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943B1 - 소방호스 보관대 - Google Patents

소방호스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943B1
KR101005943B1 KR1020080073777A KR20080073777A KR101005943B1 KR 101005943 B1 KR101005943 B1 KR 101005943B1 KR 1020080073777 A KR1020080073777 A KR 1020080073777A KR 20080073777 A KR20080073777 A KR 20080073777A KR 101005943 B1 KR101005943 B1 KR 10100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se
bar
hose
fir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09A (ko
Inventor
나기천
Original Assignee
나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기천 filed Critical 나기천
Priority to KR102008007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호스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고 아코디언 형식으로 중첩되어지게 보관된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소방호스 보관대의 하부에 호스보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보관부에 소방호스가 보관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소방호스 보관대는 나란히 배치된 상,하부바를 통한 호스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를 중심으로 상부바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상,하부바의 일측으로 작동부재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방호스 보관대는 소방호스를 전개시 장소에 구애없이 전개가 가능하며 상기 전개되는 시간이 1초 내지 2초만에 전개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개되어지는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아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소방호스의 정리가 용이하여 소방호스의 보관 편의성과,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의 연결봉을 이용하여 휴대용 손잡이로 사용가능함으로서 이동 편의성등을 제공하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소방호스 보관대, 호스보관부, 연결부재, 작동부재

Description

소방호스 보관대{Fire fighting hose custod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소방호스 보관대 1-호스보관부
2-연결부재 3-작동부재
4-소방호스 5-체결구
11-상부바 12-하부바
31-작동바 32-고정바
311-승강봉 312-연결봉
321-수직봉 322-수평봉
본 발명은 소방호스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의 하부에 형성된 호스보관부에 소방호스를 중첩되어지도록 정돈하여 보관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호스보관부에 안착된 호스가 쉽게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호스보관부의 상부 일측으로 작동부재가 형성되어져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하여 상기 소방호스의 인출이 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방호스는 주로 롤타입으로 권취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타입으로 소방호스를 보관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소방호스를 권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롤타입으로 보관되는 소방호스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커버부를 마련하여 상기 커버부에 상기 소방호스를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관된 소방호스는 화재진압시 상기 소방호스를 구비한 커버부를 휴대하여 상기 화재장소까지 이동한 후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방호스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롤타입으로 권취된 소방호스는 화재진압을 목적으로 상기 소방호스를 권해시 상기 소방호스가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고 중첩되어지게 보관된 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상부바와 하부바가 평행하게 배치된 호스보관부를 갖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호스보관부가 상,하로 개방가능하게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가 각각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진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에 각각 고정바와 작동바가 연결되어진 작동부재가 연결되어져 상기 호스보관부가 상하로 개방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어지는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은 소방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개장소에 구애없이 1~2초에 신속한 전개가 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호스를 보관하는 소방호스 보관대(A)에 있어서,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A)는 상부바(11)와 하부바(12)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호스보관부(1)와;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와; 상기 하부바(12)의 일측으로 고정바(32)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고정바(32)는 복수개의 수직봉(321)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봉(321)의 상측으로 수평봉(32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11)의 일측으로 복수개의 작동바(31)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작동바(31)는 상기 수직봉(321)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관통결합되어진 승강봉(311)과 상기 승강봉(311)을 연결하는 연결봉(312)으로 형성된 작동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으로 소방호스 체결구(5)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호스보관부(1)의 상부바(11) 양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된 플랜지(111)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A)는 상부바(11)와 하부바(12)가 나란히 배치된 호스보관부(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연결부재(2)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바(12)를 중심으로 상부바(11)가 임의로 개방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에는 작동부재(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작동부재(3)는 하부바(12)의 일측으로 고정바(32)가 연결되어지고상부바(11)의 일측으로 작동바(31)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작동부재(3)의 고정바(32)는 복수개의 수직봉(321)과 상기 수직봉(321)의 상측으로 수평봉(322)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부재(3)의 작동바(31)는 상기 수직봉(321)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가능한 승강봉(311)과 상기 승강봉(311)을 연결하는 연결봉(312)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으로 소방호스 체결구(5)가 결합되어져 상기 소방호스를 용이하게 거치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 기 고정바(32)의 수직봉(321)은 각각 하부바(12)의 일측으로 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바(32)의 승강봉(311)은 상기 상부바(11)의 일측으로 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승강봉(311)은 상기 수직봉(321)과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상부바(11)와 하부바(12)가 기밀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에는 연결부재(2)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2)는 도면에 도시된 탄성스프링으로 실시가능한 것이며 상기 탄성스프링 이외에도 다양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바(31)가 고정바(32)를 중심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소방호스 보관대(A)를 통하여 소방호스(4)를 전개시 전개되는 시간이 1초내지 2초만에 전개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개되어지는 소방호스(4)가 꼬이지 않아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바(32)의 수평봉(322)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바(31)의 연결봉(312)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연결봉(312)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봉(312)과 연결되어진 승강봉(311)이 상기 고정바(32)의 수직봉(321)을 따라 상측으로 승강가능하게 실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바(31)와 연결되어진 상부바(11)가 승강되어지게 되며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에 개재되어진 소방호스가 외부로 인출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방호스를 인출하는 방법은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의 간격을 벌려줌으로서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A)에 보관되어진 소방호스는 한 라인씩 인출 또는 일체로 인출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에 플랜지(111)를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함으로서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 사이에 개재되어진 소방호스를 보관시 단속이 용이하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소방호스 보관대(A)의 길이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호스보관부(1)의 폭을 넓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호스보관부(1)에는 다수의 소방호스를 보관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소방호스 보관대(A)에 다수의 소방호스를 보관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진압시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로부터 소방호스를 전개시 또한 전개장소에 구애없이 1~2초에 신속한 전개가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전개되는 소방호스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개장소에 구애없이 1~2초에 신속한 전개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소방호스를 정리정돈하여 소방호스 보관대에 보관함으로서 소방 호스가 손상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가능하여 소방호스의 보관 편의성이 제공되고,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의 연결봉을 이용하여 휴대용 손잡이로 사용가능함으로서 이동 편의성이 제공되며, 상기 호스보관부의 상부바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하여 상기 소방호스가 외부로 흐트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가능하다.
이외에도 많은 양의 소방호스를 동시에 이동가능한 효과가 제공되고 차량작창과 소방호스이동이 동시에 가능한 효과가 제공되며 상기 소방호스 보관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워 고장이 없고 스텐레스 제품으로 제조되어져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소방호스를 보관하는 소방호스 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소방호스 보관대(A)는 상부바(11)와 하부바(12)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호스보관부(1)와;
    상기 상부바(11)와 하부바(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와;
    상기 하부바(12)의 일측으로 고정바(32)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고정바(32)는 복수개의 수직봉(321)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봉(321)의 상측으로 수평봉(32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11)의 일측으로 복수개의 작동바(31)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작동바(31)는 상기 수직봉(321)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관통결합되어진 승강봉(311)과 상기 승강봉(311)을 연결하는 연결봉(312)으로 형성된 작동부재(3)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보관부(1)의 상부바(11) 양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된 플랜지(111)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보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으로 소방호스 체결구(5)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보관대.
  3. 삭제
KR1020080073777A 2008-07-28 2008-07-28 소방호스 보관대 KR10100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777A KR101005943B1 (ko) 2008-07-28 2008-07-28 소방호스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777A KR101005943B1 (ko) 2008-07-28 2008-07-28 소방호스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09A KR20100012409A (ko) 2010-02-08
KR101005943B1 true KR101005943B1 (ko) 2011-01-06

Family

ID=4208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777A KR101005943B1 (ko) 2008-07-28 2008-07-28 소방호스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016B1 (ko) * 2017-01-17 2017-11-07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호스 보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41B1 (ko) * 2018-01-22 2019-11-18 김남훈 소방 호스 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293Y1 (en) * 1987-08-04 1989-12-22 Lee Son Haeng Hose support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JPH0574362U (ja) * 1992-03-24 1993-10-1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陳列棚の棚板昇降装置
JP2001269240A (ja) * 2000-01-20 2001-10-02 Koichi Kawato 棚板保持装置
KR20060033425A (ko) * 2004-10-15 2006-04-19 세원엔지니어링 (주) 소방호스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293Y1 (en) * 1987-08-04 1989-12-22 Lee Son Haeng Hose support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JPH0574362U (ja) * 1992-03-24 1993-10-1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陳列棚の棚板昇降装置
JP2001269240A (ja) * 2000-01-20 2001-10-02 Koichi Kawato 棚板保持装置
KR20060033425A (ko) * 2004-10-15 2006-04-19 세원엔지니어링 (주) 소방호스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016B1 (ko) * 2017-01-17 2017-11-07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호스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09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KR100875146B1 (ko) 다단 고가사다리차
TWI556711B (zh) 理線裝置
TWI616131B (zh) 理線裝置
US20150284084A1 (en) Foldable divider device for an aircraft cabin
KR101005943B1 (ko) 소방호스 보관대
CA2830567C (en) Container structure
KR101701961B1 (ko) 핸드레일장치
US20100111635A1 (en) Vehicle trunk organizer
US8544521B2 (en) Mobile tarping system
JP6469997B2 (ja) テントフレーム
CN205668537U (zh) 一种车辆、逃生窗及逃生梯
JP2005509768A (ja) 折畳み可能梯子
JP5268089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40002190U (ko) 접이식 작업선 걸이대
TWI601470B (zh) 用於機架式伺服器的理線裝置
KR20210001504A (ko) 캐리어형 다단 수납 케이스 장치
US7331568B2 (en) Apparatus for use with coiled barrier material
CN104769206A (zh) 可套叠伸缩的消防逃生梯
CN209394642U (zh) 通讯设备维护工具箱
AU2012201558A1 (en) Anti-mosquito net guide system
JP2009013763A (ja) デッキ床材の収納機構
US20180186489A1 (en) Freestanding sack holder
KR101795016B1 (ko) 공동주택의 소방호스 보관장치
US20130286626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