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356U -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356U
KR20090005356U KR2020070019208U KR20070019208U KR20090005356U KR 20090005356 U KR20090005356 U KR 20090005356U KR 2020070019208 U KR2020070019208 U KR 2020070019208U KR 20070019208 U KR20070019208 U KR 20070019208U KR 20090005356 U KR20090005356 U KR 200900053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ain body
ceiling
spr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순철
Original Assignee
고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철 filed Critical 고순철
Priority to KR2020070019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356U/ko
Publication of KR20090005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 등에 전구를 비 노출식으로 설치하는 매입등 기구에서 천정이나 벽체에 매입되며 후방에 조립된 등기구 유니트하우징에 램프를 결합한 일체형 매입가 일방향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매입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분리시 천정이나 벽체 면의 손상이 적은 상태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0)의 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부(32a)(32b)를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되는 체결홈(30a)(30b)과; 상기 체결홈(30a)(30b)의 돌기부(32a)(32b)에 코일탄성부(42a)(42b)를 별도의 보조설치수단 없이 결합하고 상기 코일탄성부(42a)(42b)를 연장한 탄성고리(44a)(44b)가 일방향 복귀력을 가지도록 하향 배치한 지지스프링(20)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매입홀 직경과 근접한 외경으로 램프를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조사력을 높여 밝은 조명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많은 램프를 설치 않고도 밝은 조명환경을 연출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치 않고도 램프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지지스프링의 탄성 작용만으로 천정의 매입홈에서 안정되게 램프본체를 고정할 수 있고 조립이 편리하므로 작업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유니트하우징, 매입등, 램프, 천정등, 고정장치, 스프링, 분리장치

Description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A connecting structure for main body and housing of internal lamp}
본 고안은 할로겐 매입램프의 본체를 간편하게 설치하는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 등에 전구를 비 노출식으로 설치하는 매입등 기구에서 천정이나 벽체에 매입되며 후방에 조립된 등기구 유니트하우징에 램프를 결합한 일체형 매입가 일방향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매입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분리시 천정이나 벽체 면의 손상이 적은 상태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빛 이 직접적으로 조사된 외장형과,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내장형이 있다.
천정이나 벽체 등에 조명등의 설치 위치에 따라 매립형과 노출형으로 구분되어지며, 어두운 곳에 조사하여 밝히는 전형적인 목적 이외에 장식등에 사용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매입 조명등은 조명등을 설치할 때 천정에 본체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매립홀을 형성하고, 걸이수단인 스프링을 포함한 매립케이스의 상부를 매립홀에 끼우면 걸이수단인 스프링에 의해 매립케이스는 매립홀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천정의 매립홀에 설치되는 매립케이스에는 커버가 나사결합을 이루게 되므로 매립케이스 내에 램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반사경을 통하여 전구의 조명은 주변을 조사하여서 은은한 조명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매입등 기구는 매립케이스 측면에 고정을 위한 스프링을 결합하고 상기 매립케이스에 조명등을 보유하는 반사경을 설치하기 때문에 외경이 커질 뿐만아니라 매립케이스의 큰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내장 배치되는 조명등의 조사 용량은 그만큼 작아지게 되어 어느 한 공간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조명등이 필요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별도의 매립케이스 없이 조명등에 결착수단이 부착된 것으로는 본원출원인의 선출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32382호가 알려져 있다.
이는 램프를 내장한 램프본체에 결합링을 삽입하고 결합링의 양단에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보유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탄성편을 오므려 매입홀에 삽입하면 매입등기구는 매입됨과 동시에 오므려진 탄성편이 탄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서 매입홀의 근접영역에서 천정면 상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매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별도의 탄성편을 보유하는 결합링을 가공하여야 하고 특히 원형으로 이루어진 램프본체의 외경과 잘 맞아야만 헐겁지 않아 이탈할 문제가 없게 되므로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공을 하게 되므로 가공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을 오므려 삽입할 때 복귀력을 가지는 탄성편을 잘 잡지 않고 삽입할 경우 삽입도중 매입홀 양단을 가압하게 되므로 삽입이 불편하거나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매립형등기구 설치시 별도의 램프본체 수용과 동시에 결합스프링을 설치한 램프갓을 사용하지 않고 램프 본체에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외경이 크게 제작된 램프의 적용으로 더욱 밝은 조명을 이루게 하면서 매입홀에 간단하고 편리한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전면에 지지를 이루는 테두리링(12)과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의 후방에 램프(14)를 연결하는 유니트하우징(16)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접합수단에 의해 지지스프링(20)을 조립한 매입등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부(32a)(32b)를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되는 체결홈(30a)(30b)과; 상기 체결홈(30a)(30b)의 돌기부(32a)(32b)에 코일탄성부(42a)(42b)를 별도의 보조설치수단 없이 결합하고 상기 코일탄성부(42a)(42b)를 연장한 탄성고리탄성고리(44a)(44b)가 일방향 복귀력을 가지도록 하향 배치한 지지스프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입 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램프본체에 복귀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을 직접 설치하므로 매입홀 직경과 근접한 외경으로 램프를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조사력을 높여 밝은 조명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많은 램프를 설치 않고도 밝은 조명환경을 연출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치 않고도 램프본체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지지스프링의 탄성 작용만으로 천정의 매입홈에서 안정되게 램프본체를 고정할 수 있고 조립이 편리하므로 작업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를 전체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를 조립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설치전 상태 를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설치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는, 전면에 지지를 이루는 테두리링(12)과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의 후방에 램프(14)를 연결하는 유니트하우징(16)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마련된 체결홈(30a)(30b)으로 지지스프링(20)을 조립하여 매입등기구(100)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홈(30a)(30b)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부(32a)(32b)를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20)은 상기 체결홈(30a)(30b)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32a)(32b)에 코일탄성부(42a)(42b)를 별도의 보조설치수단 없이 결합하고 상기 코일탄성부(42a)(42b)를 연장한 탄성고리탄성고리(44a)(44b)가 일방향 복귀력을 가지도록 하향 배치하여 구비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복귀력을 가지는 지지스프링(20)은 상기 본체(10)의 직경에 따라 탄성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직경에 따라 내장되는 램프(14)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에 따라 밝기도 달라지므로 설치 공간과 환경연출에 대응하는 용량에 맞춰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일탄성부(42a)(42b)와 일체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탄성고리(44a)(44b)는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고 있어 탄성고리(44a)(44b)의 작용에 의해 코일탄성부(42a)((42b)는 비틀림작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천정면이고, 52는 천정면에 형성된 매입홈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유니트하우징(16)에 램프(14)를 결합하여 조립하고 유니트하우징(16)과 본체(10)를 나선결합하여 조립한다.
또한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대칭상태를 이루는 체결홈(32a)(32b)에 지 지스프링(20)의 코일탄성부(42a)(42b)는 마주보는 돌기부(32a)(32b)를 수용하면서 결합하여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되는 지지스프링(20)의 탄성고리(44a)(44b)는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며 일방향 복귀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매입등기구(100)를 설치하려면 도 4에서와 같이 테두리링(12)은 하부로 하고 유니트하우징(16)을 상부로 배치한 상태로 천정면(50)에 형성되어 있는 매입홀(52)을 향해 대응시켜 매입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지지스프링(20)을 작동시켜야 하는데 하방으로 향하고 있는 탄성고리(44a)(44b)를 강제로 화살표방향과 같이 상부로 유동시키면 이동되고 이때에는 코일탄성부(42a)(42b)는 비틀림작용으로 탄성고리(44a)(44b)에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고리(44a)(44b)를 상부로 배치한 상태에서 매입홀(52)에 삽입함과 동시에 본체(10)를 함께 밀어넣어 테두리링(12)이 천정면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하면 도 5에서와 같은 매입상태를 이룬다.
이어서 상기 강압으로 상부로 유동되어 있던 지지스프링(20)이 복귀력에 의해 하향으로 복귀되면서 천정면(50) 상면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매입등기구(100)는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룬다.
한편, 상기 매입등기구(100)를 교환이나 수리점검을 위해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의 매입동작을 역순으로 하면 된다.
즉, 해체기구, 예컨대 송곳이나 드라이브 등의 예리한 도구를 이용해 테두리 링(12)의 상부를 틈새로 하여 매입홈(52)까지 진입하고서 테두리링(12)을 하부로 내리면 천정면(50) 상부면에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0)은 지지력을 상실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매입등기구(100)를 매입홀(52)로 부터 이탈시키면 간편하고 용이한 분리작업을 달성하게 된다.
이렇게 매입과 분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본체(10)에 별도의 연결수단이 없이 체결되는 지지스프링(20)을 부착하게 됨으로써 본체(10)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제작된 램프(14)를 사용하게 되어 더욱 밝은 조사범위를 갖는 조명환경을 창출한다.
이는 종래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체결을 이룰 때 외경이 작아진 것을 개선하여 같은 매입홀(52) 직경에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본체(10)와 램프(14)를 제공하게 되어 2~3배의 밝은 조명상태를 얻는다.
따라서 조명을 위한 공간에서 보다 밝은 조명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쇼룸이나 실내의 조명상태를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조립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설치전 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입등기구의 설치 상태 종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테두리링
14; 램프 16; 유니트하우징
20; 지지스프링 30a,30b; 체결홈
32a,32b; 돌기부 42a,42b; 코일탄성부
44a,44b; 탄성고리

Claims (1)

  1. 전면에 지지를 이루는 테두리링(12)과 일체로 형성된 본체(10)의 후방에 램프(14)를 연결하는 유니트하우징(16)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접합수단에 의해 지지스프링(20)을 조립한 매입등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부(32a)(32b)를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되는 체결홈(30a)(30b)과;
    상기 체결홈(30a)(30b)의 돌기부(32a)(32b)에 코일탄성부(42a)(42b)를 별도의 보조설치수단 없이 결합하고 상기 코일탄성부(42a)(42b)를 연장한 탄성고리(44a)(44b)가 일방향 복귀력을 가지도록 하향 배치한 지지스프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등 기구의 본체 설치구조.
KR2020070019208U 2007-11-29 2007-11-29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KR200900053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08U KR20090005356U (ko) 2007-11-29 2007-11-29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08U KR20090005356U (ko) 2007-11-29 2007-11-29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56U true KR20090005356U (ko) 2009-06-03

Family

ID=4129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208U KR20090005356U (ko) 2007-11-29 2007-11-29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35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19B1 (ko) * 2010-08-26 2011-01-25 주식회사 소룩스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KR101033977B1 (ko) * 2010-08-27 2011-05-11 에디슨솔라이텍(주) 엘이디 다운라이트 조명장치
KR20180079077A (ko) 2016-12-30 2018-07-10 김영자 천장 매입등
KR20210104266A (ko) 2020-02-17 2021-08-25 김계성 천장 매입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19B1 (ko) * 2010-08-26 2011-01-25 주식회사 소룩스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원터치식 천정매입등
KR101033977B1 (ko) * 2010-08-27 2011-05-11 에디슨솔라이텍(주) 엘이디 다운라이트 조명장치
KR20180079077A (ko) 2016-12-30 2018-07-10 김영자 천장 매입등
KR20210104266A (ko) 2020-02-17 2021-08-25 김계성 천장 매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391B1 (ko) 천장용 조명기구
KR10138966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KR20090005356U (ko) 매입등의 본체 설치구조
KR101879996B1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10139838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KR20110117523A (ko) 매립형 led 조명 장치
KR200461380Y1 (ko)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KR102042357B1 (ko) 천장등 설치용 걸이장치
KR101702880B1 (ko) 조명등용 탄력장착구
KR200385719Y1 (ko)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고정구
KR102082928B1 (ko) 고정부와 가압부를 구비한 고정스프링을 이용한 매립형 등기구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KR20100044953A (ko) 천정등기구
KR200455190Y1 (ko) 엘이디 매립등
KR20170002927U (ko)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
KR200233729Y1 (ko)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
KR20160125672A (ko) 등기구
KR100659938B1 (ko) 원터치식 led 직매립등
CN215259434U (zh) 一种灯芯可分离的灯具
KR200272558Y1 (ko) 천정 매입등 커버
KR200298341Y1 (ko)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커버 결합구조
KR20100011851U (ko) 매입형 조명등기구 본체와 안전유리 및 반사갓의 연결구조
KR200298582Y1 (ko) 램프와 안정기가 착탈가능한 등기구
KR200185903Y1 (ko) 형광등용 접속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