, 그 결과 대조군의 애기장대에 비하여 잎, 줄기 및 뿌리 모두에 서 안토시아닌의 생합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는 하기 (a) 및 (b)의 폴리펩티드들 중 하나이다.
(a)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전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b) 상기 (a)의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
본 명세서에서, "상기 (a)의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란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지만,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기능, 즉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여전히 보유하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여기서도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보유하기만 한다면 그러한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활성의 정도나 아미노산이 치환된 정도는 문제되지 않는다. 바꿔 얘기해서,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에 비해 그 활성이 아무리 낮더라도 또 많은 수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폴리펩티드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보유하기만 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되더라도 치환되기 전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아미노산과 화학적으로 등가라면, 그러한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는 여전히 본래의 폴리펩티드의 기능을 보유할 것이다. 예컨대, 소수성 아미노산인 알라닌이 다른 소수성의 아미노산, 예를 들면 글리신, 또는 보다 더 소수성인 아미노산, 예를 들면 발린, 류신 또는 이소류신으로 치환되더라도 그러한 치환된 아미노산(들)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는 활성은 낮더라도 본래의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기능을 여전히 보유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으로 하전된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탐산이 다른 음으로 하전된 아미노산, 예컨대 아스파르산으로 치환되더라도 그러한 치환된 아미노산(들)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도 활성은 낮더라도 본래의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기능을 여전히 보유할 것이며, 또한 양으로 하전된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이 다른 양으로 하전된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으로 치환되더라도 그러한 치환된 아미노산(들)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또한 활성은 낮더라도 본래의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기능을 여전히 보유할 것이다. 또한 폴리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 부분에서 치환된 아미노산(들)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도 본래의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기능을 여전히 보유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그 전술한 바의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면서도,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가지는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여전히 보유하는 폴리펩티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여전히 위 기능을 가지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명세서가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개시하고 있고 또한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가 여부를 확인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a)의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는 당 업자에게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것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상기 (a)의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면서도 여전히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모든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처럼 "상기 (a)의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면서도 여전히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모든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의미이지만, 그럼에도 활성의 정도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는,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서열 상동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 상동성의 하한에 있어서 6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서열 상동성의 상한에 있어서는 당연히 100%의 서열 상동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 서열 상동성은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의 순서대로 높아질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의 폴리펩티드"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지니면서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전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및 위 폴리펩티드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의 바 람직한 양태의 모든 폴리펩티드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아미노산 서열이 밝혀졌을 때, 그러한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하여 그러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생물체 특히 감자(Solanum tubersome)에서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변형된 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모두 포함하며,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의 RNA 또는 DNA의 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그러므로 상기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란 cDNA를 포함하여 뉴클레오티드들을 화학적으로 중합시킨 폴리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나아가 생물체 특히 감자에서서 분리되는 gDNA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가 개시하고 있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 이를 암호화하는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 및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 등에 기초하는 한, cDNA를 포함하여 상기 화학적 합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제조 및 상기 gDNA의 분리 등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은 (I)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전술한 바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식물체로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Ⅱ) 그 형질전환된 식물체 중에서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의 유전자가 애기장대에 도입되었을 애기장대의 줄기, 잎 및 뿌리에서 자색의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안토시아닌의 과발현"이란 안토시아닌의 야생형 식물체에서 발현되는 수준 이상의 발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줄기, 잎 및/또는 뿌리에서의 안토시아닌 발현량이 야생형의 식물의 그것(들)에서의 발현량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식물체"이란 안토시아닌의 생합성 기작을 보유하는 모든 식물, 바람직하게는 애기장대와 동일 내지 유사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기작을 보유하는 모든 식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에는 장미, 소나무, 잣나무, 대나무 등의 분재 식물, 장미,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카네이션, 국화, 백합, 튤립을 포함하는 화훼 식물,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팥, 귀리, 수수, 배추, 무,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당근, 인삼, 담배, 목화,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바나나, 라이그라스, 레드클로버, 오차드그라스, 알파알파, 톨페스큐, 페레니얼라이그라스 등이 포함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식물체"는 성숙한 식물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조직, 식물의 종자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나아가 식물 세포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형질전환"이란 왜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본 발명에서는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함; 이하 같음)가 도입됨에 의한 숙주 식물의 유전자형의 변형을 의미하며, 그 형질전환에 사용된 방법과 상관없이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 식물, 더 정확하게는 숙주 식물의 세포 내로 도입된 것을 의미한다. 숙주 식물 내로 도입된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식물의 게놈 내로 통합되어 유지되거나 통합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한편,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식물을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Methods of Enzymology, Vol. 153, 1987, Wu and Grossman 편집, Academic Press)을 사용할 수 있다.
왜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플라스미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벡터 등의 운반체에 삽입하여 식물을 형질전환시킬 수 있고,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를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Chilton 등, 1977, Cell 11:263:271), 직접 왜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식물 세포 내로 도입시켜 식물을 형질전환시킬 수 있다(Lorz 등, 1985, Mol. Genet. 199:178-182).
일반적으로 식물을 형질전환시킴에 있어 많이 사용되는 것이 왜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이시언스(Agrobacterium tumefaciens)로 유식물체, 종자, 식물세포 등을 감염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Ⅰ)의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a)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및 (b) 이러한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여 형질전환 식물체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Ⅰ)의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이러한 재조합 발현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이러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로 식물체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는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이시언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란 특정한 숙주 세포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핵산 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서열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리더 서열, 인핸서 서열, 프로모터 서열, 오퍼레이터 서열, 전사 개시 서열, 전사종결 서열 등을 포함한다.
프로모터 서열은 유도성 프로모터 서열(inducible promoter sequence)와 구조성 프로모터(constitutive promoter sequence) 모두 사용가능하다. 구조성 프로모터로는 예컨대 CaMV 프로모터, Nos 프로모터 등을 들 수 있고, 유도성 프로모터(유도 인자의 존재로 인하여 그에 연결된 유전자의 발현이 활발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모터)로서는, 예컨대, 구리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효모 메탈로티오네인 프로모터(Mett 등, Proc. Natl. Acad. Sci., U.S.A., 90:4567, 1993), 치환 벤젠설폰아미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In2-1 및 In2-2 프로모터(Hershey 등, Plant Mol. Biol., 17:679, 1991),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조절되는 GRE 조절 서열(Schena 등, Proc. Natl. Acad. Sci., U.S.A., 88:10421, 1991), 에탄올 조절성 프로모터(Caddick 등, Nature Biotech., 16:177, 1998), 리뷸로스 비스-포스페이트 카르복실라제(ssRUBISCO)의 소 서브유니트에서 유래한 광 조절성 프로모터(Coruzzi 등, EMBO J., 3:1671, 1984; Broglie 등, Science, 224:838, 1984), 만노핀 신타제 프로모터(Velten 등, EMBO J., 3:2723, 1984), 노팔린 신타제(NOS) 및 옥토핀 신타제(OCS) 프로모터, 열 충격 프로모터(Gurley 등, Mol. Cell. Biol., 6:559, 1986; Severin 등, Plant Mol. Biol., 15:827, 199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조합 벡터는 선별 마커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커 유전자"란 그러한 마커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 또는 식물 세포의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형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마커 유전자는 항생물질 내성 유전자일 수 있고 제초제 내성 유전자일 수도 있다. 적합한 선별 마커유전자의 예로는 아데노신 데아미나제의 유전자, 디히드로폴레이트 리덕타제의 유전자, 하이그로마이신-B-포스포트랜스퍼라제의 유전자, 티미딘 키나제의 유전자, 크산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의 유전자, 포스핀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 유전자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열번호 10에 개시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발현벡터 pCAMBIA3301 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벡터 pCAMBIA3301-An6를 제작한 다음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이시언스에 형질전환시키고 그 형질 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를 애기장대에 형질전환시켰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고려할 때, 상기 (Ⅰ) 단계는, 서열번호 10에 개시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식물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특히 pCAMBIA3301-An6를 식물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조합 벡터 특히 pCAMBIA3301-An6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를 식물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때이다.
한편, 상기 (Ⅱ) 선별 단계는 (Ⅰ) 단계의 형질전환된 식물체가 자색의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가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거나 (Ⅰ) 단계의 형질전환 시에 선별 마커 유전자가 함께 형질전환될 경우에는 선별 마커 유전자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마커 유전자로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선별 방법은 (Ⅰ) 목적유전자,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전술한 바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Ⅱ)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목적유전자"란 발현시키고자 하는 유전자로서 목적하는 생성물(즉 RNA나 폴리펩티드)을 암호하하는 일정 길이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절단된 형태, 융합된 형태, 태그 된 형태일 수 있으며, cDNA 또는 gDNA일 수 있고, 천연 형태의 생성물을 암호화하는 서열이거나 원하는 돌연변이 형태의 생성물을 암호화하는 서열일 수 있다.
상기 (Ⅰ) 발현벡터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그 발현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이러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로 식물체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선별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자로부터 RNA 추출 및 An6 유전자의 cDNA 단편 클로닝
감자 꽃의 약(anther) 1g으로부터 RNeasy Plant Mini Kit (QUIAGEN, Germany, Cat.No. 742904)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전체 RNA 추 출물에 DNaseI(Takara, Japan, Code No. 2215A)를 처리하여 지노믹 DNA를 제거한 후, RNeasy Plant Mini Kit(QUIAGEN, Germany Cat.No. 742904)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메뉴얼에 따라 RNA를 클린-업(Clean-up)하였다.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블라스트 네트웍 서비스(BLAST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 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의 염기서열(GenBank accession number: CAB09230; NP176813; AAF66727; AAA82943)을 다중정렬 프로그램 (ClustalW: http://www.ebi.ac.uk/Tools/clustalw)으로 정렬 분석하여 서열번호 1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이들 프라이머와 One Step RT-PCR Kit (TaKaRa, Japan, Cat # RR091A)를 사용하여 약 25 ng의 전체 RNA를 RT-PCR 반응시켜 cDAN 단편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기기는 Exicycler Quantitative Thermal Block System(Bioneer, Korea)이고, 반응조건은 42℃에서 15분, 95℃에서 2분 그리고 95℃에서 5초, 50℃에서 15초, 72℃에서 20초 동안의 순환 반응을 35번 반복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cDNA 단편을 pGEM-T 벡터 시스템 (Promega, U.S., Cat # A1380)에 삽입 클로닝한 후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3과 같다.
<실시예 2> An6 유전자의 5' 미지서열과 3' 미지서열의 결정
An6 유전자 전체 서열을 결정하기 위하여 GeneRacer™ Kit(INVITROGEN, USA) 를 이용하여 키트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5' RACE와 3'RACE를 수행하였다.
5'RACE PCR: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cDNA 단편 서열을 기초로 서열번호 4의 역방향 프라이머(GSP1)를 제작하고 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체 RNA를 주형으로 역전사 반응을 시켜 First 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cDNA 단편 서열을 기초로 제작된 서열번호 5의 역방향 프라이머(GSP2; nested primer)와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5'RAC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First Strand c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를 수행하고 얻어진 cDNA 단편을 pGEM-T 벡터 시스템 (Promega, U.S., Cat # A1380)에 삽입 클로닝한 후 5' 미지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3'RACE PCR: 먼저 키트사에 제공된 3'RAC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체 RNA를 주형으로 역전사 반응을 시켜 First 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cDNA 단편 서열을 기초로 서열번호 6의 정방향 프라이머(GSP1)를 제작하고 그 프라이머와 3'RAC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First Strand cDNA를 PCR로 증폭하였다. 다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cDNA 단편 서열을 기초로 제작된 서열번호 7의 정방향 프라이머(GSP2; nested primer)와 3'RAC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cDNA 단편을 PCR로 증폭하고 이렇게 얻어진 cDNA 단편을 pGEM-T 벡터 시스템 (Promega, U.S., Cat # A1380)에 삽입 클로닝한 후 3' 미지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3> An6 유전자 전체 염기서열의 결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5' 영역의 서열과 3' 영역의 서열을 기초로 하여 서열번호 8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9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이들 프라이머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체 RNA를 Superscript III Reverse Tanscriptase (INVITROGEN, USA)로 역전사 반응시켜 얻어진 cDAN를 PCR Kit(Clontech, 639207)를 이용하여 증폭·분리하고 그 결과물을 pGEM-T 벡터 시스템 (Promega, A1380)에 삽입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분리된 cDNA는 전체 798bp 크기의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서열번호 11의 265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798bp 크기의 전사 해독 틀(ORF)을 가지고 있었다. 이 유전자 An6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An6 유전자가 도입된 애기장대 식물 만들기
상기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An6 유전자를 애기장대에 형질전환시켰다.
먼저 서열번호 12로 표시되고 제한효소 NcoI의 서열이 포함된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고 제한효소 BSTEII의 서열이 포함된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An6 cDNA를 PCR Kit (Clontech, 639207)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상기 증폭된 cDNA를 제한효소 NcoIBstEII로 절단하고 pCAMBIA3301 벡터벡터(Caberra, Australia )에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 pCAMBIA3301-An6를 제작하였다.
상기 재조합 벡터 pCAMBIA3301-An6를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여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 Agl1 균주(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 strain)에 도입하고 카나 마이신(kanamycin)이 함유된 배지에서 상기 재조합 벡터 pCAMBIA3301-An6가 도입된 아크로박테리움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이렇게 선발된 아그로박테리움 균주로 4주간 키운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ecotype Columbia)를 플로랄 딥 방법 (Clough et al., Plant J., 16(6):735-743, 1998)으로 형질전환시켰다. 이후 형질전환된 애기장대를 원예용 상토로 옮겨 20℃의 온실에서 생장시켜 종자(T1)를 수확하였다.
상기 수확된 종자를 바스타 제초제에 대하여 용액에 약 30분간 침지시켜 배양함으로써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n6 유전자가 포함되지 아니한 벡터(pCAMBIA3301)만으로 형질전환된 애기장대를 사용하였다.
<도 1>에서 보여지듯이, pCAMBIA3301-An6로 형질전환된 애기장대는 대조군 애기장대에 비하여 현저하게 잎과 줄기 및 뿌리에서 자색을 띠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됨이 관찰되었다(Justin et al., Plant Cell, 12: 2383-2394).
도 1은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유전자가 애기장대에 도입되었을 때 잎, 줄기, 뿌리 등에서 자색의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110> Gyungsangbuk-do <120> Polypeptide and Polynucleotide Having a Func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and Use Thereof <160> 1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1 ctcttaggca accgatggtc ac 22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400> 2 atttgtccac cattgaactc 20 <210> 3 <211> 330 <212> DNA <213> Solanum tuberosum <400> 3 ctcttaggca accgatggtc acttattgct ggtagacttc caggaaggac agctaacgat 60 gtgaaaaact attggaacac taaccttcta aggaagctaa atactagtac taaatttgct 120 cctcaaccac aagaaggaat taatactagt actattgctc ctcaaccaca agaaggaatt 180 aagtatgggc aagccaatgc cataataaga cctcaacctc agaaattcac aagctccatg 240 aagattaatg tctcttggtg caacaacaat agtatggtaa ataatgaaga agcatcgaaa 300 gacaacaacg atatgcaatg gtgggcaaat 330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400> 4 gtgaccacct attgcctaag ag 22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400> 5 cgacatcgat ttaaaccagc tc 22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6 gagctggttt aaatcgatgt cg 22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7 ctcttaggca accgatggtc ac 22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8 atatgacttc acatgccatg atc 23 <210> 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400> 9 gacactaatt aattaattaa gtagattcc 29 <210> 10 <211> 798 <212> DNA <213> Solanum tuberosum <400> 10 atgacttcac atgccatgat catgagtact cctatgatgt gtacattttt gggagtaata 60 aggaaaggct catggactga agaagaagat attcttttga ggaaatgtat tgataagtat 120 ggagaaggaa agtggcatct tgttccaact agagctggat taaacagatg cagaaaaagt 180 tgtagactga ggtggctaaa ttatctaagg ccacatatca agagaggtga ctttgaacca 240 gatgaagtgg atctcatctt gagacttcat aagctcttag gcaaccgatg gtcacttatt 300 gctggtagac ttccaggaag gacagctaac gatgtgaaaa actattggaa cactaacctt 360 ctaaggaagc taaatactag tactaaattt gctcctcaac cacaagaagg aattaatact 420 agtactattg ctcctcaacc acaagaagga attaagtatg ggcaagccaa tgccataata 480 agacctcaac ctcagaaatt cacaagctcc atgaagatta atgtctcttg gtgcaacaac 540 aatagtatgg taaataatga agaagcatcg aaagacaaca acgatatgca atggtgggca 600 aatatactgg aaaactgcaa tgacattgga gaaggagaag ctgaaagaac actaccttca 660 tgtaaggaaa ttaattgcaa tgaaattgat aaagcaccaa gtttgttaca tgagggaggc 720 aactccatgc aacaaggaca aggtgatggt ggttgggatg aatttgctct agatgatata 780 tggaatctac ttaattaa 798 <210> 11 <211> 265 <212> PRT <213> Solanum tuberosum <400> 11 Met Thr Ser His Ala Met Ile Met Ser Thr Pro Met Met Cys Thr Phe 1 5 10 15 Leu Gly Val Ile Arg Lys Gly Ser Trp Thr Glu Glu Glu Asp Ile Leu 20 25 30 Leu Arg Lys Cys Ile Asp Lys Tyr Gly Glu Gly Lys Trp His Leu Val 35 40 45 Pro Thr Arg Ala Gly Leu Asn Arg Cys Arg Lys Ser Cys Arg Leu Arg 50 55 60 Trp Leu Asn Tyr Leu Arg Pro His Ile Lys Arg Gly Asp Phe Glu Pro 65 70 75 80 Asp Glu Val Asp Leu Ile Leu Arg Leu His Lys Leu Leu Gly Asn Arg 85 90 95 Trp Ser Leu Ile Ala Gly Arg Leu Pro Gly Arg Thr Ala Asn Asp Val 100 105 110 Lys Asn Tyr Trp Asn Thr Asn Leu Leu Arg Lys Leu Asn Thr Ser Thr 115 120 125 Lys Phe Ala Pro Gln Pro Gln Glu Gly Ile Asn Thr Ser Thr Ile Ala 130 135 140 Pro Gln Pro Gln Glu Gly Ile Lys Tyr Gly Gln Ala Asn Ala Ile Ile 145 150 155 160 Arg Pro Gln Pro Gln Lys Phe Thr Ser Ser Met Lys Ile Asn Val Ser 165 170 175 Trp Cys Asn Asn Asn Ser Met Val Asn Asn Glu Glu Ala Ser Lys Asp 180 185 190 Asn Asn Asp Met Gln Trp Trp Ala Asn Ile Leu Glu Asn Cys Asn Asp 195 200 205 Ile Gly Glu Gly Glu Ala Glu Arg Thr Leu Pro Ser Cys Lys Glu Ile 210 215 220 Asn Cys Asn Glu Ile Asp Lys Ala Pro Ser Leu Leu His Glu Gly Gly 225 230 235 240 Asn Ser Met Gln Gln Gly Gln Gly Asp Gly Gly Trp Asp Glu Phe Ala 245 250 255 Leu Asp Asp Ile Trp Asn Leu Leu Asn 260 265 <210> 12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12 catgccatgg ccaatgactt cacatgccat gatcaatg 38 <210> 1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400> 13 gggtaacctt aattaagtag attccatata 30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4. 하기 단계 (Ι) 및 단계 (Ⅱ)를 포함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I)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식물체로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Ⅱ) 그 형질전환된 식물체 중에서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단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a)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및
    (b) 이러한 재조합 벡터를 식물체에 도입하여 형질전환 식물체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a)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작하는 단계,
    (b) 이러한 재조합 발현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이러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박테리아로 식물체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Ⅰ) 형질전환시키는 단계는,
    (a) 서열번호 10에 개시된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pCAMBIA3301-An6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를 식물체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Ⅱ) 선별 단계는 상기 (Ⅰ) 단계의 형질전환된 식물체가 자색의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가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9. 하기 단계 (Ι) 및 단계 (Ⅱ)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선별 방법
    (Ⅰ) 목적유전자,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조절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식물체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Ⅱ)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를 선별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Ⅱ) 선별 단계는 상기 (Ⅰ) 단계의 형질전환된 식물체가 자색의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가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토시아닌이 과발현된 식물체의 제조방법.
KR1020080036987A 2008-04-22 2008-04-22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KR10101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987A KR101018079B1 (ko) 2008-04-22 2008-04-22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987A KR101018079B1 (ko) 2008-04-22 2008-04-22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04A KR20090111404A (ko) 2009-10-27
KR101018079B1 true KR101018079B1 (ko) 2011-03-02

Family

ID=4153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987A KR101018079B1 (ko) 2008-04-22 2008-04-22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0271A2 (en) * 2008-02-18 2010-11-17 Norfolk Plant Sciences Limit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plant flavonoid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150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에프앤피 멜론에서 분리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US20060277631A1 (en) 2003-04-25 2006-12-07 Exelixis Plant Sciences, Inc. Genes upregulated in a tomato plant having an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pheno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631A1 (en) 2003-04-25 2006-12-07 Exelixis Plant Sciences, Inc. Genes upregulated in a tomato plant having an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phenotype
KR20060037150A (ko) * 2004-10-27 2006-05-03 주식회사 에프앤피 멜론에서 분리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미노산서열(2005)*
염기서열(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04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487B1 (ko) 식물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OsRDCP1유전자및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식물체
KR101855136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7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1200989B1 (ko)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 및 형질전환 식물체
KR101144094B1 (ko) 개화 지연 또는 성장 억제 기능을 지니는 폴리펩티드, 이를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KR101416506B1 (ko)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내성 및 생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및 그의 용도
KR102026764B1 (ko)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KR100900928B1 (ko) 식물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는CaRma1H1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식물체
KR20140126528A (ko) 신규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증진 유전자 및 이의 이용
KR101018079B1 (ko) 안토시아닌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KR20110092148A (ko) 식물의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hg1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1431125B1 (ko) grxC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저온 내성이 증진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9555A (ko) 식물 왜화 유도 기능을 가진 폴리펩티드,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KR101855134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4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0637341B1 (ko)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개화시기 조절 방법
KR101855135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3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0990369B1 (ko) 식물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AtUBPH1 및AtUBPH2 유전자의 돌연변이체 및 상기 유전자가도입된 성장을 촉진시키는 형질전환 식물체
KR102022247B1 (ko)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내성 증진 단백질, 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이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식물체
KR102000465B1 (ko) 식물의 키다리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855137B1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노화 지연 기능 및 스트레스 내성 기능을 갖는 atpg8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20150003099A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스트레스 내성 기능 및 노화 지연 기능을 갖는 atpg6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20150001926A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스트레스 내성 기능 및 노화 지연 기능을 갖는 atpg10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1053038B1 (ko) 조기 개화 조절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이를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용도
KR20100095867A (ko) 청색광 인지 능력이 증대 또는 억제된 식물체의 제조 방법
KR101594988B1 (ko) 피마자 수술 특이적 RcLPAT376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20060037150A (ko) 멜론에서 분리된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