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80Y1 -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80Y1
KR200461380Y1 KR2020110005787U KR20110005787U KR200461380Y1 KR 200461380 Y1 KR200461380 Y1 KR 200461380Y1 KR 2020110005787 U KR2020110005787 U KR 2020110005787U KR 20110005787 U KR20110005787 U KR 20110005787U KR 200461380 Y1 KR200461380 Y1 KR 200461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ver
luminaire
cover
light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영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 이지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지닉스 filed Critical (주) 이지닉스
Priority to KR2020110005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orsion, e.g. spir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실내를 향하여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 본체와,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에 천공되는 삽입홀과, 등기구 본체의 하면을 커버하여 등기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와, 조명커버의 삽입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합클립을 포함하되, 접합클립은, 조명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며, 그 변형에 따라 하방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부와,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입구부로 이루어지며, 접합클립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가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를 가압하도록 접합클립을 이동시킴으로써 조명커버는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는,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에 삽입홀을 천공하고 그에 상응하여 조명커버에는 접합클립을 설치함으로써, 천재지변으로 인한 진동 및 기타 현상으로 인하여 조명커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조명커버가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고,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정 조명 시공시 시공자 1명이 조명커버를 쉽게 장착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lighting cover using spring}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시설물에는 필요 조도 확보를 위해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통상, 조명기구는 천정에 설치되는데, 조명기구는 천정 구조체에 취부되는 등기구 본체, 본체에 장착되는 조명등,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안정기, 스위치 등의 전기계통, 등기구 본체의 하면을 커버하는 조명커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조명커버는 본체의 하면을 커버하여, 조명등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확산광이 실내로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커버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조명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방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실내에 균일한 조도가 확보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조도 차이가 발생하거나, 거주자가 조명등을 바라보거나 실내에 존재하는 반사체(예를 들면, 거울이나 금속 표면)에 의한 반사광으로 인하여 눈부심(현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에 결합하기 위해, 조명커버의 소정 지점에 나사홀을 천공하고, 조명커버를 본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홀을 통해 고정 나사를 취부함으로써 조명커버를 본체에 부착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커버 장착구조에서는, 조명커버를 착탈하는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여 시공자가 혼자 조명커버를 장착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고, 조명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조명커버의 표면(하면)에 나사 머리가 노출되므로, 실내 거주자가 볼 때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고안은, 등기구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혼자서도 쉽게 조명커버를 설치할 수 있고, 조명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관이 미려하며,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조명커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조명커버 장착구조를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를 향하여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 본체와,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에 천공되는 삽입홀과, 등기구 본체의 하면을 커버하여 등기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와, 조명커버의 삽입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합클립을 포함하되, 접합클립은, 조명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며, 그 변형에 따라 하방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부와,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입구부로 이루어지며, 접합클립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가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를 가압하도록 접합클립을 이동시킴으로써 조명커버는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접합클립은,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홀과 정합되지 않고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고, 베이스는 조명커버에 고정되며,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대해 이격거리만큼 어긋나게 위치시켜 접합클립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조명커버가 등기구 본체에 정합되도록 조명커버를 이격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접합클립이 이동되어 조명커버가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합클립은,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홀에 정합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베이스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조명커버에 결합되며, 조명커버의 하면에는 베이스에 연결되며, 그 이동에 따라 베이스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노출되고,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시켜 접합클립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손잡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접합클립이 슬라이딩되어 조명커버가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조명커버가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합클립을 복귀시켜 가압부가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접합클립이 삽입홀을 통해 인출되도록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명커버는 등기구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에 삽입홀을 천공하고 그에 상응하여 조명커버에는 접합클립을 설치함으로써, 천재지변으로 인한 진동 및 기타 현상으로 인하여 조명커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조명커버가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고,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정 조명 시공시 시공자 1명이 조명커버를 쉽게 장착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접합클립은 조명커버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조명커버의 하면에는 별도의 기구물이 보이지 않아, 천정 조명 시공 후 조명기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커버와 조명기구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커버와 조명기구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 외주부(3), 삽입홀(5), 조명커버(7), 접합클립(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천정에 설치하여 광이 하방을 향하여 조사되는 이른바 '직하(直下)형 조명기구'에 있어서, 등기구 본체와 조명커버 간의 체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장착구조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커버의 본체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고, 조명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조명커버가 이탈되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이며, 조명커버를 조립한 후에는 실내에서 조명기구를 바라볼 때 조명커버만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등기구 본체(1)와, 본체(1)의 하면을 커버하는 조명커버(7)로 이루어진다. 본체(1)는 천정에 취부되고 조명등 및 전기계통을 구비하여, 전원의 공급에 따라 조명등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실내를 향하여 하방으로 조사되게 된다.
통상, 등기구 본체는 금속판을 절곡, 접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본체의 재질이 반드시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등기구 본체(1)의 외주부(3)는 플랜지(flange)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외주부(3)는 후술하는 조명커버(7)를 본체(1)에 부착하기 위해 본체(1)에 확보된 특정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외주부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에 조명커버(7)를 부착하기 위해 삽입홀(5)을 천공할 수 있고, 천공된 삽입홀(5)을 통해 삽입된 접합클립(10)을 끼울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등기구 본체(1)에 외주부(3)를 확보하고, 확보된 외주부(3)에는 삽입홀(5)이 천공된다. 삽입홀(5)은 조명커버(7)에 구비되는 접합클립(10)이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삽입홀(5)은 접합클립(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접합클립(10)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및 형태)로 천공할 수 있다.
등기구 본체(1)의 하면은 조명커버(7)로 커버된다. 조명커버(7)는 조명등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실내로 조사되지 않도록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명커버(7)가 본체(1)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조명기구를 바라볼 때에는 은은하게 확산된 빛을 조사하는 조명커버(7)만 보이게 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재실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커버(7)는 반투명 유리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조명커버(7)의 재질이 유리나 합성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명커버(7)의 장착을 위해 조명커버(7)의 상면에는 접합클립(10)이 설치된다. 조명커버(7)를 본체(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합클립(10)이 본체(1)의 삽입홀(5)을 통해 삽입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클립(10)은 삽입홀(5)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홀에 상응하는 위치'는, 조명커버(7)를 본체(1)에 정합되도록 위치시켰을 때 삽입홀(5)의 위치와 정합되는 위치, 즉 삽입홀(5)의 직하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조명커버(7)를 장착하는 방식에 따라서는, 조명커버(7)를 본체(1)에 정합되도록 위치시켰을 때 삽입홀(5)의 위치와 약간 어긋나는 위치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접합클립(10)의 설치 위치는 삽입홀(5)의 위치를 참조하여 결정되는데, '접합클립의 위치가 삽입홀의 위치에 상응한다'는 것은 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접합클립(1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소정 폭을 갖는 금속 밴드를 소정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접합클립(1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클립(10)은 베이스(12), 가압부(14), 및 입구부(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2)는 접합클립(10)이 조명커버(7)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조명커버(7)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베이스(12)는 조명커버(7)에 고정될 수도 있고, 이동(및/또는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조명커버(7)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가압부(14)는 베이스(12)로부터 연장된 부분으로서, 접합클립(10)의 '클립핑(clipping)'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12)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가압부(14)를 형성할 수 있는데, 대상물(예를 들면, 등기구 본체(1)의 외주부(3))을 접합클립(10)에 끼우는 과정에서 가압부(14)가 위쪽을 변형될 경우, 탄성에 의해 가압부(14)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압부(14)는 대상물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은 대상물과 접합클립(10)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결과로서 대상물이 접합클립(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조명커버(7)를 설치한 상태에서, 천재지변으로 인한 진동 및 기타 현상으로 인하여 조명커버(7)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조명커버(7)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는 가압부(1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압부(14)가 반드시 예시된 형상으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접합클립(10)에 끼워지는 대상물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대상물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압부(14)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입구부(16)는 가압부(14)로부터 연장된 부분으로서, 대상물이 접합클립(10)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부(14)로부터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입구부(16)를 형성할 수 있는데, 입구부(16)는 글자그대로 접합클립(10)에 '입구'를 형성하여 소정 두께의 대상물이 접합클립(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가압부(14)에 걸리지 않고 입구부(16)를 통해 매끄럽게 끼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구부(16)의 상방으로 절곡된 정도는, 대상물(예를 들면, 등기구 본체(1)의 외주부(3))의 두께에 상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입구부(16)가 너무 작으면(상방으로 덜 절곡되면) 대상물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입구부(16)에 걸려 원활한 클립핑이 곤란하게 되며, 입구부(16)가 너무 크면(상방으로 과도하게 절곡되면) 접합클립(10)의 부피가 클립핑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접합클립(10)의 입구가 대상물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입구부(16)를 형성하되, 그 상방으로 절곡된 정도가 베이스(12)의 높이(베이스(12)로부터 가압부(14)가 시작된 지점)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고 효과적인 클립핑이 가능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접합클립의 각 부분, 즉 베이스(12), 가압부(14), 입구부(16)는 일체로 형성된 접합클립의 일부분에 해당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하나의 접합클립이 되도록 조립되는 데에 사용되는 부재에 해당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접합클립이 그 상면에 설치된 조명커버를 등기구 본체에 장착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밀착시키되, 그 과정에서 조명커버(7)의 상면에 설치된 접합클립(10)이 본체(1)의 외주부(3)에 천공된 삽입홀(5)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접합클립(10)을 이동시켜 본체(1)의 외주부(3)가 접합클립(1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조명커버(7)가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체(1)의 외주부(3)가 접합클립(10)에 끼워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접합클립(10)을 이동시킴에 따라 외주부(3)는 입구부(16)를 통해 가압부(14) 밑으로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가압부(14)는 상방으로 변형되게 된다. 변형된 가압부(14)는 탄성력으로 인하여 외주부(3)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주부(3)는 가압부(14)와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접합클립(1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접합클립(10)을 끼우는 것만으로 조명커버(7)를 본체(1)에 부착할 수 있어 조명커버(7)의 착탈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천정에 조명을 시공할 때에 1명의 시공자 혼자서도 충분히 장착할 수 있는 구조가 되므로, 인건비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접합클립의 이동은, 접합클립이 조명커버에 결합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접합클립의 이동방식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커버와 조명기구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 외주부(3), 삽입홀(5), 조명커버(7), 접합클립(10), 베이스(12), 가압부(14), 입구부(1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접합클립이 조명커버의 상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 경우(구체적으로는 베이스(12)가 조명커버에 고정된 경우)에, 접합클립을 이동시켜 조명커버를 본체에 장착하는 구조 및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클립(10)은, 삽입홀(5)의 직하 위치가 아니라, 삽입홀(5)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를 가정할 때, 접합클립(10)은 삽입홀(5)과 정합되는 '직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이격거리(도 3의 'S' 참조)만큼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다.
이처럼 베이스(12)가 조명커버(7)에 고정되고 접합클립(10)이 이격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밀착시키되, 본체(1)의 직하 위치가 아니라 이격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서 밀착시켜 조명커버(7)의 상면에 설치된 접합클립(10)이 본체(1)의 외주부(3)에 천공된 삽입홀(5)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의 (b)와 같이 조명커버(7) 자체를 이격거리만큼 역으로 이동시켜 조명커버(7)에 고정된 접합클립(10)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명커버(7)는 등기구 본체(1)에 정합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본체(1)의 외주부(3)가 접합클립(10)에 끼워져 조명커버(7)가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커버와 조명기구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 외주부(3), 삽입홀(5), 조명커버(7), 접합클립(10), 베이스(12), 가압부(14), 입구부(16), 손잡이(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접합클립이 조명커버의 상면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 경우(구체적으로는 베이스(12)가 조명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에, 접합클립을 이동시켜 조명커버를 본체에 장착하는 구조 및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클립(10)은 삽입홀(5)의 직하 위치에 설치되되, 접합클립(10)이 조명커버(7)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를 가정할 때, 접합클립(10)은 삽입홀(5)과 정합되는 '직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접합클립(10)의 이동을 위해 베이스(12)에는 손잡이(2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이동시킴에 따라 베이스(12)(즉, 접합클립(10))가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손잡이(20)는 조명커버(7)의 하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명커버(7)를 본체(1)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손잡이(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조명커버(7)를 본체(1)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명커버(7)의 하면에 노출된 손잡이(20)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지 않은바,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20)는 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12)가 조명커버(7)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접합클립(10)이 삽입홀(5)의 직하 위치에 설치된 경우,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의 (a)와 같이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조명커버(7)의 상면에 설치된 접합클립(10)이 본체(1)의 외주부(3)에 천공된 삽입홀(5)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4의 (b)와 같이 조명커버(7)에 노출된 손잡이(20)를 이동시켜 조명커버(7)의 상면에 설치된 접합클립(10)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본체(1)의 외주부(3)가 접합클립(10)에 끼워져 조명커버(7)가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다양한 접합클립 결합 방식에 따른 조명커버의 장착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부착된 조명커버(7)를 다시 본체(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조명커버(7)의 장착 과정과 반대 과정으로 작업을 하면 된다.
즉, 조명커버(7)가 등기구 본체(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조명커버(7)를 본체(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장착을 위해 이동시켰던 접합클립(10)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 가압부(14)가 등기구 본체(1)의 외주부(3)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접합클립(1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식은, 접합클립(10)이 조명커버(7)에 고정된 경우 조명커버(7) 자체를 이격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접합클립(10)이 조명커버(7)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 손잡이(20)를 이동시켜 접합클립(10)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합클립(10)이 삽입홀(5)을 통해 인출되도록 조명커버(7)를 등기구 본체(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명커버(7)는 등기구 본체(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본체 3 : 외주부
5 : 삽입홀 7 : 조명커버
10 : 접합클립 12 : 베이스
14 : 가압부 16 : 입구부
20 : 손잡이

Claims (4)

  1. 실내를 향하여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 본체와;
    상기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에 천공되는 삽입홀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을 커버하여 상기 등기구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와;
    상기 조명커버의 상기 삽입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합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클립은,
    상기 조명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며, 그 변형에 따라 하방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입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클립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접합클립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클립은,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과 정합되지 않고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조명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대해 상기 이격거리만큼 어긋나게 위치시켜 상기 접합클립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조명커버가 상기 등기구 본체에 정합되도록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이격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합클립이 이동되어 상기 조명커버가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클립은,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에 정합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그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노출되고,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정합시켜 상기 접합클립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손잡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합클립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조명커버가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가 상기 등기구 본체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클립을 복귀시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등기구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접합클립이 상기 삽입홀을 통해 인출되도록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등기구 본체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등기구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110005787U 2011-06-24 2011-06-24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KR200461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87U KR200461380Y1 (ko) 2011-06-24 2011-06-24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87U KR200461380Y1 (ko) 2011-06-24 2011-06-24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80Y1 true KR200461380Y1 (ko) 2012-07-11

Family

ID=4713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87U KR200461380Y1 (ko) 2011-06-24 2011-06-24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50Y1 (ko) * 2012-07-12 2013-11-04 (주)솔라루체 Led 램프 장치의 체결구조
KR200470565Y1 (ko) * 2012-08-14 2013-12-27 한창식 엘형상의 체결수단이 구비된 실내등의 구조
KR20160001256U (ko) * 2014-10-07 2016-04-18 이덕숙 Led 등기구
KR200490556Y1 (ko) * 2018-12-08 2019-11-28 최규섭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8214A (ja) 1985-01-31 1986-08-09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369963Y1 (ko) 2004-09-09 2004-12-13 문오형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100991702B1 (ko) 2009-07-09 2010-11-03 주식회사 미강조명 등기구 커버용 체결 구조체
KR101074007B1 (ko) 2010-05-26 2011-10-17 주식회사 룩스노바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8214A (ja) 1985-01-31 1986-08-09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369963Y1 (ko) 2004-09-09 2004-12-13 문오형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100991702B1 (ko) 2009-07-09 2010-11-03 주식회사 미강조명 등기구 커버용 체결 구조체
KR101074007B1 (ko) 2010-05-26 2011-10-17 주식회사 룩스노바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50Y1 (ko) * 2012-07-12 2013-11-04 (주)솔라루체 Led 램프 장치의 체결구조
KR200470565Y1 (ko) * 2012-08-14 2013-12-27 한창식 엘형상의 체결수단이 구비된 실내등의 구조
KR20160001256U (ko) * 2014-10-07 2016-04-18 이덕숙 Led 등기구
KR200480754Y1 (ko) * 2014-10-07 2016-07-01 이덕숙 Led 등기구
KR200490556Y1 (ko) * 2018-12-08 2019-11-28 최규섭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380Y1 (ko) 스프링을 이용한 조명커버 장착구조
JP2010010045A (ja) 保持部材および埋込器具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20170113509A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KR200471988Y1 (ko)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KR200458200Y1 (ko) 분해가 어려운 커버 유동식 엘이디 천정등
KR20160002823U (ko)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된 등기구커버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JP2016149338A (ja) 照明装置
KR102004338B1 (ko) 커버체의 간편 탈부착 구조를 갖는 플랫 직착등
KR101104803B1 (ko)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천장매입등
KR20100004175U (ko) 조명등 케이스의 투과창 장착구조
KR101702880B1 (ko) 조명등용 탄력장착구
KR20170002927U (ko) 모서리 부착이 가능한 조명등 어셈블리
CN220169263U (zh) 一种带双侧发光的护墙板灯
KR20110102003A (ko) 조명장치
CN206943978U (zh) 一种筒灯
KR100659938B1 (ko) 원터치식 led 직매립등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20200142746A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0305050Y1 (ko) 천정 조명기구용 지지구
KR200305049Y1 (ko) 천정 조명기구
CN217816397U (zh) Led射灯安装座及led射灯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