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746B1 - 색연필 케이스 - Google Patents

색연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746B1
KR101012746B1 KR1020080133045A KR20080133045A KR101012746B1 KR 101012746 B1 KR101012746 B1 KR 101012746B1 KR 1020080133045 A KR1020080133045 A KR 1020080133045A KR 20080133045 A KR20080133045 A KR 20080133045A KR 101012746 B1 KR101012746 B1 KR 10101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ed pencil
case
colored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569A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08013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7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6Cases for drawing or 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색연필 케이스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고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색연필 케이스의 디자인 및 심미성을 향상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색연필 케이스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색연필 보관을 위한 색연필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한다.
색연필, 케이스, 상측 개폐부, 하측 개폐부, 커터기, 색연필수용부

Description

색연필 케이스{Case for Colored Pencil}
본 발명은 색연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색연필 케이스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고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색연필 케이스의 디자인 및 심미성을 향상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색연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연필은 초등학생이나 각종 디자이너들과 같이 학업이나 해당 산업분야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도안을 작성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된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색연필은 보통 12색부터 36색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 색연필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투명 케이스(1)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색연필(2)을 필요시마다 인출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색연필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색연필 케이스는 투명 케이스(1)의 상부만이 개폐 가능하기 때문에, 색연필(2) 중 많이 사용하여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꺼내기 위해서는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 옆에 있는 색연필을 꺼낸 다음 투명 케이스(1) 내부로 손가락을 깊숙이 넣어서 꺼내야 되므로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꺼내기가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손가락을 투명 케이스(1) 내부로 깊숙이 넣고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투명 케이스(1)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명 케이스(1)의 상부를 책상이나 실내 바닥을 향해 기울여 상기 투명 케이스(1)로부터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이 쏟아져 나오면 이를 손바닥으로 받아서 꺼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길이가 짧은 색연필 뿐만 아니라 다른 색연필이 상기 투명 케이스(1)로부터 함께 쏟아져 이를 손바닥으로 모두 받지 못할 경우 책상이나 실내 바닥에 색연필이 떨어지고 부러질 수 있으며, 손바닥에 색연필이 묻어 손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투명 케이스(1)의 상부를 책상이나 실내 바닥을 향해 근접시켜 기울여 책상이나 실내 바닥으로 색연필이 쏟아지도록 하여 길이가 짧은 색연필을 꺼낼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책상이나 실내 바닥에 색연필이 묻어 책상이나 실내 바닥이 더러워지거나 책상이나 실내 바닥 주변에 있는 책이나 공책들에 색연필이 묻어 더러워질 수 있으며, 책상이나 실내 바닥이 어지럽거나 어수선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색연필의 심이 닳을 경우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통해 색연필 심을 둘러싼 종이를 벗겨내고 닳아진 색연필 심을 외부로 더 노출시켜 색연필의 심이 다 닳을 때까지 색연필의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색연필에 연결된 실이 길어지게 되고, 이 길어진 실은 색연필 사용시 방해가 되어 불편하므로 보통 가위 등을 사용하여 길어진 실을 잘라낸다.
그러나, 가위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잘라내기 어렵고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자르기 위해 가위를 찾아서 가져와야 되므로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색연필 케이스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색연필 케이스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연필 케이스에 커터기를 장착하여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색연필 케이스의 디자인 및 심미성을 향상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는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색연필 보관을 위한 색연필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색연필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는, 상기 상측 개폐부 또는 상기 하측 개폐부 에 구비되며 상기 색연필에 연결된 실이나 끈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을 갖는 커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상측 개폐부 및 상기 하측 개폐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폐부와 상기 하측 개폐부는 벨크로(Velcro)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의하면, 색연필 케이스에 하측 개폐부를 통해 색연필 케이스의 하부로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매우 손쉽게 꺼낼 수 있어 기존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인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의하면, 기존에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 즉, 케이스가 찢어지거나 손바닥과 책상 및 실내바닥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의하면, 색연필 케이스에 커터기를 구비하여 가위나 칼 등 별도의 절단 도구가 없어도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의하면, 새로운 형태의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하여 색연필 케이스의 디자인 및 심미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의 상측 개폐부와 하측 개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구비된 커터기로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는, 크게 색연필(200) 보관을 위한 색연필수용부(111)를 갖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측 개폐부(120) 및 하측 개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개폐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케이스(110)와 일체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접힘시 상기 색연필수용부(111)의 상부를 폐쇄시켜 색연필수용부(111)에 수용된 색연필을 보호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전개시 상기 색연필수용부(111)의 상부를 개방시켜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서 상기 색연필(200)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하측 개폐부(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케이스(110)와 일체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접힘시 상기 색연필수용부(111)의 하부를 폐쇄시켜 색연필수용부(111)에 수용된 색연필을 보호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전개 시 상기 색연필수용부(111)의 하부를 개방시켜 상기 케이스(110)의 하측에서 상기 색연필(200)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상측 개폐부(120)와 하측 개폐부(14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과 하측 양측에서 모두 색연필(200)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를 이용하면,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함께 상기 하측 개폐부(140)를 통해서도 상기 색연필수용부(111)에 수용된 색연필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매우 손쉽게 꺼낼 수 있어 기존에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인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므로 편리하고 남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을 꺼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즉, 손가락을 케이스 내부로 깊숙히 넣고 무리한 힘을 가해 케이스가 찢어지는 문제점과, 색연필을 손바닥이나 책상 등에 모두 쏟아서 꺼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즉, 손바닥과 책상의 더러워짐 또는 색연필이 떨어져 부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상측 개폐부(120) 및 상기 하측 개폐부(140)를 모두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10) 즉, 색연필수용부(111)에 수용된 색연필(200)의 색상이나 글자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원하는 색연필을 쉽게 선택하여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길이가 긴 색연필 뿐만 아니라 길이가 짧아진 색연필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하측 개폐부(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하측 개폐부(140)를 전개하거나 접어서 고정하기가 용이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하측 개폐부(140)는 서로 대칭되고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하측 개폐부(140)가 상기 상측 개폐부(120)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하측 개폐부(140)에는 광고 또는 상품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로고나 문자 또는 그림 등이 새겨진 인쇄물이 부착되거나, 상측 개폐부(120) 또는 하측 개폐부(14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개폐부(120)의 벨크로 면적은 상기 하측 개폐부(140)의 벨크로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자주 사용되는 상측 개폐부(120)의 벨크로 면적을 상기 하측 개폐부(140)의 벨크로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는, 상기 상측 개폐부(120) 또는 상기 하측 개폐부(140)에 구비되어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이나 끈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기(150)는 자주 사용하는 상기 상측 개폐부(120)의 일측에 장착되어, 별도의 가위와 같은 절단도구를 소지하거나 찾아서 가져오지 않아도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210)을 손쉽게 잘라서 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기(150)는 상기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이나 끈을 절단하기 위하여 칼날(15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펀치와 같은 기구로 절단홀(152a)이 형성된 양 고정판(152) 사이에 상기 칼날(151)을 설치하고 상기 양 고정판(152)을 서로 부착시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작된 커터기(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 개폐부(120) 일측에 상기 절단홀(152a)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한 후 아일렛(EYELET) 핀(155)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상기 상측 개폐부(1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터기(150)는 상기 하측 개폐부(140)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측 개폐부(120)의 일측에 장착될 경우 미관상 상기 상측 개폐부(120)가 접힘시 양 고정판(152)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상측 개폐부(120)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판(152)은 철판 또는 경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기(150)는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와 방향 및 실을 당기는 각도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기(150)를 통해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210)을 상기 절단홀(152a)에 넣는다.
그리고, 상기 절단홀(152a)을 통해 빠져나온 실(210)의 끝단을 한 손으로 상기 커터기(150)와 함께 잡아서 고정한 후,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색연필(200)을 잡은 다음, 상기 커터기(150)의 칼날(151)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된 실의 끝단과 반대쪽에 위치한 색연필(200)을 한 쪽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커터기(150)의 칼날(151)에 의해 실(210)이 간편하게 절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100)는, 케이스(110)에 커터기(150)를 구비하여 가위나 칼 등 별도의 절단 도구가 없어도 색연필(200)에 연결된 실(210)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커터기(150)가 부착된 구조 및 상기 상측 개폐부(120)와 대칭되는 하측 개폐부(140)의 구조 등 새로운 형태의 색연필 케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색연필 케이스의 디자인 및 심미성을 보다 향상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색연필 케이스의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색연필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의 상측 개폐부와 하측 개폐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연필 케이스에 구비된 커터기로 색연필에 연결된 실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색연필 케이스 110: 케이스
111: 색연필수용부 120: 상측 개폐부
140: 하측 개폐부 150: 커터기
151: 칼날 152: 고정판
152a: 절단홀 155: 아일렛 핀
200: 색연필 210: 실

Claims (3)

  1. 색연필 보관을 위한 색연필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하측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색연필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상측 개폐부 및 상기 하측 개폐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폐부와 상기 하측 개폐부는 벨크로(Velcro)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탈착되는 색연필 케이스.
  2. 색연필 보관을 위한 색연필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내외로 상기 색연필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색연필수용부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하측 개폐부; 그리고
    상기 상측 개폐부 또는 상기 하측 개폐부에 구비되며, 상기 색연필에 연결된 실이나 끈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을 갖는 커터기를 포함하는 색연필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상측 개폐부 및 상기 하측 개폐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폐부와 상기 하측 개폐부는 벨크로(Velcro)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탈착되는 색연필 케이스.
KR1020080133045A 2008-12-24 2008-12-24 색연필 케이스 KR10101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45A KR101012746B1 (ko) 2008-12-24 2008-12-24 색연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45A KR101012746B1 (ko) 2008-12-24 2008-12-24 색연필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69A KR20100074569A (ko) 2010-07-02
KR101012746B1 true KR101012746B1 (ko) 2011-02-14

Family

ID=4263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045A KR101012746B1 (ko) 2008-12-24 2008-12-24 색연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7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532A (ja) 1999-07-22 2001-03-13 J S Staedtler Gmbh & Co 棒状品物用ケース
KR20030062091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철도 분기기에서의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분기 선로 감시시스템
KR200362091Y1 (ko) * 2004-06-03 2004-09-21 염선영 색연필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532A (ja) 1999-07-22 2001-03-13 J S Staedtler Gmbh & Co 棒状品物用ケース
KR20030062091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철도 분기기에서의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분기 선로 감시시스템
KR200362091Y1 (ko) * 2004-06-03 2004-09-21 염선영 색연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69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46B1 (ko) 색연필 케이스
US6629588B2 (en) Retractable identification card holder for a piece of baggage
KR102091564B1 (ko) 커터날을 포함하는 출몰식 필기구
JP4680147B2 (ja) 携帯用メモパッドケース
CN214779783U (zh) 一种辅助评分装置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KR101368805B1 (ko) 색상 표시가 용이한 미술용 팔레트
JP3135492U (ja) 柄の上部に名前等が入れられる傘
KR200447446Y1 (ko) 인쇄물포켓이 구비된 안경케이스
JP3219070U (ja) 多機能広告型ティッシュボックス
JP5996968B2 (ja) 替芯ケース
KR200446221Y1 (ko) 카트동전용 홀더
KR200433789Y1 (ko) 다용도 명함
JP3135268U (ja) 収納物表示袋
JP3131273U (ja) 単語カード用紙
KR200399078Y1 (ko) 메모용지가 구비된 필기구
JP3207256U (ja) 付箋、付箋ケース及び付箋ケース付き筆記用具等
JP2005271961A (ja) 簡易バッグ
US20090154986A1 (en) Combination reading tool
JP2006130723A (ja) クレヨン保持具
JP3116992U (ja) 使用後に小物入れとして利用できるティッシュボックス
KR200436237Y1 (ko) 출석부
KR200374258Y1 (ko) 사용자 식별용지
US9022678B2 (en) Tool with variable functions for casino operations
KR200349132Y1 (ko) 바닥재 샘플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