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132B1 -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홀더 - Google Patents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132B1
KR101006132B1 KR1020067016949A KR20067016949A KR101006132B1 KR 101006132 B1 KR101006132 B1 KR 101006132B1 KR 1020067016949 A KR1020067016949 A KR 1020067016949A KR 20067016949 A KR20067016949 A KR 20067016949A KR 101006132 B1 KR101006132 B1 KR 10100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backflow prevention
blood
needl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791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카이즈미
류스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21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1Caps, stoppers or lids for sealing or closing a blood collection vessel or container, e.g. a test-tube or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73Double-ended needles, e.g. used with pre-evacuated sampling tubes
    • A61B5/150496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doub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72Pierceable protectors, e.g. shields, caps, sleeves or films, e.g.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32Needle holders, for instance for holding the needle by the hub, used for example with double-ended needle and pre-evacuated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혈액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의 증대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기 어려운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제1의 끝부(3b)로부터 제2의 끝부(3c)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내부 유로(3a)를 갖는 통형상체로서의 허브(3)와, 내부 유로(3a) 내에 수납되어 있고,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1의 끝부(3b)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를 갖고, 제2의 끝부(3c)측이 폐쇄된 밑면을 구비한 통형상의 역류방지부재(6)를 구비하고, 역류방지부재(6)의 외주벽이 내부 유로(3a)의 내벽에 액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고정부분보다 제2의 끝부측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6)에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Description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 홀더{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OF BLOOD SAMPLER, LURE NEEDLE, BLOOD SAMPLING NEEDLE AND BLOOD SAMPLING HOLDER}
본 발명은, 혈액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류방지구조,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채혈법 등의 혈액채취 방법에 있어서, 여러가지 채혈 바늘이나 채혈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채혈시에는, 우선, 구혈대를 피채혈자의 팔에 부착한다. 다음에 채혈용 중공바늘의 바늘 끝을 혈관 내에 삽입한다. 채혈용 중공바늘은, 진공 채혈관의 마개체를 꿰뚫는 연통용 중공바늘에 연결되어 있다. 채혈용 중공바늘과 연통용 중공바늘을 접속하는 구조로서는, 내부 유로를 갖는 허브 등의 여러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진공채혈시에는, 상기와 같이 채혈용 중공바늘의 바늘 끝을 혈관에 삽입한 후에, 연통용 중공바늘의 바늘 끝에 의해 진공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킨다. 그것에 의하여, 채혈용 중공바늘과 진공 채혈관 내가 연통되고, 진공 채혈관 내가 감압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이 혈관으로부터 진공 채혈관으로 도입된다.
진공 채혈관 내의 압력과 혈관의 압력이 거의 같아진 시점에서 채혈이 종료된다. 채혈 종료 후에는, 연통용 중공바늘을 진공 채혈관으로부터 뽑고, 구혈대를 뗀다. 그러나, 잘못하여 먼저 구혈대가 떼어지면, 혈관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채혈관 내의 혈액이 혈관측을 향해서 역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채혈관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가 혈관보다 높을 경우에는, 위치 에너지에 의해서도 역류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진공 채혈관 내에는, 항응고제나 약제 등이 수납되어 있는 일이 많다. 따라서, 역류가 생기면, 약제나 항응고제가 혈관측으로 이행하여,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1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채혈 바늘(101)이 개시되어 있다. 채혈 바늘(101)은,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혈관에 삽입되는 제1중공바늘(102)과, 진공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켜서 진공 채혈관 내를 연통하기 위한 제2중공바늘(103)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제2중공바늘(102, 103)은, 제1, 제2중공바늘(102, 103)의 베이스부측에 있어서 허브(104)에 고정되어 있다. 허브(104) 내에는, 내부 유로(104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유로(104a)는, 제1, 제2중공바늘(102, 103)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연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밸브(105)가 내부 유로(104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105)에서는, 복수의 밸브부재가, 연통용의 제2중공바늘(103)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혈액이 내부 유로(104a) 내에 있어서 제1중공바늘(102)측으로부터 제2중공바늘(103)측으로 흐를 때는, 역류방지밸브(105)의 틈이 열려 혈액이 흐른다. 이것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혈액이 흐르려고 했을 경우에는, 선단의 틈이 혈액의 압력에 의해 닫혀져서 혈액의 역류가 방지된다.
한편, 하기의 특허문헌2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채혈 바늘(111)이 개시되어 있다. 채혈 바늘(111)은 허브(112)를 갖는다. 허브(112)는, 일단측에 있어서 혈관에 삽입되는 채혈 바늘에 연통되는 내부 유로(112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유로(112a)의 타단은, 진공 채혈관에 연통되는 중공바늘(11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내부 유로(112a)에 있어서, 혈액이 중공바늘(113)측으로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역방향으로의 혈액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류방지부재(114)가 설치되어 있다. 역류방지부재(114)는, 통형상의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역류방지부재(114)의 선단에는, 절개(114a)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114a)는, 도 18의 하단측에서 보았을 경우, 십자 모양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채혈시에는, 혈류에 의해, 절개(114a)가 열리고, 혈액이 중공바늘(113)측으로 흐른다. 그러나, 혈액이 역류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부재(114)에 있어서 십자 모양의 절개(114a)가 혈액의 힘에 의해 좁혀져서 역류가 방지된다.
하기의 특허문헌3의 제4 도면에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를 사용한 채혈부의 역류방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에 있어서, 채혈 부분의 유로방향 즉 원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축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역류가 생겼을 경우에는, 역류에 의해 슬릿이 닫혀지도록 구성 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3-129111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3-260132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평50-12892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채혈 바늘(101)에서는, 역류방지밸브(105)를 내부 유로(104a) 내에 설치함으로써 역류가 방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역류방지밸브(105)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했을 경우에는, 혈액의 출구가 매우 좁아 역류는 방지되지만, 혈액이 흐를 때에 용혈을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역류방지밸브(105)를 성형에 의해 형성했을 경우, 소형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2에 기재된 채혈 바늘(111)에서는, 선단을 십자 모양으로 컷팅함으로써 십자 모양의 절개(114a)가 형성된 역류방지부재(114)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탄성체에 십자 모양의 절개를 하단측에서 정확하게 절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가공 공정이 많아, 일년에 0.5∼10억개 정도나 소비되는 채혈 바늘에 사용하는 것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또한 채혈 바늘은 1회용 부품이기 때문에, 이러한 십자 모양의 절개를 형성한 역류방지부재(114)를 사용했을 경우, 채혈 바늘의 비용이 높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추가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114a)가 형성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부재(114)는, 고정부재(115a)에 이어지는 통형상부(115b)에 바깥으로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역류방지부재(114)뿐만 아니라, 고정부재(115a)는 통형상부(115b) 등의 복잡한 형상의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서도 비용이 높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3에 기재된 슬릿이 형성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를 사용한 구조에서는, 역류압이 높은 경우에는, 슬릿의 양측의 밸브부분이 역류에 의해 내측으로 밀어넣어져서 슬릿이 개방되어 버려,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여, 채혈시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혈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또한 가공 공정의 증대를 초래하는 않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채혈기구로서,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는, 채혈기구에 있어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구조로서, 제1의 끝부측에서 제2의 끝부측을 향해서 연장되며 또한 혈액이 흐르는 내부 유로를 갖는 통형상체와,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유로 내에 수납되어 있고,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끝부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를 갖고, 제2의 끝부측이 닫혀진 밑면을 구비하는 통형상의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외주벽이, 상기 내부 유로의 내벽에 액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고정되어 있는 부분보다 제2의 끝부측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에 절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소정 특정의 국면에서는,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절개가 적어도 2개소 이상의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다른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가, 상기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또 다른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절개는,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즉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15°∼165°의 범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보다 한정적인 국면에서는, 상기 절개가, 상기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또 다른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절개에 의해 개폐할 때의 힌지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어 바늘은, 채혈시에,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중공바늘과, 본 발명에 따른 루어 바늘은, 상기 중공바늘의 일단에 고정된 허브를 구비하는 루어 바늘로서, 상기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바늘은,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중공바늘과, 상기 중공바늘의 일단에 고정된 허브를 구비하는 채혈 바늘로서, 상기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홀더는, 일단측에 채혈관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이 닫혀져 있는 통형상의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의 타단측에 설치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바늘을 갖는 채혈 홀더로서, 상기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상기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홀더의 소정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홀더 밖으로 연장된 채혈용 중공바늘을 더 구비하고, 상기채혈용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에서는, 제1의 끝부측에서 제2의 끝부측을 향해서 혈액이 흐르는 내부 유로를 갖는 통형상체의 상기 내부 유로 내에 역류방지부재가 수납되어 있고, 이 역류방지부재는,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의 끝부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를 갖고, 제2의 끝부측이 닫혀진 밑면을 구비하는 통형상의 형상을 갖고, 역류방지부재의 외주벽이 내부 유로의 내벽에 액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고정되어 있는 부분보다 제2의 끝부측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에 절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유로 내에 있어서 혈액이 제1의 끝부로부터 제2의 끝부를 향해서 흐를 때는,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부재의 상기 절개가 혈류에 의해 눌려서 열려, 혈액이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역류방지부재는 고무탄성을 갖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개는 무리없이 열리고, 따라서 용혈은 생기기 어렵다.
한편, 제2의 끝부측에서 제1의 끝부측으로 혈액이 역류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혈류의 힘에 의해 상기 절개가 닫혀지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역류방지부재가 고무탄성을 갖고,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류의 힘에 의해 확실하게 절개가 닫혀지게 되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밑면을 구비하는 통형상의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절개를 형성하고, 또한 내부 유로 내에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가공 공정이나 부품수를 그다지 증대시키지 않고, 저렴한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절개가 적어도 2개소 이상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형상체의 내부 유로 내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가 기울어서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개가 통형상체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절개가 개구될 수 없는 경우라도, 나머지의 적어도 하나의 절개가 확실하게 개구되어, 채혈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절개가,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경우에는, 역류가 생겼을 경우에 혈류의 힘에 의해 확실하게 절개 부분이 폐쇄된다. 또한,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역류방지용의 절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 즉, 내부 유로에 있어서의 혈액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15°∼165°의 범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부분이 개구되었을 때에, 개구 면적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이 개구를 통과해서 원활하게 흘러, 혈류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역류방지부재를 사용했다고 해도, 채혈 시간의 원하지 않는 연장을 억제할 수 있다.
절개가,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2의 끝부로부터 제1의 끝부로 혈액이 역류하려고 했을 경우, 역류에 의한 힘에 의해 절개 부분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역류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절개에 의해 개폐할 때에 힌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역류방지부재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얇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절개가 확실하게 개구되어, 채혈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부분만을 얇게 함으로써, 절개를 통해서 대향하고 있는 대향부분의 면적은 충분한 크기로 되므로, 절개 부분이 폐쇄되었을 경우에 양측의 부분이 다소 어긋나서 폐쇄되었다고 해도, 확실하게 절개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어 바늘에서는,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중공바늘과, 중공바늘의 일단에 고정된 허브를 구비하는 루어 바늘에 있어서,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류방지구조에 의해, 루어 바늘에 있어서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수의 증대를 그다지 초래하지 않아, 저렴하게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루어 바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바늘에서는,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혈관이나 혈액이 수납된 용기에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바늘과, 상기 중공바늘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허브를 구비하는 구조에 있어서,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중공바늘이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의 끝부측에서 제1의 끝부측으로, 즉 혈액의 역류가 생겼을 경우에는, 혈류의 힘에 의해 역류방지구조에 형성된 절개가 확실하게 폐쇄되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구조에서는, 가공 공정이나 부품수의 증대를 그다지 초래하지 않고 얻어지므로, 상기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채혈 바늘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 홀더에서는, 홀더 본체의 일단측에 채혈관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이 닫혀져 있으며, 상기 타단에 허브가 설치되어 있고,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바늘이 설치되어 있는 채혈 홀더에 있어서, 허브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채혈부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역류방지구조에 의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수의 증대를 그다지 초래하지 않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며, 또한 안전성이 우수한 채혈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절개의 형상은 상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이들의 형상이어도, 절개가 1개소이어도 좋고, 복수이어도 좋다. 더욱이는 축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도 좋다.
또, 절개의 형상, 수량에 따라 절개량은 적당하게 최적량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채혈 홀더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홀더 밖으로 연장된 채혈용 중공바늘을 더 구비하고, 채혈용 중공바늘이 상기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중공바늘과, 채혈관에의 연결용 중공바늘의 쌍방이 일체화된, 안전성이 우수한 채혈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 및 (b)부분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부분은 채혈 홀더의 정면도, (b)부분은 채혈 홀더에 채혈 바늘을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2(a) 및 (b)부분은 제1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역류방지부재의 사시도 및 혈액에 의해 절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형성되는 절개의 크기의 바람직한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채혈기구를 이용하여 채혈을 행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5(a) 및 (b)부분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의 절개가 개방되어 혈액이 채취되는 상태와, 역류에 의해 절개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각 부분 노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서의 채혈 바늘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실시형태의 채혈 바늘을 채혈 홀더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a) 및 (b)부분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각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a) 및 (b)부분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각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a) 및 (b)부분은 도 9의 (a)부분에 나타낸 루어 바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 부분 노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a) 및 (b)부분은 도 9의 (a)부분에 나타낸 루어 바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 부분 노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실시형태의 루어 바늘의 바람직한 치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 분 노치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1∼4의 루어 바늘을 사용한 역류량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a)∼(c)부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류방지부재의 절개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각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채혈 바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채혈 바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채혈 홀더 2 : 홀더 본체
2a : 개구 2b : 타단
3 : 허브 3a : 내부 유로
3b : 제1의 끝부 3c : 제2의 끝부
4 : 중공바늘 4a : 바늘 끝
5 : 고무 칼집 6 : 역류방지부재
6a : 두꺼운 부분 6b : 본체부
6c : 절개 6d : 플랜지부
6f : 절개 6g : 플랜지부
11 : 중공바늘 11a : 바늘 끝
12 : 바늘 부착부 31 : 채혈 홀더
31a : 개구 31b : 끝면
31c : 암나사 33 : 허브
33a : 내부 유로 33b : 제1의 끝부
33c : 제2의 끝부 34 : 중공바늘
41 : 채혈 바늘 43 : 허브
43a : 내부 유로 43b : 제1의 끝부
43c : 제2의 끝부 44 : 중공바늘
44a : 바늘 끝 45 : 중공바늘
45a : 바늘 끝 51 : 루어 바늘
52 : 고무 칼집 53 : 루어 바늘
54 : 루어 바늘 61 : 루어 바늘
62 : 루어 바늘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명백하게 한다.
도 1의 (a) 및 (b)부분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채혈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다.
도 1(a)부분에 나타내는 채혈 홀더(1)는 원통형상의 홀더 본체(2)를 갖는다. 홀더 본체(2)는, 도 1(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에 개구(2a)를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 채혈관이 개구(2a)로부터 삽입되도록 개구(2a)의 치수가 정해져 있다. 개구(2a)와 반대측의 타단은 폐쇄되어 있고, 상기 타단측에 허브(3) 가 통형상의 홀더 본체(2)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허브(3)는 홀더 본체(2)보다 작은 지름의 통형상부로서, 홀더 본체(2)의 끝면(2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허브(3) 내에는 내부 유로(3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브(3)가 역류방지구조를 구성하는 통형상체에 상당하고, 상기 통형상체 내에 내부 유로(3a)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내부 유로(3a)는, 제1의 끝부(3b)로부터 반대측의 제2의 끝부(3c)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내부 유로(3a)의 제1의 끝부(3b)는 허브(3)의 선단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내부 유로(3a)의 제2의 끝부(3c)에 연통하도록, 중공바늘(4)이 허브(3)에 고정되어 있다. 중공바늘(4)은 선단의 바늘 끝(4a)이 홀더 본체(2) 내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공바늘(4)의 주위에는 고무 칼집(5)이 부착되어 있다.
중공바늘(4)은, 진공 채혈관의 마개체를 꿰뚫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진공채혈시에, 마개체를 중공바늘(4)에 의해 꿰뚫어짐으로써, 채혈관 내와 상기 내부 유로(3a),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채혈 바늘 및 혈관이 연통되게 된다.
고무 칼집(5)은, 유연성을 갖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고, 중공바늘(4)의 선단의 바늘 끝(4a)으로부터의 혈액의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고무 칼집(5)은 바늘 끝(4a)으로 마개체를 꿰뚫을 때에 고무 칼집(5)도 또한 바늘 끝(4a)에 의해 꿰뚫어진다. 그 결과, 고무 칼집(5)이 중공바늘(4)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혈액의 채혈관 밖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무 칼집(5)은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내부 유로(3a) 내에는 역류방지부재(6)가 수납되어 있다. 역류방지부재(6) 는, 도 2(a)부분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면을 구비한 통형상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역류방지부재(6)는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유연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역류방지부재(6)는 대략 원통형상의 형상을 갖고, 개구단 근방에 두꺼운 부분(6a)을 가지며, 두꺼운 부분(6a)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두꺼운 부분(6a)의 아랫쪽에 연결되는 본체부(6b)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6b)에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6c)는, 역류방지부재(6)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개(6c)는, 예를 들면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부재(6)에 커터 등에 의해 절단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개(6c)는, 역류방지부재(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역류방지부재(6)는 개구단, 즉 두꺼운 부분(6a)측이 내부 유로(3a)의 제1의 끝부(3b)측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여기에서, 두꺼운 부분(6a)의 외경은, 내부 유로(3a)의 끝부측의 내경보다 약간 크고, 역류방지부재(6)를 내부 유로(3a)에 압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역류방지부재(6)는, 두꺼운 부분(6a)과는 반대측의 폐쇄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내부 유로(3a)에 삽입되어 압입된다. 그 결과, 두꺼운 부분(6a)의 외주면이 내부 유로(3a)의 내주면에 액밀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역류방지부재(6)를, 내부 유로(3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내부 유로(3a) 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6c)는, 역류방지부재(6)의 내부 유로(3a)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두꺼운 부분(6a)보다 제2의 끝부(3c)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6c)는, 역류방지부재(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부 유로(3a)의 제1의 끝부(3b)와 제2의 끝부(3c)를 연결하는 방향과도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6)를 구성하는 고무 탄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채혈 홀더(1)를 사용한 채혈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상기 역류방지부재(6)가 구비된 역류방지구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채혈시에는, 도 1(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혈 홀더(1)의 허브(3)에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중공바늘(11)을 붙인다. 중공바늘(11)은, 기단측에 통형상의 고정부(12)를 갖는다. 이 고정부(12)가, 허브(3)에 바깥으로 삽입되어서 액밀적으로 허브(3)에 고정된다. 그 결과, 중공바늘(11)의 내부가 내부 유로(3a)에 제1의 끝부(3b)측에 있어서 연통된다.
채혈시에는, 피채혈자의 팔에 구혈대를 장착한다. 다음에 상기 중공바늘(11)을 채혈 홀더(1)의 허브(3)에 고정한 후, 혈관에 중공바늘(11)의 바늘 끝(11a)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혈관(21)을 채혈 홀더(1)의 홀더 본체(2)의 개구(2a)로부터 삽입한다. 채혈관(21)은, 일반적인 진공 채혈관이며, 밑바닥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채혈관 본체(21a)와, 고무탄성을 갖는 마개체(21b) 를 갖는다. 마개체(21b)가 중공바늘(4)에 의해 꿰뚫어진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유로(3a)가 채혈관(21) 내와 연통된다. 채혈관(21) 내는 감압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채혈관(21) 내의 압력과, 혈관 내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혈액이 중공바늘(11)의 내부 유로(3a)측으로 흐른다.
역류방지부재(6)는, 제1의 끝부측을 향해서 개방된 밑바닥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절개(6c)는 도입되어 온 혈액의 압력에 의해 도 2(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된다. 즉, 도 5(a)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즉 제1의 끝부(3b)측으로부터 제2의 끝부(3c)측으로 혈액이 흘러 왔을 경우에는, 절개(6c)가 개구된다. 따라서, 혈액이 역류방지부재(6)의 절개(6c)로부터 아랫쪽으로 흘러, 중공바늘(4)을 거쳐서 채혈관(21) 내에 안내된다.
채혈관(21) 내의 압력과 혈관 내의 압력이 평형에 달하면, 채혈이 종료된다. 따라서, 채혈관(21)을 채혈 홀더(1)로부터 뽑고 채혈을 종료하면 된다. 이 경우, 잘못해서 먼저 구혈대를 떼서, 혈관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채혈관(21) 내에 채취한 혈액이 혈관측으로 역류하려고 해도, 역류는 역류방지부재(6)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된다.
즉, 도 5(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가 생겨 혈액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흘러 왔을 경우에는, 역류방지부재(6)의 하단부분, 즉 제1의 끝부측 부분이 제2의 끝부측을 향해서 밀리게 된다. 그 때문에 절개(6c)가 폐쇄되어 혈액의 역류방지부재(6)보다 제1의 끝부(3b)측으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채혈 홀더(1)를 사용하면, 허브 내에 상기 역류방지 구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역류방지구조에서는, 내부 유로(3a) 내에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부재(6)를 배치하기만 하면 되어, 역류방지부재(6)는 단지 직사각형 원통체에 절개(6a)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공 공정이나 부품수의 증대도 초래하기 어렵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채혈 홀더(1)의 본체(2)에 일체로 설치된 허브(3) 내에 역류방지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역류방지구조는, 여러가지 채혈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을, 도 6∼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의 채혈 홀더(31)와, 루어 바늘(32)이 조합되어, 제1실시형태의 채혈 홀더(1)에 해당하는 구조가 얻어진다. 즉, 채혈 홀더(31)는 제1실시형태의 홀더 본체(2)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단, 개구(31a)와 반대측의 끝면(31b)에는, 채혈 바늘(32)을 부착하기 위한 바늘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늘 부착부는, 외주면에 암나사(31c)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한편, 루어 바늘(32)은, 허브(33)와, 일단이 허브(33)에 고정된 중공바늘(34)을 갖는다. 중공바늘(34)은, 바늘 끝(34a)과는 반대측의 끝부에 있어서, 허브(33)에 고정되어 있다. 또, 허브(33)는 내부 유로(33a)를 갖는다. 내부 유로(33a)는 제1의 끝부(33b)와, 제2의 끝부(33c)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공바늘(34)의 기단은 제2의 끝부(33c)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33)의 아랫쪽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수나사(3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33d)는, 바늘 부착부에 형성된 암나사(31c)에 비틀어 넣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유로(33a)에 있어서는, 제1실시형태의 내부 유로(3a)와 마찬가지로, 역류방지부재(6)가 압입되어 있고, 역류방지부재(6)의 두꺼운 부분(6a)이 액밀적으로 내부 유로(33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채혈 홀더(31)에, 중공바늘(34)측으로부터 루어 바늘(32)을 삽입하고, 상기 수나사(33d)를 암나사(31c)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루어 바늘(32)이 채혈 홀더(31)에 고정된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채혈 홀더(1)와 같은 구조가 얻어진다.
따라서, 도 1(a)부분에 나타낸 중공바늘(11)을 부착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채혈기구는, 도 1에 나타낸 채혈 홀더(1)를, 루어 바늘(32)과, 채혈 홀더(31)로 분할한 구조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는, 채혈관의 마개체를 꿰뚫는 중공바늘(34)을 갖는 루어 바늘(32)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채혈 바늘(41)이 제공된다. 이 채혈 바늘(41)은, 도 6에 나타낸 루어 바늘(32)과, 도 1(b)부분에 나타낸 중공바늘(11)을 일체화한 구조에 상당한다.
즉, 채혈 바늘(41)은 허브(43)를 갖는다. 이 허브(43)는 내부 유로(43a)를 갖는다. 내부 유로(43a)는, 제1의 끝부(43b)와, 제2의 끝부(43c)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유로(43a) 내에, 역류방지부재(6)가 수납되어 있다. 역류방지부재(6)는, 도 1에 나타낸 역류방지부재(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브(43) 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역류방지구조 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허브(43)의 한쪽 끝에는, 제1중공바늘(44)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다. 제1중공바늘(44)의 바늘 끝(44a)은 혈관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기단이 제1의 끝부(43b)측에 있어서 내부 유로(43a)에 연통되어 있다. 다른 한편, 허브(43)의 다른쪽 끝에는, 중공바늘(45)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단은 내부유로(43a)의 제2의 끝부(43c)에 연통되어 있다. 중공바늘(45)은, 바늘 끝(45a)측으로부터 채혈관의 마개체측에 꿰뚫어지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채혈 바늘(41)은, 도 6에 나타낸 루어 바늘(32)에 상당하는 부분에, 도 1(b)부분에 나타낸 채혈 바늘(11)을 고정하여 일체화한 구조에 상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브(43)의 아랫쪽에 형성된 수나사를, 채혈 홀더(31)의 암나사(31c)에 비틀어 넣도록 사용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b)부분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51)을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며, 도 10(a) 및 (b)부분은, 제4실시형태보다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의 각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9(a) 및 (b)부분에 나타내는 루어 바늘(51)은, 도 6에 나타낸 루어 바늘(32)과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6을 참조해 행한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루어 바늘(51)이, 루어 바늘(32)과 크게 다른 점은, 중공바늘(34)을 덮도록, 고무 칼집(52)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고무 칼집(52)은, 도 1(a)부분에 나타내어져 있는 고무 칼집(5)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같은 목적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루어 바늘(51)에 있어서도, 허브(33) 내에, 역류방지부재(6)가 압입되어 있고, 역류방지부재(6)에는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루어 바늘(51)은, 상술한 루어 바늘(32)과 마찬가지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 도 9(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못하여 역류방지부재(6)가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사 방향에 따라서는 절개(6c)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가 개폐될 때의 힌지로서 기능하도록, 상하로 연결되어 있는 힌지 부분(6d)을 포함하는 부분이 허브(33)의 내벽에 접촉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는, 압력차에 의해 절개(6c)보다 아랫쪽의 부분이 도 9(b)부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해서 개구하려고 해도, 상기 힌지부(6d)를 포함하는 부분이 허브(33)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절개(6c)에 있어서 압력차가 더하여졌다고 해도 개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9(a)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방지부재(6)를 허브(33) 내에 옳은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0(a) 및 (b)부분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의 루어 바늘(61)에서는, 역류방지부재(6)가 경사져서 고정되었다고 해도, 혈액을 확실하게 흘릴 수 있다. 즉, 루어 바늘(61)은, 역류방지부재(6)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루어 바늘(5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및 (b)부분에 나타내는 루어 바늘(61)의 역류방지부재(6)에서는, 다른 높이위치에 복수의 절개(6c, 6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6c)와, 절개(6f)는 힌지부가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개(6c)의 힌지부(6d)에 대하여, 절개(6f)의 힌지부(6g)는, 역류방지부재(6)의 축방향 중심에 대하여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a)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방지부재(6)가 경사져서 고정되고, 한쪽의 절개(6c)의 힌지부(6d)가 허브(33)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었다고 해도, 다른쪽의 힌지부(6g)는 허브(33)의 내벽으로부터 확실하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역류방지부재(6)의 윗쪽과 아랫쪽에 압력차가 생겨서 혈액을 흘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절개(6c)가 개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압력차에 의해 절개(6f)가 확실하게 개구되어, 혈액이 신속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4실시형태의 루어 바늘(6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역류방지부재(6)에 복수의 절개(6c, 6f)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절개(6c, 6f)가 형성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절개의 힌지부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절개의 힌지부가 역류방지부재(6)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역류방지부재(6)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에 힌지부가 형 성되어 있을 경우라도, 복수의 절개의 높이위치가 충분히 다를 경우에는 한쪽의 힌지부를 확실하게 허브 내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절개의 힌지부는, 역류방지부재(6)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반드시 다른 위치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 제4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절개(6c, 6f)가 형성되었지만, 3이상의 절개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루어 바늘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루어 바늘(62)은, 루어 바늘(51)과 거의 같은 구조를 갖는다. 다른 부분은, 루어 바늘(62)에서는 역류방지부재(6)의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윗쪽의 고정부(6h)의 상하방향 치수가 길게 되어 있는 것에 있다. 즉, 루어 바늘(62)에서는, 역류방지부재(6)의 외주면이 허브(33)의 내주면과 고정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방향 치수(Z)가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루어 바늘(62)에서는, 역류방지부재(6)가 허브(33)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었을 경우, 역류방지부재(6)의 방향이 바른 방향으로 되도록 역류방지부재(6)가 고정된다. 즉, 역류방지부재(6)가 내부 유로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6실시형태의 루어 바늘(62)과 같이, 역류방지부재(6)의 외주면이 내부 유로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부분의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치수를 상기 경사가 억제되는 정도 이상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여 온 실시형태에서는, 채혈 홀더는 원통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었지 만, 각통형상 등의 다른 통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역류방지부재(6)에 형성되는 절개(6c)는,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좋고,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단, 역류에 의한 절개(6c)의 폐쇄를 확실한 것으로 하는 점에서, 절개(6c)는 내부 유로의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 및 (b)부분은, 도 9(a)부분에 나타낸 루어 바늘(5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각 부분 노치 정면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루어 바늘(53)에서는, 역류방지부재(6)에 설치되어 있는 절개(6c)가 연장되는 방향이,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 즉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아니라, 60° 정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압력차에 의해 절개(6c)가 개구되었을 경우에는, 도 12(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부분의 면적이 충분히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차에 의해 절개(6c)가 개구되어 혈액이 흐를 경우, 혈류저항을 충분하게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역류방지구조를 채용한 것에 의한 채혈 시간의 연장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 즉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절개(6c)가 연장되는 방향이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되어 있었지만, 60 °에 한하지 않고, 15°∼165°의 범위에서 적당하게 경사시키면, 마찬가지로, 절개(6c)가 개구되는 부분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a) 및 (b)부분은, 상기 루어 바늘(51)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루어 바늘을 나타내는 각 부분 노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a)부분에 나타내는 루어 바늘(54)에서는, 역류방지부재(6)에 있어서 절개(6c)가 루어 바늘(5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압력차에 의해 도 13(b)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6c) 부분이 개구되었을 경우의 힌지부(6d)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즉, 힌지부(6d)란,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6c)가 개구되었을 경우에 개구를 지지하는 부분에 상당하다.
도 13(a)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6c)가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절개(6c)와 같은 높이 위치에 힌지부(6d)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 힌지부(6d)의 두께가, 그 주위의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압력차가 생겼을 경우라도, 도 13(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실하게 절개(6c) 부분에 있어서 개구된다. 따라서, 약한 흡인력의 채혈관이 접속되었을 경우라도 확실하게 채혈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6d)부분만을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 되기 때문에,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맞춤면의 면적은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즉, 힌지부(6d)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고, 절개(6c)를 통해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해 두면, 절개(6c)에 의한 맞춤 부분의 면적을 충분한 크기로 한다. 따라서, 개구 후에 역류방지 동작에 의해 절개(6c)가 폐쇄되었을 때에, 절개(6c)의 윗쪽부분과 아랫쪽 부분의 위치가 다소 지름방향 혹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났다고 해도, 확실하게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부재(6)에 형성되는 절개의 양, 즉, 절단에 의해 형성된 절단 부분의 단면적의 크기는, 역류방지부재의 경도나 두께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이러한 절개(6c)의 크기의 바람직한 예를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역류방지부재(6)의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평면 단면도이며, 절단에 의해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높이 위치에서는, 절개(6c) 이외의 부분에서는, 역류방지부재 부분은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6d)을, 도 3에 있어서 사선의 해칭을 부여해서 나타낸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절개(6c)를 구성하고 있다.
경도가 40∼45인 부틸 고무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8㎜정도의 탄성재료를 사용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절개(6c)의 크기는, 역류방지부재(6)의 횡단면의 1/2이상의 절단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횡단면에 있어서, 내주면에 접하는 접선(X)에 이르도록 절단을 행해서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방지부재(6)를 구성하는 재료의 경도가 클 경우에는, 혹은 역류방지부재(6)의 두께가 클 경우에는, 절개(6c)의 크기가 작으면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힘이 커지고, 역류방지 효과는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유량이 적어지고, 채혈에 시간을 요하게 되거나, 진공채혈시에 압력차에 의해 혈액을 흡인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져, 원하는 양의 혈액을 채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경도가 작거나, 두께가 얇거 나, 혹은 절개(6c)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개구되기 쉬워져, 채혈 시간이나 채혈량에 영향을 주기 어렵지만, 역류방지 효과가 작아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역류방지부재(6)의 경도, 두께 및 절개(6c)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단, 일본국·후생노동성 고시 「멸균필 주사통 기준」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루어 바늘(51)에서는, 도 14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류방지부재(6)의 내경(W1)은, 0.1㎜ 이상이면 약한 흡인력의 채혈관에 있어서도 채혈을 행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경(W1)은 0.2㎜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경(W1)이 0.2㎜미만에서는, 혈류저항이 커지는 일이 있어 채혈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있다. 따라서, 의사나 임상검사기사 등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경(W1)은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6c) 부근에 있어서의 역류방지부재(6)의 두께는 0.1∼1.0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0.1㎜ 미만의 두께에서는, 역류방지 동작시에 닫았을 경우, 절개(6c)에 있어서의 맞춤면이 어긋나 역류를 방지할 수 없는 일이 있고, 반대로 1.0㎜을 넘으면, 역류방지를 위해서 폐쇄하는 것에 필요한 힘이 커지고, 채혈량이 규정량에 달하기 전에 폐쇄될 우려가 있다. 실제로는, 루어 바늘의 외경(W2)을 4.0㎜로 하면, 내경(W3)은 3.0㎜이며, 허브(33)의 내주면과 역류방지부재(6) 사이의 간극을 0.5㎜으로 하고 싶을 경우, 역류방지부재(6)의 외경이 2.0㎜로 된다. 따라서, 실제로도, 두께 1.0㎜를 넘는 역류방지부재(6)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치수관계에서는 곤란하다.
단, 상기 역류방지부재(6)의 내경이 0.2㎜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 및 두께가 0.1∼1.0㎜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은, 상술한 후생노동성 고시 「멸균필 주사통 기준」에 합치한 루어 바늘이 전제가 되는 것이며, 루어 바늘이나 채혈기구의 치수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치수가 다르게 된다. 다음에 여러가지 치수의 루어 바늘(51)을 제작한 구체적인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일본국·후생노동성 고시 「멸균필 주사통 기준」에 준거한 치수의 루어 바늘을 제작했다. 즉, 도 14에 있어서의 허브(33)의 내경이 2.5㎜인 허브에 대하여, 전체 길이(L)가 6.0㎜, 외경(W4)이 2.0㎜, 내경(W1)이 1.0㎜, 두께가 0.5㎜인 역류방지부재(6)를 셋트했다. 또, 역류방지부재(6)의 외주면이 허브(33)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있는 유지부의 길이(Z)는 2.0㎜, 유지부의 외경은 2.9㎜, 절개(6c)의 길이방향치수는 1.5㎜로 했다. 또, 역류방지부재(6)는 천연고무로 제작하고, 절개(6c)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했다.
(실시예2)
역류방지부재의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외경(W4)을 1.8㎜, 내경(W1)을 1.2㎜, 두께를 0.3㎜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했다.
(실시예3)
역류방지부재(6)의 절개(6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외경(W4)을 1.8㎜, 내경(W1)을 1.2㎜, 두께를 0.3㎜로 한 것, 및 절개(6c)를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했다.
(실시예4)
역류방지부재(6)의 외경(W4)을 1.8㎜, 내경(W1)을 1.2㎜, 두께를 0.3㎜로 한 것, 및 다른 높이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내부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절개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했다.
(비교예)
역류방지부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허브를 갖는 루어 바늘을 준비했다.
상기 실시예1∼4 및 비교예의 루어 바늘에 대해서, 역류량 및 흡수량을 이하의 요령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역류량 :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혈관(71) 내에 물(72)을 가득채우고, 100㎜Hg의 압력을 채혈관(71) 내에 가하여, 그 채혈관(71)의 마개체(73)에 루어 바늘(51)의 중공바늘을 찔러, 60초 방치했다. 이 경우, 채혈관(7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역전되어 있고, 60초간 방치했을 때의 루어 바늘(51)의 아랫쪽으로 새나온 물의 양을 역류량으로서 측정했다.
급수량 : 내용량 7cc의 시험관에 감압하에서 고무 마개를 이용하여 밀봉하고, 진공 채혈관을 제작했다. 채혈 홀더에 상기 루어 바늘을 부착했다. 뷰렛트를 물로 채우고, 뷰렛트의 탭을 열고, 스프링 클립을 통과시킨 뷰렛트 내의 물을 뷰렛트에 접속된 실리콘 튜브에 흘리고, 뷰렛트의 눈금이 0의 위치에서 클립하여 물의 흐름을 정지시켰다.
루어 바늘이 홀더에 부착된 채혈 홀더의 외측 중공바늘을 실리콘 튜브에 찌르고, 바늘 끝을 실리콘 튜브 내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채혈 홀더의 반대의 중공바늘측에 상술한 채혈관을 삽입하고, 압력차에 의해 급수를 개시했다. 채혈관 내가 물에 의해 채워진 후, 적어도 1분간 방치했다. 그런 후, 뷰렛트의 가장 높은 수면과, ±0.1mL의 정확한 차이로 채혈관의 액체 표면의 높이를 맞추고, 흡인량을 구했다.
역류량(mg) 흡수량(g)
실시예1 0.0 1.92±0.075
실시예2 0.0 1.95±0.031
실시예3 0.0 1.90±0.061
실시예4 0.0 1.95±0.042
비교예 --- 2.00±0.020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1∼4에서는, 비교예에 비하여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수량에 대해서도, 비교 예를 100%라고 했을 경우, 95∼97.5중량%이며, 역류방지부재(6)의 삽입에 의한 흡수량의 감소도 확인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술하여 온 실시예에서는, 역류방지부재(6)에, 직선형상의 절개가 형성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에 형성되는 절개의 형상 및 수는 적당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예를 도 16(a)∼(c)부분에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즉, 도 16(a)∼(c)부분에 나타내는 역류방지부재(6)에서는, 1이상의 절개(6c)가, 곡선상, 또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연결한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역류방지부재에 형성되는 절개의 형상 및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을 지적해 둔다.

Claims (10)

  1. 채혈기구에 있어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구조로서, 제1의 끝부측에서 제2의 끝부측을 향해서 연장되며 또한 혈액이 흐르는 내부 유로를 갖는 통형상체; 및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 유로 내에 수납되어 있고,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의 끝부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를 갖고, 상기 제2의 끝부측에 위치하는 반구부와, 반구부에 이어지는 통형상부를 갖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제1의 끝부측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보다도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갖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외주벽이, 상기 내부 유로의 내벽에 액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통형상부에 절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가, 상기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가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2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가, 상기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15∼165°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가 상기 제1, 제2의 끝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에 있어서, 절개로부터 개폐될 때의 힌지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7. 채혈시에, 채혈관의 마개체를 꿰뚫기 위해 사용되는 중공바늘; 및
    상기 중공바늘의 일단에 고정된 허브를 구비하는 루어 바늘로서:
    상기 허브가,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 바늘.
  8.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중공바늘과, 상기 중공바늘의 일단에 고정된 허브를 구비하는 채혈 바늘로서,
    상기 허브가,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바늘.
  9. 일단측에 채혈관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이 폐쇄되어 있는 통형상의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타단측에 설치된 허브; 및
    상기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채혈관의 마개체를 꿰뚫기 위한 중공바늘을 갖는 채혈 홀더로서:
    상기 허브가,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를 갖고, 상기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상기 제2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홀더 밖으로 연장된 채혈용 중공바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채혈용 중공바늘이 상기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 유로의 제1의 끝부측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홀더.
KR1020067016949A 2004-05-17 2005-05-16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홀더 KR101006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6985 2004-05-17
JPJP-P-2004-00146985 200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791A KR20070012791A (ko) 2007-01-29
KR101006132B1 true KR101006132B1 (ko) 2011-01-07

Family

ID=3539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949A KR101006132B1 (ko) 2004-05-17 2005-05-16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62385A1 (ko)
EP (1) EP1747755B1 (ko)
JP (1) JP3896152B2 (ko)
KR (1) KR101006132B1 (ko)
CN (1) CN100403983C (ko)
WO (1) WO2005110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7328A (ja) * 2009-02-27 2010-09-09 Kokugo:Kk 液体試料移動用の注射針
CN102783954B (zh) * 2012-09-04 2014-08-27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单向阻逆安全采血针
CN106108919B (zh) * 2016-09-19 2019-07-12 上海河隆医疗器械有限公司 采血针防逆流结构及防逆流采血针
CN106725528B (zh) * 2016-11-28 2019-09-24 山东卫康医学检验有限公司 一种医用抽样器
CN109893142B (zh) * 2019-04-16 2023-11-17 上海金塔医用器材有限公司 柔性采血装置和刚性采血装置
TWI814196B (zh) * 2022-01-03 2023-09-01 亞東學校財團法人亞東科技大學 防針扎無菌尿液採集套組
KR20240019931A (ko) 2022-08-05 2024-02-14 이규원 진공 채혈 방식의 안전주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4367A (en) * 1972-06-29 1975-04-01 Becton Dickinson Co Valved blood sampling needle assembly
JP2002510984A (ja) * 1996-12-05 2002-04-09 エム ディー シー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引き込み可能な針を備えた体液採取装置
US20040106497A1 (en) * 2002-12-02 2004-06-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hift control apparatus and shift control method for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0112A (en) * 1954-11-04 1958-06-24 Yarnall Waring Co Check return fitting
US2969066A (en) * 1956-10-02 1961-01-24 Holter Company Device for draining ventricular fluid in cases of hydrocephalus
US3675658A (en) * 1970-09-03 1972-07-11 Kendall & Co Catheter with valved fluid reservoir
US4106497A (en) * 1977-02-04 1978-08-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ultiple sample needle assembly with indicator means
US4307731A (en) * 1978-06-15 1981-12-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ultiple sampling needle having one-way valve
US4244379A (en) * 1979-08-02 1981-01-13 Quest Medical, Inc. Check valve for blood drawing apparatus
US4540027A (en) * 1982-09-17 1985-09-10 Transcodan, Sven Husted-Andersen Gmbh & Co. Kg Check valve for infusion and transfusion apparatus
US4585209A (en) * 1983-10-27 1986-04-29 Harry E. Aine Miniature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35980A (en) * 1989-06-19 1990-06-26 Alexander Leginus Device for selectively cleaning debris from a liquid pool
US4967790A (en) * 1989-06-26 1990-11-06 Ganske Roger H Swing check valve
AU653824B2 (en) * 1992-06-15 1994-10-13 Kawaei Co., Ltd. Apparatus for supporting deep breathing and check valve for the same
US5660205A (en) * 1994-12-15 1997-08-26 Epstein; Alan B. One-way valve
US5855547A (en) * 1996-07-17 1999-01-05 Chaney; John L. Bulb pump for impotence therapy and other purposes
US5776108A (en) * 1996-07-25 1998-07-07 Sheu; Miin-Tsang Blood check device of an infusion bottle
US5800395A (en) * 1996-12-05 1998-09-01 Mdc Investment Holdings, Inc.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6004278A (en) * 1996-12-05 1999-12-21 Mdc Investment Holdings, Inc. Fluid collec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JP4415121B2 (ja) * 1997-11-12 2010-02-17 エム ディー シー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捕捉された格納可能な針を有する流体回収装置
US5971024A (en) * 1999-01-20 1999-10-26 Penny; William 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6461335B1 (en) * 2000-02-28 2002-10-08 Sherwood Services, Ag Tube dependent anti-free-flow valve
CN2477188Y (zh) * 2001-03-02 2002-02-20 潘子威 医用留置输液的正压防回血装置
CN2533807Y (zh) * 2002-01-27 2003-02-05 毕景中 一种自动采血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4367A (en) * 1972-06-29 1975-04-01 Becton Dickinson Co Valved blood sampling needle assembly
JP2002510984A (ja) * 1996-12-05 2002-04-09 エム ディー シー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引き込み可能な針を備えた体液採取装置
US20040106497A1 (en) * 2002-12-02 2004-06-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hift control apparatus and shift control method for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7755A1 (en) 2007-01-31
EP1747755B1 (en) 2018-07-04
KR20070012791A (ko) 2007-01-29
CN1925788A (zh) 2007-03-07
JPWO2005110224A1 (ja) 2008-03-21
CN100403983C (zh) 2008-07-23
US20080262385A1 (en) 2008-10-23
EP1747755A4 (en) 2009-07-29
JP3896152B2 (ja) 2007-03-22
WO2005110224A1 (ja)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118B2 (en) Needle assembly with diagnostic analysis provisions
KR101006132B1 (ko) 채혈기구의 역류방지구조, 루어 바늘, 채혈 바늘 및 채혈홀더
AU2009219375B2 (en) Venous access port assembly with push surfaces
US10028691B2 (en) Needle assembly with diagnostic analysis provisions
CN104856701B (zh) 血管接入血液采集设备和相关方法
US6994315B2 (en) Swabbable needle-free injection port valve system with neutral fluid displacement
ES2383073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de sangre sin aguja con válvula con conector macho
US8608712B2 (en) Septum for venous access port assembly
JP6568843B2 (ja) 体液サンプリングデバイス、並びに体液サンプリングおよび採取アセンブリ
JP2023024464A (ja) 静脈内カテーテル組立体内の器具の案内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1279236B2 (en) A blood test strip and an intravenous catheter system
BR112013001050B1 (pt) Sistema extravascular
WO2007087500A2 (en) Injection pot valve with neutral fluid displacement
WO1992004867A1 (en) A blood sampling device
JPH025431B2 (ko)
JP2007007480A (ja) 採血具の逆流防止構造、ルアー針、採血針及び採血ホルダー
JP2006212084A (ja) コネクタ
US20090287115A1 (en) Butterfly need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2055423A (ja) 針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