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138B1 -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138B1
KR101009138B1 KR1020030068019A KR20030068019A KR101009138B1 KR 101009138 B1 KR101009138 B1 KR 101009138B1 KR 1020030068019 A KR1020030068019 A KR 1020030068019A KR 20030068019 A KR20030068019 A KR 20030068019A KR 101009138 B1 KR101009138 B1 KR 10100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vibration
main body
portable terminal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762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1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 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이 형성되고, 스피커 및 마이크가 형성되어 타인과의 통신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가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감지버튼이 본체에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본체에 가하는 진동에 의해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BUTTON APPARATUS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버튼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커버
30 : 버튼장치 50 : 진동감지버튼
51 : 버튼하우징 52 : 코일스프링
53 : 진동추 54 : 접촉신호감지부
55 : 연결부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 동을 감지하여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감지버튼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 중에서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 전달만 가능했던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배면인 하부케이스(2)에 착탈 되는 배터리(11)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를 들어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10)의 전면(10a)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장치(30)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14)와, 상기 커버(20)의 전면(20a)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장치(30)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3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1)의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접촉신호감지부(32)와, 상기 접촉신호감지부(32)가 형성된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노란색의 빛을 발산하 는 다수개의 발광수단(33)과, 상기 상부케이스(1)에 형성된 홀(1a)을 통해 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발광수단(33)에서 발산한 빛을 외부로 발산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신호감지부(32)에 접촉되어 부호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버튼(34)이 결합된 버튼패드(35)로 구성된다. 접촉신호감지부(32)는 돔형으로 돌출 되고 사용자가 버튼(34)을 누르면 버튼(34)이 접촉신호감지부(32)에 압력을 가하여 일시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할 시, 다수개의 상기 버튼(3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호가 인쇄된 버튼을 눌러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34)을 누르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버튼(34)이 접촉신호감지부(32)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32)가 반응하여 회로적으로 연결상태가 되어 해당부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간단한 정보입력 및 작동을 위채서는 상기 커버(20)를 들어올려 펼친 후에 버튼(34)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진동을 가하여 정보입력 및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는 본체의 일 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이 형성되고, 스피커 및 마이크가 형성되어 타인과의 통신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가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감지버튼이 본체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감지버튼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버튼하우징과,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 진동추와, 상기 진동추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각각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진동추가 일 측으로 치우쳤을 시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신호감지부와, 상기 접촉신호감지부를 본체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추에는 상기 접촉신호감지부가 장착된 방향으로 그 일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버튼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버튼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배면인 하부케이스(2)에 착탈 되는 배터리(11)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31)이 장착되고, 그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31)과 회로적으로 연결된 진동감지버튼(50)이 장착된다.
상기 진동감지버튼(50)은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하우징(51)과, 버튼하우징(5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과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버튼하우징(5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진동추(52)와, 진동추(52)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와 버튼하우징(51)의 내부 양끝단 사이에 장착되어 진동추(52)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3)과, 버튼하우징(51)의 내부 일측 끝단면에 장착된 접촉신호감지부(54)와, 접촉신호감지부(54)에서 발생된 입력신호를 인쇄회로기판(31)에 전달하는 연결부재(55)로 이루어진다.
접촉신호감지부(54)가 형성된 방향의 진동추(52) 일측면에는 진동추(52)가 접촉신호감지부(54) 장착방향으로 치우쳤을 시 접촉신호감지부(54)에 접촉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접촉부(53a)가 형성되고, 버 튼하우징(51) 내부에는 상기 접촉부(53a)를 안내함과 동시에 접촉신호감지부(54)가 형성된 방향에 장착된 코일스프링(53)을 지지하는 지지부(51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 및 정보입력을 위해 각종 부호를 입력할 시, 다수개의 상기 버튼(34)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호가 인쇄된 버튼을 눌러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34)을 누르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버튼(34)이 접촉신호감지부(32)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32)가 반응하여 회로적으로 연결상태가 되어 해당부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감지버튼(50)은 커버(20)를 열지 않고 본체(10)를 손에 쥔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한번 흔들어 진동을 가하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진동추(53)에 작용하는 힘이 접촉신호감지부(54)가 형성된 방향에 장착된 코일스프링(53)의 탄성을 극복하고 접촉신호감지부(54) 장착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진동추(53)에 형성된 접촉부(53a)가 지지부(51a)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촉신호감지부(5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54)에서 발생된 입력신호는 연결부재(55)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1)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감지버튼(50)은 주로 벨소리나 진동, 또는 무음 등의 상태 전환을 이루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는 커버(20)를 열지 않고 본체(10)에 가하는 진동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진동감지버튼(50)의 진동추(53)가 관성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54)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 신호감지부(54)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면 그 입력신호가 인쇄회로기판(31)에 전달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는 커버를 열지 않고 본체에 가하는 진동에 의해 본체 내부에 형성된 진동감지버튼의 진동추가 관성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접촉신호감지부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면 그 입력신호가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벨소리, 진동모드, 무음 등의 기능을 변경 및 기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의 일 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이 형성되고, 스피커 및 마이크가 형성되어 타인과의 통신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가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감지버튼이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감지버튼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버튼하우징과,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 진동추와,
    상기 진동추가 일측으로 치우쳤을 시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신호감지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버튼은
    상기 진동추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각각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접촉신호감지부를 본체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추에는 상기 접촉신호감지부가 장착된 방향으로 그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1020030068019A 2003-09-30 2003-09-30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10100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019A KR101009138B1 (ko) 2003-09-30 2003-09-30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019A KR101009138B1 (ko) 2003-09-30 2003-09-30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62A KR20050031762A (ko) 2005-04-06
KR101009138B1 true KR101009138B1 (ko) 2011-01-18

Family

ID=3723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019A KR101009138B1 (ko) 2003-09-30 2003-09-30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67A (ko) * 2001-03-15 2002-09-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에서 진동을 이용한 이중 액정화면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20030051025A (ko) * 2001-12-20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기능을 부여한 안테나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67A (ko) * 2001-03-15 2002-09-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에서 진동을 이용한 이중 액정화면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100374573B1 (ko) 2001-03-15 2003-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에서 진동을 이용한 이중 액정화면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20030051025A (ko) * 2001-12-20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기능을 부여한 안테나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62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43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JP2002016720A (ja) 情報通信装置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KR101009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100375410B1 (ko)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KR1009831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2005003175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WO2004086734A1 (ja) 折畳型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500566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KR10065263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200500698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20027017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JP2002051130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398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고정장치
JP2000324215A (ja) 移動体電話機
KR1004213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KR2004006046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장치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30852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조이스틱장치
KR100403563B1 (ko) 아이디 카드 홀더
KR100400550B1 (ko) 휴대폰의 버튼장치
KR200207680Y1 (ko) 전화음향발신기
KR1004551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잭 개폐장치
JP2002328750A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