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85B1 -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85B1
KR101011785B1 KR1020090121352A KR20090121352A KR101011785B1 KR 101011785 B1 KR101011785 B1 KR 101011785B1 KR 1020090121352 A KR1020090121352 A KR 1020090121352A KR 20090121352 A KR20090121352 A KR 20090121352A KR 101011785 B1 KR101011785 B1 KR 10101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ing material
material injection
grouting
injec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박용원
봉상균
Original Assignee
박용원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원,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용원
Priority to KR102009012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6/00Compositions: coating or plastic
    • Y10S106/90Soil stabil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강화를 위한 그라우팅 주입 공법에 있어서,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그라우팅재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지반 또는 구조물 등에 미리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그라우팅재 주입부 및 상기 내부 유로를 통하여 주입되는 그라우팅재가 보다 원활히 유동하여 상기 천공홀 내부로 주입되도록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에 소정 위치마다 구비되는 진동부를 제공한다.
그라우팅, 진동장치, 유동화제, 모르타르

Description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Apparatus for Injecting Grout Material and Method for Injecting Grout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우팅재를 더 효과적이고 치밀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우팅(grouting)이라 함은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나 토질안정 등의 목적으로 지반 또는 구조물 내부에 시멘트밀크, 모르타르 등과 같은 소정의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안정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라우팅 공법의 과정을 설명하면, 지반 또는 구조물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형성하고,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천공홀에 삽입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한다.
한편, 그라우팅재 주입관과 연결된 주입기에 의하여 그라우팅재는 그라우팅재 주입관에 공급되며, 상기 주입기는 소정의 압력으로 그라우팅재를 공급하므로, 상기 주입되는 압력하에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재가 주입된다.
하지만, 위 과정과 같이 압력에만 의존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과의 마찰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하여 주입과 내부에서 상기 그라우팅재가 원활히 유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원활히 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천공홀내측에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그라우팅재는 시멘트와 타 물질의 혼합에 따라 시멘트밀크, 모르타르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모르타르는 시멘트, 물 및 모래가 혼합된 그라우팅재이며, 모래가 혼합되어 입자가 크게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입자가 큰 모르타르 등과 같은 그라우팅재를 사용할 경우 입자가 고운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것에 비하여 주입이 어려움은 물론 최종 주입된 상태 또한 더욱 불균해지며,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시간 및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입관 내의 그라우팅재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균일한 그라우팅이 가능한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둘째, 상기 주입관 내의 그라우팅재의 유동이 원활해짐으로써, 입자가 큰 모르타르 등과 같은 그라우팅재를 주입해 지반 또는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셋째, 그라우팅재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혼합하여, 더욱 양호한 그라우팅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그라우팅재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지반 또는 구조물 등에 미리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그라우팅재 주입부 및 상기 내부 유로를 통하여 주입되는 그라우팅재가 보다 원활히 유동하여 상기 천공홀 내부로 주입되도록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에 소정 위치마다 구비되는 진동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는 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홀에 일부가 삽입된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진동부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는 유연성을 가진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천공홀에 일부가 삽입된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피에조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에 그라우팅재를 공급하는 그라우팅재공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재를 믹싱하며, 상기 그라우팅재공급모듈에 믹싱된 그라우팅재를 공급하는 믹싱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그라우팅 방법에 있어서, 기 설계된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천공홀에 그라우팅 주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우팅 주입부에 진동을 가함과 동시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우팅재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라우팅재 주입부에 진동부가 구비되어 기존에 존재하는 소정의 압력뿐 아니라 진동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며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므로, 더 균일하고 안정적인 주입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그라우팅재 주입부에는 진동부가 구비되어 원활한 주입이 가능하므로, 입자가 큰 모르타르 등도 또한 주입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공극이 큰 사석층에도 구조적인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그라우팅재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동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그라우팅재의 분사효과가 증대되고 수밀성이 향상되어 더 견고한 그라우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그라우팅재 주입부의 적정 위치마다 주입부의 전체를 감싸도록 링형의 진동부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그라우팅재의 원활한 유동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1)는 천공기(50)에 의해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51)에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일부가 삽입되며, 그라우팅재 주입부(10)가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진동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모듈(30)에서 믹싱된 그라우팅재(2) 및 약액공급모듈(40)의 약액은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에서 혼합되어,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공급된다.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내부에 그라우팅재(2)가 유동하는 유로가 길 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천공기(50)에 의해 지반 또는 구조물에 형성된 천공홀(51)에 일부가 삽입되어 그라우팅재(2)를 목표지점에 주입한다.
여기서, 그라우팅 공법의 종류에 따라 구조, 형상 및 재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 주입방식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진동부(11)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진동부(11)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구조, 형상 및 재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2a 내지 도2d에 개시된 제1실시예의 주입과정을 간단히 설명한 후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롯드(10a) 및 선단주입장치(10b)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구체적인 주입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2a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50)로 롯드(10a)를 통해 천공수를 보내어 소정의 천공경 및 소정의 설계심도로 천공을 실시한다.
천공 완료 후 도2b와 같이 상기 롯드(10a)에 압력수를 보내면서 롯드(10a)를 1스텝(Step) 들어 올리면, 내측의 선단주입장치(10b)는 돌출되어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롯드(10a)를 그라우팅재 주입용 관으로 치환시키고, 도2c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롯드(10a)가 상향된 1스텝에 그라우팅재(2)를 주입한다.
상기 1스텝에 주입이 완료되면 롯드(10a) 및 선단주입장치(10b)는 전체적으로 상승되어 2스텝에 그라우팅재(2)를 주입한다. 도2d에 2스텝의 작업이 개시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단계적으로 반복하면서 상기 천공홀(51)에 그라우팅재(2)를 전방위로 침투시킨다.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은 그라우팅 방법의 일예로서 SGR공법과 같은 그라우팅 공법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이때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강관으로 형성된다.
한편,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은,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그라우팅재(2)를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전자유량계(21)로 주입량을 측정하며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그라우팅재(2)는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의 압력에 의하여 그라우팅재 주입부(10)를 통해 주입된다.
하지만,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압력만으로 그라우팅재(2)를 주입하게 되면, 주입이 원활히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형성된 유로의 폭이 좁거나, 천공홀(51)의 심도가 깊어 주입 목표지점의 거리가 먼 경우 및 소정의 압력이 저압일 경우 등에 있어 더 확연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진동부(11)가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구비되어 소정의 압력 외에 진동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그라우팅재(2) 주입이 가능하다.
진동에 의해 그라우팅재(2)가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내부 유로에서 정체되는 현상 없이 진행되며, 분사된 그라우팅재(2)가 바닥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치밀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강관으로 형성되고, 천공홀(51)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진동부(11)가 구비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가 강관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부에서 일어나는 진동을 강관을 따라서 하단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를 교체하여 그라우팅 작업을 하는 경우 진동부(11)와의 연결을 외부에서 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된다.
물론, 주입 목표지점의 거리가 상당히 멀게 된 경우 즉,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도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강관이라고 해도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진동부(11)가 하단에 구비되거나, 상부와 하단 모두에 구비되는 방법을 취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하단에 충분한 진동이 전해지는 위치까지 진동부(11)가 하향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진동부(11)는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상기 진동부(11)는 다양한 방식의 진동방법을 가질 수 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중심이 어긋난 모터(미도시)를 연결하고,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진동부(11)로서 진동소자인 피에조(Piezo)소자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피에조 소자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외부를 링형으로 전부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일정 지역을 전체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피에조 소자까지 외부에서 간단하게 전력선 만을 연결하여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마다 그 부착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 형태를 가짐으로써 진동부(11)를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특정 위치에 영구히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 진동부(11)를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 외측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키며 진동부(1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진동부(11)가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자유롭게 고정,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어 탈착 가능한 결합부재를 상기 진동부(11) 및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결합 방법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진동부(11)의 지름을 조절 가능하도록 조임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진동부(11)는 그라우팅재 주입부(10) 외측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슬라이딩시켜 재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라우팅재(2)가 원활히 유동되지 않는 지점을 찾아 진동부(11)를 위치시켜 작업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그라우팅 방법에 따라 강관이 아닌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라우팅재 주입부(10)는 지형에 따라 휘어짐이 형성되기도 하며, 상기 휘어진 부분에서는 그라우팅재(2)가 원활히 유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같은 경 우에 진동부(11)의 위치 가변은 대단히 유용한 것이다.
또한, 위치 가변이 가능한 링 형상의 진동부(11)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 진동부(11)를 몰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진동을 강하게 주어야 할 위치에는 다수 개의 진동부(11)를 고정시키는 등 제공할 진동 정도에 따라 진동부(11)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입효과가 상승된다는 장점 이외에도, 그라우팅재(2)로서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라우팅 공법 전반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라우팅재(2)로 주입이 용이한 이유 등으로 시멘트밀크가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시멘트밀크는 입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공극이 큰 자갈 등 사석이 함유되어 있는 지반에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작은 입자 등의 문제는 물론 응고 후 수축 등의 문제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반면, 모래와 소정 비율 혼합된 입자가 큰 모르타르를 시멘트밀크 대신 주입할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지만, 큰 입자로 인하여 주입 자체가 힘들어 사용이 극히 지양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진동부(11)가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구비됨으로써,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즉, 진동에 의해 모르타르의 주입이 한층 원활해지며 특히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진동부의 구비가 가능하게 되므로 공극이 큰 지면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모르타르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4의 제2실시예를 참조하여 진동부(11)가 다른 그라우팅 공법에 적용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그라우팅 공법에서는 상기 천공홀(51)에 보강부재(6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유연성을 가지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를 통해 그라우팅재(2)가 주입된다.
도3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가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진동부(11)가 외부로 노출된 상부에 위치되면 주입이 일어나는 하부에 진동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진동부(11)를 하부에 구비하여 효과적인 주입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진동부(11) 역시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링 형태의 피에조소자가 구비된 형태이다.
이 경우에도,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진동부(11)가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복수개가 동시에 또는 일정 길이마다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그라우팅재 주입부(10) 전체에 걸쳐 원활히 그라우팅재(2)가 이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다양한 그라우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5에는 제3실시예가 개시된다. 이는 천공홀(51)에 보강부재(60)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그라우팅재 주입부(10)를 삽입하여 주입하는 그라우팅 방법이다. 천공홀(51) 바닥에서부터 주입을 시작하여, 그라우팅재 주입부(10)가 차차 상향되면서 그라우팅재(2)가 주입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개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11)가 그라우팅재 주입부(10)의 하부에 다수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그라우팅재 주입부(10)가 서서히 상승하며 천공홀(51)에 빈틈 없이 주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진동부(11)까지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16)이 견고하게 설치되고 보호되도록 상기 그라우팅 주입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별도의 관 형태로 전력선 설치가이드(15)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전력선 설치가이드(15)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부(11)에는 요홈이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은 그라우팅 공법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반을 천공하여 그라우팅재(2)를 공급하는 공법뿐 아니라, 터널 등의 구조물에 전, 후 방향으로 천공홀을 형성하여 그라우팅재(2)를 공급하는 공법 등에 적용하는 등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진동부(11) 역시 상기 다양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방법, 형태, 위치 또는 수량 등에 제한이 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는 도1을 다시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그라우팅재 주입장치(1)의 나머지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상기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우팅재 주입부(10)에 그라우팅재(2)를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전자유량계(21)로 주입량을 측정하며 공급한다.
믹싱모듈(30)에서는 시멘트밀크 또는 모르타르 등 그라우팅재(2)가 믹싱되며, 믹싱이 완료된 그라우팅재(2)는 그라우팅재 공급모듈(20)로 공급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상기 믹싱모듈(30)은 믹싱된 그라우팅재(2)에 유동화제를 첨가하는 유동화제첨가부(3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유동화제는 그라우팅재(2), 즉 시멘트밀크 또는 모르타르에 섞여 분산 효과를 증대시키고, 수밀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주입효과를 상승시킨다.
약액공급모듈(40)은 약액을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에 공급하며, 따라서 그라우팅재공급모듈(20)에서는 유동화재가 첨가된 그라우팅재(2) 및 약액이 혼합된다.
상기 약액은 다양한 종류를 가지며, 그라우팅재(2)에 약액을 혼합하는 목적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희석 산성액 및 희석 규산소다를 혼합시킨 실리카졸이 약액으로 혼합되어 특히 지수 및 차수 목적의 그라우팅 공법에 주로 사용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1단계 주입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2단계 주입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3단계 주입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4단계 주입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장치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2: 그라우팅재
10: 그라우팅재 주입부 10a: 롯드
10b: 선단주입장치 11: 진동부
20: 그라우팅재공급모듈 21: 전자유량계
30: 믹싱모듈 31: 유동화제첨가부
40: 약액공급모듈 50: 천공기
51: 천공홀 60: 보강부재

Claims (10)

  1. 내부에 그라우팅재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진 관 형태로 형성되고, 지반 또는 구조물 등에 미리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그라우팅재 주입부; 및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유로를 통하여 주입되는 그라우팅재가 원활히 유동하여 상기 천공홀 내부로 주입되도록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의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진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피에조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10. 삭제
KR1020090121352A 2009-12-08 2009-12-08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KR10101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352A KR10101178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352A KR10101178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785B1 true KR101011785B1 (ko) 2011-02-07

Family

ID=4377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352A KR101011785B1 (ko) 2009-12-08 2009-12-08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64B1 (ko) 2013-07-26 2014-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 내 탐침봉의 걸림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81968B1 (ko) * 2015-11-09 2018-07-25 송원신 그라우팅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52A (ja) * 1994-05-30 1995-12-05 Nittoc Constr Co Ltd 地盤改良の動的注入工法
KR100349617B1 (ko) * 2000-01-22 2002-08-23 양형칠 약액주상주입공법
KR100563990B1 (ko) * 2005-09-08 2006-03-29 건양씨엔이 (주) 가압식 초음파 진동체를 이용한 터널 다단 보강그라우팅공법 및 그 장치
KR100798019B1 (ko) * 2007-08-22 2008-01-24 조현준 지반보강 및 차수용 복합 그라우팅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52A (ja) * 1994-05-30 1995-12-05 Nittoc Constr Co Ltd 地盤改良の動的注入工法
KR100349617B1 (ko) * 2000-01-22 2002-08-23 양형칠 약액주상주입공법
KR100563990B1 (ko) * 2005-09-08 2006-03-29 건양씨엔이 (주) 가압식 초음파 진동체를 이용한 터널 다단 보강그라우팅공법 및 그 장치
KR100798019B1 (ko) * 2007-08-22 2008-01-24 조현준 지반보강 및 차수용 복합 그라우팅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64B1 (ko) 2013-07-26 2014-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 내 탐침봉의 걸림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81968B1 (ko) * 2015-11-09 2018-07-25 송원신 그라우팅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12110A (ja) グラウト注入方法およびグラウト注入装置
KR101011785B1 (ko) 그라우팅재 주입장치
KR100883133B1 (ko) 이중주입관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제거식 어스앵커체
JP6311954B1 (ja) グラウト装置
KR100856846B1 (ko) 다중 분사형 가압식 그라우팅 장치
KR20100095070A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 공법 및 장치
JP5799400B1 (ja) 地盤注入装置および地盤注入工法
KR20100009968A (ko) 초음파를 이용한 그라우팅 장치
JP2018012987A (ja) 地盤注入装置および地盤注入工法
KR101174442B1 (ko) 저압 주입 및 고압 분사 겸용 그라우팅 장치 및 공법
JP4527809B2 (ja) グラウチ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グラウチング方法
JP2010090556A (ja) 遮水壁築造工法
KR20090109282A (ko) 팩을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기초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파일 조립체
JP5786237B1 (ja) 結束注入管および地盤注入工法
JP2018016954A (ja) 地中壁の施工法
JP7032242B2 (ja) マイクロパイル工法およびマイクロパイル工法で用いるグラウト材充填用挿入部材
JP2001073369A (ja) 杭類の圧入施工方法
KR20100010044A (ko) 그라우팅 강관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2077454A (ja) 推進埋設工法に用いる2液混合型注入材の混合装置
JP4583263B2 (ja) 薬液注入管及び薬液注入工法
JP2016199901A (ja) PCa部材の接合方法
JP2009249891A (ja) 擁壁支持構造および擁壁支持工法
JP2006249773A (ja) 鋼管の口元コーキング装置
JP2015155637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工法
JP6942521B2 (ja) 薬液注入装置及び地盤注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