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025B1 -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 Google Patents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025B1
KR101013025B1 KR1020090123806A KR20090123806A KR101013025B1 KR 101013025 B1 KR101013025 B1 KR 101013025B1 KR 1020090123806 A KR1020090123806 A KR 1020090123806A KR 20090123806 A KR20090123806 A KR 20090123806A KR 101013025 B1 KR101013025 B1 KR 10101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aisson
breakwater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형
김종석
이정욱
정재상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방파제의 취약부인 두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두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파제의 간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 간의 인터록킹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통해 케이슨 방파제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직선형태를 이루는 간부와, 상기 간부 끝부분에 설치되는 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파제에 있어서; 상기 두부가 복수개의 단위 케이슨 들이 기하학적으로 폐합(closure)된 구조를 이루되, 서로 맞물려 아치 효과를 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를 제공한다.
아치, 맞물림, 두부, 안정성, 케이슨, 방파제

Description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CAISSON BREAKEWATER WITH ARCH TYPE HEAD PART}
본 발명은 케이슨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파제에 있어서 파랑 등으로 인해 피해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두부의 구조를 개선을 통해 작용파압에 대한 두부의 내구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방파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방파제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모식화한 도면으로서, 기존의 케이슨 방파제는 크게 줄기(stem) 부분을 이루는 간부(1a)와, 상기 간부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두부(2a)로 구분된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상기 두부(2a)가 일측에만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두부는 방파제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방파제에 있어서 두부(2a)는 자유단으로서 입사파 및 회절파등에 의한 피해에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 방파제의 두부(2a)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서, 여러 방향에서 작용하는 파압에 의한 피해에 대해 매우 취약한 구조를 띠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방파제의 취약부인 두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두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부 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방파제 간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들의 인터록킹(interlocking)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통해 기존 케이슨 방파제의 문제점인 단위 케이슨의 독립 거동에 따른 이상 파랑 내습시의 슬라이딩 파괴 등을 해소함으로써, 케이슨 방파제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선형태를 이루는 간부(幹部)와, 상기 간부 끝부분에 설치되는 두부(頭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파제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복수개의 단위 케이슨이 기하학적으로 폐합(closure)된 구조를 이루면서 서로 맞물려 아치효과를 내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부는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다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위 케이슨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간부는 단위 케이슨들을 일렬로 거치하여 구성되되, 인접하는 단위 케이슨 상호간의 측면부의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해 인터록킹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방파제의 취약부인 두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두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부 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기존 케이슨 방파제의 문제점인 단위 케이슨의 독립 거동에 따른 이상 파랑 내습시의 슬라이딩 파괴 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간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 간의 인터록킹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통해 케이슨 방파제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두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인터록킹 구조로 적용한 케이슨 방파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파제는, 직선 형태를 이루는 간부(1)와, 상기 간부(1) 끝부분에 설치되는 두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두부(2)가 복수개의 단위 케이슨(200)이 기하학적으로 폐합(closure)된 구조를 이루면서 서로 맞물려서 된 것임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두부(2)는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다각형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오각형을 이루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두부(2)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위 케이슨(200)들이 조합되어 오각형 구조를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간부(1)는 단위 케이슨(100)들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하여 구성되되, 서로 인접하는 단위 케이슨(100) 측면부의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해 인터록킹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케이슨 방파제의 두부(2)는 사다리꼴 모양의 단위 케이슨(200)이 기하학적으로 폐합(closure)된 구조를 이루되, 구조적으로 서로 맞물려 인터록킹 됨으로써 작용파압에 대해 안정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즉, 두부(2)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200) 들이 서로 맞물려 자중에 대해 저항하는 아치 구조물과 동일한 원리로 서로 맞물려 작용파압에 대해 안정적으로 저항하되, 폐합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모든 방향의 작용파압에 대해 안정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결국, 기존의 방파제에 있어서 두부(2)는 자유단으로서 입사파 및 회절파등 작용파압에 대해 매우 불안정하고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두부(2) 구조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는 작용파압에 대해 매우 안정한 구조를 띠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아치 효과를 나타내는 두부 구조를 취하도록 함과 더불어, 간부(1)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100)들이 측면부의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해 서로 인터록킹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위 케이슨(100)의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통한 파고 감소(즉, 평활화 효과)에 의해 설계 외력에 여유 안전율을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상 파랑 내습 시에도 슬라이딩에 의한 방파제 파괴를 방지하는 등 방파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아치와 같은 단위 케이슨(200)의 기하학적 맞물림 효과에 의한 두부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간부측 단위 케이슨(100)의 기하학적인 맞물림에 의한 일체 거동을 통한 장대화 효과를 통해 케이슨 방파제(1)의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내용에 개시된 두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200)은 사다리꼴로 예시되었으나, 맞물림에 의해 작용파압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만 있다면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설계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두부 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방파제 간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 간의 인터록킹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통해 기존 케이슨 방파제의 문제점인 단위 케이슨의 독립 거동에 따른 이상 파랑 내습시의 슬라이딩 파괴 등을 해소함으로써, 케이슨 방파제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
도 1은 기존의 일반 방파제 두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두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인터록킹 구조로 적용한 케이슨 방파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파제 2: 두부
100: 간부측 케이슨 200: 두부측 케이슨

Claims (4)

  1. 직선형태를 이루는 간부(幹部)와, 상기 간부 끝부분에 설치되는 두부(頭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파제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복수개의 단위 케이슨 들이 기하학적으로 폐합(closure)된 구조를 이루면서 서로 맞물려 아치 효과를 내도록 구성되며,
    상기 간부는 단위 케이슨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거치하여 구성되되, 인접하는 단위 케이슨 상호간의 측면부의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해 인터록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다각형을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구성하는 단위 케이슨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
  4. 삭제
KR1020090123806A 2009-12-14 2009-12-14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KR10101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806A KR101013025B1 (ko) 2009-12-14 2009-12-14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806A KR101013025B1 (ko) 2009-12-14 2009-12-14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025B1 true KR101013025B1 (ko) 2011-02-14

Family

ID=4377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806A KR101013025B1 (ko) 2009-12-14 2009-12-14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0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954A (ja) * 1995-11-17 1997-06-03 Nippon Solid Co Ltd ケーソンおよび水域構築物
KR200205594Y1 (ko) * 2000-07-13 2000-12-01 양원회 직립식 방파제 두부구조
KR20020005594A (ko) * 1999-02-24 2002-01-17 웰스 러셀 씨 좌석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50094B1 (ko) * 2000-01-14 2002-08-23 원 회 양 방파제 두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954A (ja) * 1995-11-17 1997-06-03 Nippon Solid Co Ltd ケーソンおよび水域構築物
KR20020005594A (ko) * 1999-02-24 2002-01-17 웰스 러셀 씨 좌석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50094B1 (ko) * 2000-01-14 2002-08-23 원 회 양 방파제 두부 구조
KR200205594Y1 (ko) * 2000-07-13 2000-12-01 양원회 직립식 방파제 두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8077B2 (ja) 支持要素に矢板を接続する長尺の連結体
ES2715449T3 (es) Unión estructural
WO2022252410A1 (zh) 一种多层网格带状结构的海上风电基础防冲刷系统及方法
KR101013025B1 (ko) 아치형 두부를 갖는 케이슨 방파제
JP4456509B2 (ja) 砂防ダム
CN103644297A (zh) 一种具有异形齿的金属骨架齿形复合垫
KR101013024B1 (ko) 연파 발생 방지 케이슨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EP3014037B1 (en) Padlock protector
KR101945714B1 (ko) 유리 홍수벽 장치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1013023B1 (ko) 인터록킹에 의한 장대화 효과를 이용한 케이슨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117689B1 (ko)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KR20100085583A (ko) 내진형 프레임을 구비한 대형 배전반의 채널 베이스
KR102174473B1 (ko) 내진 신축이음장치
CN210049198U (zh) 一种导流式水利护坡砖
US7823240B2 (en) Hooked collar for piers and bridge including the same
KR102571823B1 (ko) 기존 소파블록 보강용 비행접시형 소파블록 및 이를 방파제에 구축하는 구축공법
KR101741579B1 (ko) 인터위븐 방파제
KR102509116B1 (ko) 테트라포드 구조물
KR102295039B1 (ko) 입사파 분산 효율 개선을 위한 소파블록
JP6427347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
KR200367427Y1 (ko)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JP2011026942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耐震補強構造
CN220013537U (zh) 一种具有内置式防浪台阶的防浪墙结构
KR200361585Y1 (ko) 하천 제방 보호용 키블럭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