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85B1 -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85B1
KR101016285B1 KR1020040050383A KR20040050383A KR101016285B1 KR 101016285 B1 KR101016285 B1 KR 101016285B1 KR 1020040050383 A KR1020040050383 A KR 1020040050383A KR 20040050383 A KR20040050383 A KR 20040050383A KR 101016285 B1 KR101016285 B1 KR 10101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text
boundar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290A (ko
Inventor
홍희정
주학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상관없이 움직이는 영상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공중파/케이블 또는 DV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신호를 휘도/색 신호 분리부를 통하여 분리하는 단계; 영상 소스를 통하여 받은 신호에 맞게 상기 휘도/색 분리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의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시에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타를 추출/변조시키는 단계; 상기 분석된 영상신호와 경계 추출/변조된 신호를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LCD 패널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동영상, 텍스트, 경계부분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method for driv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CD TV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LCD 패널에 인가되는 원래의 입력신호와 실제 표시되는 신호를 비교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영상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text)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그레이별 액정의 응답속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영상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의 경계 추출/변조 과정을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영상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8의 텍스트(text)의 경계 추출/변환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원래의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조된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 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실제로 표시되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텍스트(text)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81 : 공중파/케이블 52 : 영상 소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및 텍스트를 선명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CD TV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LCD 패널에 인가되는 원래의 입력신호와 실제 표시되는 신호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영상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text)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일반적인 그레이별 액정의 응답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LCD TV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파/케이블(1)로부터 받은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S10)한 후, 튜닝된 신호를 휘도/색 신호 분리부를 통하여 분리하고(S11), 영상 소스(2)를 통하여 받은 신호에 맞게 휘도/색 분리된 데이타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3)를 통하여 디지털화하며(S12,) 디지털화된 신호의 크기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영상처리(S13)를 한 후, LCD 패널의 화소수에 맞게 정보를 스케일링(Scaling)하여(S14), 스케일링된 정보를 LCD 패널에 인가(S15)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하는 LCD TV에서 움직이는 영상과 텍스트(text)에 대한 입력신호 및 실제 표시되는 신호를 비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LCD TV는 중간 계조의 정보가 영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래에는 중간 계조를 영상의 배경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중간 계조가 영상의 배경을 이룰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frame) 당 길이 'L'을 가지는 영상의 경계를 나타내는 블랙(black) 신호가 화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이 영상이 1프레임 당 이동하는 거리가 'M'일 경우, 60Hz 구동시 1프레임이 대략 16.7ms이므로, 경계 부분의 이동 속도는 M/16.7ms이다.
일반적으로 TV 영상을 구성하는 대부분이 중간 계조이기 때문에, 중간 계조에서 블랙 신호의 인가에 따른 액정의 응답 속도는 1프레임의 시간에 반응하기에는 상대적으로 길다.(도 5의 그레이(Gray)별 액정의 응답시간 참조.)
때문에,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영역에서는 배경 계조와 블랙의 중간 값을 구현하게 되고, 이전 데이터가 블랙이었던 영역 'b'에서는 이전과 동일한 블랙 신호가 인가되기 때문에 블랙값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전에 블랙 신호가 인가되었으나 현재 프레임에서 배경 신호가 인가되는 'c'영역에서는 블랙과 배경의 중간 계조를 나타낸다.
'a'와 'c'영역의 계조 차이는 배경의 계조 정보와 액정의 상승/하강(rising/falling)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도 5 참조)
상기에서와 같이 동영상이나 텍스트(text)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보다 액정이 응답하는데 시간이 더 소요되기 때문에, 종래의 LCD상에서는 움직이는 영상이나 텍스트의 경계부분을 선명하게 표현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즉, 종래의 LCD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이는 동영상의 경계부분이 선명하게 표현되지 않는 문제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를 슬라이딩 시켰을 때 경계부분이 선명하지 않아서 판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상관없이 움직이는 영상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공중파/케이블 또는 DV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신호를 휘도/색 신호 분리부를 통하여 분리하는 단계; 영상 소 스를 통하여 받은 신호에 맞게 상기 휘도/색 분리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의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시에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타를 추출/변조시키는 단계; 상기 분석된 영상신호와 경계 추출/변조된 신호를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LCD 패널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터 추출/변조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를 경우에는 영상의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 LUT)에서 상기 이전 프레임과 상기 경계 부분의 정보를 이용해서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을 변조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변조된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 값을 영상 분석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 영상이므로 상기 룩업 테이블(LUT)에서는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 부분의 정보는 영상의 진행 방향, 속도 및 경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 변조는, 영상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서 배경 화면색과 경계 부분의 데이터와의 중간영역의 계조 데이터를 영상의 진행 방향 앞, 뒤부분에 일정시간 동안 추가해서 액정을 다이나믹(dynamic) 상태로 만드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공중파/케이블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신호를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시 텍스트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상기 텍스트의 경계 추출/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서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정보를 상기 LCD 패널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시 상기 텍스트의 정보 즉, 텍스트의 경계 데이터, 이동 방향, 속도 및 배경 화면색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텍스트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변환하는 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를 경우에는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LUT)에서 배경 화면의 데이터와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비교해서 경계 부분의 텍스트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키는 단계; 상기 변조된 데이터 값을 영상신호 처리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텍스트 분석시 상기 이전 프레임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텍스트 데이타를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된 텍스트로 판단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는 경계 부분을 추출하거나 변조시키지 않고, 상기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 부분의 텍스트의 데이터 값 변조는, 텍스트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서 배경 화면색과 경계 부분의 데이터와의 중간영역의 계조 데이터를 텍스트 진행 방향 전,후의 경계영역에 일정시간 동안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간 계조에서의 액정의 느린 응답 속도에 의해 움직이는 영상과 텍스트의 경계 부분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영상이나 텍스트의 경계부분의 데이터 앞부분에 변조된 신호값을 추가하여 액정을 먼저 다이나믹(dynamic) 상태로 만들어 주어 경계 부분의 흐림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반적인 그레이별 액정의 응답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영상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경계 추출/변조 과정을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원래의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조된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실제로 표시되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액정의 응답속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그레이(Gray) 값의 변화에 따라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그레이간 차이가 클 경우 응답속도가 빠른 편이고, 반대의 경우는 응답속도가 느린 편이다.
실제 대부분 영상의 구성은 중간 레벨의 그레이 정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중간 레벨의 그레이에서 빠른 시간에 변하는 영상의 표현시에 블루링(blurring)과 테일링(tailing)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움직이는 영상의 경계에서의 표현이 선명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의 경계 부분의 데이타를 추출하여 외곽라인의 변조를 통해서 동영상의 구현시 선명한 경계를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파/케이블(51) 또는 DV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S60)한 후, 튜닝된 신호를 휘도/색 신호 분리부를 통하여 분리하고(S61), 영상 소스(52)를 통하여 받은 신호에 맞게 휘도/색 분리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화하고(S62), 디지털화된 신호의 영상을 분석(S63) 하며, 상기 영상 분석(S63)시에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타를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환 방법을 통하여 변조시킨 후(S64), 상기 분석된 영상신호와 경계 추출/변조된 신호를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 로 스케일링(Scaling)하고(S65), 스케일링된 정보를 LCD 패널에 인가(S66)시킨다.
상기에서 영상 분석시의 경계부 추출/변조 방법은, 영상 분석된 데이타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다를 경우, 동영상이라 판단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에지 즉, 경계 부분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경계 부분 양단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오버 드라이빙 컨트롤의 효과를 높인다.
좀 더 자세하게, 영상 분석시의 경계부 추출/변조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를 비교(S70)하여 다를 경우에는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고(S71),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 LUT)에서 이전 프레임과 경계 부분의 정보를 이용해서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을 변조하여 출력시키고(S72), 이와 같이 변조된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 값을 경계 부분에서의 액정의 응답속도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영상 분석부에 출력한다(S73).
상기에서 영상 분석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 영상이므로 룩업 테이블(LUT)에서는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변조시키지 않고,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킨다.
상기에서 경계 부분의 정보는 영상의 진행 방향, 속도 및 경계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고,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을 변조한다는 것은 영상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서 배경 화면색과 경계 부분의 데이터와의 중간영역의 계조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추가해서 액정을 다이나믹(dynamic)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입력, 변조 및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계를 나타내는 신호의 경우 주위에 비해 그레이(Gray)의 차이가 어느 정도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블랙(Black)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평균적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배경의 그레이(Gray)는 중간 계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영상의 경계를 나타내는 원래 신호이고, 도 11은 원래 신호를 변조시킨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실제로 LCD 패널상에 변조된 경계 신호를 인가시켰을 때의 패널상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의 응답속도가 계조의 차이가 적을 경우가 계조의 차이가 클 경우에 비해서 2배이상 느리다는 데에서 착안한 것이다.
즉, 원신호의 변조시 배경을 구성하는 계조와 경계를 구성하는 계조의 중간 정도값(도 11의 A영역)의 신호를 영상의 진행 방향의 경계 앞부분에 추가시킴으로써 실제 패널상에 구현시에는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의해 배경 화면의 그레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서(도 12의 A'영역) 사람의 눈에는 변화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액정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에서 경계 신호(블랙)의 인가에 의해 배경 계조에서 바로 블랙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비해 더욱 블랙에 가까운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도 12의 B'영역) 이렇게 형성된 블랙에 가까운 계조는 다음 신호에서 원 신호에 상당하는 블랙값을 구현할 수 있다.(도 12의 C'영역)
또한, 상기와 같이 영상의 진행 방향의 앞부분 뿐만아니라, 영상의 진행 방향의 반대편의 경계에서는 이전 프레임에서 블랙을 나타내고, 현재 프레임에서는 배경을 구현해야 하므로 경계에 반대되는 그레이(여기서는 화이트(White))와 배경 계조의 중간값을 추가시킴으로써(도 11의 D영역), 블랙에서 배경 계조로의 액정의 응답속도를 증가시켜 사람의 눈에 배경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12의 D'영역)
이와 같이 동영상의 진행 방향 앞, 뒤부분의 경계영역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켜서 구동시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 상에 동영상을 구현할 때 경계영역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영상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텍스트(text)의 경계 추출/변환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는 원래의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조된 입력신호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실제로 표시되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text)의 구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액정의 응답속도를 고려한 텍스트 구현 방법에 대한 것으로, 텍스트 경계 부분의 데이타를 추출하여 외곽라인의 변조를 통해서 텍 스트의 구현시 선명한 경계를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파 또는 케이블(8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S80)한 후, 튜닝된 신호를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S81)하고, 필터링시 텍스트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변환 방법을 통하여 변환시킨 후(S82),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텍스트의 경계 추출/변환된 신호를 입력 받아서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영상신호를 처리(S83)한 후,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고(S84), 스케일링된 정보를 LCD 패널에 인가(S85)시킨다.
상기에서 필터링은 텍스트 정보 즉, 텍스트의 경계 데이터, 이동 방향, 속도 및 배경 화면색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텍스트의 경계 부분 추출/변환 방법은, 텍스트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다를 경우, 텍스트가 슬라이딩된다고 판단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에지 즉, 경계 부분의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 후 경계 양단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오버 드라이빙 컨트롤의 효과를 높인다.
좀 더 자세하게, 텍스트의 경계부 추출/변환 방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를 비교(S91)하여 다를 경우에는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S92),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LUT)에서 배경 화면의 데이터와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비교해서 경계 부분의 텍스트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키고(S93), 이와 같이 변조된 데이터 값을 경계 부분에서의 액정의 응답속도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영상신호 처리부에 출력한다 (S94).
상기에서 텍스트 분석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된 텍스트이므로 룩업 테이블에서는 경계 부분을 추출하거나 변조시키지 않고,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킨다.
상기에서 텍스트의 정보는 텍스트의 경계 데이터와 진행 방향 및 속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입력, 변조 및 디스플레이 되는 텍스트(text)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Text) 신호의 경우 화이트나 블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에서는 블랙(Black)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평균적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배경의 그레이(Gray)는 중간 계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0은 공중파나 케이블을 통해 입력된 원래 신호이고, 도 11은 원래 신호를 변조시킨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실제로 LCD 패널상에 구현시켰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의 응답속도가 계조의 차이가 적을 경우가 계조의 차이가 클 경우에 비해서 2배이상 느리다는 데에서 착안한 것이다.
즉, 원신호의 변조시 배경을 구성하는 계조와 텍스트를 구성하는 계조의 중간 정도값(도 11의 A영역)의 신호를 영상의 진행 방향 텍스트(Text) 경계 앞부분에 추가시킴으로써 실제 패널상에 구현시에는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의해 배경 화면 의 그레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서(도 12의 A'영역) 사람의 눈에는 변화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액정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에서 텍스트의 블랙 신호의 인가에 의해 배경 계조에서 바로 블랙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비해 더욱 블랙에 가까운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도 12의 B'영역) 이렇게 형성된 블랙(Black)에 가까운 계조는 다음 신호에서 원 신호에 상당하는 블랙값을 구현할 수 있다.(도 12의 C'영역)
또한, 상기와 같이 텍스트의 진행 방향의 앞부분 뿐만아니라, 진행 방향의 반대편의 텍스트(Text) 경계에서는 이전 프레임에서 블랙(Black)을 나타내고 현재 프레임에서는 배경을 구현해야 하므로 텍스트(Text) 경계에 반대되는 그레이(여기서는 화이트(White))와 배경 계조의 중간값을 추가시킴으로써(도 11의 D영역) 블랙에서 배경 계조로의 액정의 응답속도를 증가시켜 사람의 눈에 배경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도 12의 D'영역)
이와 같이 텍스트(Text)의 진행 방향 전,후의 경계영역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켜서 구동시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 상에 텍스트(Text)를 구현할 때 선명하게 표현하여 식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영상 구현시에 진행 방향 전,후의 경계영역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켜서 구동시키면, 실제 경계 부분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LCD TV 상에 고품위의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슬라이딩 되는 텍스트(Text)의 진행 방향 전,후의 경계영역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켜서 구동시키면, 슬라이딩 되는 텍스트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LCD TV 상에서 정보의 최적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후에 쌍방향 정보 전송-수신 시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공중파/케이블 또는 DVD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신호를 휘도/색 신호 분리부를 통하여 분리하는 단계;
    영상 소스를 통하여 받은 신호에 맞게 상기 휘도/색 분리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화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의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영상 분석시에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타를 추출/변조시키는 단계;
    상기 분석된 영상신호와 경계 추출/변조된 신호를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LCD 패널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경계부 데이터 추출/변조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를 경우에는 영상의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 LUT)에서 상기 이전 프레임과 상기 경계 부분의 정보를 이용해서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을 변조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변조된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 값을 상기 영상 분석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 영상이므로 상기 룩업 테이블(LUT)에서는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부분의 정보는 영상의 진행 방향, 속도 및 경계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부분의 데이터 값 변조는, 영상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서 배경 화면색과 경계 부분의 데이터와의 중간영역의 계조 데이터를 영상의 진행 방향 앞, 뒤부분에 일정시간 동안 추가해서 액정을 다이나믹(dynamic) 상태로 만드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공중파/케이블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튜너(tuner)를 통하여 튜닝하는 단계;
    상기 튜닝된 신호를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시 텍스트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상기 텍스트의 경계 추출/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서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LCD 패널에 맞는 해상도로 스케일링(Scaling)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된 정보를 상기 LCD 패널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시 상기 텍스트의 정보 즉, 텍스트의 경계 데이터, 이동 방향, 속도 및 배경 화면색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경계 부분의 정보를 추출/변환하는 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를 경우에는 움직이는 방향의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LUT)에서 배경 화면의 데이터와 경계 부분의 텍스트 정보를 비교해서 경계 부분의 텍스트의 데이터 값을 변조시키는 단계;
    상기 변조된 데이터 값을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분석시 상기 이전 프레임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텍스트 데이타를 비교하여 같을 경우에는 정지된 텍스트로 판단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는 경계 부분을 추출하거나 변조시키지 않고, 상기 현재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값을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부분의 텍스트의 데이터 값 변조는, 텍스트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서 배경 화면색과 경계 부분의 데이터와의 중간영역의 계조 데이터를 텍스트 진행 방향 전,후의 경계영역에 일정시간 동안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40050383A 2004-06-30 2004-06-30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01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383A KR101016285B1 (ko) 2004-06-30 2004-06-30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383A KR101016285B1 (ko) 2004-06-30 2004-06-30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90A KR20060001290A (ko) 2006-01-06
KR101016285B1 true KR101016285B1 (ko) 2011-02-22

Family

ID=3710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383A KR101016285B1 (ko) 2004-06-30 2004-06-30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195B1 (ko) * 2006-02-09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769196B1 (ko) * 2006-03-20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574A (ja) 2001-08-07 2003-02-21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397478B1 (ko) 1998-12-2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윤곽 보정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478B1 (ko) 1998-12-2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윤곽 보정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JP2003050574A (ja) 2001-08-07 2003-02-21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90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656B1 (ko) 디지털 화질 개선 방법 및 장치
US6044178A (en) LCD projector resolution translation
US6262708B1 (en) Techniques for displaying complex characters
JPH0651721A (ja) 表示制御装置
JPH08251432A (ja) 実時間画像強調技法
JP2007155840A (ja) 画像表示装置、該画像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US105549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thereof
US7684638B2 (en) Dynamic image contrast enhancement device
EP0581594B1 (en)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CN101562712A (zh) 实现数字电视网络视频自适应窗口截取播放的方法
KR100239357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문자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16285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9591259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6999621B2 (en) Text discrimin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JP2003058098A (ja) ホールド型画像表示装置
JP3772262B2 (ja) 画像の型を識別する方法
KR20020033095A (ko) 원래 이미지 픽셀을 n 차원 필터링하는 n 차원 필터 및방법
JPWO2014208383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H0559633B2 (ko)
JP4499095B2 (ja) 画像のピクセルを選択的に平滑化してブリードスルーを低減する方法
JP3193078B2 (ja) システム環境適応型輪郭補償方法
KR100374021B1 (ko) 인터넷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 구동기 및 구동방법
KR100537827B1 (ko) 경계선 분포를 이용한 스캔 영상의 상역 분리 방법
JP3277818B2 (ja) 多値画像2値化装置
JPH0818514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