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288B1 -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288B1
KR101017288B1 KR1020080082310A KR20080082310A KR101017288B1 KR 101017288 B1 KR101017288 B1 KR 101017288B1 KR 1020080082310 A KR1020080082310 A KR 1020080082310A KR 20080082310 A KR20080082310 A KR 20080082310A KR 101017288 B1 KR101017288 B1 KR 10101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forming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503A (ko
Inventor
박승기
Original Assignee
박승기
주식회사 진성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기, 주식회사 진성통상 filed Critical 박승기
Priority to KR102008008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2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6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29C51/268Cutting,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제 원료를 이용한 수지성형품 가공생산을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제의 재료를 공급하여 성형품 배출까지의 전 공정을 자동으로 공급, 가열, 포밍, 컷팅,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절감과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측에는 지면에 놓인 롤형 재료원단을 공급하는 턴작동바에 의해 이송롤러와 가압롤러사이로 재료원단은 권취수단까지 이송되는 원단이송수단을 구비하여, 가열코일이 구비된 원단가열수단에 통과하여 모터구동수단과 실린더구동수단, 의한 상, 하부금형의해 성형되는 포밍수단을 거쳐, 모터구동수단에 의한 상,하 지지판과 밀판을 구성하고 원단컷팅판의 하측에는 컷팅판과 맞대응하는 컷팅다이가 마련된 컷팅수단을 통해 완성된제품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82310
재료 공급수단, 가열수단, 포밍수단, 컷팅수단, 배출수단

Description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The vacuum forming-product of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본 발명은 수지제 원료를 이용한 수지성형품 가공생산을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제의 재료를 공급하여 성형품 배출까지의 전 공정을 자동으로 공급, 가열, 포밍, 컷팅,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절감과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성형제품(일회용 플라스틱제품 등)의 생산은 롤러 감긴 플라스틱수지원단을 원단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고, 가열장치를 통해 가열된 후 원하는 형태의 모양으로 포밍 성형되고, 포밍된 성형품은 수지원단으로부터 일정한 규격별로 컷팅하여 배출되는 한편, 제품의 컷팅된 수지원단스크랩은 별도의 권치롤에 감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진공성형품 생산 시스템은 생산대상물인 수지원단을 공 급, 가열, 포밍, 컷팅, 배출공정까지 완료하는 긴 구간 동안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 중 틀리거나 휘어지는 등 이송의 연속성, 원활성, 정밀성이 크게 떨어졌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지원단에 대한 가열과정에서도 이송되는 원단의 상,하 전체표면 균일한 가열이 불가능하여 포밍 공정시 포밍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그리고 종래 포밍 성형장치는 그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조작성 역시 매우 불편하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불합리한 구동수단로 인해 사용 중 불량이 잦은 문제점이 있고,
특히, 포밍된 제품에 대한 컷팅수단과 컷팅된 제품에 대한 배출수단의 구성이 각각 별도의 많은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각 별도의 공정수행에 따른 공정 및 작업시간 낭비 역시 상당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공급, 가열, 포밍, 컷팅, 배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진공성형품 생산을 위한 전체적인 생산라인 또한 신속하고 연속적이고 원활한 동작이 불가능하고 공정 중 다양한 원인으로 일시정지 등과 같은 공정낭비요소가 많아 생산성 향상에 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재료공급에서부터 포밍부로 이동되는 시간 단축을 위해 재료원단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료공급수단과, 재료원단이 균일하게 취출 될 수 있도록 재료원단을 펴주면서 가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한 원단이송수단과, 가열수단을 통해 재료원단이 이송되면서 일정한 형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포밍금형을 쉽게 교체 할 수 있고 이송프레임과 냉각코일열에 의해 불량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 포밍수단과, 상기 포밍수단에 의해 포밍된 성형품과 폐수지 원단은 최종 커팅 작업 후 동시에 성형품과 폐수지 원단을 배출될 수 있는 컷팅수단과 배출수단을 구성하고, 성형품 스크랩 전단 후 잔존 폐수지 원단을 즉시 회수 권치 하는 권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측에는 지면에 놓인 롤형 재료원단(101)을 일정 높이의 재료공급몸체(104) 위로 이격시킬 수 있는 턴작동바(103)를 구비하고, 상기 턴작동바(103)의 회전으로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이 재료공급몸체 상단에는 롤형 재료원단(101)을 공회전가능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롤링안착홈(102)(102a)이 구비하며, 상기 재료공급몸체(104)의 진행 측 끝단에는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러(106a)와 실린더(107)에 의해 가압작동되는 가압롤러(107a)가 구비된 원단공급수단(10)이 설치된 것과; 상기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을 원단 스크랩(101a) 권취수단(70)까지 정밀, 원활한 이송을 위해 모터(210)에 의해 강제구동되는 일측 원동 스프라켓(211)과 일정거리의 타측 피동 스프라켓(212) 사이에 1 마디당 하나씩의 바늘(214)이 연속 등 간격으로 형성된 체인(213)을 권취시키는 한편, 상기 체인(213)의 상면에는 체인(213) 위로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상부 이탈방지를 위한 안내판(217)이 구비된 원단이송수단(2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이송수단(20)이 통과되는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원단이송수단(20) 위로 이송되는 원단 상,하면에 대하여 일정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수개의 가열코일(302a, 303a)로 된 상,하 가열장치(302,303)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하 가열장치(302,303) 중 상측 가열장치(303)의 양측에 완전한 가열효과를 위한 보조 히터봉(310)을 추가 설치된 원단가열수단(3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가열수단(3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42)와 실린더구동수단(412)(422), 가이드축(4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포밍용 상부금형(410)과 하부금형(420)을 각 마주 대응하는 가변판(411)(421)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상,하금형(410)(420) 사이의 입구 상,하측에는 각각 맞대응하는 끝단에 냉각코일(410c)(420c)이 삽입되어 누르는 과정에서 냉각기능까지 겸할 수 있는 냉각누름판(410b)(420b)이 구비된 포밍수단(40)을 설치한 것과; 상기 포밍수단(4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550)와 가이드봉(5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상,하 지지판(503)을 구성하고, 그 하측에는 지지판(503)에 고정된 실린더(505)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밀판(506)이 구비되며, 상기 밀판(506)의 아래측에는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포밍부(585)를 컷팅하는 원단 컷팅판(502)이 상기 가이드봉(501) 끝단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원단컷팅판(502)의 하측에는 컷팅판(502)과 맞대응하는 컷팅다이(502′)가 마련된 컷팅수단(5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컷팅수단(50)의 저면에는 컷팅된 후 하방 낙하하는 제품(101′)에 대하여 용이한 배출을 위해 상측에는 모터(606)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605)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605)를 지지하는 프레임(603)의 하측에는 그 컨베이어벨트(605)의 상,하 구동을 목적으로 서보모터+스크우류의 결합구조인 상,하 구동수단( 60')이 마련된 컷팅제품 배출수단(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재료이송수단에 의해 부피가 큰 재료원단을 턴 작동바에 의해 쉽게 안전하게 작업 공정을 위한 이송레일 상에 권치할 수 있고, 이송수단에 의해 재료원단이 정확하고 일률적인 공급 되는 효과와, 포밍수단에 4축 가변축봉에 상하 설치된 포밍금형은 정확한 재료원단 포밍시 균일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하 냉각코일이 장착된 누름판에 의해 재료원단 컷팅시 재료의 밀림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컷팅절단이 되는 효과가 있으며, 포밍수단에 의해 전면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측 컷팅수단은 이중 실린더를 이용한 다단 구동에 의해 성형품 이송 후 성형품 외측 잔존 스크랩 컷팅 가압 후 스크랩 제거 후 별도의 밀판에 의해 흡 착된 성형품을 쉽게 이탈시켜 배출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컷팅수단에 동시에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단축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작업 구간 간의 신속한 공정으로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진공성형품 생산 시스템의 공급, 가열, 포밍, 컷팅, 배출공정까지 완료하는 긴 구간 동안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그 구간도 단축 시킬 수 있어 이송중에 재료원단의 흔들림을 안내판을 통해 방지해 줄수 있어 틀리거나 휘어지는 등 연속성, 원활성,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뿐만 아니라 수지원단에 대한 가열과정에서도 이송되는 원단의 상,하 전체표면 균일한 가열이 불가능하여 포밍 공정시 포밍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그리고 종래 각 공정별 불필요한 공간을 줄일수 있어 전체 공정 작동시 효율적인 작동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매우 다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 시스템은 일측에 지면에 놓인 롤형 재료원단(101)을 일정 높이의 재료공급몸체(104) 위로 이격시킬 수 있는 턴작동바(103)를 구비하고, 상기 턴작동바(103)의 회전으로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이 재료공급몸체 상단에는 롤형 재료원단(101)을 공회전가능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롤링안착홈(102)(102a)이 구비하며, 상기 재료공급몸체(104)의 진행 측 끝단에는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러(106a)와 실린더(107)에 의해 가압작동되는 가압롤러(107a)가 구비된 원단공급수단(10)이 설치된 것과;
상기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을 원단 스크랩(101a) 권취수단(70)까지 정밀, 원활한 이송을 위해 모터(210)에 의해 강제구동되는 일측 원동 스프라켓(211)과 일정거리의 타측 피동 스프라켓(212) 사이에 1 마디당 하나씩의 바늘(214)이 연속 등 간격으로 형성된 체인(213)을 권취시키는 한편, 상기 체인(213)의 상면에는 체인(213) 위로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상부 이탈방지를 위한 안내판(217)이 구비된 원단이송수단(2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이송수단(20)이 통과되는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원단이송수단(20) 위로 이송되는 원단 상,하면에 대하여 일정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수개의 가열코일(302a, 303a)로 된 상,하 가열장치(302,303)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하 가열장치(302,303) 중 상측 가열장치(303)의 양측에 완전한 가열효과를 위한 보조 히터봉(310)을 추가 설치된 원단가열수단(3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가열수단(3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42)와 실린더구동수단(412)(422), 가이드축(4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포밍용 상부금형(410)과 하부금형(420)을 각 마주 대응하는 가변판(411)(421)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상,하금형(410)(420) 사이의 입구 상,하측에는 각각 맞대응하는 끝단에 냉각코일(410c)(420c)이 삽입되어 누르는 과정에서 냉각기능까지 겸할 수 있는 냉각누름판(410b)(420b)이 구비된 포밍수단(40)을 설치한 것과;
상기 포밍수단(4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550)와 가이드봉(5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상,하 지지판(503)을 구성하고, 그 하측에는 지지판(503)에 고정된 실린더(505)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밀판(506)이 구비되며, 상기 밀판(506)의 아래측에는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포밍부(585)를 컷팅하는 원단 컷팅판(502)이 상기 가이드봉(501) 끝단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원단컷팅판(502)의 하측에는 컷팅판(502)과 맞대응하는 컷팅다이(502′)가 마련된 컷팅수단(5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컷팅수단(50)의 저면에는 컷팅된 후 하방 낙하하는 제품(101′)에 대하여 용이한 배출을 위해 상측에는 모터(606)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605)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605)를 지지하는 프레임(603)의 하측에는 그 컨베이어벨트(605)의 상,하 구동을 목적으로 서보모터+스크우류의 결합구조인 상,하 구동수단( 60')이 마련된 컷팅제품 배출수단(60)을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요지로 하였다.
그리고 포밍수단(40)의 후측에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의 포밍된 제품(101′)에 대하여 용이한 컷팅에 요구되는 저온상태의 유지를 위해 냉각코일(900) 또는 냉각팬(9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급속냉각수단(900′)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컷팅수단(50)을 통과한 이송수단(20)의 후측 끝단에는 컷팅수단(50)에 의해 컷팅된 상태의 원단스크랩(101a)을 감아 회수할 수 있게 모터(703)에 의해 회전되는 귄취롤러(원형롤, 삼각롤 등, 704)를 갖는 원단스크랩 회수장치(70)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요소별 구체적인 작용과 구조 및 그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제 재료가 권치된 재료원단(101)은 유압 혹은 에어 실린더로 작동될수 있는 턴작동바(103)는 재료공급몸체(104) 상에 롤링안착홈(102)(102a)에 재료원단(101)이 권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롤링안착홈(102)(102a)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부피가 큰 재료원단, 부피가 작은 재료원단을 용이하게 권치하여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러(106a)와 실린더(107)에 의해 가압 상하 승하강 하는 가압롤러(107a) 사이에 재료원단(101)이 균일하게 이동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원단공급수단(10)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원단공급수단(10)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은 가압대(201)에 장력조절롤러(202)가 구성되어 재료원단(101) 이동중에 일관적인 수평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측에 가압대(201)에 의해 승하강하는 장력조절롤러(202)에 의해 재료원단(101)이 균일하게 펴질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장력조절롤러(202)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은 각 공정의 완료지점인 원단 스크랩(101a)의 권치수단(70)까지 정밀하게 이송될수 있도록 하기위해 모터(210)에 의해 강제구동되는 원동 스프라켓(211)과 타측 피동 스프라켓(212)사이에 1 마디당 하나씩의 바늘(214)이 구비된 체인(213)에 의해 재료원단(101)이 이송베드(215)로 공급되며 이때 양측 체인(214) 상측면에 재료원단(101)이 맞닿는 면에 재료원단(101)의 이송중 이탈 방지를 위한 안내판(217)에 의해 체인(214)에 구비된 바늘(214)에 의해 재료원단(101)을 고정시켜 안내판을 따라 권치수단(70)까지 이동될수 있도록 작동하는 원단이송수단(20)을 구성하고,
상기 원단이송수단(20)을 통과하여 후측으로 이동하면 상,하 측에 재료원단(101) 크기의 수개의 가열코일(302a,303a)을 구성하여 항상 일정 온도를 유지해 줄 수 있는 가열장치(303)을 상,하측에 작동 되도록 하고, 상기 양측 안내판(217) 상측에 별도의 보조 히터봉(310)을 구성하여 이동중에 재료원단(101)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원단가열수단(30)을 구성하되,
또한 상기 원단가열수단(30)은 별도의 밀폐공간(301)을 원단가열수단(30) 고정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열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재료원단(101)을 도모할수 있도록 설치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원단가열수단(30)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재료원단(101)은 후측으로 이당하여 모터구동수단(서보모터+스크루유, 42)와 실린더구동수단(실린더+푸시로드, 412,422)를 따라 가이드축(401)을 따라 승,하강하는 상,하금형(410)(420) 사이에 의 입구측으로 부터 안내판(217)을 따라 이동하는 재료원단(101)은 상,하금형(410)(420)시 냉각코일(410c)(420c)이 삽입된 상,하 냉각누름판(410b)(420b)에 의해 재료원단(101)이 상,하금형(410)(420)내의 내측 형상에 따라 제품(101′) 형상을 재료원단(101)에 완성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작동하고,
상기 모터구동수단(42)는 몸체(41) 한쪽에 브라켓(450)을 구성하고, 그 내측에 회전지지축봉(455)의 정역회전에 미세조절축봉(456)이 승,하강 하도록 작동하 고, 상기 브라켓(450)과 회전지지축봉(455)사이에 간격판(452)과 베어링(451)이 설치되고, 상,하 측에 고정판(453)과 방지판(460)을 설치하여 지지판(454)에 의해 체결되어 서보모터(458)의 회전에 의해 회전벨트가 회전하여 타이밍기어(457)을 회전시키면 지지회전축봉(455)이 정역회전 할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상,하 실린더구동수단(실린더+푸시로드, 412,422)은 몸체(41) 상,하측에 끝단에 가이드축(401)을 따란 상,하 승하강 하는 가변판(411)(421)에 일측에 고정되어 상,하 모터구동수단(42)에 의해 승,하강시 작업의 효율증 증대시킬수 있도록 급속 이송/정지 가능하도록 가변판(411)(421)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포밍수단(40)에서 재료원단(101)에 성형된 제품(101′)은 재료원단(101)과 같이 이동되어 컷팅수단(50)의 컷팅다이(502′)에 상면에 위치하게 되면 가이드봉(501)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지지판(503)을 구성하여 그 하측에 고정된 실린더(505)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밀판(506)은 아래측으로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이 권치된 포밍부(585) 상측에 재료원단 컷팅판(502)이 가이드봉(501)을 따라 승,하강하여 컷팅다이(502′)에 권치된 제품(101′)을 재료원단(101)로 부터 컷팅하는 컷팅수단(50)으로 작동하고,
상기 모터구동수단(550)은 몸체(51) 일측에 브라켓(559)을 구성하고, 그 내측으로 지지회전축봉(555)이 삽설되고 그 사이에 간격판(552)과 상,하측에 베어 링(55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축봉(555) 내측으로 나사홈을 구비한 미세조절축봉(556)이 회전지지축봉(555)의 정역회전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작동하고, 서보모터(558)의 회전에 의해 회전지지축봉(555) 상측에 타이밍기어(557)가 고정편(553)에 의해 고정되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컷팅수단(50)의해 완성된 제품(101′)은 저면으로 컷팅된후 하방 낙하하여 모터(606)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605)가 구비되며 상가 컨베이어벨트(605) 상,하 구동을 위한 상,하 구동수단(60′)에 의해 승하강 되는 켄베이어벨트(605)가 컷팅되면서 하방 낙하될때 일정한 간격만큼 조절되어 제품(101′) 다중 적재후 일정 적층이 완료되면 외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구비한 배출수단(60)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 상,하 구동수단(60')는 몸체(51) 하측 설치판(610)에 지지판(614)과 고정판(617) 사이에 모터(612)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작동되는 가변축봉(616)에 의해 설치판(610)이 승,하강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배출수단(60)은 모터(606)의 연결된 스프라켓(604)이 양측 지지판(603) 내측에 설치된 켄베이어벨트(605) 축상의 스프라켓(607)을 회전시켜 배출될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전체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료공급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단이송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의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밍수단의 전체 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밍수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밍수단의 상하포밍수단의 부분 단면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컷팅수단의 전체 계략도
도 9은 본 발명의 컷팅수단의 컷팅작동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수단의 부분 확대 단면 예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배출수단의 조절수단의 부분 확대도
도 12은 본 발명의 컷팅수단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컷팅수단의 실시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배출수단의 조절수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권치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급속냉각수단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원단공급수단 10: 원단공급수단
20: 원단이송수단 30: 원단가열수단
42: 모터구동수단 40: 포밍수단
41: 몸체 50: 컷팅수단
51: 몸체 60: 배출수단
60′: 상,하 구동수단 70: 권취수단
101′: 제품 101: 재료원단
101a: 스크랩 102,102a: 롤링안착홈
103: 턴작동바 104: 재료공급몸체
106: 모터 106a: 이송롤러
107: 실린더 107a: 가압롤러
201: 가압대 202: 장력조절롤러
210: 모터 211,212: 스프라켓
213: 체인 214: 바늘
215: 이송베드 217: 안내판
301: 밀폐공간 302a,303a: 가열코일
302,303: 가열장치 310: 히터봉
401: 가이드축 410,420: 상,하금형
410c,420c: 냉각코일 410b,420b: 냉각누름판
411,421: 가변판 412,422: 실린더구동수단
450:브라켓 451: 베어링
452: 간격판 453: 고정판
454: 지지판 455: 회전지지축봉
456: 미세조절축봉 457: 타이밍기어
458: 서보모터 460: 방지판
501: 가이드봉 502: 컷팅판
502′: 컷팅다이 505: 실린더
506: 밀판 550: 모터구동수단
551: 상,하측에 베어링 552: 간격판
553:고정편 555: 지지회전축봉
556: 미세조절축봉 557: 타이밍기어
558: 서보모터 559: 브라켓
585: 포밍부 603: 지지판
604: 스프라켓 605: 컨베이어벨트
606: 모터 607: 스프라켓
610: 설치판 612: 모터
614: 지지판 616: 가변축봉
617: 고정판 703: 모터
704: 권치롤러

Claims (2)

  1. 일측에는 지면에 놓인 롤형 재료원단(101)을 일정 높이의 재료공급몸체(104) 위로 이격시킬 수 있는 턴작동바(103)를 구비하고, 상기 턴작동바(103)의 회전으로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이 재료공급몸체 상단에는 롤형 재료원단(101)을 공회전가능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롤링안착홈(102)(102a)이 구비하며, 상기 재료공급몸체(104)의 진행 측 끝단에는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러(106a)와 실린더(107)에 의해 가압작동되는 가압롤러(107a)가 구비된 원단공급수단(10)이 설치된 것과;
    상기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공급되는 재료원단(101)을 원단 스크랩(101a) 권취수단(70)까지 정밀, 원활한 이송을 위해 모터(210)에 의해 강제구동되는 일측 원동 스프라켓(211)과 일정거리의 타측 피동 스프라켓(212) 사이에 1 마디당 하나씩의 바늘(214)이 연속 등 간격으로 형성된 체인(213)을 권취시키는 한편, 상기 체인(213)의 상면에는 체인(213) 위로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상부 이탈방지를 위한 안내판(217)이 구비된 원단이송수단(2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이송수단(20)이 통과되는 원단공급수단(10)의 후측에는 원단이송수단(20) 위로 이송되는 원단 상,하면에 대하여 일정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수개의 가열코일(302a, 303a)로 된 상,하 가열장치(302,303)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상,하 가열장치(302,303) 중 상측 가열장치(303)의 양측에 완전한 가열효과를 위한 보조 히터봉(310)을 추가 설치된 원단가열수단(3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원단가열수단(3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42)와 실린더구동수단(412)(422), 가이드축(4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포밍용 상부금형(410)과 하부금형(420)을 각 마주 대응하는 가변판(411)(421)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상,하금형(410)(420) 사이의 입구 상,하측에는 각각 맞대응하는 끝단에 냉각코일(410c)(420c)이 삽입되어 누르는 과정에서 냉각기능까지 겸할 수 있는 냉각누름판(410b)(420b)이 구비된 포밍수단(40)을 설치한 것과;
    상기 포밍수단(40)의 후측에는 모터구동수단(550)와 가이드봉(50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상,하 지지판(503)을 구성하고, 그 하측에는 지지판(503)에 고정된 실린더(505)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밀판(506)이 구비되며, 상기 밀판(506)의 아래측에는 이송되는 재료원단(101)의 포밍부(585)를 컷팅하는 원단 컷팅판(502)이 상기 가이드봉(501) 끝단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원단컷팅판(502)의 하측에는 컷팅판(502)과 맞대응하는 컷팅다이(502′)가 마련된 컷팅수단(5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컷팅수단(50)의 저면에는 컷팅된 후 하방 낙하하는 제품(101′)에 대하여 용이한 배출을 위해 상측에는 모터(606)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605)를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605)를 지지하는 프레임(603)의 하측에는 그 컨베이어벨트(605)의 상,하 구동을 목적으로 서보모터+스크우류의 결합구조인 상,하 구동수단( 60')이 마련된 컷팅제품 배출수단(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수단(40)의 후측에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의 포밍된 제품(101′)에 대하여 용이한 컷팅에 요구되는 저온상태의 유지를 위해 냉각코일(900) 또는 냉각팬(9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급속냉각수단(900′)을 선택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KR1020080082310A 2008-08-22 2008-08-22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KR10101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10A KR101017288B1 (ko) 2008-08-22 2008-08-22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10A KR101017288B1 (ko) 2008-08-22 2008-08-22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503A KR20100023503A (ko) 2010-03-04
KR101017288B1 true KR101017288B1 (ko) 2011-02-28

Family

ID=4217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310A KR101017288B1 (ko) 2008-08-22 2008-08-22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03B1 (ko) * 2010-11-15 2011-03-07 김준범 연속 진공성형 장치
KR102151950B1 (ko) * 2019-05-02 2020-09-04 김수영 알루미늄 일회용기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596B2 (ja) * 1992-07-21 1995-11-15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真空成形金型
KR20000074440A (ko) * 1999-05-21 2000-12-15 박혜숙 욕조 표면보호용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397546B1 (ko) 2001-05-04 2003-09-17 오동하 진공성형기의 성형품 자동취출장치
KR100618950B1 (ko) 2005-03-31 2006-09-01 허훈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596B2 (ja) * 1992-07-21 1995-11-15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真空成形金型
KR20000074440A (ko) * 1999-05-21 2000-12-15 박혜숙 욕조 표면보호용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397546B1 (ko) 2001-05-04 2003-09-17 오동하 진공성형기의 성형품 자동취출장치
KR100618950B1 (ko) 2005-03-31 2006-09-01 허훈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503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364B1 (ko) 원단 자동 제단기
CN101046058B (zh) 将片材切成适当型片的设备
US20020134209A1 (en) Sheet cutting process and apparatus
CN111436496A (zh) 兰花干豆腐加工系统
CN206569792U (zh) 一种智能全自动多层裁断装置
KR101017288B1 (ko) 진공성형제품의 자동 생산시스템
CN103395651B (zh) 一种软抽纸分切装置
CN206967568U (zh) 一种糖果的多功能旋切成型装置
CN211079580U (zh) 自动卷带裁切设备
CN102145493A (zh) 滚刀式裁片机
KR101336179B1 (ko) 비금속소재의 롤 원단이 사용되는 형상 파우치 프레스에서 절단공정으로 발생 된 원단 스크랩의 취출장치
KR101851733B1 (ko) 원단 자동 절단장치
KR101213557B1 (ko) 의류용 스팽글 형성 및 부착장치
CN114131970B (zh) 一种抗菌塑料薄膜的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N115257020B (zh) 一种gpps板材的挤出、成型、输送、裁切自动生产线
KR102348850B1 (ko) 부직포 원단 절단장치
CN212488321U (zh) 兰花干豆腐加工系统
CN211542845U (zh) 一种服饰包装袋的全自动烫金机
CN211306500U (zh) 一种橡胶切割设备
CN220261739U (zh) 一种压实装置
JP2014210312A (ja) ビレットの両端部研削装置
CN209284403U (zh) 港宝自动成型流水线的修边机构及其港宝自动成型流水线
CN203221591U (zh) 混炼胶供胶装置
KR100851327B1 (ko) 수지용기 제조장치
JP3967726B2 (ja) シートプレス成形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