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31B1 -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31B1
KR101820831B1 KR1020160109429A KR20160109429A KR101820831B1 KR 101820831 B1 KR101820831 B1 KR 101820831B1 KR 1020160109429 A KR1020160109429 A KR 1020160109429A KR 20160109429 A KR20160109429 A KR 20160109429A KR 101820831 B1 KR101820831 B1 KR 10182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culant
coagulant
wastewater
compressed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만성
유종영
조영호
소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남환경
주식회사 소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남환경, 주식회사 소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남환경
Priority to KR102016010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하폐수 내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다지점에서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하폐수 내의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스컴으로 인한 분사노즐 부위의 폐색없이 원활하게 하폐수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라인;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에 분기연결되는 수평연장관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다수의 주입노즐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응집제주입관과, 상기 수평연장관과 상기 응집제주입관을 연통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다수의 응집제주입라인; 상기 응집제주입라인 중 상기 수평연장관 내로 동축배열된 후 상기 연결관의 일정 높이까지만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 및 일측은 응집제공급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응집제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를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FLOCCULANT INJECT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본 명세서에 개시되 내용은 폐수 또는 하수 등(이하 "하폐수"라 한다)에 포함된 인을 응집제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하폐수처리시설의 수로 또는 총인처리시설 내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폐수 내에는 상당한 양의 인(P)이 포함된다. 인(P)은 예를 들어 식물프랑크톤 번식과 같이 수질의 부영양화를 촉진시키는 오염물질에 해당하므로, 통상 하폐수처리시설에서는 하폐수 내의 인의 농도를 일정수준 이하로 낮춰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시키고 있다.
하폐수처리시설에서는 하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인을 제거시키고 있으나, 유입수의 환경 변화 또는 생물학적 처리시 미생물의 활동량 변화 등에 따라 인(P) 제거효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생물반응조만으로는 인(P)의 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하폐수처리시설에서는 샘플링된 하폐수에 포함된 인(P)의 농도 등을 측정한 후 그에 따라 소정량의 응집제를 투입(주입)하여 하폐수에 포함된 인의 농도를 낮추게 된다.
하폐수 내의 인을 응집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로서, 알루미늄 양이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또는 폴리수산화염화황산알루미늄(PAHCS) 등이 많이 사용되며, 철 양이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화제2철FC: Ferric Chloride)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응집제의 주입은 응집제를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강제로 교반하는 방법과, 수로 중 낙차가 발생되는 위치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방법과, 라인 믹서에 의해 응집제를 투입하는 방법과, 수중 프로펠러형 믹서인 워터챔프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방법과, 응집제를 물과 혼합시켜 투입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응집제 주입방법들은 폐수를 교반시키거나 와류를 형성하는 동안에 폐수에 약품이 혼합됨으로써 응집제가 폐수로 확산 및 혼합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응집제가 하폐수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인(P)을 응집하기 위한 화학반응이 빠른 시간(약 1-2초) 이내에 일어나기 어렵고, 그 결과 응집제와 하폐수의 화학반응이 지연됨에 따라 인(P)의 제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응집제의 투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하폐수 내에 응집제를 투입한 후에 샘플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하폐수에 응집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샘플링의 오차로 인해 응집제의 투입량이 과다 또는 과소하게 산정되어 약품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 또는 과소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응집제와 물을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여 투입하는 경우에는 응집제가 물과 빠른 시간 내에 반응하여 응집제 투입기 내부에서 겔과 같이 응집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응집제 투입기 내부의 분사구가 막혀 응집제가 정상적으로 투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7824호(2012.10.08. 공고)에는 응집제 유로와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 설치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응집제 유로에서는 응집제 토출유로들이 분기되고, 상기 유체 유로에서는 유체 토출유로들이 분기되고, 상기 응집제 토출유로들과 유체 토출유로들은 각 주입노즐에 연결되어 응집제와 유체를 분사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경우에는 응집제 토출유로들과 유체 토출유로들이 각 분사노즐에 연결됨에 따라 분사노즐의 직상부에서 인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스컴이 생성되면서 분사노즐이 폐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의 투입은 통상 다수개의 폭기조와 최종 침전지를 연결하는 수로에서 이루어거나 최종침전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별도의 총인처리시설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다수개의 폭기조와 최종 침전지를 연결하는 수로는 통상 복층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통상 수심이 1.3 내지 1.5m로 깊고 폭기조와 수로 사이의 낙차가 20cm 이내로 작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로 완전 복개되는 구조로 인해 교반기 등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응집제가 급속으로 교반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지점에서 균일한 비율로 혼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폐수 내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다지점에서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폐수 내의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스컴으로 인한 분사노즐 부위의 폐색없이 원활하게 하폐수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라인;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에 분기연결되는 수평연장관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다수의 주입노즐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응집제주입관과, 상기 수평연장관과 상기 응집제주입관을 연통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응집제주입라인; 상기 응집제주입라인 중 상기 수평연장관 내로 동축배열된 후 상기 연결관의 일정 높이까지만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응집제공급라인; 및 일측은 응집제공급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응집제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를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를 가로질러 양측을 구획시키는 제 1 격벽과, 일단은 응집제공급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관, 상기 제 1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 내부에 상기 제 1 격벽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 내부에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를 형성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마다 V자형 노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폐수 내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다지점에서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하폐수 내의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스컴으로 인한 분사노즐 부위의 폐색없이 원활하게 하폐수에 주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전체개략구조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요부상세구조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있어서,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의 상세구조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의한 응집제 주입작동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전체개략구조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의 요부상세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라인(10)과, 하폐수 내에 하측이 침지되어 응집제를 압축공기와 함께 주입하는 다수의 응집제주입라인(20)과, 응집제주입라인(20) 내에 일정길이만큼만 동축배열되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응집제주입라인 내에 응집제를 공급하는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30)과,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30)에 동일한 양의 응집제를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1)는 하수처리시설 중 다수개의 폭기조와 최종 침전지를 연결하는 수로에 설치됨에 따라 하폐수 내 다지점에서 단시간 내에 하폐수 내 인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응집제가 동시에 균일하게 분산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압축공기공급라인(10)은 다수의 응집제주입라인(20)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버블분사기(15)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라인이다.
압축공기공급라인(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일측이 응집제주입라인(20)에 분기연결되는 압축공기공급관(11)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버블분사기(15)가 구비되는 버블발생관(13)과, 압축공기공급관(11)과 버블발생관(13)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17)을 포함한다.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 연결되는 압축공기공급원은 별도의 에어펌프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하폐수처리시설의 폭기조의 송풍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폭기조의 송풍배관은 대용량의 에어펌프에 연결되므로 압축공기공급원으로 폭기조의 송풍배관을 이용할 경우 부가적인 에어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압축공기 공급이 가능하므로 전체 운영면에서 에너지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버블발생관(13)은 연결관(17)의 하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블분사기(15)는 주입노즐(25)로부터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되는 응집제가 하폐수의 상부로 단시간 내에 확산유동되면서 하폐수 전체에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주입노즐(25)의 하부에서 상승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버블분사기(15)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집제주입라인(20)의 주입노즐(25)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승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에 좁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는 응집제주입라인(20)이 연결된다. 응집제주입라인(20)은 압축공기공급라인(1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제를 하부방향으로 밀어내어 하폐수 내로 주입되도록 하는 라인이다.
응집제주입라인(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 분기연결되는 수평연장관(21)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다수의 주입노즐(25)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응집제주입관(23)과, 수평연장관(21)과 응집제주입관(23)을 연통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27)을 포함한다.
수평연장관(21)은 분기연결관(21a)에 의해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 연결되어 응집제를 밀어내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응집제주입관(23)은 연결관(27)의 하단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노즐(25)은 응집제주입관(23)의 정면으로 돌출된 후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앵글관으로 형성되며, 응집제주입관(2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1개씩 돌출형성된다. 주입노즐(25)로부터는 응집제공급라인(30)을 통해 공급되는 응집제가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밀려져 함께 토출된다.
전술한 응집제주입라인(20) 내에는 응집제공급라인(30)이 일정 길이만큼 동축배열된다. 응집제공급라인(30)은 압축공기공급라인(10)에 연결되는 응집제주입라인(20)의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함에 따라 응집제가 응집제주입라인(20) 내에서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져 주입노즐(25)을 통해 수중으로 분출되도록 한다.
응집제공급라인(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집제주입라인(20)의 수평연장관(21) 내로 동축배열된 후 연결관(27)의 일정 높이까지만 하부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응집제공급라인(30)의 하단은 응집제주입라인(20)의 연결관(27)의 중앙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구조는 응집제공급라인(30)으로부터 응집제주입라인(20) 내로 배출된 응집제가 관내 압력에 불구하고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30)은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에 병렬연결된다.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는 응집제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를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30)에 동일한 양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측은 응집제탱크 및 펌프를 포함하는 응집제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고 타측은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30)에 병렬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이러한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의 상세구조도를 도시한다.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집제가 수용되는 일종의 수조를 형성하는 용기본체(41)와, 용기본체(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양측을 구획시키는 제 1 격벽(43)과, 일단은 응집제탱크 및 펌프를 포함하는 응집제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격벽(43)에 의해 구획된 용기본체(41)의 일측에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관(45)과, 제 1 격벽(43)에 의해 구획된 용기본체(41)의 타측 내부에 제 1 격벽(43)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열되고 용기본체(41)의 타측 내부에 응집제공급라인(3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41a)를 형성하는 제 2 격벽(4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격벽(43)에 의해 구획된 용기본체(41)의 일측 내로 응집제공급관(45)을 통해 응집제가 공급되어 제 2 격벽의 상단에 대응되는 수위까지 차오르게 되면 제 1 격벽(43)과 제 2 격벽(47)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41a) 내로 응집제가 타고넘어가면서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41a) 내로 동일한 양의 응집제가 균등분할된다.
이러한 응집제의 균등분할을 위해 제 2 격벽(47)은 동일한 간격마다 1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격벽(43)의 상단에는 제 2 격벽(47)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41a)마다 응집제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V자형 노치홈(43a)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의한 응집제 주입작동 설명도를 도시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1)는 압축공기공급라인(10)으로부터 응집제주입라인(20) 내로 압축공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응집제공급원으로부터 응집제가 응집제공급관(45)을 통해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의 일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로 가동된다.
제 1 격벽(43)에 의해 구획된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의 용기본체(41)의 일측으로 공급된 응집제는 그 수위가 올라가면서 V자형 노치홈(43a)를 통해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40)의 타측에 형성된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41a)로 유입된 후 응집제공급라인(30)으로 공급된다.
응집제는 응집제주입라인(20) 내로 동축배열되는 응집제공급라인(30)을 통해 응집제주입라인(20) 내로 공급된 후 압축공기에 의해 밀어내려져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입노즐(25)을 통해 압축공기와 함께 분출된다.
또한 응집제공급라인(30)은 응집제주입라인(20) 내에서 주입노즐(25)까지 연장되지 않고 응집제주입라인(20)의 연결관(25)의 일정높이까지만 하단이 연장됨에 따라, 응집제가 응집제주입라인(20) 내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비교적 큰 직경의 주입노즐(25)을 통해 분출된다. 따라서 응집제가 하폐수 내에 더욱 더 균일한 농도로 분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P)의 응집현상에 따른 스컴에 의해 주입노즐(25)이 폐색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입노즐(25)을 통한 응집제의 분출과 동시에 압축공기공급라인(10) 내의 압축공기가 주입노즐(21)의 하부에 위치된 항아리 형상의 버블분사기(15)를 통해 상승와류의 형태로 분출되면서 주입노즐(25)로부터 분출된 응집제가 상부방향으로 더욱 퍼져나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1)의 구조와 작용에 의해 하폐수 내 인(P)의 응집처리를 위한 응집제가 하폐수 내 다지점에서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10 : 압축공기공급라인
11 : 압축공기공급관
13 : 버블발생관
15 : 버블발생기
17 : 연결관
20 : 응집제주입라인
21 : 수평연장관
23 : 응집제주입관
25 : 주입노즐
27 : 연결관
30 : 응집제공급라인
40 :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
41 : 용기본체
41a : 균등분할구획부
43 : 제 1 격벽
43a : V자형 노치홈
45 : 응집제공급관
47 : 제 2 격벽

Claims (6)

  1. 하폐수에 포함된 인을 응집제거하는 응집제를 주입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공기공급라인;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에 분기연결되는 수평연장관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다수의 주입노즐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응집제주입관과, 상기 수평연장관과 상기 응집제주입관을 연통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다수의 응집제주입라인;
    상기 응집제주입라인 중 상기 수평연장관 내로 동축배열된 후 상기 연결관의 일정 높이까지만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응집제공급라인; 및
    일측은 응집제공급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병렬연결되며, 상기 응집제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를 다수의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에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공급라인은, 압축공기공급원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응집제주입라인에 분기연결되는 압축공기공급관과, 하폐수 내에 침지된 상태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주입노즐의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버블분사기가 구비되는 버블발생관과, 상기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버블발생관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원은 하폐수처리시설의 폭기조의 송풍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의 하단은 상기 응집제주입라인의 연결관의 중앙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균등분할공급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를 가로질러 양측을 구획시키는 제 1 격벽과, 일단은 응집제공급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관과, 상기 제 1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 내부에 상기 제 1 격벽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 내부에 상기 응집제공급라인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를 형성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균등분할구획부마다 V자형 노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KR1020160109429A 2016-08-26 2016-08-26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KR10182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29A KR101820831B1 (ko) 2016-08-26 2016-08-26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29A KR101820831B1 (ko) 2016-08-26 2016-08-26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31B1 true KR101820831B1 (ko) 2018-03-08

Family

ID=6172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29A KR101820831B1 (ko) 2016-08-26 2016-08-26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824B1 (ko) * 2011-05-26 2012-10-08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분사장치
KR101279592B1 (ko) * 2012-12-20 2013-06-27 박서진 수처리시설에서 응집제의 조절분배 및 급속교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824B1 (ko) * 2011-05-26 2012-10-08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분사장치
KR101279592B1 (ko) * 2012-12-20 2013-06-27 박서진 수처리시설에서 응집제의 조절분배 및 급속교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569B1 (en) Injection-type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to which dissolved air is injected
US200901272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remediation
DE102010019510B4 (de) Verfahren zum Einbringen chemischer Zusätze in Gewässer
KR100954454B1 (ko) 산소용해장치
KR101834909B1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US20100018932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ringing ozone into contact with a flow of liquid, in particular a flow of drinking water or wastewater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US10752531B2 (en) Method for biological wastewater purification with phosphorous removal
KR101820831B1 (ko)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KR20090096858A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KR101728130B1 (ko) 하폐수처리용 응집제주입장치
KR101187824B1 (ko) 분사장치
KR101690293B1 (ko) 농업용 산소수 공급장치
KR101230623B1 (ko) 수로 다단격벽을 이용한 약품 다단 투입 및 혼화 장치
KR102336240B1 (ko) 유입관 교차설치 및 가압장치가 적용된 다단계 가압부상 복합 하수 처리장치
KR101279592B1 (ko) 수처리시설에서 응집제의 조절분배 및 급속교반시스템
KR20150141406A (ko) 산소공급기능을 갖는 수중 폭기기
KR101473622B1 (ko) 호기조 반송수 do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무산소조를 교반하는 고도처리효율을 증대시킨 오폐수 처리장치
KR20150085862A (ko) 수처리용 기액혼합 장치
WO2012084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gas to a liquid within a receptacle and use of such an apparatus
US11642634B2 (en) Gas saturation of liquids with application to dissolved gas flotation and supplying dissolved gases to downstream processes and water treatment
CN211619990U (zh) 微气泡产生装置
KR20140085028A (ko) 분사부를 이용하는 스마트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JP2014104378A (ja) 廃水処理装置
JP6861951B2 (ja) 越流式凝集混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