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998A - 치간 청소구 - Google Patents

치간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998A
KR20090105998A KR1020080031443A KR20080031443A KR20090105998A KR 20090105998 A KR20090105998 A KR 20090105998A KR 1020080031443 A KR1020080031443 A KR 1020080031443A KR 20080031443 A KR20080031443 A KR 20080031443A KR 20090105998 A KR20090105998 A KR 20090105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bbin
fixed shaft
groov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숙
Original Assignee
이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숙 filed Critical 이상숙
Priority to KR102008003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998A/ko
Publication of KR2009010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와; 상기 몸통부에 수용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된 보빈이 축설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인입되는 인입공이 내부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과 접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누름부의 누름판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에 축설된 상기 보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저면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된 상기 치실이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치실을 따로 고정해야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슬립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몸통부, 팁부, 치실

Description

치간 청소구{INTERDENTAL CLEANING TOOL}
본 발명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와; 상기 몸통부에 수용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된 보빈이 축설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인입되는 인입공이 내부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과 접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누름부의 누름판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에 축설된 상기 보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저면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된 상기 치실이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치실을 따로 고정해야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실을 고정 시키는 과정 중에 슬립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 청소구란 치실을 사용하여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써, 대게 치실케이스와, 상기 치실케이스에 권취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간 청소구를 사용하여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치실을 상기 치실케이스로부터 푼 다음 일정 길이를 확보한 후 한손에 치실을 잡고 다른 한손에 치실케이스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치실을 압안으로 넣어 치간 청소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치실을 강하게 상기 치실케이스 외측으로 잡아당기게될 경우 상기 치실이 상기 치실케이스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아 슬립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폄함이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된 치실이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치실을 따로 고정해야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슬립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와; 상기 몸통부에 수용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된 보빈이 축설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인입되는 인입공이 내부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과 접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누름부의 누름판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에 축설된 상기 보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저면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는 요홈부와 요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판은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되는 제 1안착판과, 상기 제 1안착판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되는 제 2안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는 상기 제 1안착판 및 제 2안착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축의 일단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에 연결되는 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평홈에 게재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커버의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누름부의 누름버튼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개방부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보빈의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됨으로써, 상기 보빈이 고정되기 때문에 치실을 따로 고정해야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슬립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안착판 및 상기 제 2안착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타측에 형성된 회전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고정부의 요홈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에서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개방부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상기 보빈의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보빈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형성된 안착홈의 폭이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폭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안착판 및 상기 제 2안착판으로 이루어진상기 누름부의 누름판이 상기 요철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됨과 동시에 고정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보빈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축의 일단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인입공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상기 보빈의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상기 보빈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편이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직홈에 연결되는 수평홈에 게재고정됨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상기 보빈의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더욱 쉽게 상기 보빈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통부(10), 팁부(30) 및 치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몸통부(10)는 상기 치실(5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 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110)와;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치실(50)이 권취된 보빈(170)이 축설되는 고정축(112)과; 상기 고정축(112)이 인입되는 인입공(193)이 내부에 형성된 누름버튼(192)과, 상기 누름버튼(19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170)과 접하는 누름판(194)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부(190)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134)에 인출공(132)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축(112)에 축설된 상기 보빈(17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50)로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축(112)에 축설된 상기 보빈(170)을 탄성지지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축(112)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114)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빈(170)의 저면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돌기(172)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14) 및 상기 끼움돌기(172)의 양측에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14b,172a)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14) 및 상기 끼움돌기(172)의 양측에 하향경사지 게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114b,172a)이 형성될 경우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4a)에 복수의 상기 끼움돌기(172)가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114)와 상기 끼움돌기(172)는 예를 들어, 요홈 및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치실(5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팁부(30)는 상기 몸통부(1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선단부에는 상기 치실(50)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팁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통부(1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50)은 사용자의 치간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보빈(170)의 외주연에 권취됨과 동시에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치실(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치간을 청소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은 커버(130)의 인출공(13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누름버 튼(19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130)의 인출공(13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누름버튼(192)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축(112)에 축설된 보빈(170)이 회전 또는 위치고정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에 외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보빈(170)은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바닥면(1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치실(50)을 잡아 당길 경우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외주연에 권취된 치실(50)은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에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70)을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는 압축되고, 이때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치실(50)이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인출공(13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개방부(110)의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4a)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끼움고정됨으로써, 상기 보빈(170)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치실(50)을 따로 고정해야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실(50)을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슬립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버(130)의 바닥면(134)과 누름부(19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 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30)와; 상기 몸통부(10)에 수용되는 치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6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바닥면(134)에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요홈부(136a)와 요철부(136b)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36)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판(194)은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또는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안착되는 제 1안착판(194a)과, 상기 제 1안착판(194a)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또는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안착되는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제 1안착판(194a) 및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을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표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192)의 타측 상단부에는 회전손잡이부(192a)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192)의 타측 상단부에 회전손잡이부(192a)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 1안착판(194a) 및 상기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 상기 누름판(194)이 상기 누름버튼(192)의 타측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92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또는 요철부(136b) 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에 안착됨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안착됨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제 2실시예의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축(112)에 축설된 보빈(170)이 회전 또는 위치고정되는 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타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92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에 안착될 경우 상기 보빈(170)은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바닥면(1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치실(50)을 잡아 당길 경우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외주연에 권취된 치실(50)은 사용자가 필 요한 만큼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타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92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안착될 경우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70)을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는 압축되고, 이때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치실(50)이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안착판(194a) 및 상기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 상기 누름판(194)이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타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92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또는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안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에서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개방부(110)의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4a)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보빈(170)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안착판(194a) 및 상기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 상기 누름부(190)의 누 름판(194)이 안착되는 안착홈(H)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H)의 폭은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36)의 요철부(136b)에 형성된 안착홈(H)의 폭이 상기 고정부(136)의 요홈부(136a) 폭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안착판(194a) 및 상기 제 2안착판(194b)으로 이루어진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상기 요철부(136b)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H)에 안착됨과 동시에 고정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보빈(170)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30)와; 상기 몸통부(10)에 수용되는 치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12)의 일단 외주연에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수나사부(112a)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193)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축(112)의 수나사부(112a)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93a)가 형성된다.
도 12는 고정축(112)의 수나사부(112a)와 인입공(193)의 암나사부(193a)가 역방향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고정축(112)의 수나사부(112a)와 인입공(193)의 암나사부(193a)가 정방향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끼움돌기(172)가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제 3실시예의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축(112)에 축설된 보빈(170)이 회전 또는 위치고정되는 과정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고정축(112)의 수나사부(112a)와 인입공(193)의 암나사부(193a)역방향으로 나사결합될 경우 상기 보빈(170)은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바닥면(1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치실(50)을 잡아 당길 경우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170)의 외주연에 권취된 치실(50)은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축(112)의 수나사부(112a)와 인입공(193)의 암나사부(193a)가 정방향으로 나사결합될 경우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70)을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는 압축되고, 이때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치실(50)이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축(112)의 일단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112a)와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193)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193a)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개방부(110)의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4a)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상기 보빈(17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누름부(190)를 확대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30)와; 상기 몸통부(10)에 수용되는 치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홈(112b)과; 상기 수직홈(112b)에 연결되는 수평홈(112c)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193)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홈(112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평홈(112c)에 게재고정되는 고정편(193b)이 형성된다.
도 16은 누름부(190)의 인입공(193)에 구비된 고정편(193b)이 고정축(112)의 수직홈(112b)에 게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17은 누름부(190)의 고정편(193b)이 고정축(112)의 수직홈(112b)에 게재된 상태에서 누름부(190)의 고정편(193b)이 수직홈(112b)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수평홈(112c)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제 4실시예의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축(112)에 축설된 보빈(170)이 회전 또는 위치고정되는 과정을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193)에 상기 고정축(112)의 일단이 인입될 경우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190)의 인입공(193)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고정편(193b)이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직홈(112b)에 게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192)의 타측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부(192a)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수직홈(112b)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수평홈(112c)에 상기 고정편(193b)이 게재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에 외력을 가해 상기 누름부(190)를 상기 고정축(112)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판(194)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70)을 상기 개방부(1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는 압축되고, 이때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는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상기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4a)에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구비된 보빈(170)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치실(50)이 상기 팁부(30)의 인출공(미도시)을 통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부(190)의 누름버튼(19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193)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고정편(193b)이 상기 고정축(112)의 외주연에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수직홈(112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직홈(112b)에 연결되는 상기 수평홈(112c)에 게재고정됨으로써, 상기 개방부(110)의 고정돌기(1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4a)에 상기 보빈(170)의 끼움돌기(172)가 끼움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더욱 쉽게 상기 보빈(17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커버의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누름버튼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커버의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누름버튼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버의 바닥면과 누름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누름부의 누름판이 고정부의 요홈부에 안착됨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누름부의 누름판이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됨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고정축의 수나사부와 인입공의 암나사부가 역방향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고정축의 수나사부와 인입공의 암나사부가 정방향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누름부를 확대한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16는 누름부의 인입공에 구비된 고정편이 고정축의 수직홈에 게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17은 누름부의 고정편이 고정축의 수직홈에 게재된 상태에서 누름부의 고정편이 수직홈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수평홈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통부, 110; 개방부,
112; 고정축, 112a; 수나사부,
112b; 수직홈, 112c; 수평홈,
114; 고정돌기, 114a; 끼움홈,
114b,172a; 경사면, 130; 커버, 132; 인출공, 134; 바닥면, 136; 고정부, 136a; 요홈부, 136b; 요철부, 150; 탄성부재, 170; 보빈, 172; 끼움돌기, 190; 누름부, 192; 누름버튼, 192a; 회전손잡이부, 193; 인입공, 193a; 암나사부, 193b; 고정편, 194; 누름판, 194a; 제 1안착판,
194b; 제 2안착판, 30; 팁부, 50; 치실, H; 안착홈,

Claims (5)

  1.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나사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팁부와; 상기 몸통부에 수용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된 보빈이 축설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인입되는 인입공이 내부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과 접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누름부의 누름판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에 축설된 상기 보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저면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는 요홈부와 요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판은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되는 제 1안착판과, 상기 제 1안착판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 안착되는 제 2안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요철부에는 상기 제 1안착판 및 제 2안착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의 요홈부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일단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축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에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에 연결되는 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버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입공 내주연에는 상기 수직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평홈에 게재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KR1020080031443A 2008-04-04 2008-04-04 치간 청소구 KR20090105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443A KR20090105998A (ko) 2008-04-04 2008-04-04 치간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443A KR20090105998A (ko) 2008-04-04 2008-04-04 치간 청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998A true KR20090105998A (ko) 2009-10-08

Family

ID=4153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443A KR20090105998A (ko) 2008-04-04 2008-04-04 치간 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61A2 (ko) * 2010-05-26 2011-12-01 Lee Sang Sook 치간 청소구
WO2019113028A1 (en) * 2017-12-05 2019-06-13 Bixby Lori Dental flos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61A2 (ko) * 2010-05-26 2011-12-01 Lee Sang Sook 치간 청소구
WO2011149261A3 (ko) * 2010-05-26 2012-05-03 Lee Sang Sook 치간 청소구
WO2019113028A1 (en) * 2017-12-05 2019-06-13 Bixby Lori Dental flosser
US11766318B2 (en) 2017-12-05 2023-09-26 Lori Bixby Dental flos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7503A (en) Dental apparatus for flossing teeth
EP3037060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US20110155168A1 (en) Dental floss holding structure
US8813763B2 (en) Interdental cleaner
US20080289648A1 (en) Dental floss holder with improved structure
CN108289726B (zh) 能调节张力的牙线棒
US4206774A (en) Dental flosser
KR20100101345A (ko) 클립 수납이 가능한 필기구
KR20090105998A (ko) 치간 청소구
KR100992629B1 (ko) 치간 청소구
KR101011702B1 (ko)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JP7437308B2 (ja) デンタル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基体、および、デンタルフロス用保持具
KR101491386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CN208573842U (zh) 具有手柄护罩的口腔清洁工具
JP5349089B2 (ja) シャワーヘッド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JP2016199999A (ja) シャワーヘッド保持用アダプター
WO2002011601A1 (en) Mop head connection
TW201617042A (zh) 上部構造可拆卸的假牙裝置及相關的螺絲
KR19980022845U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연결구조
CN210019241U (zh) 一种容器体定位结构及容器体定位安装机构
WO2021016843A1 (zh) 牙刷以及用于安装和/或拆卸牙刷头的装置
JP3087433U (ja) 首部に2つのネジ筋を備えた容器
KR200348232Y1 (ko) 치실홀더
KR200429495Y1 (ko) 샤워헤드와 세정수단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