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643B1 -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643B1
KR101010643B1 KR1020090051886A KR20090051886A KR101010643B1 KR 101010643 B1 KR101010643 B1 KR 101010643B1 KR 1020090051886 A KR1020090051886 A KR 1020090051886A KR 20090051886 A KR20090051886 A KR 20090051886A KR 101010643 B1 KR101010643 B1 KR 10101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mixing
chemica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150A (ko
Inventor
조창균
Original Assignee
황정희
심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희, 심미자 filed Critical 황정희
Priority to KR102009005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64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미량의 약품을 대용량의 처리액 속에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처리단계를 거쳐서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과정 중에 한 처리단계의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2)에 연결되며 처리용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혼합공급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약품 혼합공급 장치(10)는 제1 격벽(20)과 제2 격벽(2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순차 구획되는 도입챔버(22)와 혼합챔버(24) 및 배출챔버(28)를 구비하는 혼합수조(12)와, 상기 도입챔버(22)에 연결되며 희석수가 공급되는 희석수공급관(14)과, 상기 혼합챔버(24)에 연결되는 약품공급관(25)과, 상기 배출챔버(28)에 연결되는 혼합수배출관(1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20)의 하단에는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6)은 상기 제1 격벽(2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수처리, 약품, 혼합, 격판, 오버플로우관

Description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Agent Mixing Supplier}
본 발명은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처리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미량의 약품을 대용량의 처리액 속에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이나 기타의 수처리장에서는 처리단계에 따라서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에 다양한 종류의 약품을 투입하여 원하는 목표로 수질을 개선하게 된다. 여기서 피처리수가 저류조에 저류된다는 것의 의미는 피처리수가 저류조 내에서 장시간 흐르지 않고 머물다가 나중에 흘러나가는 경우는 물론, 저류조로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면서 동시에 저류조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처리단계별 저류조에 저류하는 피처리수가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면, 다음의 처리단계로 넘어가지 전에 체류시간이 길어져야 하고, 그 만큼 처리효율이 저하되고, 단위면적당 처리용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처리수 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의 처리단계로 넘어가면, 적정한 물리화학적 처리반응이 일어나지 못하여 피처리수의 품질이나 수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처리수에 대한 약품 혼합공급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에 약품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여러 처리단계를 거쳐서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과정 중에 한 처리단계의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2)에 연결되며 처리용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혼합공급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약품 혼합공급 장치(10)는 제1 격벽(20)과 제2 격벽(2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순차 구획되는 도입챔버(22)와 혼합챔버(24) 및 배출챔버(28)를 구비하는 혼합수조(12)와, 상기 도입챔버(22)에 연결되며 희석수가 공급되는 희석수공급관(14)과, 상기 혼합챔버(24)에 연결되는 약품공급관(25)과, 상기 배출챔버(28)에 연결되는 혼합수배출관(1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격벽(20)의 하단에는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6)은 상기 제1 격벽(2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약품공급관(25)은 상기 혼합챔버(24)의 하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입챔버(22)의 상부에는 도입챔버(22)에 도입되는 희석수가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오버플로우관(23) 또는 레벨게이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희석수공급관(14)은 토출단 또는 토출노즐은 상기 저류조(2)의 피처리수가 유입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과정 중의 한 처리단계의 피처리수 저류조(2)에 연결되는 약품 혼합공급 장치(10)를 하단에 유로(21)가 형성된 제1 격벽(20)과 희석수공급관(14)이 연결된 혼합수조(12)의 벽에 의해 구획되는 도입챔버(22)와, 제1 격벽(20)과 이 제1 격벽(20)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 격벽(26)에 의해 구획되며 약품공급관(25)이 연결되는 혼합챔버(24)와, 제2 격벽(26)과 혼합수배출관(16)이 연통된 혼합수조(12)의 벽에 의해 구획되는 배출챔버(28)로 구성된 혼합수조(12)를 제공함으로써, 희석수가 제1 격벽(20)의 하부로부터 제2 격벽(26)의 상부로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흐르기 때문에, 별도의 교반작동 없이도 약품공급관(25)을 통해 투입된 약품이 이러한 상하방향의 유동에 의해 급속하게 혼합되어 좁은 공간 내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약품공급관(25)이 상기 혼합챔버(24)의 하부에 연통되므로, 약품이 투입된 희석수의 상하 유동의 폭이 크므로, 더욱 신속하고 균일한 약품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희석수는 제1 격벽(20)에 의해 구획된 도입챔버(22)를 통해 도입되므로, 적정 수량 이상의 희석수는 오버플로우관(2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항상 적정량의 희석수의 유입이 유지되므로, 약품공급의 정량조절 및 정량투입이 용이하게 유지 또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수배출관(16)의 토출단 또는 토출노즐(17)은 저류조(2)의 피처리수 유입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저류조(2)에 도입되는 모든 피처리수가 초기부터 약품의 혼합된 혼합수와 섞이게 되어, 저류조(2)에는 피처리수가 신속하고 균일하게 약품과 혼합된 상태로 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처리단계를 거쳐서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수처리과정 중에 한 처리단계의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2)에 연결되는 약품 혼합공급장치(10)는 희석수공급관(14)으로부터 희석수가 공급되고 혼합수배출관(16)을 통해 약품이 혼합된 혼합수가 상기 저류조(2)로 연결되는 혼합수조(12)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혼합수조(12)는 제1 격벽(20)과 제2 격벽(26)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된다. 제1 격벽(20)은 희석수공급관(14)이 연결된 혼합수조(12)의 부위를 구획하여 도입챔버(22)를 형성한다. 제1 격벽(20)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하단에 유로(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격벽(26)은 제1 격벽(20)과의 사이에 혼합챔버(24)를 형성하고, 혼합수조(12)의 혼합수배출관(16)이 연결된 부위를 구획하여 배출챔버(28)를 형성한다. 제2 격벽(26)의 높이는 제1 격벽(20) 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혼합챔버(24)의 하단 일측에는 공급할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공급관(25)이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해 유입된 희석수는 제1 격벽(20) 하단의 유로(21)를 통해 혼합챔버(24)로 유입되어 약품공급관(25)에서 투입된 약품과 섞이게 되고, 이와 같이 혼합챔버(24)에서 약품과 일차로 섞인 희석수는 혼합챔버(24)에서 상승하여 제2 격벽(26)을 타고 넘으면서 배출챔버(28)로 흘러 내리게 된다. 그리고 배출챔버(28)에 연결된 혼합수배출관(16)을 통해 펌프(P)의 펌핑력에 의해 처리할 피처리수가 저류되어 있는 저류조(2)로 도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약품이 혼합수조(12)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유동적인 흐름에 희석수가 빠른 유속으로 약품과 교반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부피의 혼합수조(12)에서 약품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되어, 처리조(2)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격벽(20)에 의해 구획되는 도입챔버(22)에는 오버플로우관(23)이 설치되므로, 희석수가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이를 외부로 유출되므로, 희석수가 항 상 적정량의 유입이 유지되므로, 약품공급의 정량조절 및 정량투입이 용이하게 유지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플로우관(23) 대신에 수위를 검출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레벨게이지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약품 혼합장치(10)가 저류조(2)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리수 유입관(4)으로부터 저류조(2)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오버플로우용 수직격판(16)을 타고 넘는 부위에 근접한 위치에, 약품 혼합장치(10)의 혼합수배출관(16)의 토출노즐(17)이 배치되어, 저류조(2)에 유입된 피처리수와 초기에 혼합되도록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2)에 피처리수 유입관(4)으로부터 피처리수가 낙하되는 경우에는, 그 낙하되는 부위에 근접한 부위에 약품 혼합공급장치(10)의 혼합수 배출관(16)의 토출노즐(17)을 배치하여, 피처리수가 저류조(2)로 도입된 초기에 혼합수와 섞이도록 하여, 저류조의 피처리수가 별도의 교반작동 없이도 신속하고 균일하게 약품과 섞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

Claims (3)

  1. 여러 처리단계를 거쳐서 피처리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과정 중에 한 처리단계의 피처리수가 저류되는 저류조(2)에 연결되며 처리용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혼합공급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약품 혼합공급 장치(10)는 제1 격벽(20)과 제2 격벽(2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순차 구획되는 도입챔버(22)와 혼합챔버(24) 및 배출챔버(28)를 구비하는 혼합수조(12)와, 상기 도입챔버(22)에 연결되며 희석수가 공급되는 희석수공급관(14)과, 상기 혼합챔버(24)에 연결되는 약품공급관(25)과, 상기 배출챔버(28)에 연결되는 혼합수배출관(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벽(20)의 하단에는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6)은 상기 제1 격벽(2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혼합수배출관(16)의 토출단 또는 토출노즐(17)은 상기 저류조(2)의 피처리수 유입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공급관(25)은 상기 혼합챔버(24)의 하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챔버(22)의 상부에는 도입챔버(22)에 도입되는 희석수가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오버플로우관(23) 또는 레벨게이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 장치.
KR1020090051886A 2009-06-11 2009-06-11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KR10101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886A KR101010643B1 (ko) 2009-06-11 2009-06-11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886A KR101010643B1 (ko) 2009-06-11 2009-06-11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50A KR20100133150A (ko) 2010-12-21
KR101010643B1 true KR101010643B1 (ko) 2011-02-22

Family

ID=4350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886A KR101010643B1 (ko) 2009-06-11 2009-06-11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24B1 (ko) * 2009-08-04 2012-04-19 최진곤 소독약품 자동투입장치
KR101587057B1 (ko) * 2014-03-18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엠 용수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693A (ko) * 2000-11-28 2002-06-03 홍성욱 유체 혼합기 및 이 혼합기가 구비된 수처리용 전해처리시스템
KR20050076910A (ko) * 2004-01-26 2005-07-2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체 혼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693A (ko) * 2000-11-28 2002-06-03 홍성욱 유체 혼합기 및 이 혼합기가 구비된 수처리용 전해처리시스템
KR20050076910A (ko) * 2004-01-26 2005-07-2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체 혼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50A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40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solutions from solid products
KR101010643B1 (ko) 수처리용 약품 혼합공급장치
KR101498924B1 (ko) 액비 제조장치
JPWO2007049327A1 (ja) 大規模膜分離装置
KR101289699B1 (ko) 위어식 혼화기와 배플을 이용한 응집제 혼화 방법
KR101708552B1 (ko) 가스 용해 장치
KR101872902B1 (ko)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KR101421179B1 (ko) 슬러지처리용 호기성 산화조
US20200308020A1 (en) Regulating Tank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728130B1 (ko)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JP4793167B2 (ja) 加圧浮上分離装置
US11041300B2 (en) Cooling apparatus of regulating tank
KR101279592B1 (ko) 수처리시설에서 응집제의 조절분배 및 급속교반시스템
JP7144999B2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0323046B1 (ko) 정수장 및 폐수 처리장 일축 일체형 다종 액체 약품 투입 장치
KR102005018B1 (ko) 무동력 교반기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장치
WO2015059810A1 (ja) 溶存気体濃度測定装置および溶存気体濃度測定方法
KR100850234B1 (ko) 반도체 제조용 용액의 공급장치
KR20170081989A (ko)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KR101820831B1 (ko)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RU2490057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х превращений жидкофазных сред
CN211619990U (zh) 微气泡产生装置
JP5972805B2 (ja) 窒素式脱酸素装置
KR200341811Y1 (ko) 가스용해 및 반응장치
US20210283557A1 (en) Gas Saturation of Liquids with Application to Dissolved Gas Flotation and Supplying Dissolved Gases to Downstream Processes and Wat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