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794B1 -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 - Google Patents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794B1
KR101008794B1 KR1020030086603A KR20030086603A KR101008794B1 KR 101008794 B1 KR101008794 B1 KR 101008794B1 KR 1020030086603 A KR1020030086603 A KR 1020030086603A KR 20030086603 A KR20030086603 A KR 20030086603A KR 101008794 B1 KR101008794 B1 KR 10100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power reserve
coil
rotor
displa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830A (ko
Inventor
장-자즈 본
Original Assignee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04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8Mounting, assembl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04C10/04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with means f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the pow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럴(1), 배럴(1)에 내장된 스프링(1a), 상기 배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시간 디스플레이 부재(5), 상기 배럴에 또한 연결된 전력 제너레이터(2), 그리고 상기 제너레이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예속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 회로(6)를 포함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6)는 스위칭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제너레이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보다 크다는 것을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가 감지하면 제동 구간 동안 상기 제너레이터를 전기적으로 제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7)이 배열된다. 상기 제동 구간 동안 액츄에이터 수단(10)과 제너레이터 간 전기적 연결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량(G2)을 통해,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power reserve) 디스플레이 부재(11)의 액츄에이터 수단(10)을 상기 제너레이터가 제어한다.

Description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TIMEPIECE WITH POWER RESERVE INDICATION}
도 1은 공지 기술에 따른 시계의 도식화된 블록도표.
도 2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도식화된 블록도표.
도 3A, 3B, 3C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어도.
도 4A, 4B는 액츄에이터 수단의 한 실시예 도면.
도 5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장치의 단면도.
도 6A, 6B, 6C는 스프링 감김의 함수로 액츄에이터 수단에 사용되는 자화 회전자의 움직임 도면.
도 7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수단의 변형 도면.
본 발명은 파워 리저브(power reserve) 표시가 제공되는 제너레이터를 가진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계는 스프링을 가진 배럴(barrel)을 포함한다. 시간 디스플레이 부재들은 배럴에, 그리고 전력 제너레이터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레귤레이터 회로가 제너레이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에 예속시키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레귤레이터 회로는, 제너레이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보다 크다는 것을 레귤레이터 회로가 감지할 때, 제동 구간 동안 제너레이터를 전기적으로 제동시키기 위해 배열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이러한 시계는 공지 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고, 특히 EP 0 762 243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시계는 수동식이나 자동식으로 감기는 스프링(1a)을 내장한 배럴(1)에 의해 형성되는 기계적 에너지 소스를 포함한다. 이때, 태엽 장치(winding device)는 도시되지 않는다.
배럴(1)은 기어 트레인(3)을 통해 전기 제너레이터(2)의 자기식 회전자(2a)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너레이터(2)는 한개 이상의 코일(2b)을 포함하며, 자기식 회전자(2a)가 회전할 때 화살표로 표시된 자기장이 발생하여 이 코일(2b)로부터 교류 전압(Ug)이 발생된다.
코일(2b)의 단자들은 레귤레이터 회로(6)에 전력공급을 위해 정류 전압 Ua을 출력부에서 공급하는 정류기(4)에 연결된다.
시간 표시장치(5)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부재들인 시계바늘 세트나 그 외 다른 기존 기계식 시간 디스플레이 수단들은 기어 트레인(3)을 통해 배럴(1)에 연결되며, 회전자(2a)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시계바늘(5)의 회전속도는 레귤레이터 회로(6) 때문에 일정 평균값으로 유지되며, 이는 기준 주파수에 제너레이터 주파수를 예속시키기 위함이다. 그래서, 시계바늘 속도가 정확한 시간 표시를 얻는 데 필요한 속도에 해당하게 된다.
이 레귤레이터 회로(6)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당출원인의 스위스특허출원 686,332 호의 설명을 참고함으로서 이러한 예속 장치를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회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본질적 요소들과 작업을 여기서 다시 돌이켜볼 것이다.
이 레귤레이터 회로(6)는 발진기(6a)와 주파수 디바이더(6b)를 포함하며, 상기 발진기(6a)는 시계형 쿼츠(clockwork type quartz)에 의해 안정화되고, 상기 주파수 디바이더(6b)는 시간 표시부(5)의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한 정확한 시간 표시에 해당하는 기준 주파수의 레벨로 그 주파수를 조절할 목적으로 제너레이터(2)를 제동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같은 스위칭 부재(7)를,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로직 회로(6c)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주파수로 발진기(6a) 주파수를 조정한다.
이 특허 문서에 따른 시계는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9)를 또한 포함한다. 이 장치는 추가적인 주파수 디바이더(9b)를 이용하여 지정 시간 구간 동안 일련의 제동 신호(8)를 계산하는 카운터(9a)를 포함한다. 카운터(9a)의 출력에 메모리(9c)가 연결되어, 지정 시간 구간동안 카운팅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출력에서는, 칼라 스트립 또는 액정 셀을 이용하여 달성되는 파워 리저브(17)의 증분 디스플레이 수단(9e)에 대한 제어 신호로 저장 데이터를 변환하는 디코더(9d)가 연결된다. "증분 디스플레이 수단"은 측정 또는 연산 중인 양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표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수단(9e)을 의미한다.
제너레이터를 가진 시계의 한가지 주된 장점은 종래의 기계식 시계 움직임 이용이 쿼츠 정확도와 조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EP 0 762 243 호에 추천된 해법이,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하지만, 레귤레이터 회로 작업에 요구되는 사항에 추가하여, 전자식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파워 리저브에 대한 증분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추가적인 전자식 소자들은 전자식 회로의 전역적 소모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서, 시간 표시의 정확도에 이롭지 못하다고 증명될 수 있다.
더욱이, 기존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를 통합시키는 한가지 해법은 제너레이터의 동작 중, 특히, 제너레이터의 제동 구간 중 상기 표시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공지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시계의 전력 소모 증가없이 제너레이터 동작에 링크된 표시 장치를 이용하면서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은 서두에서 규정한 종류의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제너레이터가 제동 구간 동안 액츄에이터 수단과 제너레이터간 전기적 연결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량을 통해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수단을 포함한다.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 수단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고, 고정자를 통해 제너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정자는 회전자에 자기식으로 또한 연결되어, 감긴 스프링 위치에 해당하는 제 1 위치와 풀려진 스프링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를 이동시킨다.
도 2에서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단순화된 블록도표가 도시된다. 공지 기술의 도 1에서 제시된 소자들과 동일한 소자들이 눈에 띄기도 한다. 이는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그 도면부호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제너레이터 주파수가 지정 기준 주파수보다 크다는 것을 레귤레이터 회로(6)가 감지할 때, 제너레이터(2)는 제동 구간 동안 제동된다. 도 3A에 도시되는 제너레이터의 코일(2b) 단자간 전압 Ug는 교류 전압으로서, 코일의 제동 구간은 f1, f2, f3로 표시되는 구역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제너레이터 제동 구간 동안, 파워 리저브와 연계되는 (도 3B의) 전기량 G1 형태로 코일(2b)에서 에너지가 소산된다. 게다가, 제너레이터가 자주 제동될 경우, 평균 소산 에너지가 상당하며, 이는 나머지 파워 리저브가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으로, 제너레이터가 가끔 제동되면, 평균 소산 에너지가 감소하여 나머지 파워 리저브가 별 의미가 없게 된다.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가 따라서 제공된다.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11)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수단(10)이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에 포함된다. 액츄에이터 수단(10)은 코일(10b)을 포함하는 고정자와 자화 회전자(10a)를 가진 전기제어식 액츄에이터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수단(10)에 대한 명령은 제동 구간 동안 소산되는 전기량 G1에 따라 좌우되는 전기량 G2 형태로 스위칭 수단(7a-7d)을 통해 코일(2b, 10b)간 전기적 결합에 의해 전달된다. 전기량 G2는 추가 코일(10b)을 지나는 전류 I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수단(10)에 전력을 공급할 뿐 아니라, 평균 자기장을 유도시켜서 자화 회전자(10a)를 회전하게 한다.
자화 회전자를 가진 액츄에이터의 특정 예에서, 추가 코일(10b)에서 유도되는 평균자기장이 0이 아님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칭 수단 구현에 있어 여러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며, 이 중 두가지 변형예가 도 2와 7에 각각 예로서 주어진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도 2), 4개의 스위치(7a~7d)를 포함한 H-형 정류기 브리지가 스위칭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3C에 도시되는 형태로 전달되는 전기량 G2를 얻기 위해, 4개의 스위치(7a-7d)는 열린 위치에 놓이며, 추가 코일에 전달되는 전기량은 0이다.
코일(2b)에 제동이 가해지면, 전기량 G1의 교류 양음 변환이 구분될 수 있다. 전기량 G1의 양의 구간 중, 스위치(7a, 7b)는 닫힌 위치로 동시에 스위칭되며, 반면, 스위치(7c, 7d)는 열린 위치로 동시에 스위칭된다. 상기 전기량 G1의 음의 구간 중, 스위치(7a, 7b)는 열린 위치로 동시에 스위칭되며, 스위치(7c, 7d)는 닫힌 위치로 동시에 스위칭된다. 이와는 반대로 스위치들을 스위칭시키는 것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스위칭 수단(7a-7b, 7c-7d)에 공급되는 반대의 명령은 인버터(8a, 8b)를 통해 얻어진다.
최종 전달되는 전기량 G2가 도 3C에 도시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전기량 G2는 제너레이터 제동 구간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구간이 지속되는 전체 시간 동안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수단을 이용하여, 추가 코일(10b)에 양의 구간 또는 음의 구간만이 전달된다.
제너레이터 코일(2b)에 어떠한 제동도 가할 필요가 없을 경우, 두 개의 스위치가 열린 스위치로 스위칭된다.
코일(2b)에 제동이 가해지면, 전기량 G1의 교류 양음 변환이 또한 구분된다. 양의 구간 중, 스위치 중 하나가 닫힌 위치로 스위칭되며, 다른 하나는 열린 위치로 스위칭된다. 음의 구간 중에는 스위칭이 역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르면, 전달되는 전기량 G2가 제동 구간 동안, 채택된 연결 방식에 따라 좌우되는 양의 구간, 또는 음의 구간 동안 파워 리저브에 관한 데이터만을 제공한다.
이 측면에서,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전기량 G2가 제동 구간 동안 전달된다. 즉, 이 구간이 지속되는 전체 시간 동안 전달될 필요는 없고, 양의 구간처럼 어떠한 구간에서만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형예가 스위칭 수단에 대해 어떻게 구현될지라도, 자화 회전자(10a)는 감긴 스프링 위치(제 1 위치)로부터 풀린 스프링 위치(제 2 위치)까지 디스플레이 부재(11)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의 상세한 작업은 도 4~6을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4A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어식 액츄에이터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수단은 (특히 원형의) 공동(13)을 지닌 고정자(12)에 고정되는 코일(10b)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하며, 따라서, 물질(12c, 12d)의 제약 구역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2 고정자 부분(12a, 12b)의 윤곽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고정자 부분(12a, 12b)은 코일이 전력을 공급받을 때, 즉, 제너레이터의 제동 구간에서, 두 반대 자기 극성(N과 S)을 형성한다. 이 측면에서, 고정자는 투자율이 높은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공동(13)은 그 둘레에서 대각선상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넥(neck)(14a, 14b)을 가진다. 두 개의 넥(14a, 14b)을 연결하는 지름을 따라 형성되는 축 D는 고정자(12) 길이 방향으로 규정된 축 E와 가령, 45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액츄에이터(10)에 또한 포함되는 자화 회전자(10a)(원형이 선호됨)는 고정자(12)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13)을 중심으로 하며, 샤프트(15)와 함께 회전하도록 샤프트(15)에 고정된다. 자화 회전자(10a)의 자극(N과 S)은 소위 회전자 아이들 위치(rotor idle position)로 도시된다.
"회전자 아이들 위치"(도 6C)는 회전자의 코일(10b)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즉, 코일의 평균 유도 자기장이 0이 될 때, 회전자(10a)가 취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아이들 위치는 특히, 넥(14a, 14b) 위치와 고정자(12)의 형태 및 크기에 의해 규정된다. 고정자(12)에 대한 자화 회전자(10a)의 회전은 도 6A~6C에 상세하게 주어진다.
도 4B는 도 4A의 액츄에이터(10)에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되지 않는 회전자가 샤프트(15) 상에 장착되고, 샤프트(15)는 톱니형 구동 휠(16)과 함께,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를 위한 구동 휠 세트를 형성한다. 도 6A-6C를 들어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용한 파워 리저브 표시 각도가 60도 수준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되는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를 구동시키는 샤프트(18) 상에 장착되어 구동 휠(16)과 맞물린 톱니형 기어 변형 휠(17)에 의해 형성되는 기어 변형 휠 세트가 제공된다. 구동 휠(16) 톱니 수와 기어 변형 휠(17) 간의 비는 2 내지 3이 적절하고, 이로 인해, 60도의 유용한 각도를 위해 디스플레이 각도가 120도 또는 180도가 가용할 경우,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를 위해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태엽 메커니즘의 과도한 조작이나 쇼크 때문에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가 디스플레이 각도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표시 부재 보호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속이 빈 섹터(20)를 가진 기어 변형 휠이 사용되어(선호됨), 단일 정지 부재(19)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 1, 2 지지 표면(21a, 21b)을 형성한다. 이 속이 빈 섹터(20)는 중심에서 120도의 각도를 이룬다(바람직함). 지지 표면(21a, 21b)이 정지 부재(19)와 접촉하는 두 단부 위치는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의 두 단부 위치에 대응한다. 즉, 스프링이 감긴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스프링이 풀린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에 대응한다.
다른 정지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시계 다이얼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의 어느 쪽에도 위치하는 마개(stud)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A와 4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플레이트(22)는 고정자(12) 및 코일(10b)과 샤프트(15, 18)를 위한 지지체로 작용하며, 샤프트(15, 18) 위에는 톱니형 구동 및 기어 변형 휠(16, 17)이 각각 장착된다. 상부 브리지(23)는 정지 부재(19)를 고정시킨다. 시계 다이얼 안에 위치하는 상부 브리지 내의 구멍을 샤프트(18)가 통과하며, 그 위에는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11)가 적절한 크기로 장착된다. 물론, 구멍을 통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어 디스크가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외 다른 적절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A, 6B, 6C는 시계 배럴에 내장된 스프링 감김의 함수로 고정자에 대한 자화 회전자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이 움직임은 고정자 형태로 인해 회전자와 고정자간에 존재하는 위치설정 토크나 결합 및 제동 구간 동안 전달되는 전기량으로 인해 고정자(12)와 회전자간에 존재하는 평균 자기 결합간 반작용에 의해 규정되는 자기 평형의 위치 변화에 대응한다. 이때, 고정자의 투자율은 매우 높다.
도 6A는 스프링이 완전히 감겼을 때 자화 회전자(10a)의 초기 위치에 해당한다. 제너레이터는 동작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감소시키기 위해 스위칭 수단에 의해 자주 제동된다. 제동 구간 동안, 코일(10b)은 제너레이터의 코일(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일(2b)은 고정자(12)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인 평균 유도 자기장은 고정자를 자기 다이폴과 동화시키며, 이때, 제 1 고정자 부분(12a)은, 가령, 자극 N에 대응하고, 제 2 고정자 부분은 자극 S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고정자 부분(12a)의 N극은 자화 회전자(10a)의 S극을 당긴다. 이 위치설정으로 인한 토크가 고정자와 회전자간의 이러한 자기 토크에 반하지만, 그 결과는 자화 회전자(10a)를 도 6C의 아이들 위치로 당기는 것이다. 회전자의 이 위 치는 자기 평형 위치에 의해 부여된다.
도 6B는 스프링이 어느 정도 풀린 중간 위치를 도시한다. 제너레이터에 가해지는 제동은 앞서보다 빈도가 적으며, 고정자의 평균 자기 다이폴이 앞서보다 덜 크다. 따라서, 자화 회전자(10a)의 자기 평현 위치는 도 6A에 규정된 최초 위치와 도 6C에 규정된 아이들 위치 사이다. 회전자는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C는 자화 회전자(10a)의 아이들 위치를 도시한다. 즉, 스프링이 풀렸을 때, 또는 제너레이터가 기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제너레이터가 전혀 제동받지 않는 위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고정자와 회전자가 자기 토크는 0이고, 따라서, 회전자의 자기 평형 위치는 위치설정 토크에 더 이상 좌우되지 않으며, 이때 회전자는 고정자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좌우되는 아이들 위치에 놓인다. 이를 위해, 고정자는 원형 공동(13)의 주변부 상에 구현되는 넥(14a, 14b)과 물질(12c, 12d)의 제약 구역을 가진다. 따라서, 아이들 위치는 자화 회전자의 N-S 축과 고정자의 E 축 사이에 대략 8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두개의 아이들 위치가 실제로 존재하며, 이 두 위치는 반대 극성을 가진다. 즉, 180도 만큼 격차를 가진다. 따라서 자석은 파워 리저브 표시 장치가 조립될 때 도시되는 위치로 임의적으로 위치한다.
추가 사항으로서,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가, 특히 기어 트레인에 관하여, 시계 움직임에 사용되는 오일의 연령(age)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이 파워 리저브 표시 부재는 스프링이 완전히 감겼을 때 최대 보유량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 부재는 교체를 위해 오일 연령 표시자로 사용되기도 할 것이다(바람직함).
안정성 증가를 위해 표시 장치에 점성 오일이 사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더욱이, 발명에서 제공되는 제너레이터는 본 출원인 명의의 EP 1 109 083 호의 도 1에서 규정된 제너레이터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너레이터는 직렬로 연결된 평평한 세 개의 코일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배열되는 두개의 플랜지(flange)를 가지는 회전자를 포함하여 고정자를 형성하고, 회전자에 대한 동일 수직면에서 회전자축에 대해 서로로부터 120도만큼 이격된다. 6개의 자석들이 각각의 플랜지 상에서 규칙적 간격으로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며, 코일에 면한다. 두 일련의 자석의 극성은 서로 반대이다.
제너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예속되는 주파수에서 발진 움직임을 발생시키도록 배럴 스프링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너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제시되는 두가지 변형에 따르는, 액츄에이터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첫 번째 변형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 수단은 제동 구간시 스위칭 수단(도 2)을 통해 제너레이터 코일에 연결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이때, 철-니켈 합금이나 강철-황동 계열 합금의 조합 등처럼 강자성체가 배열된다. 제동 구간에서, 코일은 파워 리저브에 의존하는, 제너레이터에 의해 전달된 전기량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유도된 자기장은 이 전기량에, 따라서, 파워 리저브에 좌우되는 것으로서,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에 의한 강자성체 변형 효과를 가진다. 이 강자성체 변형은 적절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파워 리저브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두 번째 변형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 수단은 제너레이터 제동 구간시 제너레이터 코일에 직렬 연결되는 형상 기억 합금의 도선을 포함한다. 형상 기억 합금은 두개의 다른 형태, 즉, 고온 형태와 저온 형태를 얻을 수 있고, 이 두 형태는 제동 구간 시에 전달되는 전기량에 의해 부여된다. 이는 이 종류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상기 도선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인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합금은 CuZnAl, TiNi, 그리고 CuAlNi 이다. CuAl 합금에 베릴륨을 첨가함으로서, 훨씬 낮은 변형 온도를 얻을 수 있고, 그러면서도 고온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Claims (9)

  1. 배럴(1), 배럴(1)에 내장된 스프링(1a), 상기 배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시간 디스플레이 부재(5), 상기 배럴에 또한 연결되는 전력 제너레이터(2), 그리고 상기 제너레이터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예속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 회로(6)를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6)는 스위칭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제너레이터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보다 크다는 것을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가 감지하면 제동 구간 동안 상기 제너레이터를 전기적으로 제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7)이 배열되며,
    상기 제동 구간 동안 액츄에이터 수단(10)과 제너레이터 간 전기적 연결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량(G2)을 통해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11)의 액츄에이터 수단(10)을 상기 제너레이터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이 감긴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에서부터 스프링이 풀린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까지 상기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의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10)이 디스플레이 부재(11)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는 하나 이상의 코일(2b)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은 추가 코일(10b)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과 상기 제너레이터간의 상기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동 구간에서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는 상기 스위칭 수단(7a, 7b, 7c, 7d)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구간 동안, 상기 파워 리저브와 연계되는 전기량(G1)의 형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2b)에서 에너지가 소산되고, 상기 전기량(G1)은 교류이며, 정류된 전기량(G2)을 상기 추가 코일(10b)에 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7a, 7b, 7c, 7d)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수단(10)은 상기 추가 코일(10b)을 포함하는 고정자와 자화 회전자(10a)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제어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10a)는 상기 고정자에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자(12)는 두개의 네크(14a, 14b)가 배열될 원형 공동(13)을 가지며,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는 회전자(10a)의 유용한 각도가 60도이도록 상기 원형 공동(13)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0a)는 속이 빈 섹터(20)를 가진 기어 변형 휠(17)을 포함하는 기어 변형 휠 세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11)에 연결되며, 상기 휠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섹터(20)에 정지 부재(19)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 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부재에 의한 파워 리저브의 안정적 표시를 얻기 위해 점성 코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파워 리저브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시계의 오일 연령에 관한 표시사항을 또한 제공하며, 이때, 스프링이 감긴 위치가 약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20030086603A 2002-12-04 2003-12-02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 KR101008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050/02 2002-12-04
CH20502002 2002-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30A KR20040048830A (ko) 2004-06-10
KR101008794B1 true KR101008794B1 (ko) 2011-01-14

Family

ID=3239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603A KR101008794B1 (ko) 2002-12-04 2003-12-02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26124B2 (ko)
JP (1) JP4520728B2 (ko)
KR (1) KR101008794B1 (ko)
CN (1) CN1005046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2536T2 (de) * 2003-12-16 2007-11-22 Asulab S.A. Elektromechanische Uhr, die mit einer Gangreserveanzeige ausgerüstet ist
EP1562086B1 (fr) * 2004-02-04 2011-11-23 Vaucher Manufacture Fleurier S.A. Mécanisme indicateur de réserve de marche
JP4619818B2 (ja) * 2005-02-22 2011-01-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パワーリザーブ表示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時計
CH697273B1 (fr) * 2006-07-26 2008-07-31 Detra Sa Dispositif d'échappement électromécanique et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tel dispositif
CH707340A2 (fr) * 2012-12-11 2014-06-13 Richemont Internat Ltd Organe régulateur pour montre-bracelet.
EP2765705B1 (fr) * 2013-02-07 2015-08-1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Résonateur thermocompensé par un métal à mémoire de forme
TWI609259B (zh) * 2014-01-08 2017-12-21 宏碁股份有限公司 充電指示裝置及其方法
JP7297465B2 (ja) 2019-02-22 2023-06-26 株式会社東芝 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982208B1 (fr) * 2020-10-08 2023-05-0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uralite de generatrices adaptees a une application horloge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86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Instr Inc ぜんまい動力蓄積量表示付き機械式時計
JPH0954173A (ja) * 1995-08-10 1997-02-25 Asulab Sa 駆動力残量表示器を備えた時計
JP2003255057A (ja) 2002-03-06 2003-09-10 Seiko Epson Corp 電子制御式機械時計、電子制御式機械時計の制御方法、電子制御式機械時計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5257431A (ja) 2004-03-11 2005-09-22 Seiko Epson Corp ぜんまい残量表示機構および時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2394A (fr) * 1963-07-20 1965-01-29 Omega Brandt & Freres Sa Louis Indicateur de réserve de marche dans une montre
CH665082GA3 (ko) * 1986-03-26 1988-04-29
JPH01250089A (ja) * 1987-12-14 1989-10-05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CH686332B5 (fr) * 1994-04-25 1996-09-13 Asulab Sa Pièce d'horlogerie mué par une source d'énergie mécanique et régulée par un circuit électronique.
FR2748583B1 (fr) * 1996-05-07 1998-06-26 Asulab Sa Stabilisation d'un circuit electronique de regulation du mouvement mecanique d'une piece d'horlogerie
DK0848842T3 (da) * 1996-06-26 1999-11-08 Konrad Schafroth Urværk
FR2752070B1 (fr) * 1996-08-01 1998-09-18 Asulab Sa Piece d'horlogerie electronique comportant une generatrice entrainee par un barillet a ressort
JP3598761B2 (ja) * 1997-09-26 2004-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制御型機械式時計
JP3496544B2 (ja) * 1998-04-17 2004-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ゼンマイ装置および時計
DE69940779D1 (de) 1999-12-07 2009-06-04 Asulab Sa Mit einem Generator ausgerüstetes Uhrwerk
TW505834B (en) * 2001-03-20 2002-10-11 Ebauchesfabrik Eta Ag Timepiece including a gen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86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Instr Inc ぜんまい動力蓄積量表示付き機械式時計
JPH0954173A (ja) * 1995-08-10 1997-02-25 Asulab Sa 駆動力残量表示器を備えた時計
JP2003255057A (ja) 2002-03-06 2003-09-10 Seiko Epson Corp 電子制御式機械時計、電子制御式機械時計の制御方法、電子制御式機械時計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5257431A (ja) 2004-03-11 2005-09-22 Seiko Epson Corp ぜんまい残量表示機構および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26124B2 (en) 2004-11-30
US20040109390A1 (en) 2004-06-10
JP4520728B2 (ja) 2010-08-11
CN1504848A (zh) 2004-06-16
KR20040048830A (ko) 2004-06-10
JP2004184412A (ja) 2004-07-02
CN100504669C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445B2 (ja) 電子調整器と連結した機械式ムーブメントを有する時計
JP4630621B2 (ja) 電子調整器と連結した機械式ムーブメントを有する時計
JP5819837B2 (ja) 腕時計のための調速部材およびこのような調速部材を備えた計時器具
KR101008794B1 (ko) 파워 리저브 표시형 시계
US4066947A (en) Stepping motor for electronic timepiece
JP2016511832A (ja) 自動巻き腕時計用の巻き上げデバイス
JP2004514155A (ja) 時計ケース
JP2017173037A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電子時計
TW309670B (ko)
JP2002034214A (ja) 発電機および電子制御式機械時計
US6554468B1 (en) Mechanical timepiece with timed annular balance rotating angle control mechanism
JP3115479B2 (ja) ゼンマイ式発電機を備えた電子制御メカウオッチ
JP6853082B2 (ja) 調速機、電子制御式機械時計、電子機器
JP201805707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回転検出装置、および電子時計
JPH058397B2 (ko)
CN109428521A (zh) 旋转控制装置、电子钟表以及旋转控制方法
WO2000029910A1 (fr) Piece d'horlogerie mecanique a commande electronique
JP4123273B2 (ja) 多機能時計
US3824781A (en) Horological movement employing inductive stepping motor
US2920439A (en) Electrically driven clock, particularly for batteries
EP1048990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echanical timepiece
JPS6225736Y2 (ko)
JP2021148430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装置、ムーブメント、時計及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方法
JP2012098054A (ja) 時計用ステップモータ
JPS58179379A (ja) 電子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