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54B1 - 통증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통증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54B1
KR102162054B1 KR1020200039753A KR20200039753A KR102162054B1 KR 102162054 B1 KR102162054 B1 KR 102162054B1 KR 1020200039753 A KR1020200039753 A KR 1020200039753A KR 20200039753 A KR20200039753 A KR 20200039753A KR 102162054 B1 KR102162054 B1 KR 10216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test subject
stimulation
unit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구
Original Assignee
유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구 filed Critical 유승구
Priority to KR102020003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54B1/ko
Priority to PCT/KR2020/013479 priority patent/WO20212013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61B5/4827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assessing touch sensitivity, e.g. for evaluation of pain threshold
    • A61B5/483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assessing touch sensitivity, e.g. for evaluation of pain threshold by therm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통증 분석 장치는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통증자극부, 복수의 통증자극부를 구동하는 통증자극구동부, 복수의 통증자극부의 복수의 통증자극 각각에 대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 및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복수의 통증자극을 증가시켜 제공하며, 복수의 통증자극에 대한 복수의 통증역치와 복수의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이 후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로부터 피검사자의 복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증 분석 장치{Pain Analysis Device}
본 발명은 통증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통증을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증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통증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통증은 통증을 느끼는 사람마다 그 정도가 다를 수 있고 표출하는 신체반응, 생체신호 등이 다양하므로 통증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기존에는 전기자극을 주어 피검사자가 느끼는 통증 역치에 대한 전류값을 이용하여 통증수치를 설정하거나 피검사자가 직접 통증이 어느 정도인지를 기준표에서 선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증수치를 추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통증 정도에 따른 적절한 환자의 병명 진단, 치료 방법, 통증감소를 위한 조치 등을 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의 생체 상태를 파악하여 통증도를 설정할 수 있는 통증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증 분석 장치는,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통증자극부;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부를 구동하는 통증자극구동부;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부의 복수의 통증자극 각각에 대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 및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을 증가시켜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에 대한 복수의 통증역치와 상기 복수의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이 후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로부터 피검사자의 복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수의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게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하며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파악하고 저장한 후 이후에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 대하여 복수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된 복수의 생체신호와 대비하여 통증도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부는, 피검사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부, 피검사자의 피부에 압통자극을 가하는 압통자극부, 피검사자에게 접촉되어 온도자극을 제공하는 온도자극부 및 피검사자에게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의 통증자극의 종류 각각에 따라 다양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극부, 상기 압통자극부, 상기 온도자극부 및 상기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에 대하여 피검사자로부터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설정하면 개인별로 다르게 느끼는 통증 정도에 대한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에 따른 통증도의 범위 또한 파악할 수 있어 확률적으로 정확성이 향상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에게 외부로부터 기설정 통증도를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극부, 상기 압통자극부, 상기 온도자극부 및 상기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증자극을 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이 상기 기설정 통증도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통증도를 설정하면 통증의 종류, 부위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로부터 획득한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통증도를 업데이트하면 많은 통증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통증도를 갱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는 피검사자의 호흡속도, 맥박속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및 피검사자체격을 파악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체상태 및 상기 피검사자체격에 기초하여 상기 통증도를 결정하면 피검사자마다 다른 조건, 상태, 체질 및 체격 등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통증과 다양한 피검사자에 따라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를 감지하는 피부전도도감지부; 피검사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부;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을 감지하는 호흡감지부; 피검사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부;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를 감지하는 호르몬감지부;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를 감지하는 혈류감지부를 포함하면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정확한 통증도를 결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에 대한 통증도를 저장하며, 상기 피부전도도감지부, 상기 맥박감지부, 상기 호흡감지부, 상기 체온감지부, 상기 호르몬감지부 및 상기 혈류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피검사자의 통증도를 분석하면 다양한 통증에 대한 다양한 생체신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증도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게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하며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파악하고 저장한 후 이후에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 대하여 복수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된 복수의 생체신호와 대비하여 통증도를 결정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실제로 느끼는 통증에 가까운 통증을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하며 신속한 피검사자의 병명 진단, 치료 방법, 통증감소를 위한 조치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분석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통증자극에 대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통증역치를 통한 통증 정량화의 예시도.
도 4는 통증도의 화면 표시 예시도.
도 5는 통증도의 추정 예시도.
도 6은 통증도를 추정하는 시스템 예시도.
도 7은 통증자극의 크기에 따른 호르몬분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피검사자가 통증도를 선택하기 위한 통증기준표.
도 9는 통증도에 대한 생체신호 예시표.
도 10은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증 분석 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분석 장치(1)의 예시도이고, 도 2는 통증자극에 대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통증역치를 통한 통증 정량화의 예시도이고, 도 4는 통증도의 화면 표시 예시도이며, 도 5는 통증도의 추정 예시도이고, 도 6은 통증도를 추정하는 시스템 예시도이며, 도 7은 통증자극의 크기에 따른 호르몬분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피검사자가 통증도를 선택하기 위한 통증기준표이며, 도 9는 통증도에 대한 생체신호 예시표이고, 도 10은 제어블록도이다.
통증 분석 장치(1)는 통증자극부(10), 통증자극구동부(20), 생체신호감지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통증자극부(10)는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통증자극부(10)는 전기자극부(11), 압통자극부(12), 온도자극부(13) 및 진동자극부(14)를 갖는다.
전기자극부(11)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붙이는 전극, 전선, 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극으로 신체에 느끼지 못할 정도의 전기자극부터 견디기 어려울 정도의 전기자극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압통자극부(12)는 피검사자의 피부에 압통자극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압통자극부(12)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되어 피검사자의 신체를 누르며 압통을 가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신체에 닿는 부분은 뾰족한 형상, 둥근 형상, 얇은 형상, 굵은 형상, 넓은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통자극부(12)는 피검사자의 신체의 한 부위만 누를 수도 있고, 이동하여 여러 부위를 누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온도자극부(13)는 피검사자에게 접촉되어 온도자극을 제공한다. 온도자극부(13)는 열전소자로 마련되어 피검사자에게 저온부터 고온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자극부(14)는 피검사자에게 진동자극을 제공한다. 진동자극부(14)는 틸팅되면서 피검사자의 신체 일 부위를 흔들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통증자극구동부(20)는 복수의 통증자극부(10)를 구동하도록 마련된다. 통증자극구동부(20)는 전기자극구동부(21), 압통자극구동부(22), 온도자극구동부(23) 및 진동자극구동부(24)로 이루어진다.
전기자극구동부(21)와 온도자극구동부(23)는 전기자극부(11)와 온도자극부(13)로의 전류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로 마련될 수 있다.
압통자극구동부(22)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된 압통자극부(12)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로 마련될 수 있다. 압통자극부(12)가 뭉치로 마련되는 경우 압통자극구동부(22)는 구동모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생체신호감지부(30)는 피검사자의 호흡속도, 맥박속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및 피검사자체격을 파악한다. 생체신호감지부(30)는 복수의 통증자극부(10)의 복수의 통증자극 각각에 대한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생체신호감지부(30)는 피검사자의 호흡속도, 맥박속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및 피검사자체격을 파악할 수도 있다. 생체신호감지부(30)는 피부전도도감지부(31), 맥박감지부(32), 호흡감지부(33), 체온감지부(34), 호르몬감지부(35), 혈류감지부(36) 카메라(37)로 이루어진다.
피부전도도감지부(31)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를 감지한다. 피부전도도감지부(31)는 피검사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전기저항을 파악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통증이 커질수록 피부전도도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맥박감지부(32)는 피검사자의 맥박을 감지한다. 맥박감지부(32)는 피검사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맥박의 속도, 맥박의 강도, 맥박의 규칙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호흡감지부(33)는 마스크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어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을 감지한다. 호흡감지부(33)는 한번 호흡의 주기, 호흡양, 호흡속도 및 호흡의 규칙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34)는 피검사자의 체온을 감지한다. 피검사자에 부착되어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40)에 전달할 수 있다.
호르몬감지부(35)는 특정 호르몬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신장투석기와 같이 마련되어 피검사자의 혈액을 빼내어 호르몬을 감지한 후 다시 투입하도록 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호르몬감지부(35)는 피검사자의 호르몬의 종류, 호르몬분비량을 감지할 수 있다.
혈류감지부(36)는 피검사자의 혈류량, 혈류속도를 감지한다. 혈류감지부(36)는 특정 혈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카메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신장투석기와 같이 마련되어 피검사자의 혈액을 빼내어 다시 투입하도록 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37)는 피검사자의 표정을 촬상한다.
제어부(40)는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복수의 통증자극을 증가시켜 제공하며, 복수의 통증자극에 대한 복수의 통증역치와 복수의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이 후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31 내지 37)로부터 피검사자의 복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한다.
제어부(40)는 전기자극부(11), 압통자극부(12), 온도자극부(13) 및 진동자극부(14) 중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에 대하여 피검사자로부터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설정한다.
제어부(40)는 피검사자에게 외부로부터 기설정 통증도를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자극부(11), 압통자극부(12), 온도자극부(13) 및 진동자극부(1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증자극을 가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이 기설정 통증도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복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통증도를 설정한다.
제어부(40)는 피검사자로부터 획득한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저장된 통증도를 업데이트한다.
제어부(40)는 생체신호감지부(31 내지 37)로부터 수신된 신체상태 및 피검사자체격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한다.
제어부(40)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에 대한 통증도를 저장하며, 피부전도도감지부(31), 맥박감지부(32), 호흡감지부(33), 체온감지부(34), 호르몬감지부(35) 및 혈류감지부(36)에서 감지되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피검사자의 통증도를 분석한다.
삭제
삭제
도 2는 통증자극에 대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통증자극에 대하여 생체신호가 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전기자극을 제공하여 피검사자가 전기자극을 느끼는 경우에 생체신호가 변하는 것을 생체신호감지부로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통증역치를 통한 통증 정량화의 예시도이다.
피검사자가 이미 통증을 느끼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전기자극이 작으면 피검사자는 전기자극을 느끼지 못하나 전기자극이 증가하여 이미 느끼고 있는 통증보다 큰 전기자극이 제공되면 피검사자는 전기자극을 느끼게 되고, 이미 느끼고 있던 통증은 느끼지 못한다. 이를 이용하여 통증을 정량화할 수 있다.
도 5는 통증도의 추정 예시도이고, 도 6은 통증도를 추정하는 시스템 예시도이다.
통증자극을 이미 통증을 느끼고 있던 피검사자에게 제공하여 제공된 통증자극이 느껴지는 시점의 복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통증을 분석하고 통증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통증도 검사 이전에 통증 정도를 조사한다.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통증역치 시점의 통증자극의 세기, 생체신호의 수치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생체신호의 수치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통증 정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생체신호 즉,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통증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각각마다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가중치가 부여된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통증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통증자극의 크기에 따른 호르몬분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통증자극의 크기가 커질수록 호르몬분비량이 커질 수도 있다. 또는, 통증자극의 크기가 커질수록 호르몬분비의 종류가 상이해질 수 있다.
통증 자극을 처음 느끼는 시점에서의 호르몬분비량(A) 또는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와 통증역치에서의 호르몬분비량(B) 또는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를 조합하여 통증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피검사자가 통증도를 선택하기 위한 통증기준표이다.
피검사자가 통증을 느끼는 중에 피검사자가 직접 통증도를 선택하기 위한 통증기준표이다.
도 9는 통증도에 대한 생체신호 예시표이다.
생체신호 수치에 따른 통증도를 설정한 예시표이다.
통증도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마련될 수 있다.
첫째, 피검사자가 통증자극을 최초로 느끼는 시점의 생체신호 수치(A)를 저장하고, 통증역치 시점의 생체신호 수치(B)를 저장한 후 통증도(C)를 여러 가지 방정식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1. (B-A)/B=C
2. (B-A)/A=C
3. (A+B)/B=C
4. (A+B)/A=C
5. (B-A)2/A=C
6. √(B-A)/B=C
7. ∫(B-A) 2=C
등등으로 마련되어 통증도로 피검사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통증도가 1 ~ 100 이내의 수치로 표시될 수 있는 방정식이 바람직하다.
둘째,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통증도를 설정하고 생체신호의 변화에 따라 통증도를 적당하게 변화시켜 설정하는 방법이다.
셋째, 다수의 피검사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분포표를 기준으로 하여 통증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신호의 최소수치를 통증도 1로 설정하고 생체신호의 최대수치를 통증도 100으로 설정한 후 중간의 생체신호 수치를 적당한 통증도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넷째, 생체신호마다 가중치를 설정한 후 상기 첫째, 둘째, 셋째의 방법으로 통증도를 설정한다.
예컨대,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20%, 피검사자의 맥박 3%, 피검사자의 호흡속도 10%와 호흡양 15%, 피검사자의 체온 5%,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30%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13%로 하여 생체신호의 합을 산출한 후 상기 첫째, 둘째, 셋째의 방법으로 통증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분비 호르몬의 종류 50%, 호르몬분비량 50%만으로 하여 상기 첫째, 둘째, 셋째의 방법으로 통증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증부위에 대한 추정방법도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의 생체신호 이 외의 생체신호로 눈물양, X-Ray를 통한 이상부위 발견 및 장기의 상태파악 등, 혈압, 혈당, 적혈구 수, 백혈구 수 등을 파악하여 통증도에 반영할 수도 있다.
통증도에 따른 통증 완화의 방법을 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복통을 호소하고 있는 환자의 통증도를 파악한 후 피검사자의 배에 심부열치료장치의 전극을 부착하고 피검사자의 심부를 온도 42도씨로 치료하라는 통증 완화방법을 제시할 수도 있다.
상기의 통증 분석 장치(1)로 인하여, 다수의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게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하며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파악하고 저장한 후 이후에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에 대하여 복수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된 복수의 생체신호와 대비하여 통증도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통증자극부(10)는 피검사자에게 전기자극의 제공하는 전기자극부(11), 피검사자의 피부에 압통자극을 가하는 압통자극부(12), 피검사자에게 접촉되어 온도자극을 제공하는 온도자극부(13) 및 피검사자에게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통증을 느끼는 피검사자의 통증자극의 종류 각각에 따라 다양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별로 다르게 느끼는 통증 정도에 대한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에 따른 통증도의 범위 또한 파악할 수 있어 확률적으로 정확성이 향상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다.
피검사자에게 외부로부터 기설정 통증도를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증자극을 가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이 기설정 통증도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복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통증도를 설정하면 통증의 종류, 부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피검사자로부터 획득한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저장된 통증도를 업데이트하면 많은 통증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통증도를 갱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신체상태 및 상기 피검사자체격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하여 피검사자마다 다른 조건, 상태, 체질 및 체격 등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통증과 다양한 피검사자에 따라 통증도를 제공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에 대한 통증도를 저장하며,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피검사자의 통증도를 분석하여 다양한 통증에 대한 다양한 생체신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증도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삭제
1 : 통증 분석 장치 10 : 통증자극부
11 : 전기자극부 12 : 압통자극부
13 : 온도자극부 14 : 진동자극부
20 : 통증자극구동부 21 : 전기자극구동부
22 : 압통자극구동부 23 : 온도자극구동부
24 : 진동자극구동부 30 : 생체신호감지부
31 : 피부전도도감지부 32 : 맥박감지부
33 : 호흡감지부 34 : 호르몬감지부
35 : 혈류감지부 36 : 혈류감지부
37 : 카메라 40 : 제어부

Claims (10)

  1. 통증 분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증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통증자극부;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부를 구동하는 통증자극구동부;
    상기 복수의 증자극부의 복수의 통증자극 각각에 대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 및
    다수의 피검사자에게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을 증가시켜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에 대한 복수의 통증역치와 상기 복수의 통증역치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이 후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감지부로부터 피검사자의 복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증자극부는,
    피검사자에게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부, 피검사자의 피부에 압통자극을 가하는 압통자극부, 피검사자에게 접촉되어 온도자극을 제공하는 온도자극부 및 피검사자에게 진동자극을 제공하는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극부, 상기 압통자극부, 상기 온도자극부 및 상기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에 대하여 피검사자로부터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통증도를 설정하며,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를 감지하는 피부전도도감지부;
    피검사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부;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을 감지하는 호흡감지부; 및
    피검사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전도도, 상기 맥박, 호흡속도, 호흡량 및 체온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통증도를 산출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에게 외부로부터 기설정 통증도를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극부, 상기 압통자극부, 상기 온도자극부 및 상기 진동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증자극을 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증자극이 상기 기설정 통증도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통증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로부터 획득한 통증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통증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는 피검사자의 호흡속도, 맥박속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및 피검사자체격을 파악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체상태 및 상기 피검사자체격에 기초하여 상기 통증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감지부는,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를 감지하는 호르몬감지부;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를 감지하는 혈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에 대한 통증도를 저장하며,
    상기 피부전도도감지부, 상기 맥박감지부, 상기 호흡감지부, 상기 체온감지부, 상기 호르몬감지부 및 상기 혈류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피검사자의 피부전도도, 피검사자의 맥박, 피검사자의 호흡속도와 호흡양, 피검사자의 체온, 피검사자의 호르몬분비량 및 피검사자의 혈류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피검사자의 통증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분석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9753A 2020-04-01 2020-04-01 통증 분석 장치 KR10216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753A KR102162054B1 (ko) 2020-04-01 2020-04-01 통증 분석 장치
PCT/KR2020/013479 WO2021201353A1 (ko) 2020-04-01 2020-10-05 통증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753A KR102162054B1 (ko) 2020-04-01 2020-04-01 통증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54B1 true KR102162054B1 (ko) 2020-10-06

Family

ID=7282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753A KR102162054B1 (ko) 2020-04-01 2020-04-01 통증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054B1 (ko)
WO (1) WO20212013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464A (zh) * 2020-12-17 2021-03-26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量化疼痛检测方法及装置
CN113057597A (zh) * 2021-03-25 2021-07-02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实时监测产妇生产过程中生理状态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50B1 (ko) * 2011-07-08 2011-12-19 김종후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KR20170049463A (ko) * 2015-10-01 2017-05-10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치 통증 측정 장치
KR20170142150A (ko) * 2017-12-14 2017-12-27 주식회사 메디프로미 정량화된 고통민감도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643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통증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하여 통증 시그널을 수집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63B1 (ko) * 2011-08-08 2013-06-18 (주)피지오랩 통증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50B1 (ko) * 2011-07-08 2011-12-19 김종후 복합 생체자극 검사분석 시스템
KR20170049463A (ko) * 2015-10-01 2017-05-10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치 통증 측정 장치
KR20170142150A (ko) * 2017-12-14 2017-12-27 주식회사 메디프로미 정량화된 고통민감도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643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통증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하여 통증 시그널을 수집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464A (zh) * 2020-12-17 2021-03-26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量化疼痛检测方法及装置
CN113057597A (zh) * 2021-03-25 2021-07-02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实时监测产妇生产过程中生理状态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1353A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06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и/или мониторинга дыхательного усилия субъекта
US809915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nalyzing and comparing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ements
US62665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rve conduction measurements with automatic setting of stimulus intensity
CN110464347B (zh) 一种盆底肌治疗方法、系统及装置
US20050182456A1 (en) Automated cortical mapping
US20110224503A1 (en) Electro diagnostic functional assessment unit (EFA-3)
JP2001509721A (ja) 神経筋機能のアセスメント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791955B2 (en) Assessment of nerve fiber excitability
AU2004290578A1 (en) Determining stimulation levels fo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US20110208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n damage detection
KR102162054B1 (ko) 통증 분석 장치
KR20110082060A (ko) 표적 근육이 적합한 활성 상태일 때 뇌에 비침습적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12877A (ko) 연하 장해 검사 장치, 연하 장해 검사 방법, 연하 장해 치료 장치 및 자극 전류 설정 방법
EP18382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measuring and analyzing abnormal neurological responses
US7399281B2 (en) Pai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pain
US200701180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measuring and analyzing abnormal neurological responses
NO326733B1 (no) Deteksjon smerte/vakenhet, integralverdi
US7549959B2 (en) Stimulation arrangement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 reactivity
NO329287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a overvake det autonome nervesystemet til en sedert pasient
KR20130129637A (ko) 근지구력 재활 치료를 위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3880A (ko) 시각, 청각 및 시청각의 스트레스 완화도 분석 방법
KR20220115734A (ko) 생체정보 측정 장치
KR101992012B1 (ko) 피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라인 스캐너 및 그 동작 방법
WO1997045056A1 (en) Electro-medical apparatus
KR100745521B1 (ko) 수지요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