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02B1 -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 Google Patents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02B1
KR101011702B1 KR1020080092947A KR20080092947A KR101011702B1 KR 101011702 B1 KR101011702 B1 KR 101011702B1 KR 1020080092947 A KR1020080092947 A KR 1020080092947A KR 20080092947 A KR20080092947 A KR 20080092947A KR 101011702 B1 KR101011702 B1 KR 10101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flective member
groove
oral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877A (ko
Inventor
임두만
Original Assignee
임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만 filed Critical 임두만
Priority to KR102008009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7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반사부재가 결합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은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은 반사부재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부재의 교체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강 거울, 교환

Description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tooth mirror}
본 발명은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반사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반사부재가 결합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치료나 진료시에 환자의 구강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과, 손잡이 부분의 단부에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거울을 갖는 구강거울을 사용한다.
구강거울은 통상적으로 구강 내부의 상을 반사시켜 치과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검경과, 검경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이 결합되는 본체를 구비한다.
치과 진료시 구강거울은 구강 내부에서 조작되기 때문에 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독을 실시하여 세균감염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독과정에서 검경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구강거울을 환자의 구강 내에서 조작하다가 구강 내부 조직과 검경의 표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검경의 표면에 다수의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렇게 검경의 표면에 다수의 스크래치가 형성되면 구강 내부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치과 의사들은 검경을 통한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면 검경을 포함한 프레임을 교체해 왔다.
이렇게 종래에는 검경을 포함해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매 교체시마다 프레임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교체 비용이 컸으며, 이에 따른 자원의 낭비도 심각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은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자성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자력결합하는 제2 자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자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면 상기 반사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링을 포함하거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결합시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반사부재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인출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재는 수용부를 갖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구강 내부의 상을 구강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반사체의 경계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반사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코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체를 상기 프레임과 자력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부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반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반사체의 일측에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반사체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은 반사부재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부재의 교체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100)의 제1 실시예 를 참조하면, 구강거울(100)은 반사부재(110)와 본체(120) 및 결합수단(130)을 구비한다.
반사부재(110)는 연마된 유리의 한쪽 면에 반사율이 좋은 금속을 입혀 구강 내부의 상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통상적인 거울의 형성시에는 유리의 일측면에 수은을 발라 거울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구강거울(100)은 치료를 받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되는 것이므로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0)는 치과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1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는 손잡이부(121)와, 손잡이부(121)의 단부에 반사부재(1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24)을 구비한다.
손잡이부(121)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구강거울(100)의 손잡이와 유사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21)는 일부가 구강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내식성이 강하고 살균 소독기에 넣어 소독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21)의 상단에는 프레임(124)에 결합된 반사부재(110)를 프레임(124)으로부터 인출할 때 사용하기 위한 돌출핀(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21)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124)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23)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124)은 반사부재(1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21)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프레임(124)은 상단에 상기 체결홈(123)에 나사결합되는 삽입부분(126)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25)와, 연장부(125)의 단부에 반사부재(110)가 결합되는 수용부(127)를 구비한다.
연장부(125)와 수용부(127)는 구강 내부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부(127)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되는 수용홈(128)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홈(128)의 직경은 상기 반사부재(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부재(110)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홈(128) 역시 이에 대응하도록 인입되어 있다. 반사부재(110)가 본 실시예와는 달리 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수용홈(128)은 상기 반사부재(11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수단(130)에 의해 반사부재(110)가 수용홈(128)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홈(128)의 바닥면에는 결합된 반사부재(110)를 프레임(12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인출공(129)이 수용홈(128)의 바닥면으로부터 프레임(124)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수단(130)은 반사부재(110)와 프레임(124)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130)은 반사부재(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131)와, 프레임(124)의 내부에 내장되는 제2 자성체(132)를 구비한다.
제1 자성체(131)는 영구자석이며, 제2 자성체(132)는 제1 자성체(131)에 의해 자화되는 자성체로서 제1, 제2 자성체(131,132)가 상호 자력결합됨으로써 반사 부재(110)가 프레임(12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성체(131)가 영구자석이지만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자성체(132)가 영구자석이고, 제1 자성체(131)는 제2 자성체(132)에 자화되어 상호 자력결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제1, 제2 자성체(131,132) 모두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체(120)는 프레임(124)과 손잡이부(121)가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손잡이부(121)와 프레임(124)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10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반사부재(110)가 제1, 제2 자성체(131,132)의 자력결합에 의해 프레임(124)의 수용홈(128)에 체결되어 있으며, 환자의 구강 내부의 관찰 시에 사용된다. 이 후, 반사부재(110)의 표면에 흠집 또는 스크래치가 형성되어 구강 내부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게 되면 손잡이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핀(122)을 인출공(129)으로 삽입하여 반사부재(110)의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반사부재(110)가 프레임(124)으로부터 분리되면 표면이 깨끗한 새로운 반사부재(110)를 수용홈(128)에 인입시키며, 새로운 반사부재(110)의 제1 자성체(131)와 제2 자성체(132)가 상호 자력결합됨으로써 반사부재(110)가 프레임(12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200)도 본체(210)와, 본체(210)에 결합되는 반사부재(216)와, 반사부재(216)와 본체(210)를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20)과, 결합된 반사부재(216)를 본체(2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인출부재(24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부(211)와, 손잡이부(2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12)을 구비하는데, 프레임(212)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되어 있는 수용홈(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212)의 하면과 수용홈(213)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12)의 상면에는 수용홈(213)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215)들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수단(220)은 프레임(212)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21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수용홈(2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하면이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221)와, 제1 지지부재(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226)와, 제1, 제2 지지부재(221,226)에 지지되며 반사부재(216)의 결합시 반사부재(216)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링(230)을 구비한다.
제1 지지부재(221)에는 상기 관통홀(214)과 대응되는 지점에 승강홀(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21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부분(223)에는 상기 결합홈(215)들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1 체결공(22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부분(223)의 내측에는 상기 가압링(23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지지홈(225)이 테두리부분(2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재(226)는 제1 지지부재(221)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제2 지지부재(226)에는 제1 체결공(224)들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227)들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나사(229)가 제2 지지부재(226)의 상부로부터 제2 체결공(227)과 제1 체결공(224)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215)에 결합됨으로써 제1, 제2 지지부재(221,226)는 프레임(212)에 고정된다. 제2 지지부재(226)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지지홈(225)과 함께 가압링(2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홈(228)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링(230)은 반사부재(216)가 프레임(212)에 결합될 때, 반사부재(216)의 측면을 가압하여 프레임(21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링(23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1, 제2 지지부재(221,226)의 결합에 의해 제1, 제2 지지홈(225,228)이 가압링(230)을 고정하게 된다. 가압링(230)은 제1, 제2 지지부재(221,226)의 내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이 반사부재(216)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인출부재(240)는 결합된 반사부재(216)를 프레임(21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212)의 관통홀(214)을 통해 프레임(212)의 하부로 돌출되는 하방돌출부(241)와, 하방돌출부(24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4) 및 상기 승강홀(2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부(242)와, 이탈방지부(242)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홀(222)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돌출부(243)를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부(242)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제1 지지부재(221)의 하면과 프레임(212)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인 출부재(24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반사부재(216)가 결합되면 상방돌출부(243)의 상면이 제1 지지부재(221)의 바닥면과 동일하도록 하강하여 반사부재(216)가 가압링(23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프레임(212)에 고정되며, 이때, 인출부재(240)가 하강하기 때문에 하방돌출부(241)는 프레임(212)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반사부재(216)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하방돌출부(241)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상방돌출부(243)가 상방으로 승강하게 하며, 상방돌출부(243)에 의해 반사부재(216)는 가압링(23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프레임(2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200) 역시 반사부재(216)가 프레임(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반사부재(216)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반사부재(216)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반사부재(216)는 제1 실시예의 반사부재(216)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강거울(300)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300)은 본체(310), 반사부재(320) 및 결합수단으로써 반사부재(320)의 측면에 결합되는 탄성변형부재(330)를 구비한다.
본체(310)는 프레임(311)과, 프레임(311)에 결합된 손잡이부(314)를 구비한다.
프레임(311)에는 반사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프레임(311)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수용홈(312)의 바닥면의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311)의 상단에는 수용홈(312)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313)이 프레임(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320)의 측면에는 탄성변형부재(330)가 코팅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변형부재(330)는 수용홈(312)에 삽입된 반사부재(320)의 인출을 방지하고, 프레임(311)과 반사부재(320)의 경계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변형부재(330)의 외경은 상기 수용홈(312)이 형성된 프레임(311)의 내주면의 직경과 대응되며, 상기 걸림턱(313)이 형성된 프레임(311)의 상단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반사부재(320)가 프레임(311)에 결합될 때에는 탄성변형부재(330)가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변형된 상태로 수용홈(312)에 삽입되며, 수용홈(312)에 삽입된 후에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탄성변형부재(330)의 상면이 걸림턱(313)의 하부에 걸려 반사부재(320)가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사부재(320)를 교체할 때에는 프레임(311)의 하면 중심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반사부재(320)를 승강시키게 되는데, 반사부재(320)를 밀어올리는 힘이 커지면 탄성변형부재(330)가 변형하여 반사부재(320)가 걸림턱(313)을 통과하게 되므로, 반사부재(320)를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하고 새 반사부재(320)를 수용홈(312)에 삽입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재(330)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부재(320)에 탄성변형부재(330)가 결합되어 외력이 작용할 때, 탄성변형부재(330)의 변형에 의해 반사부재(320)가 프레임(311)에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반사부재(320)에 별도의 탄성변형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프레임(311)의 내측면에 반사부재(32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수용홈(31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형성된 프레임(311)의 측면부분이 반사부재(320)의 인출 또는 삽입 시에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의 구강거울의 제4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400)은 프레임(410)에 반사부재(420)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420)는 측면과 하면이 탄성변형부재(430)에 의해 감싸여 있으며, 탄성변형부재(430)에 의해 프레임(410)의 수용홈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
프레임(410)의 일측에는 인출홈(4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인출홈(412)을 통해 반사부재(420)의 하면 중 일부 영역이 프레임(41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반사부재(420)를 프레임(410)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손가락 또는 별도의 도구를 통해 인출홈(412)을 통해 노출된 반사부재(420)의 하면을 프레임(410)의 상방으로 가압하면 반사부재(420)를 프레임(4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홈(412)이 연장부(413)와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인출홈(412)이 구강 내부 조직과의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 이다. 인출홈(412)의 형성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410)의 어느 부분에나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강거울(500)의 제5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500)은 프레임(510)과 파지부(520) 및 반사부재(530)를 포함한다.
프레임(510)은 원형의 베이스부(511)와, 베이스부(5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51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11)의 중앙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소정 직경의 관통홀(5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1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분할부(5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분할부(514)를 중심으로 프레임(510)은 소정간격 벌어질 수 있게 된다.
프레임(5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분할부(514)가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프레임(510)에 반사부재(53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커트부(512)의 내측면이 반사부재(53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반사부재(530)가 프레임(5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부재(530)의 교환을 위해 반사부재(530)를 프레임(5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끼워넣을 때에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분할부(514)를 중심으로 프레임(510)이 벌어지면서 반사부재(530)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분할부(514)가 형성된 프레임(510)의 일측 단부에는 반사부재(530)를 프레임(5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반사부재(5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53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분(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 또는 별도의 스 틱부재를 이용해 노출부분(515)을 통해 노출된 반사부재(530)의 하면을 가압하여 반사부재(530)가 프레임(5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도 11에는 구강거울(600)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구강거울(600)은 프레임(610)과, 프레임(6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사부재(620)를 포함한다.
프레임(610)은 원판형상의 베이스부분(611)과, 베이스부분(6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스커트부분(612)과, 스커트부분(61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분(613)을 포함한다.
스커트부분(612)에는 일측에 반사부재(620)가 프레임(6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홀(614)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홀(614)을 통해 반사부재(620)는 프레임(610)의 내부로 입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장착홀(614)이 형성된 스커트부분(612)의 상부에는 장착홀(614)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스커트부분(61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는 인입홈(615)이 형성되어 있고, 인입홈(615)의 단부에는 반사부재(6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딩홈(616)이 마련되어 있다.
반사부재(620)는 프레임(61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절곡부분(613)에 의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프레임(6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분(613)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반사부재(6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편(6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편(621)은 상기 인입홈(615)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홈(6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6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분(622)을 파지하고 상기 돌출편(621)이 인입홈(6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사부재(620)를 장착홀(614)을 통해 프레임(610)에 삽입시킨 다음, 인입홈(615)으로 삽입된 돌출편(621)이 슬라이딩홈(6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620)를 회전시키면 반사부재(620)가 돌출편(621)에 의해 프레임(6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반사부재(620)의 훼손시 반사부재(620)를 교체할 때에는 파지부분(622)을 잡고 돌출편(621)이 인입홈(615)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반사부재(620)를 회전시킨 다음 반사부재(620)를 프레임(610)으로부터 인출하여 반사부재(620)와 프레임(6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2에는 구강거울(700)의 제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700)은 일측에 장착홀(711)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710)과, 장착홀(711)을 통해 프레임(710)에 삽입 설치되는 반사부재(720)를 구비한다.
상기 제6 실시예의 구강거울(600)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700)도 프레임(7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홀(711)을 통해 반사부재(720)가 프레임(7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임(710)에는 반사부재(720)가 프레임(7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으로서 개폐부재(730)가 부착되어 있다.
개폐부재(730)는 상기 장착홀(71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장착홀(7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710)의 외측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개폐부재(730)를 개방하여 장착홀(711)이 프레임(7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 반사부재(720)를 프레임(7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프레임(7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720)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730)를 회동시킨 다음 장착홀(711)에 개폐부재(730)를 삽입함으로써 개폐부재(730)에 의해 장착홀(711)이 폐쇄되어 반사부재(720)가 프레임(7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개폐부재(730)는 장착홀(711)을 폐쇄할 때, 프레임(710)과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크도록 마찰계수가 큰 고무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730)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730)가 접촉면 사이의 마찰력만으로도 장착홀(71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홀(711)이 개폐부재(730)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반사부재(720)가 프레임(7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반사부재(720)를 프레임(7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은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구강거울(800)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800)은 손잡이(840)와 연결되는 하부프레임(820)과, 하부프레임(820)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810)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810,8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반사부재(83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820)은 상면에 반사부재(8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821)이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821)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820)의 내주면에는 상부프레임(81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나사산(8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810)은 외경이 상기 하부프레임(820)의 내경과 대응하며 외주면에 제1 나사산(822)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나사산(812)이 형성되어 있는 스커트부재(811)와, 스커트부재(811)의 상단에 반사부재(8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재(813)를 갖는다.
돌출부재(813)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반사부재(830)가 상·하부프레임(810,82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하부프레임(810,820)의 결합시 돌출부재(813)가 반사부재(830)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반사부재(830)가 상부프레임(810)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커트부재(811)의 외면에 제2 나사산(8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프레임(810,820)은 제1, 제2 나사산(822,812)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반사부재(830)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하부프레임(810,820)을 분리시켜 새로운 반사부재(830)를 수용홈에 수용한 다음 상·하부프레임(810,82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구강거울(900)의 제9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900)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910)과 하부프레임(920) 및 상·하부프레임(910,920)에 의해 고정되는 반사부재(93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920)은 반사부재(930)가 설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반사부재(93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921)와, 지지부(9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반사부재(9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커트부(922)를 포함하며, 스커트부(922)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입된 인입홈(923)이 원호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910)은 하부프레임(920)에 결합되어 반사부재(9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경이 상기 하부프레임(920)의 스커트부(922)의 내경에 대응하는 수직부(911)와, 수직부(911)의 상단에 상기 상·하부프레임(910,920)의 체결시 반사부재(9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이탈방지부(913)를 구비한다.
수직부(911)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돌출부(91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환형돌출부(912)는 상·하부프레임(910,920)의 체결시 인입홈(923)에 삽입되어 상·하부프레임(910,920)의 분리를 방지한다.
특히 상기 수직부(911)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프레임(910,920)의 체결 및 분리과정 중에는 내측으로 인입되게 변형한 후, 체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환형돌출부(912)가 인입홈(923)에 삽입되도록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체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이탈방지부(913)에 의해 반사부재(930)가 이탈되지 않고 상·하부프레임(910,9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910)에는 상·하부프레임(910,920)의 분리를 위한 분리홈(914)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 분리홈(914)에 분리도구를 삽입하여 상·하부프레임(910,9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1000)의 제10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거울(1000)은 프레임(1010)과, 프레임(1010)에 결합되는 반사부재(1020)와, 상기 프레임(1010)과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10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10)은 상면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삽입체결홈(10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체결홈(1011)이 형성된 프레임(101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결합홈(1012)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1010)은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는데, 프레임(1010)의 일측이 분할되어 있어서, 이 분할된 부분이 상호 벌어지면 반사부재(10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체결홈(1011)의 직경이 커지게 되며, 반대로 분할된 부분의 양측이 상호 밀착하게 되면 삽입체결홈(1011)의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분할부분(1013)의 양측에는 프레임(1010)을 상기 지지대(103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014)가 마련되는데, 결합부(1014)는 상기 분할부분(1013)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부재(1015)와, 상기 제1 결합부재(1015)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분할부분(1013)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결합부재(1016)를 포함한다.
제1, 제2 결합부재(1015,1016)는 각각 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결합부재(1015,1016)가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면 결합부(1014)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프레임(1010)의 하면에는 상기 분할부분(1013)을 벌어짐이 용이하도록 분할부분(1013)으로부터 프레임(1010)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분할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0)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영역 내에서 상기 프레임(1010)이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0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10)과 반사부재(1020)가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대(1030)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는 프레임체결홈(10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체결홈(1031)의 내주면에는 결합부(101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1014)가 상기 프레임체결홈(103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프레임(1010)이 지지대(10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1020)는 상기 프레임(1010)에 결합되며 구강 내부의 상을 반사하여 의사가 구강 외측에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10)의 삽입체결홈(10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재(102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결합홈(1012)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1021)들이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10)이 지지대(1030)에 결합되기 전에는 제1, 제2 결합부 재(1015,1016)가 상호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삽입체결홈(1011)의 직경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반사부재(1020)를 상기 프레임(1010)의 삽입체결홈(10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제2 결합부재(1015,1016)가 상호 접촉하도록 프레임(1010)의 분할부분(1013)을 밀착시키고, 결합부(1014)를 지지대(1030)의 프레임체결홈(1031)에 나사결합하면 상기 결합부(1014)가 지지대(1030)에 삽입되어 프레임(1010)의 분할부분(1013)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반사부재(1020)의 고정돌기(1021)가 상기 프레임(1010)의 고정결합홈(1012)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반사부재(1020)가 프레임(10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반사부재(1020)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프레임(1010)을 상기 지지대(1030)로부터 분리하면 프레임(1010)의 분할부분(1013)이 상호 벌어지면서 프레임(1010)에 대한 반사부재(1020)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새 반사부재(1020)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10)의 분할부분(1013)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반사부재(1020)가 프레임(10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10)에 고정결합홈(1012)이 형성되어 있고, 반사부재(1020)에 상기 고정결합홈(101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021)가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반사부재(1020)의 측면에 소정깊이 인입되는 고정결합홈(1012)이 형성되고, 프레임(1010)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결합홈(101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021)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은 반사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구강거울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강거울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거울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면 상기 반사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거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반사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반사부재의 하부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인출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거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사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시에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거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92947A 2008-09-22 2008-09-22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KR10101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47A KR101011702B1 (ko) 2008-09-22 2008-09-22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47A KR101011702B1 (ko) 2008-09-22 2008-09-22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877A KR20100033877A (ko) 2010-03-31
KR101011702B1 true KR101011702B1 (ko) 2011-01-28

Family

ID=4218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947A KR101011702B1 (ko) 2008-09-22 2008-09-22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70Y1 (ko) * 2012-06-05 2013-12-06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회전걸레의 범용홀더
TWI692343B (zh) * 2018-07-31 2020-05-01 詠豪科技股份有限公司 可更換鏡片之口腔鏡結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26B1 (ko) 2020-02-03 2022-01-10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구강 관찰용 장치
KR102378505B1 (ko) 2020-04-17 2022-03-25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치아신경 검사장치
KR102650724B1 (ko) * 2022-02-25 2024-03-21 이도상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KR20240032408A (ko) 2022-09-02 2024-03-12 신남식 칫솔에 구비된 구강거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95A (en) * 1895-01-01 Dental mouth-mirror
US751950A (en) * 1904-02-09 Dental mouth-mirror
US2534706A (en) 1949-09-01 1950-12-19 Lester L Gittelson Dental mirror with replaceable reflector
US3031930A (en) * 1959-05-05 1962-05-01 Kafig Emanuel Thin replaceable back surface mirror and hold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95A (en) * 1895-01-01 Dental mouth-mirror
US751950A (en) * 1904-02-09 Dental mouth-mirror
US2534706A (en) 1949-09-01 1950-12-19 Lester L Gittelson Dental mirror with replaceable reflector
US3031930A (en) * 1959-05-05 1962-05-01 Kafig Emanuel Thin replaceable back surface mirror and hold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70Y1 (ko) * 2012-06-05 2013-12-06 주식회사 삼성웰비스 회전걸레의 범용홀더
TWI692343B (zh) * 2018-07-31 2020-05-01 詠豪科技股份有限公司 可更換鏡片之口腔鏡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877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702B1 (ko)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KR101754312B1 (ko) 보철 구조물과 임플란트 구조물의 연결 장치
KR101670093B1 (ko) 임플란트 고정체용 수납 용기
KR10075926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JP2000512194A (ja) 容器とこの中に配置される歯科用インプラントとを備えた包装体
US20100196855A1 (en) Impression post for a dental implant
KR20090083007A (ko) 의료용 스크류 드라이버
US9314319B2 (en) Transfer part for an implant
KR20080095190A (ko) 매식체용 수용기
FR3067586A1 (fr)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temporaire
JP2008284145A (ja) フィクスチャー用収納容器
US9387058B2 (en) Holder for a concealed tooth cleaning implement
EP2745800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implant dentaire
ES2264818T3 (es) Kit de montaje con una protesis-implante, asi como receptaculo de alojamiento para ello.
KR102405335B1 (ko) 치과용 핸드피스 세척장치
EP3622916B1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KR100988306B1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KR101925713B1 (ko)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KR102049094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칫솔
EP2688511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421382Y1 (ko) 튜브타입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90105998A (ko) 치간 청소구
KR20090041140A (ko)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
KR20130060531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
FR3079132A1 (fr) Element prothetique temporaire comprenant un element fus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