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719B1 -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Google Patents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0719B1 KR101010719B1 KR1020100083059A KR20100083059A KR101010719B1 KR 101010719 B1 KR101010719 B1 KR 101010719B1 KR 1020100083059 A KR1020100083059 A KR 1020100083059A KR 20100083059 A KR20100083059 A KR 20100083059A KR 101010719 B1 KR101010719 B1 KR 101010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main body
- blade piece
- mounting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1—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g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체결수단 구조를 보완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원터치식으로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천정면의 다양한 두께에 대해서도 추가작업 없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통해 회동되는 것으로 천정에 매입등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일면이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상기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2날개편과, 그리고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설치된 탄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정에 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통해 회동되는 것으로 천정에 매입등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일면이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상기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2날개편과, 그리고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설치된 탄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 주택이나, 사무공간 등의 천정에 매립 설치되는 천정매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체결수단 구조를 보완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원터치식으로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천정면의 다양한 두께에 대해서도 추가작업 없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및 사무실이나 학교, 관공서 등의 천정에는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명등의 종류를 다양한데 부착되는 방식에 의해면, 천정면에 직착되는 천정직착등, 천정면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천정매다는 등, 그리고 천정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천정매입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명등 중 천정매입등에 관한 것인데,
천정매입등은 광원이 안치되는 본체와,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투과되어 실내에 은은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커버와, 그리고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체결수단은 통상적으로 커버보다는 천정매입등의 본체에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천정매입등은 실내의 천정면에 천정매입등 본체 크기에 대응되는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천정매입등 본체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인테리어적인 요소는 외부로 노출되는 천정매입등의 커버에서 많이 고려되는 사항인 것이지만, 작업성 측면에서는 천정에 보다 용이하게 천정매입등을 설치하여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느냐가 관건이며 이러한 작업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에 대한 구성들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 몇 개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15539호(2009.08.28)『회전 및 승강구조의 지지부재를 갖는 천정 매립등』, 공개특허 제10-2009-0124758호(2009.12.03)『매입등』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915539호는 지지부재가 상하 회동되는 구조여서 천정으로의 매입등 삽입 전 지지부재를 들어올리게 되면, 지지부재에 대한 간섭없이 천정에 매입등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매입등을 천정속으로 위치시킨 후 지지부재와 연동된 나사축을 회전시키게 되면 위로 들어올려진 지지부재가 하강되면서 아래로 회동되고, 천정에 고정되는 방식의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09-0124758호는 역시 천정으로의 매입등 삽입시 가압구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좌우 회동되는 가압구의 구조를 도입하여, 가압구를 회동시켜 본체내부로 우선 위치시킨 후 천정매입등을 천정 내부로 집어넣게 되고, 이후 가압구를 본체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가압구와 연동된 피벗나사를 조절하여 천정에 매입등을 고정시키는 방식의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에 의하면 지지부재(내지 가압구)를 통해 천정에 매입등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나사축(내지 피벗나사)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고(작업 또한 짧은 시간 안에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매입등을 천정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나사축을 반대로 회전시키고, 외측으로 회전되어 있는 지지부재(내지 가압구)를 원위치시켜야 하기에
결국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자체가 간편하지 못해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매입등의 체결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탄지부재에 의해 일정의 접힘각도가 유지되는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을 갖는 장착부를 도입하여
본체 내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날개편을 본체 외부로 회동시키는 원터치 작업을 통해 손쉽게 매입등을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천정매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정으로부터 매입등을 분리시키는 작업에 있어서도 스토퍼만을 눌러주면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1 및 제2날개편이 본체 내부로 회동되게 되어 분리 작업 역시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천정매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정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가능하면서도, 해당 천정의 두께에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작업을 요하지 않는 체결수단 구조를 도입하여 이 역시 원터치방식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천정매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의 작동들이 안정된 구조를 통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천정매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정매입등은,
광원이 안치되는 본체와, 천정에 상기 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통해 회동되는 것으로 천정에 매입등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일면이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상기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2날개편과, 그리고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설치된 탄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지부재는,
회동축에 삽입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날개편에 안치되는 제1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코일부의 타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2날개편에 안치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날개편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치홈은 안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가 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토퍼는
양측으로 걸침부가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후진 후 원위치로의 전진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상기 걸침부 후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와, 그리고 상기 누름부를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부의 안정된 탄성작용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부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본체에는 코일스프링과 걸침부에 삽입되는 축부가 형성되어 축부를 따라 누름부의 전진과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매입등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해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작업자는 천정에 매입등 본체를 삽입시킨 후 본체 내부에 위치한 2 날개편을 간단히 본체 외부로 회동시키는 작업을 해주게되면,
회동된 제2 날개편이 스토퍼에 걸리고,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에 설치된 탄지부재에 의해 이들의 접힘각이 유지되면서 안정적이고 그리고 간단하게 본 발명 매입등의 천정장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체결구조에 의하면 천정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는 언제든지 동일한 방법으로 천정매입등의 장착이 가능해졌으며,
천정으로부터 매입등을 분리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토퍼만 해제해주게되면 자동적으로 손쉽게 분리되는 구조이기에
종국적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커버가 분해된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정매입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매입등은 광원이 안치되는 본체(B)와, 천정에 상기 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는 되어 있으나, 본체의 개구를 덮는 커버(C) 구성과 관련하여 이는 사용 환경에 따라서 광원을 노출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또는 광원으로부터 발사되는 빛을 커버하여 은은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이와 같이 본체에 대한 커버의 체결여부는 선택사항이라 할 것이다.
커버(C)의 구성과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된 커버(C)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외곽프레임을 담당하는 커버프레임(C1)과, 상기 커버프레임(C1)에 형성된 중공부를 덮어 광원으로부터 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커버판(C2)과, 상기 커버프레임(C1)에 체결되어 천정매입등 내부로 삽입되는 빛샘방지프레임(C3)으로 이루어진다.
커버판(C2)은 확산판이나 유리로 구성될 수 있고.
빛샘방지프레임(C3)은 광원에서 발사된 빛이 천정매입등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커버판(C2)을 통해 발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광원으로 LED광원을 채용하게 되는 경우, LED로부터 발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핀(P)이 본체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체결수단(T)을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와 복잡한 작업을 통해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장착시켜야 해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기존 천정매입등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작업자가 손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수단(T)은 본체(B)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천정과의 안정된 장착을 위하여 본체에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T)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10)와, 상기 관통부를 통해 회동되는 것으로 천정에 매입등을 장착시키는 장착부(20)와, 그리고 상기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0)는,
회동축(21)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일면이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22)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도 후 상기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2날개편(23)과, 그리고 상기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장착되는 탄지부재(2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동축(21)에 제1날개편(22)과 제2날개편(23)이 삽입되어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날개편들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탄지부재(24)를 장착하여
평소에는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이 회동축을 기준으로 평각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후 외력에 의해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이 일정 각도로 접히더라도 접힘을 유도하는 외력이 소멸된 경우 다시 원상복구 즉, 평각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조 편의를 위하여 제1날개편(22)과 제2날개편(23)은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날개편 내지 제2날개편이 관통부(10)를 통과할 때 관통부의 내측과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부(10)의 내측에 접하는 제1날개편(22)과 제2날개편(23)의 각각에는 돌부(22c, 23c)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탄지부재(24)는,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1)에 삽입되는 코일부(241)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날개편(22)에 안치되는 제1지지부(242)와, 상기 코일부의 타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2날개편(23)에 안치되는 제2지지부(2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날개편(22, 23)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242, 243)가 안치되는 안치홈(22b, 23b)이 형성되되, 상기 안치홈은 안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가 노출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의 안치홈(22b, 23b)을 개방된 구조로 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지지부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제1 및 제2 지지부를 안치홈에 위치시키기 위해서이고,
또한 안치홈이 폐쇄된 구조인 경우 오랜 사용을 통해 제1 및 제2 지지부의 휨작용 등으로 안치홈의 일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안치홈(22b, 23b)의 깊이는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는 것보다 회동축(21)에서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탄지부재의 원활한 탄성작용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착부(20)는 본체 내면에 설치되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10)의 외측으로 장착부(20)의 회동축(21)이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0)에는 일정 길이로 슬릿(40a)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으로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이 장착된 회동축(21)이 삽입된 후 체결볼트를 통해 삽입된 회동축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0)의 크기는 평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의 전체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회동축(21)을 중심으로 제1날개편(22)과 제2날개편(23)이 관통부(10)를 관통하여 360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30)를 살펴보면, 도 2의 우측에 확대표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는 양측으로 걸침부(311)가 형성된 누름부(310)와, 상기 누름부의 후진 후 원위치로의 전진을 가능케하는 스프링부(320)와, 그리고 상기 누름부를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3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에는 상기 누름부(310)와 스프링부(320)가 안치되기 위한 매입홀(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330)는 매입홀(50)의 일부를 커버하여 누름부(310)를 본체에 장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부(320)는 누름부의 걸침부(311) 후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부의 안정된 탄성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채용된 스프링부(320)는 코일스프링(320a)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위치하는 누름부의 걸침부(311)에는 통공(3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매입홀(50)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20a)과 걸침부의 통콩(311a)에 삽입되는 축부(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부(51)에 코일스프링(320a)과 누름부(310)를 위치시키고, 누름부의 걸침부(311)를 덮는 형태로 플레이트(330)를 본체 상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스토퍼(30)는 본체(B)에 장착되고,
특히 누름부(310)는 축부(51)를 따라 전진과 후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해서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장착시키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으로의 삽입 전에는 회동축(21)을 중심으로 제2날개편(22)이 아래로 향하고 제1날개편(23)이 위로 향한 상태로 장착부(20)를 본체(B)에 위치시킨다(도 4의 (a) 참조).
물론, 상부에 위치한 제1날개편(22)은 스토퍼(30)에 걸리고, 하부에 위치한 제2날개편(23)은 본체(B)에 결려 더 이상의 회동이 중단된 상태이고,
상기 상태로는 본체 외부로 체결수단이 노출되지 않기에 작업자는 쉽게 천정매입등 본체를 천정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천정매입등 본체를 천정에 삽입시킨 후, 작업자는 아래로 위치한 제2날개편(23)을 움직여 장착부(20)를 회동축(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도 4의 (b) 내지 (d) 참조).
즉, 아래로 위치해 있던 제2날개편(23)은 상부로 회동되고 상부에 위치에 있던 제1날개편(22)은 본체 외측으로 나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날개편의 일면이 천정면(S)과 접하면서 더 이상의 회동이 멈추고,
제2날개편(23) 역시 스토퍼(3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 즉, 누름부(310)는 제2날개편(23)이 지나갈 때 누름부 후면에 위치한 스르링부에 의해 후진되어 제2날개편(23)을 관통시킨 후
다시 스프링부(320)에 의해 원상복구되어 제2날개편(23)이 본체 내부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체결수단을 통해 천정매입등을 천정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결국 작업자는 장착부 즉, 제2날개편(23)을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천정매입등 장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커버를 본체에 삽입시키면 커버까지 구비된 천정매입등 장착이 완료된다.
물론 천정매입등을 천정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는 커버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커버가 있는 천정매입등의 경우), 스토퍼의 누름부(310)를 눌러 제2날개편(23)을 스토퍼로부터 해제시켜주기만하면 되기에 해제작업 역시 간단한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천정에 장착된 상태의 천정매입등은 커버의 외곽 단부가 천정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여야 천정매입등이 천정으로부터 떠보이지 않고 원하는 인테리어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의 외곽 단부 높이는 천정매입등의 천정 장착시 커버의 외곽 단부가 천정에 밀착될 수 있는 높이로 설계되어야 하는데,
밀착되도록 설계를 하게 되면, 본체로부터 커버 분리시 이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이 불가능하여 분리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커버 즉, 커버프레임(C1)의 외곽 일부에는 외곽 단부가 천정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기 위한 장공(Ca)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2날개편(23)이 회동하여 누름부(30)를 지나가는 과정에 있어 상기 누름부(310)의 후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날개편이 지나가면서 접하게 되는 누름부(310)의 일면은 각진 형태보다는 경사진 평면이나 만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참고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만곡면으로 도시가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누룸부(310)에는 삽입홈(310a)를 형성하였는바, 스토퍼(30)를 해제하여 제2날개편(23)을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홈(310a)을 통하여 누룸부를 눌러줄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위치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물론, 작업자는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삽입홈(310a)를 눌러줌으로써 제2날개편을 스토퍼로부터 쉽게 해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천정면에 접하는 제1날개부(22)의 일면에는 접하는 천정면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단차(22a)를 다수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체결수단을 가진 본 발명의 천정매입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날개편(22, 23)에 설치된 탄지부재(24)에 의한 제1 및 제2 날개편의 접힘각이 형성되는 한도에서는 다양한 두께를 가진 천정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다양한 천정의 두께에도 미끄러지지않고 견고히 천정면과 접해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시 천정면과 접하게 되는 제1날개편의 일면에는 단차(22a)를 다수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차(22a)의 형성으로 인해 작업자는 날개부를 회전시켜 스토퍼로의 걸림작업을 함에 있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날개편의 단부에서 양 측으로 스파이크날(22d)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이크날(22d) 역시 천정면과의 고정력 보강을 위해 도입된 구성이라 할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파이크날(22d)은 천정 장착시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 사이의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스프링이 약해져 천정에 대한 고정이 느슨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한 구조이다.
즉, 천정에 천정매입등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통한 고정이 약해지는 경우 제1 날개편(22)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로 인해 천정에 대한 본체의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데,
상기 제1 날개편 단부 양측에 천정면(S)과 접하는 스파이크날(22d)이 형성됨으로 인해 스프링이 약해지더라도 스파이크날(22d)에 의해 제1 날개편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천정에 대한 본체 고정을 지속시켜주게 되게 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조 단가 최소화를 위해 상기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있기에, 제2날개편(23)에도 단차(23a) 및 스파이크날(23d)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천정매입등"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본체 C: 커버 T: 체결수단
P: 방열핀 S: 천정면
10: 관통부
20: 장착부
21: 회동축 22; 제1날개편 23: 제2날개편
22a, 23a: 단차 22b, 23b: 안치홈 22c, 23c; 돌부
22d, 23d: 스파이크날
24: 탄지부재
241: 코일부 242: 제1지지부 234: 제2지지부
30: 스토퍼
310: 노름부 310a; 삽입홈 311; 걸침부 311a: 통공
320: 스프링부 320a:코일스프링 330; 플레이트
40: 브라켓 40a: 슬릿
50: 매입홀 51: 축부
B: 본체 C: 커버 T: 체결수단
P: 방열핀 S: 천정면
10: 관통부
20: 장착부
21: 회동축 22; 제1날개편 23: 제2날개편
22a, 23a: 단차 22b, 23b: 안치홈 22c, 23c; 돌부
22d, 23d: 스파이크날
24: 탄지부재
241: 코일부 242: 제1지지부 234: 제2지지부
30: 스토퍼
310: 노름부 310a; 삽입홈 311; 걸침부 311a: 통공
320: 스프링부 320a:코일스프링 330; 플레이트
40: 브라켓 40a: 슬릿
50: 매입홀 51: 축부
Claims (4)
- 광원이 안치되는 본체; 및
천정에 상기 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천정매입등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통해 회동되는 것으로 천정에 매입등을 장착시키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일면이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과,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회동 후 상기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2날개편과,
상기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에 설치된 탄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제 1 항에 있어서,
회동 후 천정면과 접하는 제1날개편의 일면은 천정면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단차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회동축에 삽입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1날개편에 안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코일부의 타단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제2날개편에 안치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날개편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치홈은 안치된 제1 및 제2 지지부가 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양측으로 걸침부가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후진 후 원위치로의 전진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상기 걸침부 후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누름부를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부의 안정된 탄성작용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부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본체에는 코일스프링과 걸침부에 삽입되는 축부가 형성되어 축부를 따라 누름부의 전진과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059A KR101010719B1 (ko) | 2010-08-26 | 2010-08-26 |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059A KR101010719B1 (ko) | 2010-08-26 | 2010-08-26 |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0719B1 true KR101010719B1 (ko) | 2011-01-25 |
Family
ID=4361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3059A KR101010719B1 (ko) | 2010-08-26 | 2010-08-26 |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071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651Y1 (ko) * | 2012-07-12 | 2013-11-04 | (주)솔라루체 | Led 면 조명의 부착을 위한 고정용 아답터 장치 |
KR101616983B1 (ko) | 2016-02-03 | 2016-05-13 | 주식회사 한승 | 빛 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 매입등용 본체 |
KR101691047B1 (ko) * | 2015-06-30 | 2016-12-29 |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 천정 매립형 조명등 케이스 |
KR20180079077A (ko) * | 2016-12-30 | 2018-07-10 | 김영자 | 천장 매입등 |
CN109489010A (zh) * | 2018-12-20 | 2019-03-19 | 江门市韦尔达照明科技有限公司 | 一种预埋件及面板内嵌设备 |
KR102691288B1 (ko) * | 2023-05-30 | 2024-08-06 | 이영덕 | 조명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6623A (ja) * | 1994-04-25 | 1995-1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埋め込み型照明器具 |
KR20050090555A (ko) * | 2004-03-09 | 2005-09-14 | 김홍집 | 천장 매입구조물의 클램프 |
JP2007019009A (ja) * | 2005-06-08 | 2007-01-25 | Endo Lighting Corp | 埋込型器具の取付構造 |
KR20090005356U (ko) * | 2007-11-29 | 2009-06-03 | 고순철 |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
-
2010
- 2010-08-26 KR KR1020100083059A patent/KR1010107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6623A (ja) * | 1994-04-25 | 1995-1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埋め込み型照明器具 |
KR20050090555A (ko) * | 2004-03-09 | 2005-09-14 | 김홍집 | 천장 매입구조물의 클램프 |
JP2007019009A (ja) * | 2005-06-08 | 2007-01-25 | Endo Lighting Corp | 埋込型器具の取付構造 |
KR20090005356U (ko) * | 2007-11-29 | 2009-06-03 | 고순철 |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651Y1 (ko) * | 2012-07-12 | 2013-11-04 | (주)솔라루체 | Led 면 조명의 부착을 위한 고정용 아답터 장치 |
KR101691047B1 (ko) * | 2015-06-30 | 2016-12-29 |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 천정 매립형 조명등 케이스 |
KR101616983B1 (ko) | 2016-02-03 | 2016-05-13 | 주식회사 한승 | 빛 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 매입등용 본체 |
KR20180079077A (ko) * | 2016-12-30 | 2018-07-10 | 김영자 | 천장 매입등 |
KR101883576B1 (ko) * | 2016-12-30 | 2018-07-30 | 김영자 | 천장 매입등 |
CN109489010A (zh) * | 2018-12-20 | 2019-03-19 | 江门市韦尔达照明科技有限公司 | 一种预埋件及面板内嵌设备 |
CN109489010B (zh) * | 2018-12-20 | 2024-01-26 | 江门市韦尔达照明科技有限公司 | 一种预埋件及面板内嵌设备 |
KR102691288B1 (ko) * | 2023-05-30 | 2024-08-06 | 이영덕 | 조명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0719B1 (ko) |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 |
US9557021B2 (en) | Recessed LED light fixture | |
US7896529B2 (en) |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 |
US10247393B2 (en) | Removable LED module with tilting adjustment mechanism | |
CN101749663A (zh) | 照明器具 | |
JP2005158363A (ja) | 天井埋込形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 |
KR101114910B1 (ko) | 조명등 기구 | |
US20090010007A1 (en) | Recessed Lighting Fixture | |
KR200466702Y1 (ko) | 천장 매입형 등기구 | |
JP2006258362A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 |
KR101033942B1 (ko) |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 |
KR20080097068A (ko) | 램프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조명기구 | |
KR20060109000A (ko) | 매입형 등기구 | |
KR200453612Y1 (ko) | 벽면 고정형 등기구 | |
JP6443736B2 (ja) | 照明器具 | |
KR102043086B1 (ko) | 실내 천장용 매립등 및 이의 시공방법 | |
JP6199068B2 (ja) | 照明器具 | |
JP6169537B2 (ja) | Led照明装置 | |
KR200353528Y1 (ko) | 천정 매입등의 고정장치 | |
JP2015095453A (ja) | Led照明装置の取付方法 | |
KR20100102307A (ko) |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자동 고정장치 | |
KR101347389B1 (ko) | 광 반도체 조명장치 | |
KR100920797B1 (ko) | 매입등용 전구유닛 홀더 | |
KR20090000646U (ko) | 천정매입등 | |
KR101347390B1 (ko) | 광 반도체 조명장치의 설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