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09B1 -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 Google Patents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09B1
KR101007809B1 KR1020090040969A KR20090040969A KR101007809B1 KR 101007809 B1 KR101007809 B1 KR 101007809B1 KR 1020090040969 A KR1020090040969 A KR 1020090040969A KR 20090040969 A KR20090040969 A KR 20090040969A KR 101007809 B1 KR101007809 B1 KR 10100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pearl
transparent plate
base plate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999A (ko
Inventor
신광민
Original Assignee
신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민 filed Critical 신광민
Priority to KR102009004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개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의 표출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가재장식의 특징은 기재판이 검정색으로 도포되어진 상태에서 특징적인 디자인이 자개로 부착되어짐으로서 정형화되어진 장식만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개장식은 고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를 요구하는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용의 지출에도 불구하고 자개장식의 디자인이 평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단지 자개자체의 화려함만을 추구하게 됨으로 좀더 개선적인 다양한 디자인의 욕구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여 기재판에 표출된 자개장식과 투명판에 표출된 자개장식이 서로 중첩되어지면서 입체감은 물론 이러한 기재판과 투명판의 교환만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는 물론 테마의 구현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자개액자. 입체구현.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 테마구현

Description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The pearl frame to be realized in the three dimentions}
본 발명은 장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개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의 표출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와 자개장식을 이용한 테마연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가재장식은 자개 자체의 화려함으로 장식장이나 또는 별도의 장식을 위한 그림으로 수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개장식의 특징은 기재판이 대부분 옻칠에 의하여 검정색으로 도포되어진 상태에서 특징적인 디자인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진 자개로 부착되어짐으로서 그 자체의 화려함을 연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정형화되어진 것이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장식에 식상할 경우에는 단순한 자개 장식만으로 만족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개장식은 고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는 잦은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자개자체의 특성으로 가공의 곤란성으로 상당히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장식을 위하여 자개장식액자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 러한 자재장식의 액자도 그 형태가 평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단지 자개자체의 화려함만을 추구하게 됨으로 좀더 다양하고 변화가 가능한 자개장식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여 자개장식이 원근감을 갖게 되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가 임의적으로 가능토록 하고, 특히 이러한 변화를 자신만의 테마로 구현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개장식판을 복수의 층으로 적층토록 하면서, 이러한 자개장식판을 수용토록 하는 틀에는 다양한 구조의 변화로 조명수단의 제공은 물론 적층간격의 변화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닥층에는 옻칠에 의한 검정바탕을 갖는 기재판에 표출된 자개장식과 그 상층에 위치되어지는 투명판에 표출된 자개장식이 서로 중첩되어지면서 투명판의 두께에 의하여 또는 두께의 변화에 의하여 또는 틀의 내부에 형성된 스페이서에 의하여 거리를 갖게 됨으로서 입체감은 물론 이러한 기재판과 투명판의 간단한 교환만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의 변화는 물론 자신만의 테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가의 자개장식판을 서로 교환하면서 적층토록 하면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은 물론 거리간격을 조절토록 함으로서 입체적인 감각을 갖게 되어 깊은 산속을 보는 감각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이러한 디자인의 표출을 자신만의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과 동시에 테마연출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구성은 기재판(10)과 그 상층에 적층되어지는 투명판(20)과 이들을 수용하게 되는 틀(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기재판(10)은 카슈칠에 의하여 바탕면(11)은 검정색 또느 밤색을 갖게 되는 것이고, 그러한 검정색 또는 밤색의 바탕에 다양한 자개장식면(12)이 부착된 상태에서 그 상층으로 다시 카슈칠에 의한 코팅층(13)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개장식면(12)은 기재판(10)의 바탕면(11)에서 돌출되어지거나 또는 바탕면(11)과 평면상으로 위치되어지는 것이고, 이럴 경우에는 바탕면에는 바탕면에 부착되어지게 되는 자개장식면의 형태대로 홈이 형성되어야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상층에 밀착되게 또는 이격되어지는 상태로 적층되어지는 투명판(20)은 빛이 투시되어지는 어떠한 형태로 가능한 것이고 반드시 투명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며 그 두께를 달리함으로서 원근감을 달리 표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투명판(20)에도 자개장식면(21)이 부착되어지는 것이고, 부착된 상태에서 코팅층(22)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자개장식면(21)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자개장식면(21)은 기재층(10)의 자개장식면(12)과 동일하지 않은 어떠한 형태 의 디자인이 중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들을 수용하게 되는 틀(30)은 적층된 기재판(10)과 투명판(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턱면(31)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턱면(31)에 다단으로 적층되어지는 기재판(10)과 투명판(20)이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지 않고 약간 이격되게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0)를 중첩토록 함으로서 스페이서(40)는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게 되면서 기재판과 투명판이 이격공간에 의하여 원근감을 나타냄으로서 서로 중첩되어지는 자개장식면(12,21)의 입체감의 구현은 물론 특히 기재판(10)에 형성되는 자개장식면(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30)의 내벽으로는 홈(32)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LED(33)를 장착하여 투명판(20)이나 스페이서(40)가 위치되어진 측면으로 빛을 주사토록 함으로서 투명판(20)의 측면으로 또는 스페이서(40)의 측면으로 빛이 주사되어지면서 부착되어진 자개장식면(12,21)에 아름다음 빛을 발현토록 하게 됨으로서 야간에는 조명수단으로서의 이용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0)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함으로서 스페이서(40)의 측면에서 빛을 주사토록 할 경우에 스페이서(4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재판(10)의 상측에 위치되어지는 투명판(20)의 두께를 달리함으로서 원근감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20)의 표면과 이면에 자개장식면(21,21a)을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토록 함으로서 다층의 자개장식면을 구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층되어진 자개장식면이 이격되어짐으로서 원근감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기재판에 투명판이 중첩되어지는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기재판과 투명판이 틀의 단턱면에 안착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기재판과 투명판이 이격되어지는 일실시예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투명판의 두께를 달리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투명판에 자개장식면이 표면과 이면에 구현된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틀의 측면으로 LED가 장착된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외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재판 11: 바탕면
12: 자개장식면 13: 코팅면
20: 투명판 21: 자개장식면
22: 코팅면
30: 틀 31: 단턱면
32: 홈 33: LED
40: 스페이서

Claims (4)

  1. 바탕면이 검정색으로 이루어지고, 특정위치에 자개장식면이 형성되는 기재판(10)과 그 상층에 일정한 두께를 갖게 되면서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자개장식면이 형성되는 투명판(20)이 적층되고. 적층된 이들을 수용하게 단턱면을 갖는 틀(30)로 이루어져 자개장식면이 원근감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30)의 단턱면에 적층된 기재판(10)과 투명판(20)의 사이에는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게 스페이서(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의 양면에 모두 자개장식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틀(30)의 내벽으로는 홈(32)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LED(33)를 장착하여 투명판(20)이나 스페이서(40)가 위치되어진 측면으로 빛을 주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KR1020090040969A 2009-05-11 2009-05-11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KR10100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69A KR101007809B1 (ko) 2009-05-11 2009-05-11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69A KR101007809B1 (ko) 2009-05-11 2009-05-11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99A KR20100121999A (ko) 2010-11-19
KR101007809B1 true KR101007809B1 (ko) 2011-01-14

Family

ID=4340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969A KR101007809B1 (ko) 2009-05-11 2009-05-11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10B1 (ko) * 2013-10-23 2014-11-03 황상서 입체감이 표현되는 자개제작방법과 이에 따른 입체감이 표현되는 자개
CN105231729A (zh) * 2015-09-21 2016-01-13 苏州新扬塑胶模具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冰箱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760A (ko) * 2003-12-03 2003-12-31 남기열 공기튜브가 내장된 패러글라이더
KR20040102678A (ko) * 2003-05-29 2004-12-08 김종심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97760Y1 (ko) 2005-05-18 2005-10-07 김종옥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78A (ko) * 2003-05-29 2004-12-08 김종심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97760A (ko) * 2003-12-03 2003-12-31 남기열 공기튜브가 내장된 패러글라이더
KR200397760Y1 (ko) 2005-05-18 2005-10-07 김종옥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99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32405S1 (en) Architectural panel with embossed pebble design
USD666933S1 (en) Glow-in-the-dark dial assembly
USD703835S1 (en) Architectural panel with bamboo rings light density embossed surface
CN202294012U (zh) 一种表面装饰膜
USD715478S1 (en) Wall mounted lighting fixture
CN201570216U (zh) 金属板微孔化透光图文的结构
KR101714309B1 (ko) 외장재
JP2016051888A (ja) ケース及びこのケースを備える電子装置
CN102359304A (zh) 塔位箱体改良结构
KR101007809B1 (ko) 입체구현되는 자개액자
CN101877950A (zh) 透光微孔布置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185838B1 (ko) 투명한 다중구조의 벽체마감재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203429823U (zh) 装饰保温墙体
USD663406S1 (en) Heating plate
USD618570S1 (en) Optical emission analyzer
JP3193315U (ja) 納骨壇用扉、納骨壇及びそれを用いた納骨壇列
JP2005074719A (ja) 3次元効果のある装飾板および当該装飾板を用いた立体的な装飾体
CN218383512U (zh) 一种具有局部3d效果的多维度亚克力结构
CN215106237U (zh) 一种具有裸眼3d灯光的景观墙
KR20110068010A (ko) 실내 장식용 벽체
CN212022168U (zh) 一种装饰画
JP4658154B2 (ja) カラーステンドグラスパズルの構造
CN201752992U (zh) 一种具有漂浮视觉效果的玻璃板
JP6958059B2 (ja) 発光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