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991B1 -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991B1
KR101017991B1 KR1020080133080A KR20080133080A KR101017991B1 KR 101017991 B1 KR101017991 B1 KR 101017991B1 KR 1020080133080 A KR1020080133080 A KR 1020080133080A KR 20080133080 A KR20080133080 A KR 20080133080A KR 101017991 B1 KR101017991 B1 KR 10101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odified sulfur
sulfur binder
binder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597A (ko
Inventor
최문선
Original Assignee
최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선 filed Critical 최문선
Priority to KR102008013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9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2Mixtures or their components, e.g. aggreg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3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sulfur, sulfides or seleni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other binders, e.g. synthetic material, i.e.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5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rubber or synthetic resin, e.g. with rubber aggregate, with synthetic resin b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도로 포장을 하되, 시멘트 콘크리트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포함하고, 개질 유황 결합재는 유황과 유황의 개질제로서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와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헤테로 고리 아민류(hetero cyclic amine) 또는 알킬아민류(alkylamine) 0.01~200 중량%가 용융 혼합된 개질 유황 결합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의 이점은 더욱 향상 시키면서도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이 가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질, 유황, sulfur,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표층

Description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Concrete pavement method of a road by using modified sulfur bind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재용융이 가능한 물성을 가지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황(sulfur)은 비금속 원소 중의 하나로써 천연 유황도 존재하나, 원유나 천연 가스의 탈황 과정 등에서 많이 발생된다.
원유나 천연 가스의 탈황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황을 단순한 산업 폐기물로 처리하기 보다는 이를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유황을 종래의 건설 자재를 대신하여 또는 함께 이용하여 건설 자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황의 물성은 119℃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되고 상온에서는 고체인 성 질을 가진다.
또한, 인화점이 207℃이고, 자연 발화 온도가 245℃로서 착화성을 가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건설용 자재 등 실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유황의 물성상 반응 제어가 곤란하고 상온에서 급격하게 고상화되어 성형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유황의 단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하고자 유황에 다양한 물질을 첨가하여 물성을 개선한 개질 유황 결합재에 대한 많은 연구와 개발 노력이 있으나 여전히 반응 제어가 곤란하고 상온에서 급격하게 고상화되어 성형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의 개질 유황 결합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질 유황 결합재 및 그 제조 방법 등에 관하여 2007년 6월 25일 특허출원(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62430호)하였다.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개질 유황 결합재는 물의 증발 온도인 100℃ 이하의 온도에서 재용융이 가능한 물성을 지니며, 소수성을 가지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100℃ 이하의 물에 완전 용해 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황과 첨가물의 첨가량의 범위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강도, 방수성, 내화학성, 탄성, 내화성 및 비폭열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물 도 개발하였다.
한편, 종래의 도로 포장 방법은 크게 흔히 콘크리트 포장으로 불리우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흔히 아스팔트 포장으로 불리우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으로 구분된다.
그 중 콘크리트 포장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노면을 덮는 도로 포장으로서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내구성이 좋고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쉬운 이점이 있다.
그러나 초기 공사비가 많이 들고 부분 보수가 힘들며, 양생 기간이 긴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콘크리트 포장의 이점은 더욱 향상 시키면서도 그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의 이점은 더욱 향상 시키면서도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이 가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포장 방법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도로 포장을 하되,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유황과 상기 유황의 개질제로서 상기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와 상기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헤테로 고리 아민류(hetero cyclic amine) 또는 알킬아민류(alkylamine) 0.01~200 중량%가 용융 혼합된 개질 유황 결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에 유황, 올리고머(oligomer) 및 디씨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또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가 혼합된 개질 유황 결합재일 수 있다.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광물성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에폭시(epoxy) 수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라텍스(latex)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슬래그(slag), 실리카 흄(silica fum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도로 포장하는 것은, 보조 기층 또는 기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기층 또는 기층 위에 철근 배근을 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기층 또는 기층을 시공한 후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 배근은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의 장점은 더욱 향상 시키면서도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이 가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방법은 먼저 노반 및 노상의 형성 등 토공부의 공사가 완료되면 보조 기층을 시공하고(S100), 형성된 보조 기층에 철근 배근 시공을 한다(S102).
일반적으로 포장 공사라 함은 노상의 형성부터 포장 공사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층의 형성부터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00에서는 보조 기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기층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에 불과하며, 보조 기층은 보조 기층 또는 기층으로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단계 100의 보조 기층의 시공 후 단계 102의 철근 배근 시공 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덮개용 비닐 등을 더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계 102의 철근 배근 시공은 도로의 용도 등에 따라 철근 배근없이 직접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도로 포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102의 철근 배근은 철근 배근이라 명칭하였으나, 철근뿐만 아니라 용접 강선망, 용접 또는 결속한 이형 철근 매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조 기층과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표층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포장의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 보조 기층의 상부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도포하여 개질 유황 결합재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102의 철근 배근 작업을 수행하기 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위한 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거푸집이 설치되는 경우 거푸집은 보조 기층에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기 전까지 거푸집은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단계 102의 철근 배근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고(S104),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온도 변화에 의해 노면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 줄눈을 시공한다(S106).
한편, 단계 104에서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콘크리트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106에서 생성되는 수축 줄눈에는 줄눈채움재를 채워 넣은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줄눈채움재로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출 줄눈 외에도 다양한 줄눈 또는 이음매로 불리우는 다양한 줄눈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줄눈은 예를 들면, 시공줄눈, 균열유발줄눈 등이 있을 수 있다.
시공줄눈은 콘크리트 타설이 일정 시간 이상 중단될 때 새로운 콘크리트 타설 예정 위치에서 굳은 콘크리트와 닿으면서 발생되는 자연 발생적 줄눈이다.
이에 비해 균열 유발 줄눈은 콘크리트 표면을 톱질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생성된 줄눈을 통해 콘크리트의 균열이 유도되도록 한 것으로 다른 부분에서의 균열을 방지하는 인공적 줄눈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든 종류의 줄눈의 틈에 개질 유황 결합재를 채워 넣어 줄눈채움재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방법은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하되,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개질 유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개질 유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개질 유황 결합재는 전술한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물의 증발 온도인 100℃ 이하의 온도에서 재용융이 가능하며, 소수성을 가지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100℃ 이하의 물에 완전 용해 시킬 수 있는 개질 유황 결합재 또는 이에 다른 물질들을 혼합한 개질 유황 결합재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황과 이 유황의 개질제로서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과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헤테로 고리 아민류(hetero cyclic amine) 또는 알킬아민류(alkylamine) 0.01~200 중량%가 용융 혼합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디시클로 펜타디엔계 개질제는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 DCPD) 단독 혹은 DCPD에 시클로 페타디엔(cyclo pentadiene: CPD), DCPD 유도체, CPD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DCPD 단독 또는 DCPD에 CPD, DCPD 유도체, CPD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혼합물에 디펜텐(dipentene), 비닐 톨루엔(vinyl toluene),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 디시클로 펜텐(dicyclo pentene)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헤테로 고리 아민류는 피리딘(pyridine), 피리딘의 동족체, 피리딘의 이성질체, 피리딘의 동족체의 이성질체, 퀴놀린(quinoline), 이소퀴놀린(isoquinoline), 아크리딘(acridine), 피롤(pyrr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에 다른 물질들이 더 첨가된 개질 유황 결합재일 수 있다.
다른 물질들은 예를 들면, 광물성 분말로서 천연 골재, 인공 골재, 슬래그(slag), 석탄재, 플라이 애쉬(fly ash), 실리카 흄(silica fume) 등 다양한 광물성 미분말이 가능하며, 그 중량비는 개질 유황 결합재 100 중량%에 대하여 20~50% 중량비를 가지고 그 입경은 70마이크론(ㅅ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에 첨가되는 다른 물질은 개질 유황 결합재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또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도 가능하다.
도 2는 개질 유황 결합재에 첨가되는 다른 물질이 전술한 개질 유황 결합재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또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인 경우 이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개질 유황 결합재 1은 전술한 유황과 이 유황의 개질제로서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과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헤테로 고리 아민류(hetero cyclic amine) 또는 알 킬아민류(alkylamine) 0.01~200 중량%가 용융 혼합된 것이다.
그리고, 개질 유황 결합재 2는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와는 다른 조성 및 물성을 가지는 개질 유황 결합재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출원된 개질 유황 결합재를 개질 유황 결합재 1로 명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개질 유황 결합재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출원된 개질 유황 결합재와는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로서 예를 들면, 종래의 올리고머(oligomer)와 디씨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을 유황에 결합하여 생성되는 개질 유황 결합재일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출원된 개질 유황 결합재와는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를 개질 유황 결합재 2로 명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 2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융용 및 재융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2에는 다른 물질들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는 모두 첨가되는 물질의 첨가량의 범위에 따라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를 혼합하여 새로운 개질 유황 결합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질 유황 결합재 3으로 명칭하기로 한다)를 만들어 물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 외에 다른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의 배합 비율 및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다른 첨가물의 배합 비율도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물성의 조절은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의 배합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혼합 과정에서 다른 첨가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물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혼합 과정에서 다른 첨가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광물성 미분말로서 천연 골재, 인공 골재, 슬래그, 석탄재, 플라이 애쉬(fly ash) 등 다양한 광물성 분말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에서는 개질 유황 결합재 2가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융용 및 재융용이 이루어지므로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의 혼합을 위해 용융 혼합이 이루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개질 유황 결합재 1은 100℃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물에서 녹을 수 있는 수경성을 가지므로 개질 유황 결합재 1을 물에 녹이는 방법 등으로 액상으로 형성하고 개질 유황 결합재 2를 용융하여 액상으로 형성한 후 이를 상호 혼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의 배합 비율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며, 개질 유황 결합재 1과 개질 유황 결합재 2가 함께 배합되는 경우라면 아무런 제한이 없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개질 유황 결합재를 시멘트 콘크리트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될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먼저 액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생성하고 생성된 액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하여 개질 유황 시멘트 콘크리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임에 비해, 도 4는 고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시멘트, 골재 및 물과 함께 혼합하여 개질 유황 시멘트 콘크리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의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질 유황 결합재 1은 수경성으로서 고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물에 섞어 액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개질 유황 결합재 3은 첨가되는 물질이나 배합 비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물에 잘 녹지 않고 또한, 녹는 온도가 100℃를 초과하므로 용융 과정을 통해 액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액상으로 형성된 개질 유황 결합재에 시멘트 및 골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콘크리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사용되는 개질 유황 결합재가 특히 개질 유황 결합재 1인 경우 고상의 개질 유황 결합재를 시멘트, 골재 및 물에 섞어 시멘트 콘크리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개질 유황 시멘트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의 종류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특히 예를 들어 시멘트가 초속경 시멘트 또는 조강 시멘트의 경우 표층(160)에 시공될 시멘트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급속하게 줄어들어 신속한 보수 및 재시공이 요구되는 도로에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개질 유황 결합재를 구조체(110)의 방수를 위해 이용하는 경우 개질 유황 결합재의 경화 시간이 일반적인 방수 재료들의 경화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점 등을 고려할 때 개질 유황 결합재를 방수층(120)으로 시공하는 경우 시공 기간이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초속경 시멘트 또는 조강 시멘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개질 유황 시멘트 콘크리트를 표층(160)으로 시공하는 경우 더욱 시공 기간이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러한 시공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개질 유황 결합재, 시멘트, 골재 외에 다른 물질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개질 유황 시멘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추가되는 물질은 에폭시(epoxy) 수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라텍스(latex) 수지와 같은 수지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광물성 분말로서 천연 골재, 인공 골재, 슬래그(slag), 석탄재, 플라이 애쉬(fly ash), 실리카 흄(silica fume) 등 다양한 광물성 미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개질 유황 결합재 또는/및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을 시공함으로써 종래의 콘크리트 포장의 장점이던 내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특히 수경성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성이 좋아 시공이 간편한 이점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양생 기간이 짧고, 내구성이 좋아 도로의 마모나 파손이 줄어 들며, 뛰어난 부착성으로 인하여 종래 콘크리트 포장의 단점이었던 양생 기간, 유지 보수 등의 단점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될 수 있는 개질 유황 결합재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될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될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또 다른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Claims (8)

  1. 콘크리트(concrete) 포장 방법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cement concrete)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도로 포장을 하되,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개질 유황 결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유황과 상기 유황의 개질제로서 상기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와 상기 유황 100 중량%에 대하여 헤테로 고리 아민류(hetero cyclic amine) 또는 알킬아민류(alkylamine) 0.01~200 중량%가 용융 혼합된 개질 유황 결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에 유황, 올리고머(oligomer) 및 디씨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또 다른 개질 유황 결합재가 혼합된 개질 유황 결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는,
    광물성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에폭시(epoxy) 수지,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라텍스(latex)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는 슬래그(slag), 실리카 흄(silica fum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도로 포장하는 것은,
    보조 기층 또는 기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기층 또는 기층 위에 철근 배근을 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층 또는 기층을 시공한 후 상기 개질 유황 결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배근은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20080133080A 2008-12-24 2008-12-24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101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80A KR101017991B1 (ko) 2008-12-24 2008-12-24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80A KR101017991B1 (ko) 2008-12-24 2008-12-24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97A KR20100074597A (ko) 2010-07-02
KR101017991B1 true KR101017991B1 (ko) 2011-03-03

Family

ID=4263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080A KR101017991B1 (ko) 2008-12-24 2008-12-24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432A1 (ko) * 2011-03-08 2012-09-13 한미이엔씨 주식회사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21431A1 (ko) * 2011-03-08 2012-09-13 한미이엔씨 주식회사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3074831B (zh) * 2013-02-06 2014-11-05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 高寒、高海拔地区换流变场地及搬运轨道裂缝控制方法
KR102190728B1 (ko) 2019-07-08 2020-12-14 (주)흥아기연 카톤박스 포장시스템 및 카톤박스 포장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491A (ja) 2000-08-16 2002-02-26 Nippon Mitsubishi Oil Corp 硫黄結合材の製造方法、硫黄結合材及び硫黄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560042B1 (ko) 2004-05-25 2006-03-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재생골재
KR100663882B1 (ko) 2005-09-15 2007-0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질유황과 폐자원을 이용한 보수보강용 개질유황 모르타르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3668A (ko) * 2007-06-25 2008-12-31 최문선 개질 유황 결합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수경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또는가연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491A (ja) 2000-08-16 2002-02-26 Nippon Mitsubishi Oil Corp 硫黄結合材の製造方法、硫黄結合材及び硫黄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560042B1 (ko) 2004-05-25 2006-03-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재생골재
KR100663882B1 (ko) 2005-09-15 2007-0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질유황과 폐자원을 이용한 보수보강용 개질유황 모르타르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3668A (ko) * 2007-06-25 2008-12-31 최문선 개질 유황 결합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수경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또는가연성 개질 유황 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97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988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방법
JP6025167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アスファルト舗装路面の補修方法及び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KR20130043746A (ko) 유황폴리머시멘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방법
KR101144210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EP0009896B1 (en) Sulphur concretes, mortars and the like, thei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m
KR101017991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US11479506B2 (en) Dry mix an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bed ash and related methods
JP5414315B2 (ja) Rc床版構造及びrc床版の補修増厚工法
KR20040072278A (ko) 유황폴리머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4716A (ko) 개질유황이 함유된 콘크리트용 자재 혼합방법
KR20110065809A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RU2433096C2 (ru) Смесь веществ, применимая, в частности, в качестве добавки для бетонной смеси
KR100869651B1 (ko) 라바팔트를 이용한 도로균열 보수공법
KR101017990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4070B1 (ko) 고강도 상온 아스콘 조성물
KR101017989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JPS60180949A (ja) 舗装用セメント瀝青成形物
US20140056643A1 (en) Application of high toughness, low viscosity nano-molecular resin for reinforcing pothole patching materials in asphalt and concrete base pavement
CN205617223U (zh) 一种玄武岩连续纤维桥梁
CN104402303A (zh) 环氧树脂砼修补材料、制备方法及使用方法
KR101684665B1 (ko) 층 분리 주입을 도입한 자갈도상 무교환방식의 급속경화궤도의 시공 방법
KR101017992B1 (ko) 개질 유황 결합재의 도포 방법 및 그 장치
JP6014802B1 (ja) 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JP7093742B2 (ja) ブロック舗装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Andrews-Phaedonos Geopolymer “green” concrete: reducing the carbon footprint. The VicRoads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