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128B1 - 전자식 도어록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128B1
KR101017128B1 KR1020110005055A KR20110005055A KR101017128B1 KR 101017128 B1 KR101017128 B1 KR 101017128B1 KR 1020110005055 A KR1020110005055 A KR 1020110005055A KR 20110005055 A KR20110005055 A KR 20110005055A KR 101017128 B1 KR101017128 B1 KR 10101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handle
ro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1000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록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도어록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좌우로 직선이동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어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로드가 상승하였을때 로드가 삽입되어 손잡이가 잠기면서 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 및 로드가 하강하였을때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를 도어록의 내측방향으로 끌어오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기계식 레버를 회전하는 기계식 키를 삽입하기 위해 패널에 형성되는 기계식 키 입력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계식 키를 이용하여 간편·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경우 순간적으로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로드를 하강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각자 원하는 비밀번호로 잠금설정이 가능한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electric type door-lock}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록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도어록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좌우로 직선이동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어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로드가 상승하였을때 로드가 삽입되어 손잡이가 잠기면서 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 및 로드가 하강하였을때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를 도어록의 내측방향으로 끌어오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기계식 레버를 회전하는 기계식 키를 삽입하기 위해 패널에 형성되는 기계식 키 입력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락카룸이나 보관함 등에는 사용자의 소지품 등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관함에 보간되어진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록장치가 장착된다.
예전에는 도어록 장치로는 기구적인 방식의 자물쇠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견고하지 못하고, 항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열쇠를 소지해야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수반되었으며, 특히, 가장 큰 폐단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보관되어진 물품의 도난 및 분실 우려가 높은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물쇠를 이용한 기구적인 방식의 도어록장치를 대체하기 위한 방식으로 전자 암호방식의 전자식 도어록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자식 도어록은 사용자가 키 패드, 전자 정보 키, 생체 정보 키 등을 이용하여 키 인증을 위해 입력한 정보가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Solenoid) 또는 전통 모터를 작동시켜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 도어록에 연결된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은 최근 들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가정뿐 아니라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펄스신호방식에 의해 개폐를 위한 신호가 암호화되어 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면, 제어부에서 확인 및 연산처리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전기적인 신호를 전동모터에 인가하며, 전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잠금쇠가 전,후진 이동되면서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별도로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펄스신호방식에 의한 암호(주로, 숫자화됨)를 입력하게 되면, 도어가 자동 개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암호를 이용한 전자식 도어록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부주의로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암호를 기억하게 되면, 전혀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되었으며, 도어를 개방하려면, 별도로 구비되는 마스터키를 이용하거나 또는 도어록장치 전문가를 통해 수리·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운 폐단을 안고 있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목욕탕이나 찜질방, 스키장, 전철역, 공항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보관함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주 바뀌게 되므로, 도어록장치의 관리가 요구되며, 특히,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여 도어록장치를 잠금상태로 사라지거나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가 입력된 암호를 전혀 알 수가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잠긴 도어록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록장치를 분해하여 재설치해야하는 도어록장치의 취급 및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려면 솔레노이드를 항상 열림상태로 유지해야 하나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의 수명때문에 솔레노이드를 항상 열림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도어를 잠궈 놓은 상태에서,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암호를 몰라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기계식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에 따른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식 도어록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해야 하나,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한 전지의 수명때문에 솔레노이드를 항상 열림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록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도어록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좌우로 직선이동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어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로드가 상승하였을때 로드가 삽입되어 손잡이가 잠기면서 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 및 로드가 하강하였을때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를 도어록의 내측방향으로 끌어오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기계식 레버를 회전하는 기계식 키를 삽입하기 위해 패널에 형성되는 기계식 키 입력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손잡이를 손으로 당길 때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여 강제로 로드를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검출스위치가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설정된 비밀번호가 아닌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도어를 닫으면 1회에 한해서 새로운 비밀번호로 잠금설정이 이루어지는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가 더 포함되며,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한 다음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도어를 닫으면 검출스위치가 손잡이에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계식 키를 이용하여 간편·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경우 순간적으로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로드를 하강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각자 원하는 비밀번호로 보관함이나 도어의 잠금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예시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의 로드의 위치변화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패널에 부착되는 검출스위치의 접촉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기계식 레버에 의해 슬라이드 바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예시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의 로드의 위치변화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패널에 부착되는 검출스위치의 접촉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기계식 레버에 의해 슬라이드 바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도어록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키패드(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록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도어록(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해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21)가 상하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20)와, 좌우로 직선이동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바(30) 및 상기 슬라이드 바(30)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어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41)을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40)와, 상기 회전축(4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로드(21)가 상승하였을때 로드(21)가 삽입되어 손잡이(40)가 잠기면서 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42) 및 로드(21)가 하강하였을때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30)를 도어록의 내측방향으로 끌어오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레버(43)와, 상기 슬라이드 바(30)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기계식 레버(51)를 회전하는 기계식 키를 삽입하기 위해 패널(10)에 형성되는 기계식 키 입력부(50) 및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식 도어록(1)은 예컨대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의 개인 보관함 또는 가정의 현관문이나 가구의 문을 사용하는 실제 사용자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기계식 키 입력부(50)는 해당 보관함 또는 문을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록이 잠금 상태에서 부득이하게 해당 보관함을 열어야할 경우 등에 대비하여 해당 보관함이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의 잠금 상태를 특별한 이유에서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널(10)은 도어록(1)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10)에는 전자식 키 입력수단으로서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3)가 구비되며, 상기 키패드(13)는 1부터 0까지의 숫자와 'R'이나 'C'와 같은 특수키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패널(10)의 내측에는 도어록(10)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도어록에 공급하거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자식 도어록(1)은 해당 보관함이나 문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40)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위해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축(41)과,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인가하거나 제어하는 솔레노이드(20) 및 도어를 개폐를 단속하는 슬라이드 바(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로드(21)는 제어부를 통해 인가받은 전기신호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손잡이(40)의 작동을 단속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40)는 슬라이드 바(30)에 결합되는 스프링(44)이 항상 밀고 있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손잡이(40)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개방되고 손잡이(40)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44)에 의해 손잡이(4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회전축(41)은 도어록 내부 일측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축(41)에는 상기 손잡이(4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30)를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43)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 홈(42)은 로드(21)가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승하였을 때 로드(21)가 상승하면서 끼워지도록 로드(21)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43)는 슬라이드 바(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홈(31)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였다가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잡아당기면 회전축(41)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이때 슬라이드 바(30)에 형성되는 홈(31)의 일측 내측면에 레버(43)가 걸리면서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계식 키 입력부(50)는 패널(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급하게 도어록(10)을 개방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 바(30)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계식 키 입력부(50)의 내측으로 기계식 키(미도시)와 함께 회전되는 기계식 레버(51)가 더 형성된다.
상기 기계식 레버(51)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바(30)를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바(30)에 걸림부(32)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기계식 키를 삽입하여 회전하면 기계식 레버(51)가 걸림부(32)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드 바를 밀면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은 1회에 한해 새로운 비밀번호로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는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를 제공한다.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는 도어록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전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아닌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도어를 닫으면 새로운 비밀번호를 통해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으로, 새로운 비밀번호를 통해 도어를 개방한 다음부터는 비밀번호 모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소 또는 보관함의 도어록에 있어서, 일괄적으로 하나의 비밀번호만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제어부에는 손잡이(40)를 손으로 당길 때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12)가 더 부착된다.
상기 검출스위치(12)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40)를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스위치(12)로부터 유동이 검출되면 제어부는 즉시 로드(21)를 하강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상기 검출 스위치(12)는 도어록이 설치되는 보관함이나 도어를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드를 항상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하나 배터리의 수명으로 인해 로드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도어록이 설치되는 보관함이나 도어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도어록(1)은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가 설정된 도어록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한 다음 추가적으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고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는 도어록(1)에 의해 잠김상태가 되고 비밀번호는 등록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검출스위치(12)가 유동을 검출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검출스위치(12)는 패널(10)의 후면에 부착되되 손잡이를 잡아당겼을 때 손잡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스위치(12)가 감지하여 즉시 제어부(11)에 전달하고 솔레노이드(20)에 전자신호를 인가하여 로드(21)를 하강시킴으로써 문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패널(10)과, 손잡이(40)와, 레버(43) 및 기계식 키 입력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1)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전자식 도어록
10 : 패널
12 : 검출스위치 13 : 키패드
20 : 솔레노이드 21 : 로드
30 : 슬라이드 바 31 : 홈
32 : 걸림부
40 : 손잡이 41 : 회전축
42 : 회전방지 홈 43 : 레버
44 : 스프링
50 : 기계식 키 입력부 51 : 기계식 레버

Claims (3)

  1.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 개폐 및 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록의 제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도어록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좌우로 직선이동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어록 내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로드가 상승하였을때 로드가 삽입되어 손잡이가 잠기면서 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 및 로드가 하강하였을때 손잡이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바를 도어록의 내측방향으로 끌어오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강제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기계식 레버를 회전하는 기계식 키를 삽입하기 위해 패널에 형성되는 기계식 키 입력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손잡이를 손으로 당길 때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여 강제로 로드를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검출스위치가 부착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설정된 비밀번호가 아닌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도어를 닫으면 1회에 한해서 새로운 비밀번호로 잠금설정이 이루어지는 일회용 비밀번호 모드가 더 포함되며,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한 다음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도어를 닫으면 검출스위치가 손잡이에 발생하는 유동을 검출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KR1020110005055A 2011-01-18 2011-01-18 전자식 도어록 KR10101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55A KR101017128B1 (ko) 2011-01-18 2011-01-18 전자식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55A KR101017128B1 (ko) 2011-01-18 2011-01-18 전자식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128B1 true KR101017128B1 (ko) 2011-02-25

Family

ID=4377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055A KR101017128B1 (ko) 2011-01-18 2011-01-18 전자식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896B1 (ko) * 2013-02-15 2013-09-06 주식회사건가드금고제작 금고용 통합 조립형 전자식 도어락 장치
CN109736651A (zh) * 2019-01-31 2019-05-10 宁波望通锁业有限公司 一种扣手式电子锁体
KR102485189B1 (ko) * 2022-09-15 2023-01-09 주식회사 새누 도어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757A (ja) 2000-06-02 2001-12-14 Motoi Nakamura 二重ロック装置
KR20040092852A (ko) * 2003-04-29 2004-11-04 다이아몬드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암호 생성키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KR20050006895A (ko) * 2003-07-10 2005-01-17 허상은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20080004748U (ko) * 2007-04-16 2008-10-21 주식회사 퍼스텍아이앤씨 이중잠금 해제가 용이한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757A (ja) 2000-06-02 2001-12-14 Motoi Nakamura 二重ロック装置
KR20040092852A (ko) * 2003-04-29 2004-11-04 다이아몬드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암호 생성키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KR20050006895A (ko) * 2003-07-10 2005-01-17 허상은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20080004748U (ko) * 2007-04-16 2008-10-21 주식회사 퍼스텍아이앤씨 이중잠금 해제가 용이한 도어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896B1 (ko) * 2013-02-15 2013-09-06 주식회사건가드금고제작 금고용 통합 조립형 전자식 도어락 장치
CN109736651A (zh) * 2019-01-31 2019-05-10 宁波望通锁业有限公司 一种扣手式电子锁体
KR102485189B1 (ko) * 2022-09-15 2023-01-09 주식회사 새누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7883Y1 (ko) 보안 파일 케비넷 도어의 시건장치
US10385589B2 (en) Electronic door lock
CN108474219B (zh) 具有不同访问控制级别的电子组合锁
KR101017128B1 (ko) 전자식 도어록
US20090282879A1 (en) Lock assembly with rotary locking member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N104523044A (zh) 一种手机操控抽屉柜
US9551168B2 (en) Furniture embedded locking device
CN208339230U (zh) 刷卡式文件柜
US20160010362A1 (en) File cabinet latch with wire release
KR100977805B1 (ko) 도어 금고 가구 종합 제어 지문 인식 장치
US20140331723A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KR10187647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KR101856336B1 (ko) 차량용 트레이 장치
EP3506215A1 (en) Smart lock having an electromechanical key
JP2020056151A (ja) 建具及び建具用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100874764B1 (ko) 무선통신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도어록장치와 그 제어방법
ITMI20070912A1 (it)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procedimento per il funzionamento di un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sistema con un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e procedimento per il funzionamento del sistema.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CN207485141U (zh) 一种外装门锁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170000948U (ko) 디지털도어락의 래치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0397395Y1 (ko) 디지털 도어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