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780B1 -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780B1
KR101010780B1 KR1020080045962A KR20080045962A KR101010780B1 KR 101010780 B1 KR101010780 B1 KR 101010780B1 KR 1020080045962 A KR1020080045962 A KR 1020080045962A KR 20080045962 A KR20080045962 A KR 20080045962A KR 101010780 B1 KR101010780 B1 KR 10101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mosfet
seat
transistors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089A (ko
Inventor
최윤아
이하나
최숙녀
Original Assignee
최윤아
최숙녀
이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아, 최숙녀, 이하나 filed Critical 최윤아
Priority to KR102008004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7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터(150)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가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배열된 전류전환회로와;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명령하는 ON/OFF형 지령 스위치(120,130)와; 상기 지령 스위치의 ON/OFF에 따라 동작 신호(AT0,AB0,BT0,BB0)를 발생시키는 아이씨(140)와;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와 상기 아이씨(140)와의 연결 선로로부터 분기된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가 OFF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계식 차단기를 배제하여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여 정숙한 운전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전류가 발생하는 트랜지스터에 전원(VDD)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구비하여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FF상태에서는 상기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암전류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자동차용 전동 시트, 소음, 암전류, 트랜지스터, 모스펫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DRIVER OF ELECTRICALLY MOVING SEA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에 기계적 스위칭 소자인 릴레이를 근본적으로 배제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중 발생되는 기계적 소음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를 이동시키지 않는 중에 발생하는 약 0.6mA의 암전류에 의한 전력 손실도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석을 포함하여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편안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시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시트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는, 탑승자가 래치의 결합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힘을 주어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원하는 만큼 수동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방법과, 탑승자가 간편히 스위칭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원하는 만큼 전동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수동으로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537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의 전방 하부의 조절 레버(2)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시켜, 시트(1)와 일체로 결합된 상부이송부재(3)와 바닥에 고정된 고정대(4)와의 구속을 해제한 후 탑승자가 시트(1)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때, 시트(1)의 이동을 상부이송부재(3)의 저면에 하방으로 제1이송고정부재(7)가 돌출되어, 고정대의 끝단(5)과 제1이송고정부재(7)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6)에 의하여 시트(1)의 밀림동작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동식으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은 탑승자로 하여금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방과 후방으로 시트(1)를 직접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하여 조절하므로 정교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동 시트가 고안되기에 이르렀다. 도2에 도시된 전동 시트는, 마이컴(11)과 릴레이, 모터 및 스위치가 연결 구성된 제어 모듈(10)을 구비한다. 즉, 시트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모터(12)와, 슬라이드모더(12)의 구동을 확인하는 슬라이드 모터 센서(13)와, 슬라이드 여부를 지령하는 스위치(15)가 각각 마이컴(11)에 연결되고, 메인 전원(16)이 도어 스위치(17)와 연결되어 마이컴(11)에 연결된다. 그리고, 후진용 슬라이드 릴레이(20)와 전진용 슬라이드 릴레이(21)가 마이컴(11)과 슬라이드 모터(12)에 연결되어 공동으로 접 지(18)된다. 마이컴(11)에 의하여 모터와 센서, 스위치 등이 제어되며 접지(19)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 시트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15)를 누르면 슬라이드 모더(12)가 구동하여 마이컴(11)에 신호를 전달하고, 마이컴(11)의 명령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모터(12)가 구동되어 원하는 위치로 시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 모터 센서(13)가 슬라이드 모터(12)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마이컴(11)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메인전원(16)으로부터 마이컴(11)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도어 스위치(17)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마이컴(11)의 명령 신호에 따라 시트를 후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후진용 슬라이드 릴레이(20)가 동작하고, 시트를 전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진용 슬라이드 릴레이(21)가 동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 시트는 탑승자가 슬라이드 스위치(15)를 작동시키면, 마이컴(11)에 의하여 전진용 또는 후진용 슬라이드 릴레이(20,21)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슬라이드 모터(12)를 구동하여 시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드 릴레이(20,21)는 그 개폐 동작에 딸깍거리는 큰 소음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고급 사양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동 시트를 작동 중의 소음으로 인하여 고급 자동차의 품격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쾌함도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로부터 개폐 릴레이를 근본적으로 배제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 시트의 사용중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쾌적성을 보다 향상시킨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무소음의 전동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중에 발생되는 암전류에 의한 전력 손실을 간단한 회로의 변경을 통해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터(150)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가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배열된 전류전환회로와;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명령하는 ON/OFF형 지령 스위치(120,130)와; 상기 지령 스위치의 ON/OFF에 따라 동작 신호(AT0,AB0,BT0,BB0)를 발생시키는 아이씨(140)와;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와 상기 아이씨(140)와의 연결 선로로부터 분기된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가 OFF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계식 차단기를 배제하여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여 정숙한 운전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전류가 발생하는 트랜지스터에 전원(VDD)을 선택적으로 차 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구비하여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FF상태에서는 상기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암전류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자동차의 전동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필요한 데, 이를 전기적인 제어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Q1-Q4)를 상호 대칭으로 배치하는 회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구동 모터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뒤바꾸는 트랜지스터(Q1-Q4)를 아이씨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원을 트랜지스터(Q1-Q4)에 인가해야 하므로 접지측에 위치한 트랜지스터(Q2, Q4)에는 암전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령 스위치(120, 130)와 상기 아이씨와의 연결 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지령 스위치(120, 130)가 OFF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3,Q4)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에 발생되는 암전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 시트의 구동 모터의 스위칭 소자로서 기계적 스위칭 소자인 릴레이를 배제시키고 전기적 스위칭 소자인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구동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딸깍거리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정숙한 전동 시트를 제어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시트를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에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FF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접지측에 위치한 트랜지스터(Q2, Q4)에 HIGH신호가 들어와도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 걸리는 전압이 없으므로, 이 트랜지스터(Q2, Q4)를 항상 OFF상태로 유지시켜 암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전류전환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4는 도3의 회로에 동작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는 자동차용 전동 시트를 이동시키는 모터(50)에 동력을 공급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로 형성된 전원 공급부(10)와, 전원 공급부(10)로부터 모터(5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Q1-Q4,M1-M4)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류전환회로(도3)와, 사용자의 입력 스위치로서 전동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지령하는 스위치(30,30')와, 지령 스위 치(30,30')의 입력에 따라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의 ON/OFF를 제어하는 아이씨(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전환회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트랜지스터(Q1-Q4) 중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트랜지스터(Q1, Q4 또는 Q2, Q3)이 함께 쌍을 이루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한 쌍의 트랜지스터(Q2,Q3 또는 Q1,Q4)와 반대로 ON/OFF되도록 작동하여, 이에 따라 모스펫(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M1-M4)이 ON/OFF가 되어 모터(50)가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고, 이에 따라 모터(5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Q1-Q4)는 도4에 도시된 아이씨(40)로부터 스위치(30,30')의 ON/OFF에 따른 동작 신호(AT0,AB0,BT0,BB0)에 의하여 ON/OFF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전동으로 시트를 구동하는 모터(50)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주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릴레이를 배제시키고 트랜지스터(Q1-Q4, M1-M4)로 대체하여 구성함에 따라, 전동시트를 구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기계적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OFF상태인 스위치(30,30')를 조작하여 ON상태로 조작하면, 아이씨(40)로부터 동작 신호(AT0, AB0, BT0, BB0)가 출력되며, 아이씨(40)로부터 출력된 동작 신호(AT0, AB0, BT0, BB0)에 의하여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1-Q4)가 ON/OFF로 되고, 이에 따라, 이에 연결된 한 쌍 의 모스펫(M1-M4)도 함께 ON/OFF로 되어, 모터(5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30)가 ON상태로 입력되면,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이씨로부터의 각각의 동작 신호(AT0,AB0,BT0,BB0)는 각각 H(High,하이), H, L(Low,로우), L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은 하이신호(H)에는 ON으로 작동되고 로우신호(L)에는 OFF로 작동되며, 트랜지스터(Q-Q4)의 콜렉터와 모스펫(M1-M4)의 게이트가 연결되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스펫(M1,M4)은 ON이 되고,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모스펫(M2,M3)이 OFF로 작동하여 모터(50)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동작 신호 AT0 AB0 BT0 BB0
신호 형태 H H L L
트랜지스터 Q1 Q2 Q3 Q4
신호 형태 ON ON OFF OFF
MOSFET M1 M2 M3 M4
신호 형태 ON OFF OFF ON
마찬가지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30')가 ON상태로 입력되면,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이씨로부터의 각각의 동작 신호(AT0,AB0,BT0,BB0)는 각각 L, L, H, H(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표1과 반대임)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은 하이신호(H)에는 ON으로 작동되고 로우신호(L)에는 OFF로 작동되며, 트랜지스터(Q-Q4)의 콜렉터와 모스펫(M1-M4)의 게이트가 연결되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스펫(M2,M3)은 ON이 되고,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모스펫(M1,M4)이 OFF로 작동하여 모터(50)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동작 신호 AT0 AB0 BT0 BB0
신호 형태 L L H H
트랜지스터 Q1 Q2 Q3 Q4
신호 형태 OFF OFF ON ON
MOSFET M1 M2 M3 M4
신호 형태 OFF ON ON OFF
한편, 스위치(30,30')가 모두 OFF상태이어서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모터(50)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도록 모스펫(M1-M4)의 전부를 OFF로 작동된다.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이씨(40)로부터의 각각의 동작 신호(AT0,AB0,BT0,BB0)는 각각 L, H, H, L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은 하이신호(H)에는 ON으로 작동되고 로우신호(L)에는 OFF로 작동되어, 모든 모스펫(M1-M4)이 OFF로 되어, 모터(50)에 어떠한 전류도 인가되지 않아 시트가 이동되지 않는다.
동작 신호 AT0 AB0 BT0 BB0
신호 형태 L H L H
트랜지스터 Q1 Q2 Q3 Q4
신호 형태 OFF ON OFF ON
MOSFET M1 M2 M3 M4
신호 형태 OFF OFF OFF OFF
이와 같이 도3 및 도4에 도시된 전동시트의 구동드라이버는, 기계적인 스위칭 소자인 릴레이로 구성되지 않고 전기 소자인 트랜지스터(Q1-Q4,M1-M4)로 구성되므로, 전동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 구동하는 동안에 기계적인 접촉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정숙한 운전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시트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 즉 스위치(30,30')가 모두 OFF인 상태에서도 접지측에 가깝게 배열된 트랜지스터(Q2,Q4)는 ON상태로 되어야 하므로, (이 때, 접지측에 가깝게 배열된 트랜지스터(Q3,Q4)에 로우신호(L)를 출력하면, 모스펫(M2,M4)이 ON상태가 되어 접지측과 쇼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저항체(R11,R13)를 통하는 암전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시트의 구동과 관계없이 지속적인 암전류로 인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를 상술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전류전환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6은 도5의 회로에 동작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8은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OFET)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는 시트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암전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별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상태인 경우에만 저항체(R11,R13)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시트의 구동드라이버는, 자동차용 전동 시트를 이동시키는 모터(150)에 동력을 공급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로 형성된 전원 공급부(110)와,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모터(15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Q1-Q4,M1-M4)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류전환회로(도5)와, 사용자의 입력 스위치로서 전동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지령하는 스위치(120,130)와, 지령 스위치(120,130)의 입력에 따라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의 ON/OFF를 제어하는 아이씨(140)와, 지령 스위치(120,130)가 OFF상태인 경우에 전류전환회로(도5)의 트랜지스터(Q2,Q4)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전환회로는 아이씨(140)의 동작 신호(AT0,AB0,BT0,BB0)에 따라 ON/OFF로 작동되는 제1트랜지스터(Q1) 내지 제4트랜지스터(Q4)와, 4개의 트랜지스터(Q1-Q4)의 ON/OFF에 연동되어 ON/OFF되는 제1모스펫(M1) 내지 제4모스펫(M4)과, 전원 공급부(110)에 의하여 모터(15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다수 배열된 저항체(R1-R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Q1-Q4)는 모두 npn형태의 트랜지스터로 설치되고, 상기 모스펫(M1-M4)은 n형과 p형이 혼재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7은 n형 트랜지스터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 'B'로 표시된 단자는 베이스이고, 도면 부호 'C'로 표시된 단자는 콜렉터이며, 도면 부호 'E'로 표시된 단자는 이미터이다. 도8은 P형 모스펫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 'G'로 표시된 단자는 게이트이고, 도면 부호 'S'로 표시된 단자는 소스이며, 도면 부호 'D'로 표시된 단자는 드레인이다. 도5의 트랜지스터(Q1-Q4) 및 모스펫(M1-M4)에는 이들 부호를 표시하지 않았지만, 도7 및 도8에 표시한 단자 명칭에 따라 도5의 각 단자의 명칭을 칭하기로 한다.
즉,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AT0)를 전송받아 이에 따라 ON/OFF된다. 제1트랜지스터(Q1)의 ON/OFF에 따라 제1모스펫(M1)도 함께 ON/OFF되도록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C)는 상기 제1모스펫(M1)의 게이트(G)에 연결되며, 제1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E)는 접지된다.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B)는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AB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C)는 제2모스펫(M3)의 게이트(G)에 연결되어, 제2트랜지스터(Q2)가 아이씨(140)의 동작 신호(AB0)에 의하여 ON/OFF로 작동되면, 제2모스펫(M2)도 함께 ON/OFF상태로 된다. 제2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E)는 접지된다. 이때, 차단용 트랜지스터(Q5)에 의하여 저항체(R11)를 거쳐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C)에 전원(VDD)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C)와 이미터(E) 사이에 통전되지 않는 OFF상태에서는 제2트랜지스터(Q2)에는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B)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BT0)를 전송받아 이에 따라 ON/OFF된다. 제3트랜지스터(Q3)의 ON/OFF에 따라 제3모스펫(M3)도 함께 ON/OFF되도록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C)는 상기 제3모스펫(M3)의 게이트(G)에 연결되며, 제3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E)는 접지된다.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B)는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BB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C)는 상기 제4모스펫(M4)의 게이트(G)에 연결되어, 제4트랜지스터(Q4)가 아이씨(140)의 동작 신호(BB0)에 의하여 ON/OFF로 작동되면, 제4모스펫(M4)도 함께 ON/OFF상태로 된다. 제4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E)는 접지된다. 이때, 차단용 트랜지스터(Q5)에 의하여 저항체(R13)를 거쳐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전원(VDD)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통전되지 않는 OFF상태에서는 제4트랜지스터(Q4)에는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다.
이렇듯, 4개의 트랜지스터(Q1-Q4) 중 접지측에 위치한 제2트랜지스터(Q2)와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C)측에 전류가 통전되는 것이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상태인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트를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제1실시예에서 발생하던 암전류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단용 트랜지스터(Q5)는 스위치(120,130)중 어느 하나가 ON이어서 아이씨(140)에 로우(L)신호가 입력되면, ON이 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병렬로 연결된 상기 스위치(120,130)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20,130) 중 어느 하나가 ON이 되면 상기 아이씨(140)에 공급되는 신호가 달라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차단용 트랜지스터(Q5)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120,130)에 대하여 한꺼번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트랜지스터(Q1-Q4)의 ON/OFF에 따라 모스펫(M1-M4)도 함께 ON/OFF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모스펫(M1)은 P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모스펫(M1)의 게이트(G)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C)와 연결되며 동시에 전원공급부(110)와 저항(R3)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그리고, 제1모스펫(M1)의 드레인(D)은 상기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며, 제1모스펫(M1)의 소스(S)는 상기 모터(150)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2모스펫(M2)은 N형으로 형성되고, 제2모스펫(M2)의 게이트(G)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때에만 전원(VDD)이 인가되고, 제2모스펫(M2)의 드레인(D)은 제1모스펫(M1)의 소스(S)와 연결되며, 제2모스펫(M2)의 소스(S)는 접지된다.
제3모스펫(M3)은 P형으로 형성되고, 제3모스펫(M3)의 게이트(G)는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C)와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저항(R6)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상기 제4모스펫(M4)는 N형으로 형성된다. 제4모스펫(M4)의 게이트(G)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 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4모스펫(M4)의 드레인은 상기 제3모스펫(M3)의 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4모스펫(M4)의 소스는 접지된다.
한편, 차단용 트랜지스터(Q5)는 아이씨(140)로부터의 동작 신호에 의하여 ON/OFF로 작동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아이씨(140)로부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ON/OFF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류전환회로는 지령 스위치(120,130)의 ON/OFF에 따라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이씨(140)로부터 출력된 동작 신호(AT0,AB0,BT0,BB0)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Q4)가 ON/OFF동작된다.
AT0 AB0 BT0 BB0
전진 스위치 ON H H L L
후진 스위치 ON L L H H
정지 상태 L H L H
즉,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전진 스위치(120)가 ON상태로 되면, 아이씨(140)의 2번 터미널에는 하이(High)신호가 더이상 입력되지 않고, 로우(Low)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상태가 되어 저항체(R11,R13)로 전원(VDD)이 흐르게 되어, 아이씨(140)의 동작 신호(AT0,AB0,BT0,BB0)에 의하여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1,Q4)가 ON이 되고, 그 반대편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한 쌍의 트랜지스터(Q2,Q3)이 OFF가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트랜지스터(Q1-Q4)의 콜렉터와 연결된 4개의 모스펫(M1-M4) 중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스펫(M1,M4)은 ON이 되고 다른 한 쌍의 모스펫(M2,M3)은 OFF가 되어 모터(150)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후진 스위치(130)가 ON상태로 되면, 아이씨(140)의 3번 터미널에는 하이(High)신호가 더이상 입력되지 않고, 로우(Low)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상태로 동작하게 되어 전류전환회로의 저항체(R11,R13)에 전원(VDD)이 흐르게 되어, 아이씨(140)의 동작 신호(AT0,AB0,BT0,BB0)에 의하여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1,Q4)가 OFF가 되고, 그 반대편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트랜지스터(Q2,Q3)가 ON으로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트랜지스터(Q1-Q4)의 콜렉터와 연결된 4개의 모스펫(M1-M4) 중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스펫(M1,M4)은 OFF가 되고 다른 한 쌍의 모스펫(M2,M3)이 ON이 되어 모터(150)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시트를 이동시키는 지령 스위치(120,130)가 모두 OFF상태인 경우에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는 콜렉터로부터 이미터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저항체(R11,R13)에는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접지측에 위치한 트랜지스터(Q2,Q4)에 발생하던 암전류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시트를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저항체(R11,R13)에서 발생되던 전력 소모를 없앨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는다. 이 때, 지령 스위치(120,130)가 모두 OFF상태이므로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로부터의 전류는 모두 아이씨(140)로 흘러, 아이씨(140)의 2번 터미널과 3번 터미널에는 하이(High)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 (AT0,AB0,BT0,BB0)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도5와 같이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회로가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시트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스위치(120,130)의 조작이 없으면, 아이씨(140)로부터 동작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1-Q4)는 항상 OFF상태가 되어, 차단용 트랜지스터(Q5)에 의하여 접지측에 위치한 트랜지스터(Q2,Q4)에 전압이 걸리지 않으므로 암전류에 의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수동식 이동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자동식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전류전환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4는 도3의 회로에 동작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의 전류전환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6은 도5의 회로에 동작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8은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OFET)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전원 공급부 120: 전진 지령 스위치
130: 후진 지령 스위치 140: 아이씨
150: 모터 Q1,Q2,Q3,Q4: 트랜지스터
M1,M2,M3,M4: 모스펫

Claims (4)

  1.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로서,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터(150)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가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Q1-Q4, M1-M4)를 포함하여 배열된 전류전환회로와;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명령하는 ON/OFF형 지령 스위치(120,130)와;
    상기 지령 스위치의 ON/OFF에 따라 동작 신호(AT0,AB0,BT0,BB0)를 발생시키는 아이씨(140)와;
    상기 지령 스위치(120, 130)와 상기 아이씨(140)와의 연결 선로로부터 분기된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가 OFF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용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환회로는 제1트랜지스터(Q1), 제2트랜지스터(Q2), 제3트랜지스터(Q3), 제4트랜지스터(Q4), 제1모스펫(M1), 제2모스펫(M2), 제3모스펫(M3) 및 제4모스펫(M4)을 포함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AT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상기 제1모스펫(M1)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는 접지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BT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상기 제2모스펫(M2)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AB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상기 제3모스펫(M3)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는 접지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는 상기 아이씨(1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BB0)를 전송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상기 제4모스펫(M4)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이미터는 접지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는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모스펫(M1)은 P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모스펫(M1)의 게이트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연결되며 동시에 전원공급부(110)와 저항(R3)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제1모스펫(M1)의 드레인은 상기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모스펫(M1)의 소스는 상기 모터(15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모스펫(M2)은 N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모스펫(M2)의 게이트는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2모스펫(M2)의 드레인(D)은 상기 제1모스펫(M1)의 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모스펫(M2)의 소스(S)는 접지되고;
    상기 제3모스펫(M3)은 P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모스펫(M3)의 게이트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저항(R6)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제4모스펫(M4)는 N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4모스펫(M4)의 게이트는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가 ON일 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4모스펫(M4)의 드레인은 상기 제3모스펫(M3)의 소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4모스펫(M4)의 소스는 접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가 연결되고,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ON/OFF에 따라 상기 전류전환회로의 트랜지스터(Q1-Q4,M1-M4)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병렬로 연결된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와 연결되어, 상기 지령 스위치(120,130) 중 어느 하나가 ON이 되면 상기 아이씨(140)에 공급되는 신호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KR1020080045962A 2008-05-19 2008-05-19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KR101010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962A KR101010780B1 (ko) 2008-05-19 2008-05-19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962A KR101010780B1 (ko) 2008-05-19 2008-05-19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089A KR20090120089A (ko) 2009-11-24
KR101010780B1 true KR101010780B1 (ko) 2011-01-25

Family

ID=4160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962A KR101010780B1 (ko) 2008-05-19 2008-05-19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795A (ja) * 1992-04-15 1993-11-12 Mitsuba Electric Mfg Co Ltd モータ駆動制御回路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KR20050122313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트어링 시스템에서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
KR20070093863A (ko) * 2006-03-14 2007-09-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795A (ja) * 1992-04-15 1993-11-12 Mitsuba Electric Mfg Co Ltd モータ駆動制御回路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KR20050122313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트어링 시스템에서의 모터 전류 검출회로
KR20070093863A (ko) * 2006-03-14 2007-09-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089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414B2 (en) Power seat drive device
CN100485843C (zh) 用于车辆的开关控制器件
US20050006939A1 (en) Vehicle seat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US80809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vehicle window position
US528513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in a powered seat
EP0900905A3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JP3815738B2 (ja) パワーウインドシステム
KR101010780B1 (ko) 자동차의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US20090160374A1 (en) Motor control device
KR101091408B1 (ko)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구동 드라이버
US3222584A (en) Motor reversing circuit
KR101045987B1 (ko) 전동시트 제어장치
US20220203913A1 (en) Passeng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JPH02283534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装置
JP2555645Y2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装置
KR101363687B1 (ko) 오동작 방지 차량용 파워 시트
KR970002179Y1 (ko) 자동차의 파워시트 조절장치
KR101746290B1 (ko) 오작동 방지부를 가지는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회로
JP200127155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JP2562441Y2 (ja) シート制御装置
CN219564845U (zh) 一种电动座椅的调节装置和电动座椅的控制系统
KR960012266B1 (ko) 차량의 프론트시트(Front Seat) 이송제어장치
JPS56124521A (en) Power seat controller
JPH058674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KR0180755B1 (ko) 파워시트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