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321B1 -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 Google Patents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321B1
KR101012321B1 KR1020100113362A KR20100113362A KR101012321B1 KR 101012321 B1 KR101012321 B1 KR 101012321B1 KR 1020100113362 A KR1020100113362 A KR 1020100113362A KR 20100113362 A KR20100113362 A KR 20100113362A KR 101012321 B1 KR101012321 B1 KR 10101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upport ribs
slab
outer end
e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완
Original Assignee
정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18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cast between filling members
    • E04B5/1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cast between filling members the filling members acting as self-supporting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지하주차장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종전의 리브드 피씨슬래브 또는 더블티 피씨슬래브와 달리 지지리브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층고 확보가 용이하고 천정 도색(페인팅)에 따른 평면 작업으로 인해 마감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시공 사용성이 개선되고, 이에 시공 후 공간감 및 미관이 개선되도록 한 아이엠티 슬래브(Inverted Multi Tee Slab)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아이엠티 슬래브는 이웃한 타측 패널과 연결시에 조인트를 위한 종전의 "U(유)" 자형 보강근의 사용 대신 조인트부(이음부)에 해당하는 외측 지지리브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형 연결근을 부설하여, 현장콘크리트 타설 전 서로 마주보게 펼쳐 일종의 조인트 근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단 보강력(폭방향 연속성 확보)이 개선되고, 조인팅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공수가 절감되어 공기단축으로 하여금 생산성 및 원가절감이 개선됨은 물론 상기 지지리브 내에는 상기 연결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별도의 강선이 매입되어 시공시 길이방향으로도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 강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널(100)의 상부 면상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티(T)형 지지리브(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200) 중 외측단 지지리브(200-1)에는 맞닿는 타측 패널(100-1)과 조인트부(J)를 이루기 위해 일측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분기되면서 피씨보에 걸침시에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현장콘크리트 타설 직전에는 타측 패널(100-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펼쳐 이웃한 연결근(300-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다수개의 연결근(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층고 확보가 용이하고 천정 도색(페인팅)에 따른 평면 작업으로 인해 마감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시공 사용성이 개선되고, 이에 시공 후 공간감 및 미관이 개선되며, 특히 이웃한 패널과 연결시에는 조인트를 위한 종전의 "U(유)" 자형 보강근의 사용 대신 조인트부(이음부)에 해당하는 외측 지지리브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형 연결근을 형성하여 현장콘크리트 타설 전 서로 마주보게 펼쳐 일종의 조인트 근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단 보강력이 개선되고,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공수가 절감되어 공기단축으로 하여금 생산성 및 원가절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A Inverted Multi Tee Slab}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종전의 리브드 피씨슬래브 또는 더블티 피씨슬래브와 달리 지지리브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층고 확보가 용이하고 천정 도색(페인팅)에 따른 평면 작업으로 인해 마감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시공 사용성이 개선되고, 이에 시공 후 공간감 및 미관이 개선되도록 한 아이엠티 슬래브(Inverted Multi Tee Slab)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아이엠티 슬래브는 이웃한 타측 패널과 연결시에 조인트를 위한 종전의 "U(유)" 자형 보강근의 사용 대신 조인트부(이음부)에 해당하는 외측 지지리브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형 연결근을 부설하여, 현장콘크리트 타설 전 서로 마주보게 펼쳐 일종의 조인트 근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단 보강력(폭방향 연속성 확보)이 개선되고, 조인팅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공수가 절감되어 공기단축으로 하여금 생산성 및 원가절감이 개선됨은 물론 상기 지지리브 내에는 상기 연결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별도의 강선이 매입되어 시공시 길이방향으로도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 강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건축시공의 고품질화, 합리화, 생산성 향상은 국내 건설 산업에 있어서, 영원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 국내 건설경기 위축으로 인해 건설업계의 대폭적인 변화가 불가피할 뿐 아니라 선진 기술개발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는 상황이 도래 했으며, 향후의 건설경기 전망이 극히 불투명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 건설시장에서는 숙련된 기능인력 부족, 고령화 및 기능수준의 질적 저하현상 등의 추세가 이어져 어려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노무와 관련된 부분은 인건비 부담의 상승과 더불어 건설 작업환경 개선과 원가 절감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나, 기존의 재래식 공법에 의한 생산성 증대와 품질개선 노력은 이제 그 한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력절감과 공기 단축을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생산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그 해결책으로서 품질의 고급화 및 인력 절감, 환경친화를 추구하는 복합화 공법의 선택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종래의 복합화 공법보다 개선된 RC복합화 공법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존의 지하주차장은 3대 주차 모듈인 7.5m*5.1m 또는 7.5m*6.5m가 대표적이었으나 2008년 2월 주차면의 크기를 2.3m*5m에서 2.5m*5.1m로 확대하는 주차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8.0m*8.0m를 포함한 10m 정도의 장스팬 모듈까지 검토되고 있으며, 4대가 주차 가능한 8.0m*10.0m를 적용할 경우 기존의 하프슬래브를 이용한 기존의 복합화 공법으로는 구조물 처짐 등의 구조안전성과 기존의 PC슬래브 보다 단면효율, 시공성, 생산성 등을 향상시킨 다양한 MRS(Multi Ribbed Slab), WAS(WAffle slab), RPS(Rib Plus Slab), MIR(Multi inverted Rib), MTS(Multi Tee Slab) 등의 새로운 PC슬래브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새롭게 개발된 MRS, WAS, MTS PC슬래브 등은 리브가 아래로 노출된 PC슬래브 형태로 층고가 높아지거나 마감공사가 있는 경우에는 비용절감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PS, MIR 피씨슬래브 공법은 별도의 현장 연결 철근을 배근하여야 하므로 현장시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PC슬래브를 포함해 최근 개발된 PC슬래브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주차장 바닥에 국한하지 않고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PC슬래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지하주차장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종전의 리브드 피씨슬래브 또는 더블티 피씨슬래브와 달리 지지리브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층고 확보가 용이하고 천정 도색(페인팅)에 따른 평면 작업으로 인해 마감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시공 사용성이 개선되고, 이에 시공 후 공간감 및 미관이 개선되도록 한 아이엠티 슬래브(Inverted Multi Tee Slab)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아이엠티 슬래브는 이웃한 타측 패널과 연결시에 조인트를 위한 종전의 "U(유)" 자형 보강근의 사용 대신 조인트부(이음부)에 해당하는 외측 지지리브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형 연결근을 부설하여, 현장콘크리트 타설 전 서로 마주보게 펼쳐 일종의 조인트 근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단 보강력(폭방향 연속성 확보)이 개선되고, 조인팅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공수가 절감되어 공기단축으로 하여금 생산성 및 원가절감이 개선됨은 물론 상기 지지리브 내에는 상기 연결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별도의 강선이 매입되어 시공시 길이방향으로도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 강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널(100)의 상부 면상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티(T)형 지지리브(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200) 중 외측단 지지리브(200-1)에는 맞닿는 타측 패널(100-1)과 조인트부(J)를 이루기 위해 일측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분기되면서 피씨보에 걸침시에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현장콘크리트 타설 직전에는 타측 패널(100-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펼쳐 이웃한 연결근(300-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다수개의 연결근(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근(300,300-1)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는 매입부(310)와 상기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외측으로 절곡 및 분기되는 매립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매입부(310)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절곡되어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엠티 슬래브는 지지리브(200) 및 외측단 지지리브(200-1) 상면에 앵글형 전단 보강근(400)이 결합되어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 저항력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층고 확보가 용이하고 천정 도색(페인팅)에 따른 평면 작업으로 인해 마감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시공 사용성이 개선되고, 이에 시공 후 공간감 및 미관이 개선되며, 특히 이웃한 타측 패널과 연결시에 조인트를 위한 종전의 "U(유)" 자형 보강근의 사용 대신 조인트부(이음부)에 해당하는 외측 지지리브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형 연결근을 부설하여, 현장콘크리트 타설 전 서로 마주보게 펼쳐 일종의 조인트 근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단 보강력(폭방향 연속성 확보)이 개선되고, 조인팅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공수가 절감되어 공기단축으로 하여금 생산성 및 원가절감이 개선됨은 물론 상기 지지리브 내에는 상기 연결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별도의 강선이 매입되어 시공시 길이방향으로도 연속성이 확보되어 구조 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하층을 시공하기 위한 직선형 강선을 갖는 아이엠티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을 이용하여 지하층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붕층을 시공하기 위한 엘보형 강선을 갖는 아이엠티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를 이용하여 지붕층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층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100)의 상부 면상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티(T)형 지지리브(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200) 중 외측단 지지리브(200-1)에는 맞닿는 타측 패널(100-1)과 조인트부(J)를 이루기 위해 일측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분기되면서 피씨보에 걸침시에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현장콘크리트 타설 직전에는 타측 패널(100-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펼쳐 이웃한 연결근(300-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다수개의 연결근(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패널과 지지리브는 기본적으로 일체형 피씨로 형성됨은 물론 별도의 연결근은 공장에서 아이엠티 슬래브를 성형시 외측단 지지리브에 미리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리브들은 단면 형상이 T형 지지리브로서, 후발 시공 작업인 현장콘크리트 타설시 상단부의 단면적이 더 넓어(상광하협) 수직 방향의 전단 보강력이 개선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근(300,300-1)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는 매입부(310)와 상기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외측으로 절곡 및 분기되는 매립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매입부(310)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절곡되어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의 아이엠티 슬래브가 최초 공장에서 제작될 때는 연결근의 일부가 외측단 지지리브에 매입되도록 하되, 상기 매입된 상태는 지지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입되면서 외측으로 분기된 측 역시 지지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하여 최초의 형상은 "∩"을 이루다가 피씨보에 걸침된 후 현장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외측 단부를 이웃한 패널 방향으로 펼쳐 형상이 "「 " 기억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측단 지지리브의 기립된 선단 폭이 좁아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부림으로서, 전단 보강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아이엠티 슬래브는 지지리브(200) 및 외측단 지지리브(200-1) 상면에 앵글형 전단 보강근(400)이 결합되어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 저항력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앵글형 전단 보강근은 피씨보에 걸침된 후 별도의 와이어 메쉬와 고정되어 현장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층간 전단 보강력을 더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씨거더에 안착된 다수개의 패널들이 이웃한 타측 패널들과 길이방향으로도 구조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지지리브 내에 별도의 직선형 강선(500)이 매입된다.
이때, 상기 강선(500)은 지지리브와 동일선상을 이루며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됨으로써,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시 구조물의 수직 저항력이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지붕층을 시공하기 위하여 상술한 직선형 강선(500)을 절곡된 엘보형 강선(500-1)으로 대체하여 시공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엘보형 강선(500-1)은 피씨거더에 걸침시 이웃한 패널과 서로 교차배열되어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시 구조물의 수직 저항력이 보강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지지리브 내에 형성된 연결근과 강선에 의하여 4방향의 구조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패널 200 ... 지지리브
200-1 ... 외측단 지지리브 300 ... 연결근
400 ... 앵글형 전단 보강근 500, 500-1 ... 강선

Claims (3)

  1. 패널(100)의 상부 면상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티(T)형 지지리브(20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200) 중 외측단 지지리브(200-1)에는 맞닿는 타측 패널(100-1)과 조인트부(J)를 이루기 위해 일측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분기되면서 피씨보에 걸침시에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현장콘크리트 타설 직전에는 타측 패널(100-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펼쳐 이웃한 연결근(300-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다수개의 연결근(3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근(300,300-1)은
    외측단 지지리브(200-1) 내에 매입되는 매입부(310)와 상기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외측으로 절곡 및 분기되는 매립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매입부(310)는 외측단 지지리브(20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절곡되어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엠티 슬래브는
    지지리브(200) 및 외측단 지지리브(200-1) 상면에 앵글형 전단 보강근(400)이 결합되어 현장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 저항력을 개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20100113362A 2010-11-15 2010-11-15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01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362A KR101012321B1 (ko) 2010-11-15 2010-11-15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362A KR101012321B1 (ko) 2010-11-15 2010-11-15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321B1 true KR101012321B1 (ko) 2011-02-09

Family

ID=4377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362A KR101012321B1 (ko) 2010-11-15 2010-11-15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03B1 (ko) * 2014-02-05 2014-11-07 덕산콘크리트(주)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KR20200107535A (ko) * 2019-03-08 2020-09-16 삼광선재 주식회사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830A (ko) * 2006-05-17 2009-02-05 어소시에이티드 발레 피티와이 리미티드 구조요소 및 그 사용방법
KR20090050520A (ko) * 2007-11-16 2009-05-20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2404A (ko) * 2008-07-28 2010-02-08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830A (ko) * 2006-05-17 2009-02-05 어소시에이티드 발레 피티와이 리미티드 구조요소 및 그 사용방법
KR20090050520A (ko) * 2007-11-16 2009-05-20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2404A (ko) * 2008-07-28 2010-02-08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03B1 (ko) * 2014-02-05 2014-11-07 덕산콘크리트(주)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KR20200107535A (ko) * 2019-03-08 2020-09-16 삼광선재 주식회사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209501B1 (ko) * 2019-03-08 2021-01-29 삼광선재 주식회사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89647U (zh) 一种新型填充墙砌体拉结筋构造
CN104631662A (zh) 中空钢网龙骨内模水泥隔墙施工方法
RU235909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ооруж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6752676U (zh) 装配式建筑主体结构
CN106759420A (zh) 预制装配式变电站基础结构
CN105298031A (zh) 一种仿古建筑的大坡度瓦屋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12321B1 (ko) 건축물 피씨화 시공용 아이엠티 슬래브
CN109667376B (zh)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RU241600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жесткости для несущи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в зданиях
CN101769032B (zh) 一种大跨度地下厂房的吊顶结构及其施工工艺
CN105040810A (zh) 适用于框支剪力墙结构逆作法施工的连接节点
CN106760059A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体系
CN105040855B (zh) 装配式预制剪力墙焊接端板及水平型钢组合连接装置
CN204781443U (zh) 一种用于左右预制剪力墙拼接的连接装置
CN207122021U (zh) 装配式螺栓连接钢管混凝土剪力墙
CN205046668U (zh) 适用于框支剪力墙结构逆作法施工的连接节点
CN204804130U (zh) 一种建筑楼板
CN102418414A (zh) 大板跨预制梁楼板支模体系
CN212376009U (zh) 一种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结构房屋
KR101457070B1 (ko)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CN112814019A (zh) 一种预制式钢砼组合环网柜基础
CN207633583U (zh) 一种预制柱与预制隔墙的连接结构
CN220644651U (zh) 一种防水结构件及水平构件的防水节点
CN217711438U (zh) 仿古建筑瓦屋面工程瓦施工用钢筋格栅
CN114876134B (zh) 女儿墙及其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