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505B1 - 치아신경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치아신경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505B1
KR102378505B1 KR1020200046573A KR20200046573A KR102378505B1 KR 102378505 B1 KR102378505 B1 KR 102378505B1 KR 1020200046573 A KR1020200046573 A KR 1020200046573A KR 20200046573 A KR20200046573 A KR 20200046573A KR 102378505 B1 KR102378505 B1 KR 10237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dental nerve
stimulation
nerve examination
examin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658A (ko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4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4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for testing vitality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치아에 자극을 인가하고 그 환자의 신호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 자극이 인가된 치아의 신경이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한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신경 검사장치{Dental nerve exa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치아에 자극을 인가하고 그 환자의 신호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 자극이 인가된 치아의 신경이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한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병원에서 시행하는 검사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검사의 하나는 환자의 치아신경이 살아있는지 또는 환자가 통증을 얼마나 민감하게 느끼는지를 알아보는 소위 치수검사이다. 이러한 치아신경 검사는 환자의 치아 표면에 금속성 탐침을 접촉시킨 채 미세전류를 인가하되, 미세전류의 크기를 점차 증가시켜 가면서 환자의 반응을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치아신경 검사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본체, 그리고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 개의 탐침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위 탐침을 환자 치아 표면에 접촉시킨 후 미세전류를 점차 증가시켜 가면서 환자가 어느 시점에 통증이 느껴진다고 표현하는지를 보아 그 환자의 치아신경이 살아있는지 또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는 전류값, 즉 역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치아신경 검사를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비록 미세전류라 할지라도 전류가 환자의 몸 전반으로 흐르게 되기 때문에 환자 건강에 위협이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환자가 심장박동기와 같은 전자장치를 몸 내부에 가지고 있는 경우 전자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또한,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정도를 파악함에 있어 환자의 주관적인 표현, 예를 들어 통증이 느껴지면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또는 쥐고 있는 버튼을 누르는 등의 주관적인 표현은 기본적으로 환자의 주관성이 그 바탕이 되기 때문에 역치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나아가 동일한 환자의 경우 동일한 치아, 그리고 치아 표면 중에서도 동일한 위치의 지점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정확한 검사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는데, 종래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경우 탐침을 동일한 치아 표면 지점에 접촉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검사 위치의 동일성 역시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치아신경을 검사하는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특별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3877호(2010.03.31)
본 발명은 치과 환자의 치아신경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치수 검사 시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에 따라 값을 획득하던 종래 방식에 비하여 객관적인 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가한 자극 신호가 몸 전반으로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장박동기와 같은 전자장치를 몸 내부에 가지고 있는 환자 등에 대한 검사 위험을 현저히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미세전류를 이용한 치수 검사 외에 온도 변화를 이용한 치수 검사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치수 검사를 실시하는 사용자(의사 또는 간호사)가 보다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고, 다양한 자극에 대한 환자 반응을 살필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환자 치아를 매번 유사한 위치에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을 갖춤으로써 종래의 치수 검사 장치가 검사의 동일성을 담보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치아 표면에 전류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제1자극 탐침 및 제2자극 탐침 - 상기 전류 자극은 상기 제1자극 탐침으로부터 인가되어 제2자극 탐침으로 흐름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치아 표면에 온도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3자극 탐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세로부재 및 제2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극 탐침은 상기 제1세로부재로부터, 상기 제2자극 탐침은 상기 제2세로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는 상기 가로부재를 따라 좌우로 수평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는,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조절부에 의해 수평 이동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있어서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은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로부터 탄성부재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은,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조절부에 의해 연장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은, 절연물질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의 말단은 상기 피복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것으로서 치아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환자의 치아 신경을 검사할 시 검사 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전류가 몸 전반으로 흐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검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여 환자의 반응을 살펴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신경 검사를 반복하여 하더라도 매번 유사한 위치에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검사의 일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실제 활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 중 일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 중 일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다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실제 활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종래 치아신경 검사장치(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그리고 장치의 한쪽 끝에 구비된 탐침(11)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사용하여 치아신경을 검사하는 방법은 위 탐침을 환자 치아 표면에 접촉시킨 채 미세한 전류를 치아 표면에 흐르게 하고, 미세전류의 크기를 높여감에 따라 환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때 환자의 반응이란, 자극의 세기를 높여감에 따라 환자가 보이는 주관적인 움직임, 예를 들어 미세전류의 크기를 점차 증가시키는 와중에 환자가 “아파요”라고 말하는 것, 또는 환자가 손에 쥐고 있던 버튼을 누르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자 반응들은 오로지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에 의존한 것이어서 검사 결과를 온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특히, 환자들의 경우 자신이 치아신경 검사를 받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공포심을 느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주 작은 자극이 가해지거나 심지어 자극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치아가 시리거나 통증이 있다는 등의 주관적 생각을 가질 수 있는 바, 치과에서의 치아 검사 환경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에도 종래의 차이신경 검사장치 및 검사방식은 그 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어 왔다.
또 다른 한편, 종래의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도 1에서도 볼 수 있듯 탐침이 1개로 이루어진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며, 1개의 탐침으로 치아 표면에 미세한 전류를 가하는 방식이어서 위 미세 전류가 필연적으로 몸 전반을 통해 흐를 수 밖에 없었다. 즉, 별도의 접지를 위한 탐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미세한 전류가 비교적 작은 저항값을 가지는 몸 전체로 흐르게 되는데, 비록 미세 전류라 할지라도 그 동안 심장박동기 등 신체 내부에 전자장치를 가진 환자들에게는 치명적인 위협이 된 사례가 몇몇 존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10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따를 때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하우징(100) 및 적어도 2 이상의 탐침들(201 내지 2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포용하는 케이스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각 탐침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적 도선, 그리고 후술하게 될 부재들의 기계적 움직임을 위한 부속품들을 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다양한 소재의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고분자 물질 및 그 혼합물과 같은 화합물, 또는 금속과 고분자 물질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하우징의 형상과 관련하여, 도 2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본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이 치아를 덮는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치아의 상부면을 덮는 부재를 가로부재(101)로, 그리고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는 부재들을 세로부재(103)로 칭하기로 한다. 다만,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측면에서 바라 본 하우징의 형상을 “ㄷ”자 형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치아의 측면에 적어도 2 이상의 탐침이 접촉되도록 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상 반드시 도 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한편, 하우징을 위쪽에서 바라본 가로부재의 모습은 치아의 상부면을 일부 덮는 면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로부재의 평면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가로부재로부터는 별도의 부재가 연장될 수 있으며, 위 별도의 부재는 사용자가 그립을 쥘 수 있는 형태의 손잡이 일 수 있다.
위 하우징으로부터는 치아 표면에 닿을 수 있도록 구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탐침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1개의 탐침은 2개의 세로부재 중 어느 하나에, 그리고 또 다른 탐침은 다른 세로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치아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치아의 전면과 배면을 마주보는 부재를 각각 제1세로부재, 제2세로부재라 가정하면, 제1탐침(201)은 제1세로부재에, 그리고 제2탐침(202)은 제2세로부재에 구비되어 각각 치아의 서로 다른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이렇게 하우징에 구비된 탐침들을 통해 환자의 치아 표면에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한 종류의 자극뿐만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제1탐침(201) 및 제2탐침(202)은 환자의 치아 표면에 미세전류 자극을 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탐침으로부터는 미세전류가 치아 표면으로 인가되도록 전기적 에너지가 제1탐침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는 외부의 전력원 또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등과 같은 내부 전력원으로부터 발생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탐침으로부터 인가된 미세전류 자극은 제2탐침으로 흐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의 저항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의 제2탐침은 미세전류로 하여금 사람의 몸 전반으로 흐르지 않고 제2탐침으로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포텐셜이 0인 상태, 즉 그라운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존재함을 전제로, 상기 제어부는 제1탐침 측에서는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그리고 제2탐침은 그라운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탐침으로부터 인가된 미세전류가 환자의 치아를 통과하여 제2탐침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1탐침 및 제2탐침의 기능은 서로 반대로 바뀌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1차적으로 제1탐침을 통해 미세전류 자극을 가함으로써 환자 치아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에 이르는 경로 상에서의 자극 반응을 살펴보았다면, 2차적으로는 제2탐침을 통해 미세전류 자극을 가함으로써 환자 치아의 배면으로부터 전면에 이르는 경로 상에서의 자극 반응을 살펴볼 수도 있다. 이 경우 당연히 제어부는 제1탐침과 제2탐침의 작동을 앞서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환자 치아에 대한 입체적인 검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탐침 또는 제2탐침은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기능 또는 접지의 기능을 하는 것 이외에도 흐르는 미세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제1탐침이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할 때에 제2탐침이 그라운드로서 작동될 수 있다는 점은 앞서 설명하였는데, 이 때 제1탐침 또는 2탐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류계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회로가 구현될 수 있다. 제1탐침 또는 제2탐침 중 어느 하나가 전류계로서 기능하는 경우, 환자의 치아표면에 미세전류 자극이 인가될 때에 시간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의 형태를 객관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미세전류 값을 점차 증가시켜감에 따라 치아 표면을 통과한 미세전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환자의 주관성이 배제된 상태의 객관적인 관찰 자료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반드시 제1탐침 또는 제2탐침을 미세전류 측정용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또 다른 탐침(예: 제3탐침 등)을 구비시켜 이것으로 하여금 치아표면에서의 미세전류를 측정하게 하거나 또는 미세전류 외에 치아로부터 감지되는 전반적인 신호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별개의 감지용 탐침을 구비하는 경우 제1탐침 또는 제2탐침의 고유 기능을 방해하지 않은 채 온전히 치아 신경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미세전류 자극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아 표면에 온도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제3탐침(203) 또는 제4탐침(204)은 치아 표면에 온도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3탐침 또는 제4탐침은 전기적 에너지를 활용하여 팁(tip)의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3탐침 또는 제4탐침의 온도를 제어해 가면서 이를 환자의 치아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치아신경 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자극을 위한 탐침의 구조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치아 표면과 닿는 팁(tip)부분은 열전도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탐침의 팁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침의 반대쪽 말단부, 즉 팁 부분의 반대쪽 말단부에는 탐침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자극을 가하기 위한 용도의 탐침들은 반드시 2개의 탐침이 동시에 필요하지는 않으며, 다만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는 제3탐침, 제4탐침은 각각 환자 치아의 전면, 배면에 온도를 가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3탐침 또는 제4탐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온도 자극이 가해지는 중 치과의사 등의 사용자는 환자의 반응을 직접 살필 수도 있겠으나 이보다는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별도의 감지용 탐침이 활용될 수 있다. 감지용 탐침은, 반드시 별도의 독립된 탐침 형태의 것일 필요는 없으며 앞서 설명한 제1탐침 또는 제2탐침이 치아표면으로부터 감지되는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구현된 것임을 이용하여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는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수단은 반드시 환자 치아의 표면에 접해 있는 탐침과 같은 수단뿐만 아니라 환자의 다른 신체부위에 접한 감지용 장치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복수 종류의 자극들을 동시에 가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앞서에서는 미세전류 자극과 온도 자극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위 두 개의 자극을 동시에 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치아 표면에 임의 온도값의 온도 자극이 가해지고 있을 때에 미세전류 자극을 임의의 값으로부터 점차 증가시켜 갈 때의 환자 반응을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치아 표면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각 탐침들에 대한 작동명령은 도면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는 손잡이부, 더 정확하게는 손잡이부의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손잡이부에는 각각의 탐침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위치들, 그리고 자극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탐침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은 본 치아신경 검사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예: 컴퓨터, 랩탑 등)에서 내려질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구성들 중 하우징은 치아의 평균적인 높이를 고려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앞서에서는 본 발명이 반복되는 치아신경 검사에 있어서 검사 위치의 동일성 담보, 즉 검사를 반복적으로 할 때에 탐침들이 치아 표면의 동일한 위치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목표로 한다는 점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는 검사를 시행할 때마다 가로부재가 치아의 상부표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일부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로부재와 치아 상부면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형태의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으나, 보편적인 치아의 평균적인 높이를 고려하여 세로부재의 높이를 이에 맞게 제작함으로써 검사를 시행할 때마다 가로부재가 치아의 상부표면과 접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동일한 환자의 동일한 치아를 반복적으로 검사하더라도 탐침이 적어도 그 치아의 동일한 높이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치아는 환자마다 그 모양이 다르고, 같은 환자라 하더라도 각 치아들은 모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설계할 때에는 탐침들이 각기 다른 치아 표면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는 세로부재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가변부재(301) 및 세로부재들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가이드(30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변부재(301)는 길이가 변할 수 있는 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의 가변부재(301)는 부재의 양 끝단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세로부재들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가변부재(301)의 의미는 반드시 가변부재(301) 그 자체의 길이가 변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 가변부재(301)로부터 연장된 별도의 부재(예: 탄성부재)가 길이 가변됨으로써 세로부재들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이드(302)는 세로부재가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때에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이 때 가이드(302)는 예를 들어 레일(rail)의 형태를 가지거나 혹은 세로부재의 말단부와 상호 맞물려 세로부재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가변부재(301)가 탄성부재의 자연적인 성질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한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변부재(30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 구동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손잡이부에는 세로부재들 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버튼을 눌렀을 때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로부재들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도4의 (a)에서와 같이 치아의 폭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되어 각 탐침들이 모두 치아 표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임의 치아에 대한 검사가 마쳐진 후에는 (b)에서와 치아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세로부재 간 간격이 다시 탄성에 의해 좁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부재에 구비되는 탐침이 내부의 탄성부재(303)에 의해 노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의 탐침들은 세로부재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제3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탐침들이 세로부재 내부로부터 탄성부재(303)에 의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표면에 효과적으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표면은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탐침들이 세로부재로부터 노출된 길이가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부 탐침들이 치아 표면에 접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치아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치아의 경우 세로부재의 위쪽에 구비되어 있는 탐침들(도 2에서는 제1탐침 및 제2탐침)만 치아 표면에 닿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구비되어 있는 탐침들(도 2에서는 제3탐침 및 제4탐침)은 치아 표면에 닿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일부 탐침들이 곡면의 치아 표면에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는 각각의 탐침들이 세로부재의 내부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노출이 될 수 있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치아 표면과의 적절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부재(303)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각 탐침들이 세로부재 내부로부터 탄성부재에 의해 연장되는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각 탐침들의 노출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한 그 구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소개된 구조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세로부재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각 탐침들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도록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의 구조들이 모두 하나의 하우징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탐침의 구조가 이전 실시예들에 비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실시예에서의 탐침은 팁(tip) 부분이 뾰족한 형상이 아닌 뭉툭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때의 탐침은 전도성 부재의 주변으로 피복(400)이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탐침은 반드시 뾰족할 필요는 없으며 단지 환자의 치아 표면에 닿아 자극을 가할 수 있을 정도로 접촉되면 족할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탐침의 팁 부분을 뭉툭하게 함으로써 치아 표면과 접촉 가능한 면적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의 탐침의 팁 부분은 도면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팁 부분 전반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도록 함(도면상에서 어두운 색으로 표시된 부분)으로써 치아 표면과의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탐침은 피복(400)에 의해 감싸져 있을 수 있음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 때 피복은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을 갖춘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복, 그리고 피복에 의해 감싸진 전도성 부재의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으며, 이 때 피복에 의해 감싸진 전도성 부재는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은 값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외측 피복이 유연하게 움직일 때 전도성 부재 역시 함께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제4실시예에서의 탐침은 유연성을 가진 채로 환자의 치아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가 실제 치아를 검사할 때에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할 때, 피복으로 감싸진 탐침들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치아 표면 상에 유연하게 휘어짐으로써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위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의 치아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 하단의 탐침들이 곧은 상태로 치아 표면과 접하게 될 때에 상단의 탐침들은 유연하게 휘어진 상태로 치아 표면과 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부재에 촬영부(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부는 검사하고자 하는 치아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본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치아 이미지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치아 이미지는 치아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획득된 치아 이미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확대된 이미지를 통하여 치아 상태가 확인 가능하도록 활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촬영부에는 임의 대역의 가시광선, 바람직하게는 형광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광필터가 더 구비됨으로써 임의의 빛이 치아 표면에 조사되었을 때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형광이 관찰 가능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치아 이미지는 동일 환자에 대한 검사가 반복될 때에 동일한 위치에서의 치아신경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즉, 최초 검사 시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치아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레퍼런스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레퍼런스 이미지는 추후 동일 환자에 대한 검사가 재차 이루어질 때에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신경 검사장치가 해당 치아의 동일한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자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는 레퍼런스 이미지가 배경으로 표시될 수 있고, 그 위에 실시간으로 촬영부에 의해 획득 중인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두 개 이미지가 정확히 매칭되도록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위치를 조정해 감으로써 동일 위치에서의 치아신경 검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종래 치아신경 검사장치
11 종래 탐침
1000 치아신경 검사장치
100 하우징
101 가로부재
103 세로부재
201 제1탐침 202 제2탐침 203 제3탐침 204 제4탐침
301 가변부재 302 가이드
303 탄성부재
400 피복
500 촬영부

Claims (10)

  1. 치아신경 검사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치아 표면에 전류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제1자극 탐침 및 제2자극 탐침 - 상기 전류 자극은 상기 제1자극 탐침으로부터 인가되어 제2자극 탐침으로 흐름 -;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세로부재 및 제2세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극 탐침은 상기 제1세로부재로부터 탄성부재에 의해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2자극 탐침은 상기 제2세로부재로부터 탄성부재에 의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치아 표면에 온도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3자극 탐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는 상기 가로부재를 따라 좌우로 수평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는,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조절부에 의해 수평 이동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는,
    상기 제1세로부재 또는 제2세로부재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은, 상기 치아신경 검사장치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조절부에 의해 연장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은, 절연물질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자극 탐침 또는 제2자극 탐침의 말단은 상기 피복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것으로서 치아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검사장치.
KR1020200046573A 2020-04-17 2020-04-17 치아신경 검사장치 KR10237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73A KR102378505B1 (ko) 2020-04-17 2020-04-17 치아신경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73A KR102378505B1 (ko) 2020-04-17 2020-04-17 치아신경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58A KR20210128658A (ko) 2021-10-27
KR102378505B1 true KR102378505B1 (ko) 2022-03-25

Family

ID=7828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573A KR102378505B1 (ko) 2020-04-17 2020-04-17 치아신경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5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328A (ja) * 2004-10-01 2008-05-08 アイディーエムオーエス ピーエルシー 歯科用電極アセンブリ
KR101905312B1 (ko) * 2017-03-16 2018-10-05 주식회사 비앤디네트웍스 치과용 광학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012A (en) * 1980-01-21 1981-12-29 Richard Tamler Dental pulp vitality tester
KR101011702B1 (ko) 2008-09-22 2011-01-28 임두만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KR101485359B1 (ko) * 2013-02-13 2015-01-26 육동신 치아촬영용 3면 스캐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328A (ja) * 2004-10-01 2008-05-08 アイディーエムオーエス ピーエルシー 歯科用電極アセンブリ
KR101905312B1 (ko) * 2017-03-16 2018-10-05 주식회사 비앤디네트웍스 치과용 광학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58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34870A (ja) 組織又はアーチファクトを検出し又は識別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刺激を与え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766709B2 (ja) 人体のインピーダンスを測定するための電極素子
US20110071419A1 (en) Location indicating device
US20050182456A1 (en) Automated cortical mapping
EP343277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and monitor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US20160128605A1 (en)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arameter of a Skin Surface Area
CN107233664B (zh) 一种基于针刺穴位阻抗的电针治疗系统
US20120323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nerve tissue in three-dimensional space
EP2182843A1 (en) Automated skin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JP2008212465A (ja) 痛み測定装置、痛み測定装置の制御方法、刺激電流付与装置および刺激電流付与装置の制御方法
KR102378505B1 (ko) 치아신경 검사장치
CN108143613B (zh) 一种基于穴位探测技术的数字化针灸导航仪
KR102162054B1 (ko) 통증 분석 장치
JP2003126055A (ja) 経絡の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EP3216393A1 (en) A glove provided with electrodes for a check of the prostate
US2247875A (en) Diagnostic method
KR100745521B1 (ko) 수지요법 장치
JP5109126B2 (ja) 心理的ストレス測定装置
TWI673039B (zh) 可持續性探測之電極裝置
EP1839574A1 (en) Human organism examination band and human organism examination circuit
US201801774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ensory stimuli for the evaluation of neuropathy
US20180168479A1 (en) Device for measuring differences in conductivity
RU24542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акупунктурных точек
WO2021031150A1 (zh) 可持续性探测的电极装置
Hulewicz A New Approach to Objective Evaluation of Human Visual Ac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