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748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748B1
KR101014748B1 KR1020080110608A KR20080110608A KR101014748B1 KR 101014748 B1 KR101014748 B1 KR 101014748B1 KR 1020080110608 A KR1020080110608 A KR 1020080110608A KR 20080110608 A KR20080110608 A KR 20080110608A KR 101014748 B1 KR101014748 B1 KR 10101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car assembly
profile
fram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1440A (en
Inventor
이경남
장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8011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748B1/en
Priority to TW98137549A priority patent/TW201024196A/en
Priority to CN200910206761A priority patent/CN101734482A/en
Priority to JP2009255952A priority patent/JP2010111513A/en
Publication of KR2010005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수직 축선을 형성하는 프로파일(profile); 프로파일 또는 카 어셈블리에 마련되어 피이송물을 지지하며, 프로파일의 수직축선을 따라 프로파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카 어셈블리(car assembly); 및 프로파일과 카 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프로파일에 대해 카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로킹/언로킹(locking/unlocking)시키는 로킹/언로킹 유닛(locking/unlock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접촉식 수직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 어셈블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A convey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file forming a vertical axis; A car assembly provided in the profile or the car assembly to support the workpiece, the car assembly being moved up / down relative to the profile along a vertical axis of the profile; And a locking / unlock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rofile and the car assembly to selectively lock / unlock the ca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pro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 assembly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e non-contact vertical conveying device,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nd helping to prevent safety accidents.

이송장치, 프로파일, 로킹/언로킹, 자기부상 Conveyers, Profiles, Locking / Unlocking, Magnetic Levitation

Description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Transport device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수직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 어셈블리를 지지프레임에 기계적으로 접촉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카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a car assembly is mechanically contacted to a support frame in a non-contact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to thereby more stably fix the car assembly.

이송장치란 피이송물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가 될 수 있다. 이 밖에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피이송물을 LCD 기판을 수용한 카세트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veying device is a device for conveying a conveyed object. Her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semiconductors, a tray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substrate or a wafer. Or a cassette. In addition, it can be a variety of logistics, including a general box (box).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object to be convey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assette accommodating the LCD substrate.

최근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에는 LCD, PDP 및 OLED 등의 기판이 있는데, 그 중, LCD는 현재,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flat panel displays (FPDs) have started to appear. A flat panel display is a thinner and lighter image display device than a cathode ray tube (CRT), which is mainly used as a display for a TV or a computer monitor.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substrates such as LCD, PDP, and OLED. Among them, LCD is currently used in electronic clocks, electronic calculators, TVs, notebook PC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utomobiles, aircraft speed displays, and driving systems. It is used widely.

이러한 LCD 등이 적재된 카세트는 LCD 제조 과정동안 각 공정으로 순차적 또는 개별적으로 이송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벨트 컨베이어 등의 수평 이송장치가 이용되거나, 승강 엘리베이터 등의 수직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Cassettes loaded with such LCDs need to be sequentially or individually transferred to each process during the LC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is purpose, a horizontal conveying apparatus such as a belt conveyor is used, or a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such as a lifting elevator is used.

이 중 수직 이송장치는, 일반적으로 지지프레임과, 카세트가 적재되는 업/다운 프레임과, 업/다운 프레임을 업/다운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업/다운 프레임의 업/다운 방식은 기어나 벨트 등을 이용하여 업/다운 프레임과 구동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구동부의 동력으로 업/다운 프레임을 승하강시킨다. 동력 전달 방식이 주로 기어 또는 벨트 등의 기계적인 접촉을 통하여 업/다운 구동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Among these, the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generally includes a support frame, an up / down frame on which a cassette is loaded, and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power to up / down the up / down frame. The up / down method of the up / down frame mechanically connects the up / down frame and the driving unit by using a gear or a belt, and raises and lowers the up / down frame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mainly applied up / down drive through mechanical contact such as gear or belt.

그런데, 이와 같이 접촉식 방식의 수직 이송장치는, 업/다운 프레임과 지지프레임 간의 접촉 영역에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될 소지가 높아 반도체 기판이나 혹은 LCD 기판 등의 공정에 요구되는 클린 룸과 같은 설비에 적용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식 방식의 업/다운 구조는 접촉 영역에서 소음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접촉식 구조로 인해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업/다운 프레임의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힘들다.However, the contact type vertical transfer device has a high possibility of generating particles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 / down frame and the support frame, such as a clean room required for a process such as a semiconductor substrate or an LCD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contact type up / down structure inevitably causes noise in the contact area, and also ha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is degraded due to the contact structur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keep the up / down frame rate stab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과 업/다운 프레임 간의 접촉 영역을 비접촉 방식으로 구성하는 이송장치가 도입된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마찰이나 기계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파티클 발생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소음의 발생을 감소될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이나 마찰 등의 외부 교란 요인을 제거할 수 있어 업/다운 프레임의 속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y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up / down frame in a non-contact manner is introduced. Since the transfer device has no friction or mechanical contact, particle gener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noise can be reduced,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and external disturbance factors such as heat and friction can be eliminated, which enables more stable control of the speed of the up / down frame.

그러나, 이러한 비접촉 방식의 업/다운 프레임은, 지지프레임 상에 직접 접촉 또는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업/다운 프레임을 고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는 프레임 간에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없이 업/다운 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간격이 이격된 채 부상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업/다운 프레임 상에 피이송물의 인입 및 취출 시에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한 업/다운 프레임이 흔들리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피이송물을 인입 또는 취출하는 과정에서 업/다운 프레임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한 상태를 야기한다면, 피이송물이 파손되는 등의 작업 생산성이 저해될 수 있고 임의 추락 등으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된다.However, such a non-contact up / down frame is not easy to fix the up / down frame because it is not directly contacted o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his is because the up / down frame is float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support frame without any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frames. 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a phenomenon of shaking or twisting the up / down frame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may occur when the object is drawn in and taken out on the up / down frame. If the up / down frame is shaken or unstable in the process of entering or taking out the transfer object, productivity of work such as damage of the transfer object may be impaired and the safety of the operator may be a problem due to the arbitrary fall. .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식 수직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 어셈블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ort apparatus that can more stably fix a car assembly in a non-contact vertical transport apparatus,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nd helping to prevent a worker's safety acciden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축선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 또는 상기 카 어셈블리에 마련되어 피이송물을 지지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수직 축선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카 어셈블리(car assembly); 및 상기 프로파일과 상기 카 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상기 카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로킹/언로킹(locking/unlocking)시키는 로킹/언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 profile forming a vertical axis; A car assembly provided in the profile or the car assembly to support a workpiece, the car assembly being moved up / down relative to the profile along a vertical axis of the profile; And a locking / unlock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rofile and the car assembly to selectively lock / unlock the ca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profile. do.

상기 로킹/언로킹 유닛은, 상기 카 어셈블리와 상기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다른 하나를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로커; 및 상기 로커와 연결되며, 상기 로커가 상기 접근 및 이격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로커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 unlocking unit may include: a rock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r assembly and the profile to approach and space away from one another; And a rocker driver connected to the rocker and driving the rocker so that the rocker is driven in the approaching and separating directions.

상기 로커와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카 어셈블리에 마련될 수 있다.The rocker and the rocker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로커를 지지하는 로커하우징; 상기 로커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커하우징을 상기 카 어셈블리가 업/다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로커하우징과 간섭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카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더미블록; 및 양단이 상기 더미블록과 상기 로커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cker driving unit, the rocker housing for supporting the rocker; An actua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cker housing to drive the rocker housing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car assembly is moved up / down; A dummy block connected to the car assemb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cker housing; And arms at both ends freely rotatable to the dummy block and the rocker.

상기 로커는 비동력 방식의 자유 회전형 롤러일 수 있다.The rocker may be a non-powered free rotating roller.

상기 로커는 장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cker may have a jang shape.

상기 로커에 인접되는 상기 프로파일의 측면은 상기 로커의 측면에 형성된 장구형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장구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profile adjacent to the rocker may form an elongated protrusion that is shaped with an elongated groove formed in the side of the rocker.

상기 로커하우징에는, 상기 롤러에 결합되는 롤러축이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rocker housing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shaft so that the roller shaft coupled to the rolle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relative to the profile.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롤러축이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로커하우징의 측면에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hole may be provided as a long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rocker hous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shaft is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profile.

상기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카 어셈블리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rame supporting the profile; And an up / down driving part partially coupled to the frame to up / down drive the car assembly.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 어셈블리의 임의 추락에 대해 탄성적으로 저항하는 다수의 추락 방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ll prevention spring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o elastically resist against any fall of the car assembly.

상기 카 어셈블리의 업/다운 이동 시 상기 프레임의 내외측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동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카 어셈블리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일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ir inlet / discharge unit provided on any one side of the frame or the car assembly for the smooth flow of the air flow formed in and out of the frame when the car assembly moves up / down, The water may be a cassette on which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is loaded.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수직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 어셈블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 assembly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e non-contact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nd helping to prevent worker safety accident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cassette)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피이송물을 카세트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 to be described below i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a semiconductor, a substrat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a tray or a cassette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wafer, as well as various logistic products including a general box.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as a casset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면도이고, 도 4는 이송장치의 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킹/언로킹 유닛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로커의 언로킹 및 로킹 동작을 도시한 로킹/언로킹 유닛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top view of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a car assembly of the transfer apparatus, and FIG. 5 is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shown in FIG. 3, and FIGS. 7A and 7B are locking / showing unlocking and locking operations of the locker. Side view of the unlocking uni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업/다운 수직 축선을 형성하는 프로파일(110) 실질적으로 피이송물(미도시)을 지지하며 피이송물(미도시)과 함께 업/다운되는 카 어셈블리(200) 카 어셈블리(200)에 마련되어 카 어셈블리(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킹/언로킹 유닛(260, 27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conveyed object (not shown)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conveyed object (not shown) which forms the vertical axis up /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r assembly 200 which is up / down together with the car assembly 200 includes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and 270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car assembly 20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에 대한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프로파일(110,112)을 비롯하여 프레임(100) 하단의 이송구동부(300) 및 공기유입/배출부(400)를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box) 구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100)은 금속 프레임을 가로 및 세로로 상호 조립하여 제작되며 대부분의 측벽은 개방되어 있다. 피이송물(미도시)을 다층 간에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복수의 프레임을 제작하고 이를 적층시켜 프레임(100)을 제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rame 100 is a part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profiles 110, 112, the conveying drive unit 300 and the air inlet / bottom of the frame 100 Support the discharge unit 400. As shown in FIG. 1,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100 is fabricated by assembling the metal fram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ith each other and most of the side walls are open.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not shown) between the multilayers, a plurality of frames may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and stacked to manufacture the frame 100.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측면이 대칭되므로 이하의 설명은 일측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ame 10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only for the structure of one side.

프레임(100)의 양 측면부에는 한 쌍의 프로파일(110)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로파일(110)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호 대칭되는 2개의 경사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의 횡단면 구조를 가지는데, 프로파일(110)의 2개의 경사면에는 각각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 maglev up/down guide unit)이 대응되어 배치된다. 프로파일(110)은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과 상호 작용하여 비접촉된 상태에서 카 어셈블리(2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On both side portions of the frame 100, a pair of profiles 1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3 and 5, the profile 110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two inclined surfac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two inclined surfaces of the profile 110 are each contactless up / down guide unit 220. 230, maglev up / down guide units) are arranged correspondingly. The profile 110 interacts with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to form a moving path of the car assembly 200 in a non-contact state, for which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connected.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프로파일(110, 112)은 압출 성형 방식을 통해 제작된다. 프로파일(110, 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빈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타입으로 마련된다. 이 내부 공간을 통해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10)의 경사면 상에 스틸 블록(111, 113)이 볼트 결합된다.Profiles 110 and 112 ar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The profiles 110 and 112 are provided in a hollow type in which empty spac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is internal space, steel blocks 111 and 113 are bolted on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file 110 as shown in detail in FIG. 5.

프로파일(110)의 일측 선단부 즉,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 부근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는 로킹/언로킹 유닛(260)의 로커(261)와 대응되는 부분이므로 로킹/언로킹 유닛(260)의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e end of the profile 110, that is, the shape near the vertex of the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4, is produced in a protruding shape. This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locker 261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카 어셈블리(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프레임(100) 내부에 마련되어, 프레임(10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카세트(미도시)와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수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카 어셈블리(200)는,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1)과, 지지프레임(201) 상에 마련되어 프로파일(110)의 2개의 경사면을 추종하며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하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 240, 250)과, 이에 인접 배치되어 카 어셈블리(200)의 로킹 및 언로킹을 위한 로킹/언로킹 유닛(260, 27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ar assembly 20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100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rame 100, and substantially has a cassette (not shown). It serves to transfer vertically by contact with. 4, the car assembly 200 includes a support frame 201 and a non-contact up / down guid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201 to follow two inclined surfaces of the profile 110 to form a movement path. Units 220, 230, 240, 250 and adjacent to and positioned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27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car assembly 2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1)은 수직 지지프레임(202)과 수평 지지프레임(203)을 포함하는데, 수직 지지프레임(202)은 사각형 형상으로,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측면부 상부 영역에는 한 쌍의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이 구비되고, 측면부의 하부 영역에 한 쌍의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40, 25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frame 201 includes a vertical support frame 202 and a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ㅁ' shape. do. A pair of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and a pair of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40 and 250 ar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do.

수평 지지프레임(203)은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내부 관통 공간 상에 배치되어 수평 지지프레임(203)과 결합되는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관통 공간 위에 수평 지지프레임(203)의 중앙 영역이 안착되어 결합되게 한다.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is disposed on the inner through spac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and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The central reg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is seated on the rectangular through-hole. To be combined.

또한, 수평 지지프레임(203)과 수직 지지프레임(202) 사이에는 보강 지지프 레임(204)이 결합된다. 이는 수직 지지프레임(202)과 수평 지지프레임(203) 간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외곽 프레임(207)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 어셈블리(200)의 외곽을 형성한다. 외곽 프레임(207)의 상부 영역에는 공기 유입/배출부(40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수평 지지프레임(203)과 수직 지지프레임(202)에 보강 지지프레임(204)과 외곽 프레임(207)을 형성함으로써, 수직 지지프레임(202)과 수평 지지프레임(203) 간의 체결력이 확보될 수 있고, 수평 지지프레임(203) 상에 적채되는 카세트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upport frame 204 is coupl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and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This is to reinforce the coupling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and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In addition, the outer frame 207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form the outline of the car assembly 200. An air inlet / outlet 400 is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outer frame 207. As such, by forming the reinforcing support frame 204 and the outer frame 207 i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and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and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can be secured. It can be, and can more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cassette being held o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수평 지지프레임(203) 상에는 카세트의 적재와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이송 롤러(204)들와 구동 모터(205)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includes a pair of feed rollers 204 and a drive motor 205 to facilitat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ssette.

이송 롤러(204)는 실질적으로 카세트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므로 카세트가 이송 롤러(204)에 의해 접촉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카세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이송 롤러(204)의 재질은 우레탄이나 실리콘, 혹은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The transfer roller 204 i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contacts the cassette. Since the cassette on which the substrate is loaded has a property that is very vulnerable to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material of the transfer roller 204 may be buffered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cassette is buffered during the cassette being contacted and transferred by the transfer roller 204. Silver can be made of urethane, silicone or rubber.

이러한 이송 롤러(204)들은 수평 지지프레임(203) 상의 양측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206)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각 회전축(206)에는 회전축(206)에 인접 배치되는 구동 모터(205)가 연결되어 있어, 회전축(206)에 연결된 이송 롤러들은 구동될 수 있다. 양 측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205)는 동기 제어될 수 있다.These feed rollers 204 are arranged in a row on both sides o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03,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rotation shafts 206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a driving motor 205 disposed adjacent to the rotating shaft 206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ng shafts 206, so that the transfer roller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06 may be driven. The drive motors 205 provided on both sides may be synchronously controlled.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205)와 회전축(206) 사이에 베벨 기어(미도시)로 연결되고 회전축(206)과 각 이송 롤러(204) 역시 베벨 기어(미도시)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205)가 작동됨에 따라 각 이송 롤러(204)가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이송롤러의 개수와 구동 모터와 이송 롤러 간의 구동 방식 등은 적절하게 선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지프레임에 갖춰진 회전축의 개수 역시 적절하게 선택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evel gear (not shown)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e motor 205 and the rotating shaft 206, and the rotating shaft 206 and the respective feed rollers 204 are also connected by the bevel gear (not shown) to drive the motor. Each feed roller 204 is rotated as the) is operated.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feed rollers coupled to one rotary shaft and the driving method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feed roller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rotating shafts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may also be appropriately changed.

이와 달리, 이송 롤러마다 개별 구동 모터(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송 롤러들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한쌍의 회전축은 생략되며, 복수의 개별 구동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별 구동 모터(미도시)의 동작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면, 카세트의 이송과 관련한 동작상의 효율, 구조 및 동력 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individual drive motors (not shown) may be used for each transfer roller. In this case, a pair of rotation shaft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es of the transfer rollers may be omit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driving motors (not shown). By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riving motors (not shown) to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not shown), there may be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structure and power efficiency associated with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종래의 접촉 방식의 카 어셈블리에 비해 비접촉 방식으로 구동되어 카 어셈블리에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이 구비되는데,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r assembly of the contact type is driven in a non-contact manner, the ca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20, 230),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20, 2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do.

본 실시예와 같은 카 어셈블리(200)는 프레임(100)에 비접촉식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카 어셈블리(200)와 프레임(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채 카 어셈블리(200)가 프레임(100) 상에 마련된다. 따라서 카 어셈블리(200)와 프레임(100)간의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카 어셈블리(200)에서 카세트를 적재 및 취출하는 과정에서 카 어셈블리(200)가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카세트를 적재 또는 취출하는 과정에서 카 어 셈블리(200)가 흔들리거나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작업 생산성이 저해될 뿐 아니라 카세트의 파손을 야기할 가능성도 있고 카 어셈블리(200)의 추락 등으로 작업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해가 된다.Since the car assembly 2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rame 100 in a non-contact manner, the car assembly 200 is connected to the frame 100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between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frame 100. ) Is provided.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frame 100 is relatively weak.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 assembly 200 may not be stably fixed in the process of loading and taking out the cassette from the car assembly 200. If the car assembly 200 is shaken or unstable in the process of loading or ejecting the cassette, not only productivity may be impaired, but also the cassette may be damaged, and a worker may fall due to the fall of the car assembly 200. This is a serious hazard to your safety.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에는 로킹/언로킹 유닛(260,270)이 구비된다. 로킹/언로킹 유닛(260,2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200)의 양 측부에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230, 240,250) 사이에 마련되어 카 어셈블리(200)의 업/다운이 정지될 때 카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외부 요인에 의한 외란에 대응하여 카 어셈블리(20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o prevent this, the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and 270. The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and 270 are provided between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230, 240 and 250 at both sides of the car assembly 200, as shown in FIG. 4, to up / down the car assembly 200. When the vehicle assembly 200 is stopped, the position of the car assembly 200 is fixed so that the car assembly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response to disturbance caused by external factors.

로킹/언로킹 유닛(260,270)은 상호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업/다운 안내유닛(220,230) 사이와 다른 한 쌍의 업/다운 안내유닛(240,250) 사이에 각각 한 개씩 마련된다. 이에 따라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일측 부분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1개씩의 로킹/언로킹 유닛(260,270)이 마련되는데, 이들 로킹/언로킹 유닛(260,270)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일측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로킹/언로킹 유닛(26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On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270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tween a pair of up / down guide units 240 and 250, respectively. Accordingly, on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270 is provid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e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270 perform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Only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provided in one upper region of the support frame 202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언로킹 유닛(260)은 카 어셈블리(20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230)의 인접하게 마련된다. 로킹/언로킹 유닛(260)은 카 어셈블리(200)에 마련되어 프로파일(110)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로커(261)와, 로커(261)와 연결되어 로커(261)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26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is provided adjacent to a pair of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r assembly 200.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is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200 and includes a rocker 261 that is approached and spaced toward the profile 110, and a rocker driver 263 connected to the rocker 261 to drive the rocker 261. ).

로커(261)는 프로파일(110)의 일측 선단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로커(261)는 자유 회전형 롤러로 마련된다. 로커(261)의 측면은 장구 형상을 가지는데, 프로파일(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구형 돌출부(115)와 형상맞춤될 수 있도록 로커(261)의 측면에는 장구형 홈부(263)가 형성된다. 이는 프로파일(110)의 선단부와 로커(261) 측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로킹 동작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선단부와 직접 접촉하는 로커(261)의 형상이 자유 회전형 롤러(261)로 마련됨으로써, 접촉 지지 과정 및 접촉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The rocker 261 i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contacts the one end of the profile 110, and the rocker 261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ree rotating roller. The side of the rocker 261 has a long shape, the long side groove portion 26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ocker 261 so that the locker 261 can be matched with the long projection 115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file (110). . This serves to increase friction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ip of the profile 110 and the side of the rocker 261. Due to this, the locking operation can be kept stabl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rocker 261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profile 110 is provided with a free-rolling roller 26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pact that can occur during the contact support process and the process of the release contact is minimized. .

로커구동부(263)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261)와 프로파일(110)이 접촉 지지되는 로킹 동작과 접촉 지지가 해제되는 언로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예기치 못한 외란에 의해 로킹 동작이 해제되지 않도록 로킹구동부(263)의 구조는 신뢰성있게 제작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rocker driving unit 263 may perform a locking operation in which the rocker 261 and the profile 110 are in contact support and an unlocking operation in which the contact support is release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river 263 needs to be manufactured reliably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is not released by unexpected disturbance.

로커구동부(263)는 프로파일(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함)으로의 로커(261)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로커구동부(263)는, 로커(261)를 지지하며 로커(261)가 카 어셈블리(20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일측의 피봇축(2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로커하우징(264) 및 로커하우징(264)의 주변에 배치되어 로커하우징(264)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면서 로커하우징(264)을 회동 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65)를 포함한다.The rocker driver 263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ocker 261 in th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X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profile 110. The rocker driving unit 263 supports the rocker 261 and the rocker housing 264 and the rocker which can be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268 on one side so that the rocker 261 can b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car assembly 200. The actuator 265 is disposed around the housing 264 to rotate the rocker housing 264 while approaching and spaced toward the rocker housing 264.

로커하우징(264)은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측벽 부분과 측벽 부분의 사이에 마련되어 측벽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로커하우징(264)의 측벽 부분의 일 영역에는 로커(261)가 자유회전할 수 있는 회동축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커하우징(264)의 상부 일 영역에는 피봇축(268)이 형성되어 있어 로커하우징(264)이 카 어셈블리(200)에 연결되고, 로커하우징(264)은 피봇축(268)을 중심으로 카 어셈블리(200)에 대해 상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로파일(110)에 대해 X 방향으로 로커(261)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로커하우징(264)의 타단부에는 플랜지부(264b)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부(264b)와 카 어셈블리(200)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269)이 삽입 결합된다. 복원 스프링(269)의 일단은 카 어셈블리(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플랜지부(264b)의 측면에 결합되어 로커하우징(264)이 피봇축(26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경우에 시계방향의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rocker housing 264 is formed between a pair of sidewall part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support portion that interconnects the sidewall parts. In one reg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rocker housing 264, a rotation shaft to which the rocker 261 can freely rotate is formed. In addition, a pivot shaft 268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cker housing 264 so that the rocker housing 264 is connected to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rocker housing 264 is formed around the pivot shaft 268. It is possi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assembly 20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rocker 261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file 110 is changed. The other end of the rocker housing 264 has a flange portion 264b protruding upward, and a restoring spring 269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264b and the car assembly 200. One end of the restoring spring 269 is coupled to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flange portion 264b so that the rocker housing 264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pivot shaft 268. Allow for clockwise resilience to be applied.

로커하우징(264)의 하부 영역에는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이 구비된다.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은 전달블록(267)의 단부와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데,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에는 전달블록(267)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달블록(267)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촉슬라이딩블록(264a)과 전달블록(267)의 경사면이 상호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점차 전달블록(267)이 로커하우징(264)과 카 어셈블리(200) 사이에 삽입되는 결과 로커하우징(26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프로파일(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함)으로 로커(261)의 X축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 로커의 x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증가하게 되면 결국에는 프로파 일(110)의 선단부와 형상맞춤되어 로킹이 이루어진다.A contact sliding block 264a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ocker housing 264.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slid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ransfer block 267.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block 267. As a result, as the transfer block 267 moves upwar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and the transfer block 267 slide to each other, thereby gradually transferring the transfer block 267 to the rocker housing 264 and the car assembly. As a result, the rocker housing 26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is substantially changes the X-axis position of the rocker 261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profile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X direction).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rocker in the x-axis direction increases, eventually locking is performed by conforming to the tip portion of the profile 110.

이와 같은 구조의 로킹/언로킹 유닛은, 로커(261)가 프로파일(110)의 선단부에 형상 맞춤되어 로킹된 상태에서, 로킹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경우 X방향의 힘에 의해 로커(261)의 로킹이 프로파일(110) 선단부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카 어셈블리(200) 상에 외란이 가해지는 경우 외란이 가해질 경우에 작용하는 외란의 작용 방향에 대하여 액추에이터(265)의 작동 방향을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로커(261)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로커(261)의 해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 unlocking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is configured to lock the locker 261 by the force in the X direction when the locking force is relatively weak while the locker 261 is shaped and locked to the front end of the profile 110.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being released from the tip of the profile 110. In other words, when the disturbance is applied on the car assembly 200, the force applied to the rocker 261 is properly applied by arrangi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265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disturbance acting when the disturbance is applied. It can be distributed. This can prevent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rocker 261.

본 실시예에서의 액추에이터(265)는 실린더(265)로 마련되고, 실린더(265)의 구동 방식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265)는 실린더본체와 실린더본체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수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로드(266)를 구비한다.The actuator 265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ylinder 265, the driving method of the cylinder 265 may be hydraulic or pneumatic. The actuator 265 has a cylinder body 266 coupled to the cylinder body and the length and shrinkage of the cylinder body.

전달블록(267)은 실린더로드(266)의 단부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266)의 선형 운동을 로커하우징(264)의 회동 운동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전달블록(267)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달블록(267)의 상부에는 로커하우징(264)의 하부의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전달블록(267)의 하부는 액추에이터(265)의 로드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액추에이터(265)의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된 길이만큼 전달블록(267)은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transfer block 267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rod 266 to transfer the linear movement of the cylinder rod 266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cker housing 264. The transfer block 267 is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inclined surface sliding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at the bottom of the rocker housing 264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block 267.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lock 267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rod of the actuator 265 so that the transfer block 267 moves in the Z direction by the length of the rod that is extended or reduced as the rod of the actuator 265 extends or contracts. Done.

이와 같은 구성의 로킹구동부를 제작하게 되면, 로킹구동부(263)의 액추에이터(265) 예를 들면, 실린더(26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액추에이 터(265) 및 전달블록(267)과 로커하우징(264) 사이에 구조적으로 직접적인 연결이 되지 않은 채 별도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어서, X축 방향의 외란이 가해지는 경우에 로커하우징(264)에 가해지는 외란이 별도의 모듈로 설계된 전달블록(267) 및 액추에이터(265)에는 최소화될 수 있어 액추에이터(265)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locking drive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manufactured, damage to the actuator 265 of the locking drive unit 263, for example, the cylinder 265,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actuator 265 and the transfer block 267 and the rocker housing 264 can be formed as a separate module without a direct structural connection, the rocker when the disturbance in the X-axis direction is applied The disturbance applied to the housing 264 may be minimized to the transmission block 267 and the actuator 265 designed as separate modules to prevent malfunction and breakage of the actuator 265.

로킹/언로킹 유닛(260)의 로킹/언로킹 동작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65) 로드가 길이 연장될 경우 로드에 결합되어 있는 전달블록(267)이 Z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전달블록(267)의 상부의 경사면과 로커하우징(264)의 하부의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의 경사면이 상호 접촉하고 전달블록(267)이 Z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들 경사면은 면접촉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이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로커하우징(26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접촉슬라이딩블록(264a)에 전달블록(267)이 상방으로 삽입되는 깊이에 대응하여 로커하우징(264)의 반시계 방향의 회동각이 커지게 된다. 결국 로커(261)의 측면부가 프로파일(110)의 일측 선단부에 접촉되고 로커하우징(264)의 X축 방향의 가압력이 유지된 채 로커(261)의 장구형 홈부(262)가 프로파일(110)의 장구형 돌출부(115)와 형상맞춤되어 로킹 동작이 완료된다.The locking / unlocking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will be described briefly.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transfer block 267 coupled to the rod when the cylinder 265 rod is extended in length is illustrated. ) Moves in the Z direction. Then,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block 267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at the bottom of the rocker housing 26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se inclined surfaces are in a surface contact state as the transfer block 267 moves in the Z direction. Sliding at. As the sliding sliding block 264a slides, the rocker housing 264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angle of the rocker housing 264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depth in which the transfer block 267 is inserted upward in the contact sliding block 264a. Eventually, the long side groove portion 262 of the rocker 261 is formed in the profile 110 while the side portion of the rocker 261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profile 110 and the pressing force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rocker housing 264 is maintained. The locking operation is completed by conforming to the jangular projection 115.

이와 달리, 언로킹 동작은, 실린더(265) 로드가 길이 수축될 경우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되어 로커(261)의 측면부가 프로파일(110)의 일측 선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때, 전달블록(267)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커하우징(264)의 상단부에 마련된 복원 스프링(268)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커하우징(264)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rod of the cylinder 265 is contracted in length, the un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so that the side portion of the rocker 261 is spaced apart from the one end of the profile 110. At this time, as the transfer block 267 moves downward, the restoring spring 268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ocker housing 264 rotates clockwis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로킹/언로킹 유닛(260)은 카 어셈블리(200)가 업/다운 동작이 정지된 경우, 예를 들면, 카세트의 인입과 취출 과정 등과 같은 카 어셈블리(200)의 정지 상태를 요하는 경우에 카 어셈블리(200)의 상하 이동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 어셈블리(2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외부 요인에 의한 외란에 대응하여 카 어셈블리(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As such,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may require a stopped state of the car assembly 200 such as, for example, a cassette insertion and withdrawal process when the car assembly 200 is stopped up / down. In this case it serves to block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r assembly 200. In addition, the car assembly 200 may be prevented from shaking to allow the car assembly 200 to be stably fixed in response to disturbance caused by external factors.

이로 인해 피이송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카 어셈블리(200)의 임의 추락이 방지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workpiece can be more stably transported,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nd preventing any fall of the car assembly 200, thereby ensuring safety for the operator.

또한, 카 어셈블리(200)의 운행 중에는 로킹/언로킹 유닛(260)의 로커(261)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230)의 마그네트(223,23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265)의 로드가 완전히 수축한 상태인 언로킹 상태에서 로커(261)와 프로파일(110)의 일측 선단부 사이의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도 7a의 A 구간)이 유지된다. 이 간격은 마그네트(223,233)와 프로파일(110)의 스틸 블록(111,113)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즉, 외부 요인에 의해 카 어셈블리(200)의 위치가 평형이 깨진다 하더라도 마그네트(223,233)가 스틸 블록(111,113)에 충돌하기 전에 로커(261)가 프로파일(110)의 장구형 돌출부(115)에 먼저 접촉함으로써, 마그네트(223,233)와 스틸 블록(111,113) 사이의 충돌을 저지시켜 마그네트(223,233)를 보호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er 261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serves to protect the magnets 223 and 233 of the contactless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while the car assembly 200 is in operation. In the unlocked state in which the rod of the cylinder 265 is fully retracted, a predetermined interval (section A in FIG. 7A) is maintained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rocker 261 and one end of the profile 110. This spacing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magnets 223 and 233 and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of the profile 110.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ar assembly 200 is broken due to an external factor, the rocker 261 first contacts the elongated protrusion 115 of the profile 110 before the magnets 223 and 233 collide with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By contact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magnets 223 and 233 and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is prevented to protect the magnets 223 and 233.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그네트(223,233)에 이상 원인이 발생되거나 혹은 진동 등의 외부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에 카 어셈블리(200)의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고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의 마그네트(223,233)와 프로파일(110) 사이의 갭이 변화되어, 마그네트(223,233)가 직접 스틸 블록(111,113)에 충돌하여 마그네트(223,233)가 손상될 가능성이 생긴다. 이럴 경우, 로커(261)가 먼저 프로파일(110)의 선단부와 접촉되어 x축 방향으로의 카 어셈블리(200)의 이동을 저지시킴으로써, 마그네트(223,233)가 프로파일(110)의 스틸 블록(111,113)에 직접 접촉할 가능성을 차단한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where an abnormal cause occurs in the magnets 223 and 233 or an external disturbance such as vibration occur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 assembly 200 is moved and the magnet of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20 moves. The gap between 223 and 233 and the profile 110 is changed, so that the magnets 223 and 233 directly collide with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and the magnets 223 and 233 may be damaged. In this case, the rocker 261 first contacts the tip of the profile 110 to prevent movement of the car assembly 200 in the x-axis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magnets 223 and 233 to contact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of the profile 110. Block the possibility of direct contact.

한편,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200) 상에 마련되어 프레임(100)에 대해 카 어셈블리(200)가 상대이동할 때 카 어셈블리(200)와 프로파일(110) 간의 접촉이 방지되며 카 어셈블리(200)가 프로파일(110) 상을 슬라이딩하게 된다.Meanwhile,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provided on the car assembly 200, as shown in FIG. 5, when the car assembly 200 moves relative to the frame 100. )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profile 110 and the car assembly 200 slides on the profile 11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 240, 250)은,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각각 동일한 개수와 동일한 위치로 설치되어 프로파일(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230, 240, and 2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r assembly 200 may hav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In each of the same number and the same posi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stably with respect to the profile (110).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will be described.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은,프로파일(110)의 경사면 상에 마련되는 스틸 블록(111, 113)과, 유닛본체(222, 232)와, 유닛본체(222, 232)의 단부에 마련되어 스틸 블록(111, 113)과 사이에 부상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23, 233)와, 유닛본체(222, 232)에 마련되어 마그네트(223, 233)와 스틸 블록(111, 113) 간의 갭을 센싱하는 갭 센서(224, 234)를 구비하는 마그네트 어셈블리(221, 231)를 포함한다.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include steel blocks 111 and 113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file 110, unit bodies 222 and 232, and end portions of the unit bodies 222 and 232. The magnets 223 and 233 provided in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to generate floating force therebetween, and the gaps between the magnets 223 and 233 and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provided in the unit bodies 222 and 232. And magnet assemblies 221 and 231 having gap sensors 224 and 234 for sensing them.

스틸 블록(111, 113)은 프로파일(110)의 삼각형 형상의 2개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된다. 스틸 블록(111, 113)은 스틸 블록(111, 113)에 인접 배치되는 마그네트 어셈블리(221, 231)와 상호 작용하여 마그네트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통해 카 어셈블리(200)를 자기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are formed along two inclined surfaces of the triangle 110 of the profile 110.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interact with the magnet assemblies 221 and 231 disposed adjacent to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to serve to magnetically injure the car assembly 200 through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gnet.

유닛본체(222, 232)는 수직 지지프레임(202)의 상부 및 하부 영역 상에 프로파일(110)의 2개의 경사면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각 유닛본체(222, 232)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프레임(100) 상의 프로파일(110)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The unit bodies 222 and 232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wo inclined surfaces of the profile 110 o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2. To this end, the unit bodies 222 and 232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file 110 on the frame 100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마그네트(223, 233)는 유닛본체(222, 232)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스틸 블록(111, 113)과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한다. 마그네트(223, 23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 증감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상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110)의 각 경사면 상에 마그네트(223, 233)를 상하에 2개씩 인접 배치하여 자기장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The magnets 223 and 233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unit bodies 222 and 232 to directly interact with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to form a magnetic field. The magnets 223 and 2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induc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urrent, thereby adjusting the floating for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wo magnets 223 and 233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file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카 어셈블리(200)에 마련되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과 스틸 블록(111, 113)은 소정의 갭(gap)을 형성하면서 부상하게 된다.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이 카 어셈블리(200)의 중앙을 기점으로 카 어셈블리(200)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호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부상력이 서로 상쇄되면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어진다.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nd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200 may float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gap.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r assembly 200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car assembly 200 and are inclin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ft force cancels each other and the X-axis direction and Y Alignment is done in the axial direction.

이처럼, 비접촉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이 프로파일(110) 경사면을 비접촉하여 추종하게 되고, 이로 인해 카 어셈블리(200)가 프레임(100)에 대해 비접촉하며 업/다운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may non-contact and follow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file 110, thereby allowing the car assembly 200 to be non-contact with the frame 100 and up / down.

갭 센서(224, 234)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과 프로파일(110) 사이의 갭을 측정한다. 이러한 오차 신호를 고려하여 마그네트(223, 233)로 향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갭 센서(224, 234)에 의해 측정된 오차 신호는 피드백(feedback)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실제 갭과 기준 갭의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 보정은 전류의 증감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국 에러를 보정한 결과 기준 갭을 유지한 상태로 카 어셈블리(20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gap sensors 224 and 234 measure the gap between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nd the profile 110.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directed to the magnets 223 and 233 in consideration of such an error signal. The error signals measured by the gap sensors 224 and 234 are fed back,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corrects the errors between the actual gap and the reference gap. This error correction is mad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urrent. As a result, the balance of the car assembly 200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reference gap as a result of correcting the error.

이러한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은 프로파일(110) 하나당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개씩 마련됨으로써, 카 어셈블리(200)의 프로파일(110)에 대한 추종성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Two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profile 110, respectively, so that following the profile 110 of the car assembly 200 can be more stably implemented. .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에 설치된 마그네트(223, 233, 243, 253)가 프로파일(110) 상에 마련된 스틸 블록(111, 113)과의 상호작용으로 자기부상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 230)의 자기부상 방식은 흡인식, 영구자석 반발식, 상전도 흡인제어방식, 유도 반발식 등과 같은 다양한 부상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s 223, 233, 243, and 253 installed in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s 220 and 230 are magnetically injured by interaction with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provided on the profile 110. Although described as being made, the magnetic levitation method of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20, 230) can be used a variety of floating methods such as suction, permanent magnet repulsion, phase conduction suction control, inductive repulsion, etc. .

다시 도 1 또는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하단 영역에는 이송구동부(300)가 마련된다. 이송구동부(300)는, 복수의 회전 모터(301)와, 와이어(302)와 고정 도르래(303)를 기준으로 회전 모터(301)의 반대측 상에 마련되는 밸런스 바아(304)를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or 2 together, the transfer driving unit 300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rame 100. The transfer driving par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rotary motors 301 and a balance bar 304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ry motor 301 with respect to the wire 302 and the fixed pulley 303.

회전 모터(301)는 프레임(100)의 양 측에 인접 배치되는데, 회전 모터(301)는 프레임(100)의 프로파일(110, 12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2개씩 전부 4개가 마련된다. 따라서, 카 어셈블리(200)의 기울어짐, 틀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4개의 회전 모터(301)는 동기 제어될 필요가 있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e rotary motors 301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frame 100, and the rotary motors 301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profiles 110 and 120 of the frame 100, and four of them are provided. Therefore, the four rotary motors 301 need to be synchronously controlled to prevent the car assembly 200 from tilting and twisting,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ar assembly 2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와이어(302)의 일단은 회전 모터(301)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다른 일단은 카 어셈블리(200)에 연결되게 된다. 그 사이에 고정 도르래(303)를 기준으로 양단에 마련된다.One end of the wire 302 is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301 and wou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ar assembly 200. In the meantime, the fixed pulley 303 is provided at both ends.

와이어(302) 상의 일 구간에는 밸런스 바아(304)가 설치되어 적은 동력으로 카 어셈블리(200)를 상대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A balance bar 304 is installed in one section on the wire 302 to relatively move the car assembly 200 with less pow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이송장치는, 프레임(100) 상에 설치된 회전 모터(301)와 이에 연결된 와이어(302)와 고정 도르래(303)에 의해서 Z축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발생한다. 카 어셈블리(200)에 마련된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20)과 프레임(100) 상의 스틸 블록(111, 113) 사이에 자기부상 효과가 작동하여 카 어셈블리(200)를 프레임(100)에 대해 비접촉시킨 다음, 이송구동부(300)가 실질적인 수직 업/다운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the driving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rotary motor 301 provided on the frame 100, the wire 302 and the fixed pulley 303 connected thereto. The magnetic levitation effect is operated between the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20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steel blocks 111 and 113 on the frame 100 so that the car assembly 20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rame 100. Then, the transfer driving unit 300 performs a substantial vertical up / dow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의 중앙 영역 부근에는 카 어셈블리(200)의 임의 추락에 대해 탄성적으로 저항하는 다수의 추락 방지용 스프링(130)이 더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all preventing springs 130 may be further provided near the central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o elastically resist any fall of the car assembly 200.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스프링(130)이 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호 대칭되어 이격되게 배치된다. 카 어셈블리(200)의 임의 추락 시 카 어셈블리(200)를 탄성적으로 저항하여 카 어셈블리(200) 및 적재된 카세트를 보호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springs 130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frame 100. The car assembly 200 may be elastically resisted in any fall of the car assembly 200 to protect the car assembly 200 and the loaded cassette.

프레임(100)의 상부, 하부, 측면의 일부 영역 및 카 어셈블리(200)의 상부에는 카 어셈블리(200)의 상하 운동 시 발생하는 유동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공기유입/배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frame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assembly 200 further include an air inlet / outlet 400 for smoothly flowing the flow generated when the car assembly 200 moves up and down. It may includ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과 카 어셈블리 사이가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 채 카 어셈블리를 수직으로 업/다운 시킬 수 있어 카세트의 이송 공정 중에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 assembly can be vertically up / dow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car assembly,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particles during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ssette. Noise can be reduc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장치의 승강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200)는 1층 높이 상에 정렬되고 로킹/언로킹 유닛(260, 270)에 의해 로킹 상태에 있다. 별도의 수평 이송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컨베이어 등)에 의해 카세트(미도시)가 이송장치 쪽으로 옮겨지면, 우선 제어부(미도시)는 카 어셈블리(200)에 마련된 구동 모터(206)의 동작을 온(on)시킨다. 구동 모터(206)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 롤러(204)들이 회전함으로써 이송 롤러(204)들에 접촉된 카세트의 인입이 A방향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or FIG. 4, the car assembly 200 is aligned on the ground floor and is in the locked state by the locking / unlocking units 260, 270. When the cassette (not shown) is moved toward the transfer device by a separate horizontal transfer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a conveyor, etc.), first,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206 of the car assembly 200. Turn on the operation.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206, the feed rollers 204 coupled thereto rotate so that the casset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eed rollers 204 in the A direction.

카 어셈블리(200)에 카세트가 완전히 수용된 다음, 로킹/언로킹 유닛(260)의 언로킹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실린더(265)의 로드가 완전히 수축하여 로커(261)와 프로파일(11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After the cassette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car assembly 200,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is performed. 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rod of the cylinder 265 is completely contracted so that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rocker 261 and the profile 110.

다음으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어셈블리(200)가 B방향으로 승강된다. 이는 프레임(100)의 양측 상에 마련된 회전 모터(301)가 작동하여 회전 모터(301)에 연결된 고정 도르래(303)를 회전시키고 와이어(302)에 연결된 카 어셈블리(200)를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car assembly 200 is elevated in the B direction. This causes the rotary motor 30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0 to rotate the fixed pulley 303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301 and to move the car assembly 200 connected to the wire 302 in the B direction. .

2층 높이 즉, 카 어셈블리(200)가 최고점에 이르면, 로킹/언로킹 유닛(260)이 로킹 작동하여 카 어셈블리(200)를 프레임(100) 상에 고정하게 된다. 이후, 카 어셈블리(200)의 구동 모터(205, 도 4 참조)를 통해 이송 롤러(206, 도 4 참조)를 동작시켜 카세트를 C방향으로 취출시킨다.When the second floor height, that is, the car assembly 200 reaches its highest point, the locking / unlocking unit 260 is locked to fix the car assembly 200 on the frame 100. Thereafter, the feed roller 206 (see FIG. 4) is operated through the drive motor 205 (see FIG. 4) of the car assembly 200 to take out the cassette in the C dire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과 카 어셈블리 사이를 비접촉식 방식으로 동력 전달시킴으로써, 카세트의 이송 공정 중에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송장치의 이송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송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ca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particl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during the transfer process of the cassette, and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transfer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eed speed stably.

또한, 카 어셈블리와 프레임 사이에 직접적인 기계 마찰이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이송 과정 중에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송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어 이송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irect mechanical friction or contact between the car assembly and the fr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nd the durability of the transfer device can be improved,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transfer device.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FIG. 1.

도 4는 도 1의 이송장치에 구비된 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car assembly provided in the transfer apparatus of FIG.

도 5는 도 3의 A 영역에서 로킹/언로킹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확대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 unlocking unit is removed in region A of FIG. 3.

도 6은 도 3의 A 영역에서 로킹/언로킹 유닛을 강조한 상태의 확대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 unlocking unit is highlighted in the area A of FIG. 3.

도 7a 및 도 7b는 로커의 언로킹 및 로킹 동작을 도시한 로킹/언로킹 유닛의 측면도이다.7A and 7B are side views of the locking / unlocking unit showing the unlocking and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프레임 110, 120 : 프로파일100: frame 110, 120: profile

111, 113 : 스틸 블록 115 : 장구형 돌출부 111, 113: Steel block 115: Long-angled protrusion

200 : 카 어셈블리 220, 230 : 비접촉식 업/다운 안내유닛200: Car assembly 220, 230: Non-contact up / down guide unit

260 : 로킹/언로킹 유닛 261 : 로커260: locking / unlocking unit 261: rocker

300 : 이송구동부 400 : 공기 유입/배출부300: transfer drive 400: air inlet / outlet

Claims (12)

수직 축선을 형성하는 프로파일;A profile forming a vertical axis; 상기 프로파일에 마련되어 피이송물을 지지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수직축선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되는 카 어셈블리(car assembly); 및A car assembly provided in the profile to support the object to be conveyed, the car assembly being moved up / down relative to the profile along a vertical axis of the profile; And 상기 카 어셈블리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상기 카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로킹/언로킹(locking/unlocking)시키는 로킹/언로킹 유닛을 포함하며,A locking / unlocking unit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to selectively lock / unlock the ca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profile, 상기 로킹/언로킹 유닛은,The locking / unlocking unit, 상기 카 어셈블리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파일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로커; 및A rocker provided in the car assembly that is approached and spaced towards the profile; And 상기 로커와 연결되며, 상기 로커가 상기 접근 및 이격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로커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를 포함하며,A rocker driver connected to the rocker and driving the rocker to drive the rocker in the approaching and separating directions; 상기 로커구동부는,The rocker drive unit, 상기 로커를 지지하며, 상기 로커가 상기 카 어셈블리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일측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로커하우징; 및A rocker housing supporting the rocker and rotatable about a pivot axis on one side such that the rocker is accessible and spaced from the car assembly; And 상기 로커하우징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로커하우징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로커하우징을 회동 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An actuator arranged around the rocker housing to rotate and move the rocker housing while approaching and spaced toward the rocker housing, 상기 액추에이터는,The actuator is,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수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및A cylinder having a cylinder body and a cylinder rod coupled to the cylinder body to extend and contract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body; And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선형 운동을 상기 로커하우징의 회동 운동으로 전달하는 전달블록을 포함하며,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rod includes a transfer block for transmitting a linear movement of the cylinder ro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cker housing, 상기 로커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블록의 단부와 접촉되는 접촉슬라이딩블록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One side of the rocker housing is further formed with a contact sliding block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ransfer block, 상기 접촉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전달블록 간의 접촉 영역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act sliding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커구동부에는 상기 로커하우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커하우징이 회동 시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rocker dr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restoring spr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cker housing to apply restoring force when the rocker housing is rot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커는 장구 형상을 갖는 비동력 방식의 자유 회전형 롤러이며,The rocker is a non-powered free-rotating roller having a janggu shape, 상기 로커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장구형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rocker is formed with a recessed inward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파일의 일측면에는 상기 로커의 측면에 형성된 장구형 홈부와 형상맞춤되는 장구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One side surface of the prof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n elongate projection that is shape-fitted with the elongat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rock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A frame supporting the profile; And 상기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카 어셈블리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n up / down driving part partially coupled to the frame to up / down drive the car assembl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 어셈블리의 임의 추락에 대해 탄성적으로 저항하는 다수의 추락 방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 plurality of fall prevention springs provided below the frame and elastically resistant to any fall of the car assembl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카 어셈블리의 업/다운 이동 시 상기 프레임의 내외측으로 형성되는 공기 유동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카 어셈블리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배출부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ir inlet / discharge portion provided on any one side of the frame or the car assembly for the smooth flow of the air flow formed in and out of the frame when the car assembly moves up / down,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transfer object is a transfe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sette is loa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KR1020080110608A 2008-11-07 2008-11-07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101014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08A KR101014748B1 (en) 2008-11-07 2008-11-07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TW98137549A TW201024196A (en) 2008-11-07 2009-11-05 Transferring apparatus
CN200910206761A CN101734482A (en) 2008-11-07 2009-11-09 Conveyer
JP2009255952A JP2010111513A (en) 2008-11-07 2009-11-09 Transf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08A KR101014748B1 (en) 2008-11-07 2008-11-07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40A KR20100051440A (en) 2010-05-17
KR101014748B1 true KR101014748B1 (en) 2011-02-15

Family

ID=4227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08A KR101014748B1 (en) 2008-11-07 2008-11-07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7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939B1 (en) * 2018-10-23 2020-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ocker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32A (en) * 2005-01-28 2005-03-15 이동헌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32A (en) * 2005-01-28 2005-03-15 이동헌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40A (en)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59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s
KR20120055493A (en)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
US20070013642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at panel display substrates during manufacture
WO2011013338A1 (en) Conveyor system and setting method therefor
KR20120050931A (en)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
KR20010082369A (en) In/out load port transfer mechanism
JP2009515368A (en) Small volume carrier, loading port, buffer system
KR101203890B1 (en) Transferring system
KR102169581B1 (en) Vehicle maintenance lift
KR20190047900A (en) Stoker
KR101014748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JP2010111513A (en) Transfer device
KR101890160B1 (en)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KR101157196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101208372B1 (en) Non-contact transfer system using magnet in different region
KR20130113205A (en) Hoist apparatus
JP2007165367A (en) Sheet-fed work conveyance system
KR200500320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US20080050208A1 (en) High speed transporter including horizontal belt
KR20080048364A (en) Inter stk conveyor for inter bay system using thereof
KR101085454B1 (en) Transferring System Having Airtight Cassette
KR101245367B1 (en) Stocker
KR20080062805A (en) Transferring apparatus
US20230211966A1 (en) Article transport vehicle, rail assembly, and article transpor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62045A (en) magnetic levitation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