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151B1 -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151B1
KR101011151B1 KR1020100119912A KR20100119912A KR101011151B1 KR 101011151 B1 KR101011151 B1 KR 101011151B1 KR 1020100119912 A KR1020100119912 A KR 1020100119912A KR 20100119912 A KR20100119912 A KR 20100119912A KR 101011151 B1 KR101011151 B1 KR 10101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unit
user
locking
rot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0011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with master and pass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기계식 또는 디지털식 작동 방식을 겸용으로 하여 사용자에는 열쇠를 배제한 디지털식 잠금장치의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개별적으로 등록된 잠금 설정과 무관하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관리자용 기계식 잠금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의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결합된 하우징 내에 스프링 지지되어 끝단이 도어틀을 향해 돌출되는 걸게;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걸게에 지지되는 제1회동편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레버가 결합 구성되는 회전작동부;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을 차단시키다가 버튼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회전작동부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 및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걸게에 지지되는 제2회동편을 갖는 키실린더를 회전시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의 설정정보를 초기화시키는 관리자용 제2잠금부; 로 구성된 가구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 또는 디지털식 작동 방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 가구뿐만 아니라 학교, 도서관, 대합실, 헬스장, 사우나 등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사물함(보관함)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에는 기계식 잠금장치와 디지털 잠금장치들이 설치 구성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열쇠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후자인 디지털 잠금장치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잠금장치의 건전지가 방전된 상태에서는 외부단자에 전원을 수동으로 공급해주는 경우에만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설정이 해제되는 것으로 대부분 이렇게 방전된 경우에는 임시 건전지를 신속하게 준비하지 못해 도어 개방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등의 사용 상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또, 공공장소에 대량으로 설치되는 사물함 도어에 적용될 경우에는 사용자 불편함뿐만 아니라 고장이나 사용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아 관리자 입장에서도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한편, 이상과 같이 디지털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구의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전 잠금장치에 설정되었던 비밀번호를 초기화하거나 혹은 무등록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인수인계가 이루어져야 하나 이러한 절차를 무시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더군다나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잠금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다음 이용자가 '0000' 혹은 '1111'과 같은 초기 비밀번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해당 도어를 개방조차 할 수 없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만약 공공장소용 사물함에 디지털 잠금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해당 사물함에 물품을 보관 중인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물품을 그래도 방치하거나 이유 없이 장시간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에는 공공시설물의 원활한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관리자가 사물함의 잠금을 강제로 해제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앞선 사용자가 등록해두었던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 디지털 잠금장치의 전문가를 통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등 관리자 입장에서도 많은 고충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쇠를 배제한 디지털 잠금장치가 갖는 장점과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계식 잠금장치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교, 도서관, 헬스장, 사우나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사물함의 잠금장치로 적용될 시, 사용자마다 매번 새롭게 설정되는 잠금 설정정보와 무관하게 관리자에 의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관리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사물함의 잠금장치로 적용될 시, 관리자에 의한 기계식 잠금장치의 작동으로 앞선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강제 초기화시킬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사용 중인 사물함을 새로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시 초기 설정정보('0000' 혹은 '1111')마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최초 사물함의 개방을 허용시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킨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결합된 하우징 내에 스프링 지지되어 끝단이 도어틀을 향해 돌출되는 걸게;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걸게에 지지되는 제1회동편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레버가 결합 구성되는 회전작동부;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을 차단시키다가 버튼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회전작동부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 및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걸게에 지지되는 제2회동편을 갖는 키실린더를 회전시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의 설정정보를 초기화시키는 관리자용 제2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는, 상기 회전작동부에 결합되어, 회전작동부의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로킹홈을 구비하는 로킹블록과;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어 회전작동부의 회전을 차단시키는 로킹핀과; 버튼조작부로부터 버튼 조작되는 설정정보가 미리 등록된 설정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로킹핀을 일정 시간동안 이격시키는 핀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에는, 회전작동부에 결합된 로킹블록 주변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부의 회전시점을 감지하는 작동여부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용 제2잠금부에는, 마스터키와 연동하는 키실린더의 주변에 설치되어, 키실린더의 회전종점을 감지하는 설정정보 초기화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식 제2잠금부를 구성하는 동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식 제2잠금부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기계식 제1잠금부를 구비함으로서, 제2잠금부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혹은 제2잠금부에 개별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용 제2잠금부에 이용자만이 알고 있는 개별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관리자 혹은 다음 이용자가 강제적으로 등록된 비밀번호를 강제적으로 초기화시킬 수 있어, 이용자 간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더라도 해당 가구의 관리 및 사용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일시적인 물품보관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사물함(보관함)에 적용되는 경우 신규 사용자가 최초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0000' 혹은 '1111'과 같은 초기 비밀번호조차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도어의 일회 개방을 허용하여 줌으로서, 디지털식 잠금장치에 익숙하지 못한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디지털식 잠금장치인 사용자용 제2잠금부의 전원이 방전될 경우, 종래와 같이 외부 전원을 임시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단자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어, 디지털 잠금장치의 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용 제2잠금부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작동부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작동부 및 사용자용 제1잠금부의 작동상태 보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도어잠금장치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0), 걸게(20), 회전작동부(30), 사용자용 제1잠금부(40) 및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도어에 결합되는 몸체(11)와, 이 몸체(11)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11)와 커버(12)의 조립구조를 이루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후술되는 걸게(20)와 회전작동부(30)가 축설된다.
상기 걸게(20)는, 도어에 결합된 하우징(10)내에 스프링(24)으로 지지되어 도어의 측방으로 끝단이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은 도어틀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걸게(20)의 돌출된 끝단에는 도어의 닫힘 시 도어틀을 타고 넘으며 스프링(24)의 탄성력을 원활히 극복할 수 있게 곡면부(21)가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작동부(30)는, 상기 걸게(2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하우징(10)내 회전축(31)이 축설된다. 그리고 회전축(31)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상기 걸게(20)에 형성된 제1지지턱(2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는 제1회동편(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31)의 타측에는 레버(33)가 형성된다. 여기서 레버(33)는 하우징(10)의 한쪽 개방부(121)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의 개방 시 손잡이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는, 해당 사물함을 사용하게 되는 개별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회전작동부(30)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관여하는 것으로, 커버(12)에 배치된 외부 조작버튼부(46)의 버튼조작으로부터 메인기판(45)에 미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만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디지털 잠금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는, 상기 회전작동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작동부(3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로킹홈(411)을 구비하는 로킹블록(41)과; 평상 시에는 로킹핀(42)이 상기 로킹홈(411)에 삽입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기판(45)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로킹홈(411)으로부터 로킹핀(42)을 일정 시간동안 이격시키는 핀구동부(43)를 포함하는 디지털 잠금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핀구동부(43)의 작동으로 인하여 로킹홈(411)으로부터 이격되는 로킹핀(42)은 일정시간(3초 내지 5초)이 초과된 후에는 다시 돌출되어 상기 로킹홈(411)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핀구동부(43)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으며, 로킹핀(42)은 스풀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에는 커버(12) 외부에 배치되는 버튼조작부(46)과; 이 버튼조작부(46)를 통한 입력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입력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비밀번호)와의 동일여부를 확인하고, 입력정보가 설정정보(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는 핀구동부(43)를 향해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메인기판(45)과; 전원부(배터리)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이미 공지된 디지털 잠금장치의 구성과 그 작동에 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에는 상기 회전작동부(30)의 초기 회전시점을 감지하는 작동여부 검출센서(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여부 검출센서(35)는 사용자가 회전작동부(30)의 레버(33)를 회전시키는 시점을 감지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로킹블록(41)의 주변에 설치되어, 로킹블록(41)의 한쪽 검출단을 감지 대상으로 하고 메인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는, 학교, 도서관, 헬스장, 사우나 등 다수개의 사물함을 관리하는 관리자 전용 잠금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마스터키(6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회전하는 키실린더(51)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에 의한 회전작동부(30)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걸게(20)를 직접 이동시키는 기계식 잠금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키실린더(51)의 일측에 결합된 제2회동편(52)과, 키실린더(51)의 회전과 연동하는 제2회동편(52)에 지지되게 상기 걸게(20)에는 제2지지턱(23)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는 마스터키(60)의 회전과 연동하는 키실린더(51)의 회전으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로 인하여 잠금 설정된 회전작동부(30)의 작동과 무관하게 걸게(20)를 하우징(10) 내부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를 통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설정 등록한 설정번호(비밀번호)를 초기화(예컨대 '0000' 혹은 '1111'과 같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에는 키실린더(51)의 회전을 감지하는 설정정보 초기화센서(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정보 초기화센서(55)는 마스터키(60)에 의하여 키실린더(51)가 회전된 종점을 감지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키실린더(51) 주변에 설치되어, 키실린더(51)의 한쪽 검출단(511)을 감지 대상으로 하여 메인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1)는 스프링(24)으로 지지된 걸게(20)의 곡면부(21)에 의하여 도어의 닫힘 시, 걸게(20)의 돌출된 끝단이 도어틀을 타고 넘으며 도어틀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닫힘 상태의 도어는 회전작동부(30)의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한쪽 레버(33)를 당기면(회전) 반대쪽 제1회동편(32)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 상기 제1회동편(32)을 제1지지턱(22)으로 지지하고 있는 걸게(20)는 스프링(24)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하우징(10)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1)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인 로킹핀(42)이 로킹블록(41)의 로킹홈(411)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이루는 잠금 상태 즉, 회전작동부(30)의 레버(33) 회전이 차단된 상태를 이룬다.
이렇게 닫힘 상태인 도어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인 버튼조작부(46)의 버튼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0000' 혹은 '1111')와 동일한 경우에만 잠금 해제 상태 즉, 회전작동부(30)의 레버(33)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혹은 닫힘 상태인 도어는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인 마스터키(60)를 이용하여 회전작동부(30)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걸게(20)를 이동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1)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를 이용하는 개별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닫음) 및 해제가 가능한 것은 물론 이러한 개별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설정번호(비밀번호)가 등록되었다 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상기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이용하여 관리자에 의한 해당 도어의 잠금 상태 해제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특정인만의 사용이 아닌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공공장소용 사물함 도어에 본 발명의 의한 도어잠금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앞선 사용자가 설정해 두었던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상기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초기화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앞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초기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로킹핀(42)에 의하여 회전이 차단된 회전작동부(30)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마스터키(60)를 이용하여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의 키실린더(51)를 회전시킴으로서 키실린더(51)의 제2회동편(52)에 제2지지턱(23)으로 지지된 걸게(20)를 직접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한편, 이와 동시 상기 키실린더(51)의 한쪽 검출단(511)의 회전종점을 감지하는 설정정보 초기화센서(55)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메인기판(45)은 앞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었던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초기화('0000' 혹은 '1111')시키게 된다.
한편, 앞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었던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초기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인 버튼조작부(46)를 통하여 관리자용 설정정보(관리자용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도 앞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었던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초기화('0000' 혹은 '1111')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관리자는 마스터키(60)를 이용하거나 혹은 버튼조작부(46)에 관리자용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앞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개별 비밀번호를 초기화할 수 있어, 앞선 사용자가 사물함의 물품을 회수한 후 매번 개별 설정정보(비밀번호)를 재차 초기화시킬 필요가 없으며, 만약 앞선 사용자에 개별 설정정보(비밀번호)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연락이 두절되거나 장시간 해당 사물함이 방지되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개별 설정정보(비밀번호)와 무관하게 해당 사물함에 대한 개방 및 설정정보의 초기화를 구현하여 해당 사물함에 대한 관리편의 이점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도어를 최초 개방하고자 할 시에는 버튼조작부(46)를 이용하여 초기화된 비밀번호('0000' 혹은 '1111')를 입력하여 주어야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신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잠금장치에는 상기 회전작동부(30)의 회전시점을 감지하는 작동여부 검출센서(35)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신규 사용자가 도어의 비밀번호('0000' 혹은 '1111')를 인지하지 못하고 레버(33)를 잡고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시 레버(33)와 연동하는 로킹블록(41)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작동여부 감지센서(35)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메인기판(45)은 핀구동부(43)를 작동시켜 로킹홈(411)으로부터 로킹핀(42)을 일정시간 동안 이격시켜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여부 감지센서(35)는 해당 사물함이 미사용 중인 상태 즉,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설정정보(비밀번호)가 초기화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만 작동되도록 한다.
이후 사물함 내 물품을 보관한 사용자는 도어를 닫은 후 버튼조작부(46)를 이용하여 개별 설정정보(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식 잠금장치인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의 마스터키(60)를 이용하여 디지털 잠금장치인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작동과 무관하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만약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전원(배터리)이 방전된 상태라 하더라도 관리자는 마스터키(60)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상태를 신속히 해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사물함에 개별 비밀번호를 등록한 사용자가 장시간 연락이 두절되어 사물함의 사용에 지장이 초래되는 경우에도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이용한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비밀번호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다른 신규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하고자 할 시 사물함의 도어 개방을 일시적으로 허용하여 줌으로서 사용자의 조작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잠금장치인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와 기계식 잠금장치인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에 의한 이중 구조를 이루고 있어 만약 사요자용 제1잠금부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외부 전원을 임시 접속시키기 위한 외부단자의 구성을 필요 없이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이용한 기계식 잠금 해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도어잠금장치 (10) : 하우징
(11) : 몸체 (12) : 커버
(20) : 걸게 (22) : 제1지지턱
(23) : 제2지지턱 (24) : 스프링
(30) : 회전작동부 (31) : 회전축
(32) : 제1회동편 (33) : 레버
(35) : 작동여부 감지센서 (40) : 사용자용 제1잠금부
(41) : 로킹블록 (411) : 로킹홈
(42) : 로킹핀 (43) : 핀구동부
(45) : 메인기판 (50) : 관리자용 제2잠금부
(51) : 키실린더 (52) : 제2회동편
(55) : 설정정보 초기화센서 (60) : 마스터키

Claims (4)

  1. 도어에 결합된 하우징(10)내에 스프링(24) 지지되어 끝단이 도어틀을 향해 돌출되는 걸게(20);
    상기 하우징(10)에 축설되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걸게(20)에 지지되는 제1회동편(32)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레버(33)가 결합 구성되는 회전작동부(30);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작동부(30)의 회전을 차단시키다가 버튼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회전작동부(3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용 제1잠금부(40); 및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걸게(20)에 지지되는 제2회동편(52)을 갖는 키실린더(51)를 회전시켜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의 설정정보를 초기화시키는 관리자용 제2잠금부(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는,
    상기 회전작동부(30)에 결합되어, 회전작동부의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로킹홈(411)을 구비하는 로킹블록(41)과;
    상기 로킹홈(411)에 삽입되어 회전작동부(30)의 회전을 차단시키는 로킹핀(42)과;
    버튼조작부로부터 버튼 조작되는 설정정보가 미리 등록된 설정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로킹홈(411)으로부터 로킹핀(42)을 일정 시간동안 이격시키는 핀구동부(4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제1잠금부(40)에는, 회전작동부(30)에 결합된 로킹블록(41) 주변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부(30)의 회전시점을 감지하는 작동여부 검출센서(3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용 제2잠금부(50)에는, 마스터키와 연동하는 키실린더(51)의 주변에 설치되어, 키실린더(51)의 회전종점을 감지하는 설정정보 초기화센서(5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KR1020100119912A 2010-11-29 2010-11-29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KR10101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12A KR101011151B1 (ko) 2010-11-29 2010-11-29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12A KR101011151B1 (ko) 2010-11-29 2010-11-29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51B1 true KR101011151B1 (ko) 2011-01-26

Family

ID=4361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912A KR101011151B1 (ko) 2010-11-29 2010-11-29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314B1 (ko) 2012-04-25 2012-07-24 주식회사 우드메탈 기계식 리셋이 가능한 도어록
KR101242164B1 (ko) 2012-11-29 2013-03-11 정태원 도어 잠금장치
KR101291740B1 (ko) * 2013-05-20 2013-08-05 정태원 원타임 방식 디지털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03A (ko) * 2001-09-27 2003-04-08 한윤근 도어록 장치의 자물쇠뭉치 열림각도 개선구조
KR20030091856A (ko) * 2003-10-07 2003-12-03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60021646A (ko) * 2004-09-03 2006-03-08 김갑식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허브 잠금장치
JP2008150886A (ja) 2006-12-19 2008-07-03 Zen Giken Kk セパレータ用プラ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03A (ko) * 2001-09-27 2003-04-08 한윤근 도어록 장치의 자물쇠뭉치 열림각도 개선구조
KR20030091856A (ko) * 2003-10-07 2003-12-03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60021646A (ko) * 2004-09-03 2006-03-08 김갑식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허브 잠금장치
JP2008150886A (ja) 2006-12-19 2008-07-03 Zen Giken Kk セパレータ用プラ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314B1 (ko) 2012-04-25 2012-07-24 주식회사 우드메탈 기계식 리셋이 가능한 도어록
KR101242164B1 (ko) 2012-11-29 2013-03-11 정태원 도어 잠금장치
KR101291740B1 (ko) * 2013-05-20 2013-08-05 정태원 원타임 방식 디지털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13B2 (en) Locker structure
EP3782503B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JP4099803B2 (ja) ロックの配置
KR101011151B1 (ko) 가구용 도어잠금장치
US10017964B2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US10352067B2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42404B1 (ko)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1242164B1 (ko) 도어 잠금장치
JPH0978915A (ja) 錠装置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JP3553818B2 (ja) ドアストッパ
JP6386647B1 (ja) 貸金庫用保護箱の施錠忘れ防止機構
JP3145858B2 (ja) 宅配ボックスの閉じ込め防止装置
KR20100104600A (ko) 안티패닉형 문 잠금장치용 문 내측 손잡이
JPH0728355Y2 (ja) 電子錠
US20050179556A1 (en) Alarm device for pickproofing a lock member
KR102473747B1 (ko) 보관함 시건장치 및 보관함 시건장치 제어시스템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JP3677411B2 (ja) ロッカー扉操作装置
JPH04357285A (ja) 電気錠装置
JP2585931B2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2000002030A (ja) ロッカの施解錠装置
JPH03449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