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631B1 -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631B1
KR101009631B1 KR1020100057225A KR20100057225A KR101009631B1 KR 101009631 B1 KR101009631 B1 KR 101009631B1 KR 1020100057225 A KR1020100057225 A KR 1020100057225A KR 20100057225 A KR20100057225 A KR 20100057225A KR 101009631 B1 KR101009631 B1 KR 10100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axle housing
mounting portion
mol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0005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6Axl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Abstract

본 발명은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감소되고 윤활유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에 장착부의 저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작업 대상물에 장착부 및 연결부의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작업 대상물에 장착부 및 연결부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장착부의 개구부를 절곡시켜 보강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연결부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장착부의 개구부를 절곡시켜 보강부를 성형하는 단계는 연결부의 연결부위와 장착부의 개구부에 대향되는 곡면패널 형상의 제4가압부가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METHOD FOR MAKING AXLE HOUSING}
본 발명은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감소되고 윤활유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후륜 구동 차량은 엔진에서 출력되고 변속기에서 변환된 토크로 후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리어 액슬이 설치된다.
리어 액슬은 프로펠러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차동장치를 구비한다.
리어 액슬은 액슬 하우징에 내장되는 피니언 기어, 링기어, 차동기어 및 액슬 샤프트를 포함한다.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가 구동되면 피니언 샤프트에 결합된 링기어가 구동되고 링기어에 연결되는 차동기어를 통하여 액슬 샤프트가 구동되므로 구동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슬 하우징은 피니언 기어, 링기어, 차동기어 및 액슬 샤프트를 커버하면서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차량의 액슬 하우징은 피니언 기어, 링기어 및 차동기어가 내장되는 장착부와 액슬 샤프트가 내장되는 연결부가 별도로 제작된 후에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의 액슬 하우징은 복수 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위를 따라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부품수가 감소되고 윤활유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판재의 작업 대상물에 장착부의 저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 작업 대상물에 상기 장착부 및 연결부의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 작업 대상물에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d)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절곡시켜 보강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연결부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와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에 대향되는 곡면패널 형상의 제4가압부가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a) 단계는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금형에 상기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고, 상기 오목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기 제1금형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성형홈부가 형성되는 제3금형에 상기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고, 상기 성형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제4금형을 상기 제3금형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작업 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캠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의 중앙에 확장 캠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의 양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동되는 제3가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 캠부재는 한 쌍의 확장 캠부재가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면서 상기 장착부의 내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가공하여 장착부와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액슬 하우징을 제조하므로 조립공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고, 연결부위가 감소되므로 실링부재의 개수 및 크기를 줄여 제품의 무게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장착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연결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장착부 및 연결부의 상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보강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100)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80 : 도 3 내지 도 6 참조)이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차동기어가 내장되는 장착부(10)와, 장착부(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액슬 샤프트가 내장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장착부(10)는 엔진의 구동력을 한 쌍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차동기어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장착부(10)의 양측 단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장착부(1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차동기어, 피니언 기어 및 링기어 등의 부품이 장착부(10) 내부에 설치된다.
차동기어와 연결되는 액슬 샤프트는 연결부(30)를 따라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륜이 연결되고 연결부(30)의 단부에는 스핀들(54)이 설치된다.
판재의 작업 대상물(80)을 가공하여 장착부(10)와 한 쌍의 연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액슬 하우징(100)을 제작하므로 장착부(10)와 연결부(30)를 조립하거나 용접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장착부(10)에는 개구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보강부(12)가 형성되므로 장착부(10)를 밀폐시키는 커버부재가 보강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2)에는 복수 개의 장착홀부(14a)가 형성되는 링플레이트(14)가 설치되고, 장착홀부(14a)에 대향되는 보강부(12)에는 보강홀부(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재가 장착부(10)에 조립될 때에 커버부재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장착홀부(14a) 및 보강홀부(12a)에 체결되므로 커버부재를 조립하는 부위의 체결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장착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이루지만, 판재의 작업 대상물(80)을 가공하여 구형의 공간을 이루는 장착부(10)와 파이프 모양의 연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액슬 하우징(10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부(10)와 연결부(3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간격이 발생된다.
상기한 간격을 없애기 위해 장착부(10)를 이루는 작업 대상물(80)의 부위와 연결부(30)를 이루는 작업 대상물의 부위 사이에 면적 차이를 극단적으로 형성하면 판재의 작업 대상물(80) 테두리에 단차가 발생되고, 이 단차는 액슬 하우징(100)을 제작한 후에 강도 취약 부분이 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80)의 테두리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장착부(10)를 이루는 작업 대상물(80) 부위와 연결부(30)를 이루는 작업 대상물 부위 사이에 면적이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곡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유로 작업 대상물을 가공하여 액슬 하우징(100)을 제작하면 장착부(10)와 연결부(30)의 연결부위에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간격이 발생된다.
따라서 링플레이트(14)를 개구부에 설치하면 링플레이트(14)와 장착부(10)의 개구부 사이에 세모 모양의 간격이 발생된다.
장착부(10)와 링플레이트(14) 사이에는 마감패널(16)이 설치되므로 장착부(10)와 링플레이트(14) 사이에 발생되는 간격을 커버하게 되어 장착부(10) 내부에 담유되는 윤활유가 장착부(10)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부(30)의 둘레면에는 액슬 하우징(100)과 차체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52)이 설치되는데, 브래킷(52)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연결부(30)의 둘레면에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결합부(32)가 형성된다.
결합부(32)는 한 쌍의 연결부(30)에 장착부(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이 선회하거나 불균일한 노면을 주행하여 액슬 하우징(100)이 차체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때에 브래킷(52)에 설치되는 판스프링에 의해 액슬 하우징(100)과 차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부(10)와 연결부(30)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부분에 고정부(70)가 설치되므로 차체 저면을 통과하는 다수의 유압호스가 고정부(70)에 의해 액슬 하우징(100) 둘레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수의 유압호스가 고정부(70)에 의해 액슬 하우징(100) 둘레면에 고정되므로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압호스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압호스의 결합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70)에 의해 유압호스가 액슬 하우징(100) 둘레면에 고정되므로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압호스와 다른 부품들이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장착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연결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장착부 및 연결부의 상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의 보강부 성형공정이 도시된 작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80)에 장착부(10)의 저면을 성형하는 단계(S10)와, 작업 대상물(80)에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S20)와, 작업 대상물(80)에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S30)와, 장착부(10)의 개구부를 절곡시켜 보강부(12)를 성형하는 단계(S40)와, 연결부(30)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판재의 작업 대상물(8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킹 공정에 의해 제작한 후에 작업 대상물(80)의 중앙부에 장착부(10)의 저면 형상을 가공하고 작업 대상물(80)의 단부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작업 대상물의 단면 형상이 'U' 모양을 이루도록 성형한다.
이후에 작업 대상물의 상측 단부를 중앙 측으로 절곡시켜 연결부(30)의 단면은 'O' 모양을 이루고 장착부(1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장착부(10)의 개구부 상단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링플레이트(14)가 결합되는 보강부(12)를 성형한다.
연결부(3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작업 대상물(80)의 단부를 용접하여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장착부(10)의 저면을 성형하는 단계(S10)는 오목홈부(82a)가 형성되는 제1금형(82)에 작업 대상물(80)을 안착시키고, 오목홈부(82a) 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압부(92)를 구비하는 제2금형(84)을 제1금형(82)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제1가압부(92)는 하단에 곡면이 형성되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제1금형(82)과 제2금형(84)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압부(92)가 오목홈부(82a) 측으로 돌출되면 작업 대상물(80)의 중앙부에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홈부를 성형하여 장착부(10)의 저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장착부(10)의 저면을 성형한 후에는 이송장치에 의해 작업 대상물(80)이 제3금형(86)으로 이동되어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측면을 성형하게 된다.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S20)는 성형홈부(86a)가 형성되는 제3금형(86)에 작업 대상물(80)을 안착시키고, 성형홈부(86a) 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압부(94)를 구비하는 제4금형(88)을 제3금형(86)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성형홈부(86a)는 액슬 하우징(10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제2가압부(94)는 하단에 곡면이 형성되고 성형홈부(86a)와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3금형(86)과 제4금형(88)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가압부(94)가 성형홈부(86a) 측으로 돌출되면 작업 대상물(80)을 성형홈부(86a)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작업 대상물(80)의 단면 형상이 'U'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시키게 된다.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측면을 성형한 후에는 제4금형(88)이 이동되고, 제3금형(86)을 따라 제3가압부(96)가 구동되어 작업 대상물(80)에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상부를 성형하게 된다.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S30)는 작업 대상물(80)의 양측 단부에 캠부재(95)가 삽입되고 작업 대상물(80)의 중앙에 확장 캠부재(97)가 삽입되고 작업 대상물(80)의 양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동되는 제3가압부(96)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업 대상물(80)의 양측 단부에 삽입되는 캠부재(95)는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캠부재(95)가 작업 대상물(80)의 양측 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가압부(96)가 작업 대상물(80)의 상측 단부를 중앙 측으로 가압하면 작업 대상물(80)의 단면 형상이 'O' 모양으로 성형된다.
확장 캠부재(97)는 한 쌍의 확장 캠부재(97)가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면서 장착부(10)의 내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제3가압부(96)가 작업 대상물(80)의 상측 단부를 중앙 측으로 가압할 때에 확장 캠부재(97)가 작업 대상물(80)의 측면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와 비교하여 내부 공간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장착부(1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부(1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한 쌍의 확장 캠부재(97)가 다시 중앙 측으로 이동된 후에 장착부(10) 외부로 이동되므로 확장 캠부재(97)가 장착부(10)로부터 분리될 때에 작업 대상물(80)과 확장 캠부재(97)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확장 캠부재(97)가 성형홈부(86a) 내측으로 하강할 때에는 별도의 캠이 한 쌍의 확장 캠부재(97) 사이로 삽입되므로 확장 캠부재(97)가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고, 확장 캠부재(97)가 성형홈부(86a) 외측으로 상승될 때에는 캠이 확장 캠부재(97) 외측으로 분리되면서 한 쌍의 확장 캠부재(97)가 중앙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30)의 단면 형상을 'O' 모양으로 성형한 후에는 장착부(10)의 개구부에 보강부(12)를 성형한다.
장착부(12)에 보강부(12)를 성형하는 단계(S40)는 연결부(30)의 연결부위와 장착부(10)의 개구부에 대향되는 곡면패널 형상의 제4가압부(98)가 작업 대상물(80)을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제4가압부(98)는 개구부의 테두리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곡면이 형성되므로 제4가압부(98)가 작업 대상물(80)의 상단을 가압하면 장착부(10)의 개구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보강부(12)가 성형된다.
이때, 제4가압부(98)는 연결부(30)의 연결부위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S30)가 완료된 후에 완전히 소성 변형되지 않고 상측 방향으로 복원되는 작업 대상물(80)의 단부를 가압하여 연결부(30)가 파이프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에, 연결부(30)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작업 대상물(80)의 상측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S50)가 진행되어 액슬 하우징(100)의 성형을 완료한다.
액슬 하우징(100)의 성형을 완료한 후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70)를 액슬 하우징(100) 둘레면에 용접하여 부착하고 연결부(30)의 양측 단부에 스핀들(54)을 용접한다.
연결부(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2)는 별도의 가압부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홈부가 성형되는 캠부재(95)와, 홈부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제3가압부(96)에 의해 장착부(10) 및 연결부(30)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때에 결합부(32)를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윤활유의 누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장착부 12 : 보강부
12a : 보강홀부 14 : 링플레이트
14a : 장착홀부 16 : 마감패널
30 : 연결부 32 : 결합부
52 : 브래킷 54 : 스핀들
70 : 고정부 80 : 작업 대상물
82 : 제1금형 82a : 오목홈부
84 : 제2금형 86 : 제3금형
86a : 성형홈부 88 : 제4금형
92 : 제1가압부 94 : 제2가압부
95 : 캠부재 96 : 제3가압부
97 : 확장 캠부재 98 : 제4가압부
100 : 액슬 하우징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판재의 작업 대상물에 장착부의 저면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작업 대상물에 상기 장착부 및 연결부의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작업 대상물에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
    (d)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절곡시켜 보강부를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연결부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와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에 대향되는 곡면패널 형상의 제4가압부가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제1금형에 상기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고, 상기 오목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을 상기 제1금형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성형홈부가 형성되는 제3금형에 상기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고, 상기 성형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제4금형을 상기 제3금형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작업 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캠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의 중앙에 확장 캠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의 양측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동되는 제3가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캠부재는 한 쌍의 확장 캠부재가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면서 상기 장착부의 내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00057225A 2010-06-16 2010-06-16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KR10100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25A KR101009631B1 (ko) 2010-06-16 2010-06-16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25A KR101009631B1 (ko) 2010-06-16 2010-06-16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867A Division KR101101410B1 (ko) 2010-10-13 2010-10-13 액슬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631B1 true KR101009631B1 (ko) 2011-01-21

Family

ID=4361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25A KR101009631B1 (ko) 2010-06-16 2010-06-16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116B1 (ko) * 2015-05-29 2017-07-06 주식회사화신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106A (ja) * 2001-07-23 2003-02-04 Toyota Motor Corp アクスル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8236A (ja) 2005-04-22 2006-11-02 Press Kogyo Co Ltd アクスルハウジング、ハイドロフォー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83388A (ja) 2006-04-19 2007-11-01 Press Kogyo Co Ltd 車軸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8224035A (ja) * 2007-03-12 2008-09-25 Dana Holding Corp 差動軸受支持体を備える車軸ハウジン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106A (ja) * 2001-07-23 2003-02-04 Toyota Motor Corp アクスル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8236A (ja) 2005-04-22 2006-11-02 Press Kogyo Co Ltd アクスルハウジング、ハイドロフォー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283388A (ja) 2006-04-19 2007-11-01 Press Kogyo Co Ltd 車軸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8224035A (ja) * 2007-03-12 2008-09-25 Dana Holding Corp 差動軸受支持体を備える車軸ハウジ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116B1 (ko) * 2015-05-29 2017-07-06 주식회사화신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23B2 (en) Lock-up clutch for hydrokinetic coupling device including improved connection means
KR101412303B1 (ko) 차동 장치에 의한 시일 구조
CA2589117A1 (en) A universal joint assembly for an automotive driveline system
JP3646556B2 (ja) 弾性軸継手
CN105026795A (zh) 齿轮箱壳及用于制造齿轮箱壳的方法
KR101009631B1 (ko) 액슬 하우징 제조방법
US816162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ulated shaft structure
US20040149078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housing assembly
US6348002B1 (en) Slip yoke sealing and positioning plug
JP2012526245A (ja) 等速ジョイントおよび駆動シャフト
KR101101410B1 (ko) 액슬 하우징
WO2016084659A1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ハウジング
JP7379497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9375B2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36890A1 (ja) トルクロッド
JP2002061665A (ja) 車両用動力伝達軸
US6938536B2 (en) Central release device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WO2014103194A1 (ja) 防振連結ロッド
CN211288500U (zh) 减速器和车辆
KR20130083324A (ko) 전동식 조향장치
JP5202121B2 (ja) 筒型防振装置用筒型金具
JP2015064098A (ja) 車両におけるパワーユニット支持装置
CN209776535U (zh) 一种新型汽车转向传动轴
JP2002089622A (ja) 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CN211901496U (zh) 一种高性能复合齿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