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16B1 - 테트라포드 구조물 - Google Patents

테트라포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16B1
KR102509116B1 KR1020220141832A KR20220141832A KR102509116B1 KR 102509116 B1 KR102509116 B1 KR 102509116B1 KR 1020220141832 A KR1020220141832 A KR 1020220141832A KR 20220141832 A KR20220141832 A KR 20220141832A KR 102509116 B1 KR102509116 B1 KR 10250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pod
support legs
coupling
fix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를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파랑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2 지지다리에 금속재질의 파손 방지부가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트라포드 구조물{Tetrapod structures}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를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파랑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2 지지다리에 금속재질의 파손 방지부가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 또는 방조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리 네 개 달린 콘크리트 덩어리를 테트라포드(Tetrapod)라 하며, Tetrapod는 가지(pod)가 4개(tetra)라서 테트라포드라고 부르며 줄여서 TTP라고도 한다.
테트라포드를 여러개 쌓아서 방파제가 시공되는 형태의 구조물을 소파(消波)블록이라하며, 소파 블록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된다.
소파 블록은 테트라포드만 있는게 아니라 지반에 따라 여러가지 독특한 모양을 사용하기도 하고, 소규모일 경우, 아예 주변의 돌만을 이용하여 방파제를 만들기도 한다.
소파 블록 중에서 테트라포드가 많이 사용되는 것은 범용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며, 이미 제조해 놓은 것도 많기 때문이다.
테트라포드의 무게는 작은 것들도 몇 톤 단위이며, 일반적인 크기의 테트라포드는 50~70톤 정도를 가지며, 크기와 형태마다 다르지만 1개에 300~400만원 정도다.
테트라포드의 삼각뿔 형태는 매우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가짐으로써, 대충 놓아 설치해도 자기들끼리 잘 맞물려 방파제가 되며, 테트라포드의 4개의 발은 서로에게 끼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굳건한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경사면에도 쉽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668735호(2016.10.18.)의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소파블록은 양단에 3개의 각부가 각각 마련된 형태를 제공하여 사면에 경사 방향으로 또는 등고선 방향으로 눕혀서 거치되거나,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걸려진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파랑의 에너지가 클 경우, 3개의 각부가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원인이 있었고, 걸려진 상태 즉, 인터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3개의 각부 중 어느 하나의 각부가 3개의 각부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소파 블록에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유동이 급격하게 발생된 경우, 충격에 의하여 소파 블록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87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를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파랑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2 지지다리에 금속재질의 파손 방지부가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중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제1 지지다리(111)와, 상기 제1 지지다리(111) 사이의 상부 형성되는 제1 결합다리(112)로 이루어지는 제1 테트라포드(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다리(112)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제2 지지다리(121)와, 상기 제2 지지다리(121)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다리(122)로 이루어지는 제2 테트라포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테트라포드(100)가 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의 제1 지지다리(111)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테트라포드(120)의 제2 지지다리(121)는 제1 결합다리(112)와 동일하게 상부를 향하게 되고 제2 결합다리(122)는 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연속 설치시,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2 결합다리(122)가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1 지지다리(11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2 지지다리(121) 사이에는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1 결합다리(112)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홈(21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사이의 중앙부에 매립 형성되는 앵커볼트(220); 상기 앵커볼트(220)에 너트(220')를 통해 고정되는 결속부재(230); 상기 결속부재(230)의 중앙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며, 끝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에 형성된 결속홈(210)으로 결속되도록 결속편(2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파랑에너지를 상쇄시키는 파랑 감소부(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파랑 감소부(300)는,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에 형성되는 관통홀(310); 상기 관통홀(310)에 직교되게 형성되어 관통홀(310)로 유입되는 해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파랑을 감소시키는 파랑 감소홀(320); 상기 관통홀(310) 내부에 파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저항돌기(330); 상기 저항돌기(3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파랑을 유도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랑 유도면(3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고정되어 제1,2 지지다리(111)(121)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파손 방지부(400)는,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의 일부를 덮어 고정되는 파손 방지부재(41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에 요입형성되는 고정홈(420); 상기 고정홈(420)과 대응하는 위치의 파손방지부재(4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420)에 고정되어 파손방지부재(410)의 고정력을 높이는 고정돌기(43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매립설치되는 고정볼트(440)가 구비되어 너트(440')의 체결로 파손방지부재(4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속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를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파랑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지지다리에 금속재질의 파손 방지부가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가 연속 설치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가 연속 설치된 상태의 저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가 연속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를 연속 고정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랑 감소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에 파손 방지부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중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제1 지지다리(111)와, 상기 제1 지지다리(111) 사이의 상부 형성되는 제1 결합다리(112)로 이루어지는 제1 테트라포드(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다리(112)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제2 지지다리(121)와, 상기 제2 지지다리(121)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다리(122)로 이루어지는 제2 테트라포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테트라포드(100)가 연속 설치된다.
상기 테트라포드(100)는 제방이나 방파제에 부딪히는 파도의 파고(波高)와 파력(波力)을 약화시켜 제방과 방파제를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테트라포드(100)는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가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부라 칭한다.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는 별도의 몸체가 형성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는 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 지지다리(111)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다리(111)의 상부에는 제1 결합다리(112)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 테트라포드(120)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테트라포드(110)와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다리(111)의 사이에 지면으로 안착되는 제2 결합다리(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다리(112)와 마주보는 상부에는 제2 지지다리(121)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다리(111)(121)와 제1 결합다리(112)(122)는 중심부(P) 측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테트라포드(100)를 이루는 제1,2 테트라포드(110)(120)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몸체부분이 생략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강화하므로 파도의 파고 또는 파력에 의한 부서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몸체에 해당하는 면적의 콘크리트 공급이 생략되므로 제조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테트라포드(100)를 연속하여 설치할 경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방파제 또는 방조제에 안착시키되, 제1 테트라포드(110)의 제1 지지다리(111)와 제2 테트라포드(120)의 제2 결합다리(122)를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먼저 설치된 테트라포드(100)의 후방에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연속하여 설치한다.
먼저,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1 지지다리(111) 사이가 테트라포드(100)의 제2 결합다리(122)에 오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1 결합다리(112)를 테트라포드(100)의 제2 지지다리(121) 사이의 상부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테트라포드(100)(100')는 좌,우방향으로도 연속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테트라포드(100)(100')를 전,후,좌,우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각각의 지지다리와 결합다리가 유기적으로 밀착결합되므로 강한 파도의 파고 및 파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어 테트라포드(100)(100')가 유실되거나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200)는, 결속홈(210), 앵커볼트(220), 결속부재(230), 결속편(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홈(210)은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220)는 제1,2 지지다리(111)(121) 사이의 중앙부에 매립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재(230)는 금속재질의 판재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앵커볼트(220)에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편(240)은 결속부재(230)의 타측 단부에는 90°로 절곡되어 상기 결속홈(210)에 삽입되며, 상기 결속부재(230)는 앵커볼트(220)에 너트(220')를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상기 결속부(200)를 통해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파랑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파랑에너지를 상쇄시키는 파랑 감소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랑 감소부(300)는, 관통홀(310), 파랑 강소홀(320), 저항돌기(330), 파랑 유도면(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310)은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에 형성되며, 그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랑 감소홀(320)은 상기 관통홀(310)에 직교되도록 다수개로 관통 형성되어 관통홀(310)로 유입되는 해류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파랑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저항돌기(330)는 관통홀(310)의 내부에 돌출형성되며, 파랑에 의한 파압에 저항하면서 파랑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파랑 유도면(340)은 상기 저항돌기(330)의 외측면에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파랑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테트라포드 구조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고정되어 제1,2 지지다리(111)(121)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손 방지부(400)는, 파손 방지부재(410), 고정홈(420), 고정돌기(430), 고정볼트(440)로 구성된다.
상기 파손 방지부재(410)는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의 일부를 덮어 고정하게 되고, 상기 고정홈(420)은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에 요입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420)은 상기 파손방지부재(410)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며, 상기 고정홈(420)은 제1,2 지지다리(111)(121)의 표면에 일부만 형성될 수 있고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기(430)는 상기 고정홈(420)과 대응하는 위치의 파손 방지부재(4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420)에 고정되어 파손방지부재(410)의 고정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440)는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매립설치되며, 파손 방지부재(410)에 형성된 통공이 고정볼트(44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440)에 너트(440')를 체결하여 파손 방지부재(410)를 제1,2 지지다리(111)(121)에 고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1,2 지지다리(111)(121)에 금속재질의 파손 방지부(400)가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 테트라포드
110: 제1 테트라포드
111: 제1 지지다리
112: 제1 결합다리
120: 제2 테트라포드
121: 제2 지지다리
122: 제2 결합다리
200: 결속부
300: 파랑 감소부
400: 파손 방지부

Claims (5)

  1. 중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다리(111)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다리(111) 사이의 상부 형성되는 제1 결합다리(112)로 이루어지는 제1 테트라포드(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다리(112)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다리(121)와,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다리(121)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다리(122)로 이루어지는 제2 테트라포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와 제2 테트라포드(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테트라포드(100)가 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테트라포드(110)의 제1 지지다리(111)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테트라포드(120)의 제2 지지다리(121)는 제1 결합다리(112)와 동일하게 상부를 향하게 되고 제2 결합다리(122)는 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연속 설치시,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2 결합다리(122)가 이웃하는 테트라포드(100')의 제1 지지다리(11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테트라포드(100)의 제2 지지다리(121) 사이에는 상기 이웃하는 테트라포드(100')의 제1 결합다리(112)가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고정되어 제1,2 지지다리(111)(121)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파손 방지부(400)는,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의 일부를 덮어 고정되는 파손 방지부재(41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단부에 요입형성되는 고정홈(420);
    상기 고정홈(420)과 대응하는 위치의 파손방지부재(4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420)에 고정되어 파손방지부재(410)의 고정력을 높이는 고정돌기(43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의 단부에 매립설치되는 고정볼트(440)가 구비되어 너트(440')의 체결로 파손방지부재(41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와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홈(210);
    상기 제1,2 지지다리(111)(121) 사이의 중앙부에 매립 형성되는 앵커볼트(220);
    상기 앵커볼트(220)에 너트(220')를 통해 고정되는 결속부재(230);
    상기 결속부재(230)의 중앙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며, 끝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테트라포드(100')에 형성된 결속홈(210)으로 결속되도록 결속편(2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의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파랑에너지를 상쇄시키는 파랑 감소부(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파랑 감소부(300)는,
    상기 제1,2 결합다리(112)(122)에 형성되는 관통홀(310);
    상기 관통홀(310)에 직교되게 형성되어 관통홀(310)로 유입되는 해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파랑을 감소시키는 파랑 감소홀(320);
    상기 관통홀(310) 내부에 파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저항돌기(330);
    상기 저항돌기(3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파랑을 유도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랑 유도면(3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구조물.
  5. 삭제
KR1020220141832A 2022-05-09 2022-10-28 테트라포드 구조물 KR102509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6515 2022-05-09
KR1020220056515 202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116B1 true KR102509116B1 (ko) 2023-03-14

Family

ID=8550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832A KR102509116B1 (ko) 2022-05-09 2022-10-28 테트라포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67Y1 (ko) * 2000-03-13 2000-08-16 양원회 육각 소파블럭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67Y1 (ko) * 2000-03-13 2000-08-16 양원회 육각 소파블럭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037Y1 (ko) 테트라 포드
KR1022933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US8087373B2 (en) Interconnection system for floating modules
KR102509116B1 (ko) 테트라포드 구조물
KR101972769B1 (ko) 육면체형 소파블록
RU195367U1 (ru) Модуль сборного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2486212B1 (ko) 항만 제방용 소파블록 및 그것을 구비한 제방옹벽
KR102336008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KR102295040B1 (ko) 소파블록
JP2010090698A (ja) 砂防ダム
KR20140106943A (ko) 조립형 소파블록
KR102181955B1 (ko) 방사형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KR20060114815A (ko) 해안침식방지를 위한 소파기능이 포함된 해안선피복구조체시공방법
KR100584664B1 (ko) 연약 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EP3249102A1 (en) Wave absorbing block for breaking waves
JP3173506U (ja) 防波堤補強構造物及び防波堤補強構造物群
KR20090094805A (ko) 파동 감소 구조물
KR100657213B1 (ko)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설치구조
KR10058466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파제 설치구조
KR100837848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617305B1 (ko) 수중 케이블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및 그 시공법
KR20030075361A (ko)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KR102147115B1 (ko) 콤플렉스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101043021B1 (ko)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