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80Y1 - 전화음향발신기 - Google Patents

전화음향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80Y1
KR200207680Y1 KR2019980008143U KR19980008143U KR200207680Y1 KR 200207680 Y1 KR200207680 Y1 KR 200207680Y1 KR 2019980008143 U KR2019980008143 U KR 2019980008143U KR 19980008143 U KR19980008143 U KR 19980008143U KR 200207680 Y1 KR200207680 Y1 KR 20020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elephone
circuit board
sound transmitter
electron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330U (ko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오 filed Critical 김종오
Priority to KR2019980008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8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음향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전화음을 방출시켜 전화를 거는 전화음향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자면, 전화기의 송화기로 전화음향발신기의 스피커를 눌러 스피커를 통한 전화음이 송화기에 직접 전달되게 하므로서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화음향발신기를 소형화시키는 동시에 연필이나 메모지를 꽂을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부가시키므로서 전화음향발신기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킴은 물론 이의 필요성을 크게 부각시킨 전화음향발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11)의 적소에 설치홈부(11a)를 형성한 다음, 상기 설치홈부(11a)에 스피커(13)가 구비된 스피커캡(11b)을 상하로 동작되게 탄설하되, 상기 스피커캡(11b)을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12)과 접촉 또는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음향발신기
본 고안은 전화음향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전화음을 방출시켜 전화를 거는 전화음향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면 수화기를 든 상태에서 전화기에 배열된 전화버튼을 눌러 전화를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적인 전화는 소망하는 곳에 전화를 걸기 위해서 7개 이상의 전화번호 버튼을 눌러야 할 뿐만 아니라 구입이나 상담을 목적으로 전화번호를 모르는 곳에 전화를 하고자 할 시에는 전화광고부를 찾아 7개 이상의 전화번호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극히 번거롭다.
그래서, 근자에는 복수의 광고전화가 입력된 전화음향발신기가 사용되는데, 이 전화음향발신기는 전화번호마다 고유의 음향을 가진 것을 이용한 것으로 하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화음향발신기의 전자회로기판에 미리 입력된 다수의 전화음이 스피커로 방출되며 이때 스피커와 근접된 수화기가 이 전화음들을 인식, 판별하여 전화를 걸게 된다.
이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부연하자면, 소정형상의 본체(1)가 형성되고, 본체(1)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전자회로기판과 대응되는 복수의 버튼(2)이 설치되고, 그 일측에 스피커(3)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각 버튼(2)의 일측에는 전화번호 및 상호 등이 인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음향발신기는 한 손으로 전화기의 송화기 부분을 스피커(3)에 밀착시킨 다음, 다른 한 손으로 전화하고자 하는 버튼(2)을 눌러 전화를 거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소 큰 전화음향발신기에 많은 버튼(2)이 있기 때문에 이의 제작단가가 높음은 물론이고 이의 설치위치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전화음향발신기가 전화를 거는 외에 다른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전화번호만 있을 시에는 무용지물이 되어 폐기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송화기로 전화음향발신기의 스피커를 눌러 스피커를 통한 전화음이 송화기에 직접 전달되게 하므로서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화음향발신기를 소형화시키는 동시에 연필이나 메모지를 꽂을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부가시키므로서 전화음향발신기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킴은 물론 이의 필요성을 크게 부각시킨 전화음향발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화음향발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또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 11a : 설치홈부
11b : 스피커캡 12 : 전자회로기판
13 : 스피커 15 : 제1전극편
16 : 제2전극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전화음이 내장되는 전자회로기판과, 이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전화음이 방출되는 스피커가 구비된 전화음향발신기에 있어서, 본체의 적소에 설치홈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설치홈부에 스피커가 구비된 스피커캡을 상하로 동작되게 탄설하되, 상기 스피커캡을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과 접촉 또는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피커캡이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하되, 설치홈부의 일측에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된 제1전극편을 설치하고, 상기 제1전극편의 직하부에 역시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된 제2전극편을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스피커캡이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하되, 설치홈부에 스피커캡이 수직으로 슬라이드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스피커의 하단부에 제1전극편을 형성하여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된 제1전극편과 대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소정의 형상으로 본체(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전자회로기판(12)이 고정되며, 상기 본체(11)의 상부면 일측에 소정깊이의 설치홈부(11a)가 형성된 다음, 상기 설치홈부(11a)에 스피커캡(11b)이 일측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캡(11b)의 하부에서 그 상부로 스피커(13)가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부(11a)의 내부 일측에 전자회로기판(12)과 전선(14)으로 연결된 전도재질의 제1전극편(15)이 설치되어 스피커캡(11b)에 의해 상,하로 동작되며, 상기 제1전극편(15)의 직하부에는 전자회로기판(12)과 결합된 제2전극편(16)이 설치되어 제1전극편(15)과 대응된다. 즉, 상기 스피커캡(11b)을 수화기로 누르게 되면 도 4와 같이 스피커캡(11b) 하단의 누름부(11c)가 제1전극편(15)을 누르게 되고, 이때 제1전극편(15)이 제2전극편(16)에 접촉되어 스피커(13)로 전화음이 방출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음향발신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1)의 설치홈부(11a) 양측에 안내장공(11d)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원통형상의 스피커캡(11b) 양측에 안내장공(11d)에 걸려 슬라이드되는 걸림턱(11e)이 형성되며, 스피커캡(11b)의 하단과 설치홈부(11a)의 바닥면 사이에 스프링부재(11f)가 탄설되어 스피커캡(11b)의 상단이 본체(11)의 상방으로 다소 돌출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캡(11b)의 중앙 하단부에 전자회로기판(12)과 연결된 제1전극편(15)이 설치되어 전자회로기판(12)에 설치된 제2전극편(16)과 대응된다.
한편,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연필이나 메모를 꽂을 수 있는 꽂이부(17)가 형성되며, 이외에도 상기 스피커부분을 볼펜과 같은 필기구의 일단에 설치하여도 본고안에 포함되며, 상기 스피커가 본체(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전화음향발신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면, 도 4와 같이 전화기의 송화기로서 본체(11)의 상방으로 돌출된 스피커캡(11b)을 누르게 되는데, 스피커캡(11b)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강하면서 제1전극편(15)을 누르게 되고, 이 제1전극편(15)은 그 하방으로 탄압되면서 그 직하부에 위치한 제2전극편(16)을 누르게 되며, 이때 전자회로기판(12)에 입력된 전화음이 스피커(13)를 통해 송화기로 전달되어 전화가 걸리게 된다.
전화가 걸린 상태에서 송화기를 스피커캡(11b)으로부터 해제시키게 되면 제1전극편(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피커캡(11b)이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화기의 송화기로서 전화음향발신기의 스피커캡(11b)을 한 번의 동작으로 연결시키므로서 매우 간편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전화음향발신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면, 전화기의 송화기로서 본체(11)의 상방으로 돌출된 스피커캡(11b)을 누르게 되는데, 스피커캡(11b)이 설치홈부(11a)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스프링부재(11f)가 탄압되며, 스피커캡(11b)의 단부에 설치되어진 제1전극편(15)은 전자회로기판(12)과 연결된 제2전극편(16)을 누르게 되고, 이때 전자회로기판(12)에 입력된 전화음이 스피커(13)를 통해 송화기로 전달되어 전화가 걸리게 된다.
전화가 걸린 상태에서 송화기를 스피커캡(11b)으로부터 해제시키게 되면 스프링부재(11f)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피커캡(11b)의 제1전극편(15)이 제2전극편(16)과 분리되면서 그 임무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본체(11)에 꽂이부(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연필과 같은 필기구나 메모지를 보관하므로서 전화음향발신기의 이용을 극대화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의 송화기로 전화음향발신기의 스피커(13)를 눌러 스피커(13)를 통한 전화음이 송화기에 직접 전달되게 하므로서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화음향발신기를 소형화시키는 동시에 연필이나 메모지를 꽂을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부가시키므로서 전화음향발신기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킴은 물론 이의 필요성을 크게 부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소정형상의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전화음이 내장되는 전자회로기판과, 이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전화음이 방출되는 스피커가 구비된 전화음향발신기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11)의 적소에 설치홈부(11a)를 형성한 다음, 상기 설치홈부(11a)에 스피커(13)가 구비된 스피커캡(11b)을 상하로 동작되게 탄설하되, 상기 스피커캡(11b)을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12)과 접촉 또는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음향발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캡(11b)이 그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12)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하되, 설치홈부(11a)의 일측에 전자회로기판(12)과 연결된 제1전극편(15)을 탄설하고, 상기 제1전극편(15)의 직하부에 역시 전자회로기판(12)과 연결된 제2전극편(16)을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음향발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캡(11b)이 직하부의 전자회로기판(12)과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하되, 설치홈부(11a)에 스피커캡(11b)이 수직으로 슬라이드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스피커(13)의 하단부에 제1전극편(15)을 형성하여 전자회로기판(12)과 연결된 제1전극편(16)과 대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음향발신기.
KR2019980008143U 1998-05-18 1998-05-18 전화음향발신기 KR20020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143U KR200207680Y1 (ko) 1998-05-18 1998-05-18 전화음향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143U KR200207680Y1 (ko) 1998-05-18 1998-05-18 전화음향발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30U KR19990041330U (ko) 1999-12-15
KR200207680Y1 true KR200207680Y1 (ko) 2001-01-15

Family

ID=6951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143U KR200207680Y1 (ko) 1998-05-18 1998-05-18 전화음향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5476A (zh) * 2021-09-26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30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KR100770921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US7355590B2 (en) Keymat
EP1583332B1 (en) Mobile station with sound speaker
US8218954B2 (en) Fragrant electronic device
KR20030058623A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US4736411A (en) Telephone instrument
KR200700143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KR200207680Y1 (ko) 전화음향발신기
JP4048117B2 (ja) ケース
JP4171654B2 (ja) 携帯通信装置のケース
KR100792585B1 (ko) 키 입력장치
KR10022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 버튼구조
CN212889491U (zh) 一种微型打印机
KR100383616B1 (ko)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286433B1 (ko) 유선전화기
CN2588692Y (zh) 具有激光笔的多功能笔式手机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KR100357318B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70096116A (ko) 입력장치 및 그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265072Y1 (ko) 패드형 전화기
JPS63293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