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89A -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89A
KR20170081989A KR1020160001089A KR20160001089A KR20170081989A KR 20170081989 A KR20170081989 A KR 20170081989A KR 1020160001089 A KR1020160001089 A KR 1020160001089A KR 20160001089 A KR20160001089 A KR 20160001089A KR 20170081989 A KR20170081989 A KR 2017008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rganic waste
nozzle
aeration
nozz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029B1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102016000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수용탱크 내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유기성 폐기물을 산소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공급펌프를 통해 펌핑된 유기성 폐기물을 분사하는 폭기노즐유닛과, 폭기노즐유닛을 통해 분사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폭기노즐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가 마련된 폭기부와, 폭기노즐유닛으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폭기노즐유닛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수용탱크에 연결되어 수용탱크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폭기노즐유닛에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와, 수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의해 분사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수용탱크로 주입하는 회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는 가스공급부에 의해 산소 뿐아니라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체에 공급되므로 유체의 액비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Device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using multinozzle}
본 발명은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비롯한 유체에 산소 및 발효가스를 공급하여 액비를 제조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는 일반 생활하수의 수백 배를 넘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인 하·폐수 처리 시설로는 확실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축산폐수에 함유된 고형물, 유기물질 및 질소 농도는 수처리 공정의 효율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시설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상기 축산폐수는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사람과 동물에게 치명적인 보건, 위생, 환경 저해요소를 유발시키며, 악취와 병해충을 전파하고, 동물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가축의 폐사율을 높이고, 처리가 난해할 뿐더러 처리비용이 점점 많이 들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축산폐수는 일반적으로 수천 ppm의 높은 암모니아성 질소가 함유되어 있다. 이렇게 고농도로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높은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질소 제거 미생물의 활동 자체에 저해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폐수를 희석함으로써 농도를 낮추는 방법과 물리화학적 탈질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물리화학적 탈질 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공기 탈기법(Air Stripping)의 경우, 물질농도 평형 원리에 의해 촉발되는 물질전달을 핵심 기작으로 하고 있어 고농도의 암모니아 함유 폐수일수록 적용에 유리하고 처리가 빠르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다만,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탈기된 암모니아 가스의 2차 처리 문제 등으로 인한 문제가 있어 현장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5707호에는 축산폐수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축산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폐수저류탱크와 탈수장치사이에 혼합장치를 설치하되, 내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다이야프램을 구비하는 라인형 믹서를 설치하여 투입된 폐수와 응집제가 상기 믹서의 다이야프램에 충돌하고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상기 응집제와 상기 축산폐수가 혼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축산폐수 처리장치는 응집제가 주입된 축산폐수에 단순히 산소만을 공급하여 처리하므로 상기 축산폐수를 이용하여 액비를 제조시 상기 축산폐수를 발효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축산폐수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비룻한 유체에 산소 및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를 주입하여 액비를 제조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는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내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산소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펌핑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사하는 폭기노즐유닛과, 상기 폭기노즐유닛을 통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폭기노즐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가 마련된 폭기부와, 상기 폭기노즐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수용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수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의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상기 수용탱크로 주입하는 회수부를 구비한다.
상기 폭기노즐유닛은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고압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에 형성된 배출노즐이 마련된 본체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노즐의 동축선 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단위노즐이 마련된 외부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노즐은 내부에 통과하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의해 외부공기 또는 상기 수용용기 내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수용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탱크 내의 상기 가스가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에어공급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공급관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물 또는 상기 폭기노즐유닛으로부터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폭기노즐유닛은 상기 단위노즐 중 일부가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외부노즐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집용기 및 수용탱크에 각각 연결된 회수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는 가스공급부에 의해 산소 뿐아니라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체에 공급되므로 유체의 액비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의 폭기노즐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의 폭기노즐유닛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100)는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된 수용탱크(200)와, 상기 수용탱크(200) 내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여 분사하는 폭기부(300)와, 상기 폭기부(300)로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부(300)에 설치된 에어공급부(400)와, 상기 수용탱크(20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탱크(200)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폭기부(300)에 공급하는 가스공급부(500)와, 상기 폭기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부(300)에 의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상기 수용탱크(200)로 주입하는 회수부(600)를 구비한다.
수용탱크(200)는 내부에 축산폐수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발생된 질소와 같은 발효 가스에 의해 부식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기부(300)는 상기 수용탱크(200) 내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산소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펌핑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사하는 폭기노즐유닛(320)과, 상기 폭기노즐유닛(320)을 통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폭기노즐유닛(32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331)이 마련된 수용용기(330)를 구비한다.
공급펌프는 일단이 수용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폭기노즐유닛(320)에 연결된 유체공급관(311)에 설치되어 수용탱크(200)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여 후술되는 폭기노즐유닛(320)의 본체(321)로 공급한다.
폭기노즐유닛(320)은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고압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323)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323)으로 유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에 형성된 배출노즐(324)이 마련된 본체(321)와, 상기 본체(321)에 설치된 외부노즐부(322)를 구비한다.
본체(321)는 원형 단면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23)이 마련된다. 상기 본체(321) 외주면에는 공급펌프가 설치된 유체공급관(31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21)는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수용용기(330)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지지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이 본체(32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용용기(330)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본체(3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배출노즐(324)은 본체(321)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면에는 본체(321) 내부에 유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노즐(324)은 본체(321) 외부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노즐부(322)는 지지부재(326)에 의해 상기 본체(321)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노즐(324)의 동축선 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단위노즐(325)을 구비한다.
단위노즐(325)은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로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노즐(325)은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노즐(325)은 배출노즐(324)의 하단부 또는 상측에 인접된 단위노즐(325)의 하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단위노즐(325)은 내벽면과,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인입된 배출노즐(324)의 외측면 또는 단위노즐(325)의 외측면 사이에 유입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단위노즐(325)의 상단부 내경이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인입된 배출노즐(324) 또는 단위노즐(325)의 하단부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노즐(324) 및 단위노즐(325)를 통과하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따라 부압이 발생되고, 상기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 또는 상기 수용용기(330) 내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상기 유입로를 통해 단위노즐(325)들 내부로 유입되어 상호 교반된다.
지지부재(326)는 최상측에 위치한 단위노즐(325)과 본체(32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1연결한과, 단위노즐(325)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2연결판(328)을 구비한다.
제1연결판(327)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단은 본체(32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최상측에 위치한 단위노즐(325)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제1연결판(327)은 다수개가 단위노즐(325)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연결판(328)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단은 상측에 위치한 단위노즐(325)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측에 위치한 단위노즐(325)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된다. 제2연결판(328)은 다수개가 단위노즐(325)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용용기(330)는 외부노즐부(322)를 통해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331)이 마련되며, 상면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수용용기(330)는 폭기노즐유닛(320)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이 분사되기 전에 설치공간(331)에 물이 수용되어 있고, 폭기노즐유닛(320)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이 분사시 수용용기(33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희석시킨다.
한편, 상기 폭기노즐유닛(320)은 상기 단위노즐(325) 중 일부가 상기 수용용기(330) 내에 수용된 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외부노즐부(322)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용기(330)의 배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외부공기가 단위노즐(325)들 사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노즐부(322)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용기(330)의 배출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용기(3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공급부(400)는 일단이 상기 본체(321)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402)이 형성된 에어공급관(401)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1개의 에어공급관(401)이 본체(321)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에어공급관(401)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공급펌프에 의해 수용탱크(200)의 유기성 폐기물이 펌핑되어 본체(321) 내부로 유입되고, 본체(321)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의해 발생된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는 에어공급관(401)을 통해 본체(321) 내부로 유입되어 유기성 폐기물과 교반된다.
가스공급부(500)는 일단이 상기 수용탱크(200)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탱크(200) 내의 상기 가스가 상기 에어공급관(401)을 통해 상기 본체(3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에어공급관(401)에 연결된 가스공급관(501)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1개의 가스공급관(501)이 에어공급관(401)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가스공급관(501)의 설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본체(321)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의해 발생된 부압에 의해 가스는 수용탱크(200)로부터 흡입되어 에어공급관(401)을 통해 본체(32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가스가 본체(321)에 유입되어 유기성 폐기물과 혼합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효율을 향상시킨다.
회수부(600)는 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330)가 설치된 수집용기(601)와,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집용기(601) 및 수용탱크(200)에 각각 연결된 회수관(602)을 구비한다. 수집용기(60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33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용기(33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은 다시 회수관(602)을 통해 수용탱크(200)로 유입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펌프를 작동시키면 공급펌프에 의해 수용탱크(200)에 수용된 유기설 폐기물이 고압으로 본체(321)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본체(321) 내부에 유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부압이 발생되고, 에어공급관(401)을 통해 외부공기 및 수용탱크(200) 내의 발효가스를 흡입한다. 본체(321)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및 발효가스는 유기성 폐기물과 혼합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효율을 향상시킨다.
본체(321) 내부의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노즐(324) 및 다수의 단위노즐(325)을 고속으로 통과하여 수용용기(330)로 배출되고, 수용용기(330) 내에 수용된 물에 의해 희석된다. 이때,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의해 단위노즐(325)들 사이에 부압이 발생되어 단위노즐(325)들 사이로 외부공기 또는 수용용기(330) 내에 수용된 희석된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되어 교반되어 유기성 폐기물과 외부공김 및 가스와의 혼합율을 향상시킨다.
수용용기(330)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은 수용용기(330)의 배출구를 통해 수집호퍼로 유입되고, 회수관(602)을 통해 수용탱크(200) 내로 유입된다. 수용탱크(200)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은 다시 공급펌프에 의해 본체(321) 내로 다시 펌핑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100)는 가스공급부(500)에 의해 산소 뿐아니라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체에 공급되므로 유체의 액비화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200: 수용탱크
300: 폭기부
310: 공급펌프
320: 폭기노즐유닛
321: 본체
322: 외부노즐부
325: 단위노즐
330: 수용용기
400: 에어공급부
401: 에어공급관
500: 가스공급부
501: 가스공급관
600: 회수부
601: 수집용기
602: 회수관

Claims (5)

  1.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 내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산소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펌프를 통해 펌핑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사하는 폭기노즐유닛과, 상기 폭기노즐유닛을 통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폭기노즐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가 마련된 폭기부와;
    상기 폭기노즐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설치된 에어공급부와;
    상기 수용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수용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노즐유닛에 의해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상기 수용탱크로 주입하는 회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노즐유닛은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고압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에 형성된 배출노즐이 마련된 본체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노즐의 동축선 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단위노즐이 마련된 외부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노즐은 내부에 통과하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유속에 의해 외부공기 또는 상기 수용용기 내의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수용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탱크 내의 상기 가스가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은 상기 에어공급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내부에 물 또는 상기 폭기노즐유닛으로부터 분사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폭기노즐유닛은 상기 단위노즐 중 일부가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외부노즐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출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집용기 및 수용탱크에 각각 연결된 회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KR1020160001089A 2016-01-05 2016-01-05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KR10182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89A KR101828029B1 (ko) 2016-01-05 2016-01-05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89A KR101828029B1 (ko) 2016-01-05 2016-01-05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89A true KR20170081989A (ko) 2017-07-13
KR101828029B1 KR101828029B1 (ko) 2018-03-22

Family

ID=5935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89A KR101828029B1 (ko) 2016-01-05 2016-01-05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758B1 (ko) * 2019-04-19 2019-11-04 박현석 축산 분뇨 교반장치
KR102236220B1 (ko) * 2019-11-29 2021-04-05 박현석 다단노즐을 이용한 완숙 액비 증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977B1 (ko) * 2009-12-16 2012-03-23 (주)에이엔티이십일 다단 산기장치
KR101155650B1 (ko) * 2011-03-16 2012-06-13 박현석 유체 산소공급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758B1 (ko) * 2019-04-19 2019-11-04 박현석 축산 분뇨 교반장치
KR102236220B1 (ko) * 2019-11-29 2021-04-05 박현석 다단노즐을 이용한 완숙 액비 증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29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1268B2 (en) Waste gas/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of treating waste gas/wastewater
US20080017574A1 (en) Device for in situ bioremediation of liquid waste
KR100954454B1 (ko) 산소용해장치
KR101510416B1 (ko) 고농도 유기성 또는 고염도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US20180072597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ter treatment process
CN106927560A (zh) 一种膜曝气生物膜反应器及其清洗方法
CN102161554A (zh)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KR101828029B1 (ko) 다단노즐을 이용한 액비제조장치
KR101579310B1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101554224B1 (ko)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2102437B1 (ko)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고속산화장치
US79635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esting sludge
CN201678543U (zh) 自洁式氨氮废水处理成套装置
CN101823817B (zh) 自洁式氨氮废水处理成套装置
US20080251453A1 (en) Aerating Wastewater for Re-Use
CN106007252A (zh) 高级氧化和多级生化组合的废水处理系统及工艺方法
KR100784499B1 (ko) 유기오수 발효장치
JP2019150820A (ja) 汚水処理装置及び汚水処理方法
JP5918017B2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
KR101182157B1 (ko) 가스분사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장치
KR20110001685A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101473622B1 (ko) 호기조 반송수 do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무산소조를 교반하는 고도처리효율을 증대시킨 오폐수 처리장치
CN105800778A (zh) 高效脉冲厌氧滤池
CN101445296B (zh) 一种畜禽废水生物处理设备
KR101503887B1 (ko) 막분리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