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768B1 - 어학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어학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768B1
KR101005768B1 KR1020080088696A KR20080088696A KR101005768B1 KR 101005768 B1 KR101005768 B1 KR 101005768B1 KR 1020080088696 A KR1020080088696 A KR 1020080088696A KR 20080088696 A KR20080088696 A KR 20080088696A KR 101005768 B1 KR101005768 B1 KR 10100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igger
memorization
target signal
languag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970A (ko
Inventor
변기원
Original Assignee
편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두리 filed Critical 편두리
Priority to KR102008008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7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저장된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 또는 단어 또는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시각신호생성부와,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의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이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과;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를 생성시키는 복수의 트리거와; 상기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가 그룹화되어 저장되는 DB처리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의 출력 및 상기 DB처리부의 그룹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뇌의 인지능력 및 집중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가 출력되어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한 암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측두엽으로 연계되는 뇌의 인지처리 과정을 리듬과 연계되는 운동 처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상승시켜 이용자의 효율적인 학습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암기대상신호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으로 제공되는 청각신호로서 출력시켜 발음교정 및 리스닝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암기, 학습, 시각신호

Description

어학학습장치{A LANGUAGE STUDYING DEVICE}
본 발명은 어학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단어,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입력신호에 대해 이용자가 복수의 트리거를 조작하여 반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뇌의 인지능력 및 집중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암기대상신호의 의미신호가 출력되어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한 암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기와 같은 뇌의 인지작용은 반복을 통해 더욱 강화되며, 뇌에 인지된 정보들은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뇌의 측두엽에서 반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 의학적 연구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여기서, 뇌의 전두엽은 자극에 대한 감각의 인지를 담당하는 부분이며, 측두엽은 상기 전두엽에서 인지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최근 글로벌화 시대에 따라 국내는 물론 국제 무대로 그 활동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세계 공통언어로 통하는 영어에 대한 교육 욕구가 더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영어조기교육의 일환으로 초등학생은 물론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교육까지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어학학습장치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과 연계되어 웹브라우져의 팝업창을 통해 제공되는 학습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출력, 삭제시킴으로써 팝업창이 나타났을 경우 학습데이터를 자연스럽게 읽음과 동시에 암기되도록 하는 어학학습장치가 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어학학습장치는 '인간의 기억은 시간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감소하는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에 반복학습을 해주어야 하며,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분산학습 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라는 에빙하우스(Ebbinghaus)의 망각곡선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된 것으로서, 주기를 이용한 반복적인 출력을 통해 학습데이터의 암기를 유도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어학학습장치는 단순한 반복을 통해 문자, 단어, 문장 등을 암기시키는 것으로써, 이는 뇌의 측두엽의 기능만을 이용하는 것이며, 전두엽에서 측두엽으로 연계되는 뇌의 인지처리 과정을 리듬과 연계되는 운동 처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에 대한 구성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어학학습장치는 시각적으로 처리되는 학습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써, 이를 암기하는 것일 뿐, 원어민의 정확한 발음과 연계되지 못하여 리스닝 측면에서의 활용이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단어,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입력신호에 대해 이용자가 복수의 트리거를 조작하여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뇌의 인지능력 및 집중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가 출력되어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한 암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두엽에서 측두엽으로 연계되는 뇌의 인지처리 과정을 리듬과 연계되는 운동 처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상승시켜 이용자의 효율적인 학습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어학학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암기대상신호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으로 제공되는 청각신호로서 출력시켜 발음교정 및 리스닝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어학학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저장된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 또는 단어 또는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시각신호생성부와,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의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이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과;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를 생성시키는 복 수의 트리거와; 상기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가 그룹화되어 저장되는 DB처리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의 출력 및 상기 DB처리부의 그룹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학학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수단에 의해 이용자에게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노출시간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키되, 본 주기 사이에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청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청각신호생성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청각신호로 출력되는 발음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발음속도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청각신호로서 출력시키고,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는 시각신호로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의 시각신호와 상기 청각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트리거에서 생성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와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비교하여 각 신호에 대한 시간차를 계산하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등급별 정보를 저장하는 매칭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이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며, 하나 이상의 트리거신호를 생성시키는 트리거신호생성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RH(Right Hand)트리거, LH(Left Hand)트리거, RF(Right Foot)트리거, LF(Left Foot)트리거로 구성되어 이용자에게 출력된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상기 매칭처리부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신호생성부는 상기 RH트리거, LH트리거, RF트리거, LF트리거에 대응되되, 이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상이한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특정 암기대상신호에 대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인스턴트스위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30% 이상의 암기대상신호들에 대해 상기 인스턴트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는 반복되어 출력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난 후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리거는 장갑 또는 신발 형태로 구비되어 이용자의 손과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는 좌, 우측 구역이 구분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이크로 트리거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출력수단은 LCD를 포함하는 각종의 모니터, 광안경,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영어로 출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뇌의 인지능력 및 집중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가 출력되어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한 암기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두엽에서 측두엽으로 연계되는 뇌의 인지처리 과정을 리듬과 연계되는 운동 처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상승시켜 이용자의 효율적인 학습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암기대상신호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으로 제공되는 청각신호로서 출력시켜 발음교정 및 리스닝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의 출력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는, 미리 저장된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 또는 단어 또는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시각신호생성부(12)와,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의미신호생성부(14)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10)와; 상기 신호생성부(10)에서 생성된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이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20)과;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를 생성시키는 복수의 트리거(30)와; 상기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가 그룹화되어 저장되는 DB처리부(40)와; 상기 신호생성부(10)의 출력 및 상기 DB처리부(40)의 그룹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여러가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영어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수단(20)에 의해 이용자에게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노출시간조절부(5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는 상기 노출시간조절부(5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암기대상신호의 노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생소한 암기대상신호에 있어서는 노출시간을 길게 설정하고, 익숙한 암기대상신호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노출시간을 짧게 설정하여 본인의 학습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키되, 본 주기 사이에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의 출력여부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생성부(10)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청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청각신호생성부(1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청각신호로 출력되는 발음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발음속도조절부(5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음속도조절부(54)는 원어민의 육성으로 출력되는 청각신호에 있어서, 구별이 힘든 알파벳, 단어, 문장 등의 발음속도를 조절하여 보다 명확하고 정확한 발음을 들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어학학습장치의 제어부(50)는 상기 암기대상신호의 시각신호와 상기 청각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암기대상신호의 발음을 청각신호로서 인지하고, 단어를 시각신호로서 인지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데이터로서 상기 시각신호생성부(12)에서 생성되며, 또는 청각적으로 스피커 또는 이어폰에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로서 상기 청각신호생성부(16)에서 생성되어 상기 신호출력수단(20)에 의해 이용자에게 출력되는 학습데이터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출력수단(20)은 LCD를 포함하는 각종의 모니터, 광안경,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시, 청각적으로 암기대상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트리거(30)에서 생성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와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비교하여 각 신호에 대한 시간차를 계산하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등급별 정보(점수화된 정보)를 저장하는 매칭처리부(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처리부(60)는 이용자의 학습진도, 운동성 및 반응성 등에 대한 그래프 또는 수치 등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성과 또는 이용자의 학습량 등을 체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30)는 장갑 또는 신발 형태로 구비되어 이용자의 손과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좌, 우측 구역이 구분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이크로 트리거 스위치로도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이용자에게 출력되면 이용자는 본 암기대상신호를 인지함에 따라 트리거(30)를 입력하고, 상기 매칭처리부(60)는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출력된 시간과 이용자에 의해 생성된 동작 반응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라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키며, 상기 주기 사이에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일정시간 출력시킨다.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일정한 주기로 출력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트리거(30)를 입력하는 리듬을 인지하게 되고, 본 리듬에 반응하려고 노력하는 집중과정 및 이러한 운동 처리과정을 통하여 인지능력 및 암기력이 활성화된 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이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며, 하나 이상의 트리거신호를 생성시키는 트리거신호생성부(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트리거(30)는 RH(Right Hand)트리거(32), LH(Left Hand)트리거(34), RF(Right Foot)트리거(36), LF(Left Foot)트리거(38)로 구성되어 이용자에게 출력된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상기 매칭처리부(60)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신호생성부(70)는 이용자에게 트리거(30) 입력을 유도하는 신호인 암기대상신호와는 다른 독립적인 트리거신호를 출력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 에서와 같이, 트리거신호 점멸구역(75) 상에 상기 RH트리거(32), LH트리거(34), RF트리거(36), LF트리거(38)에 대응되되, 이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상이한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처리부(60)는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의한 이용자의 트리거(30) 입력 반응신호의 시간차이를 계산하여 점수처리부(65)에서 점수가 계산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시간차이에 따른 결과치를, 의미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화면상 상이한 영역으로 출력시킴으로서 이용자의 반응신호 입력을 정박으로 유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트리거 입력의 기준이 되는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대해 이용자의 트리거(30) 반응신호가 일정 기준치(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가 출력된 시간으로부터 ±0.1sec)로 입력되면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디스플레이 영역(95)에서 출력되어 트리거(30) 입력이 정확함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의한 이용자의 트리거(30) 반응신호가 상기 일정 기준치보다 빠르게 입력될수록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는 제 1 디스플레이이 영역(91) 쪽으로 출력되어 트리거(30) 입력이 빠르다는 것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의한 이용자의 트리거(30) 반응신호가 상기 일정 기준치보다 느리게 입력될수록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는 제 n 디스플레이 영역(99) 쪽으로 출력되어 트리거(30) 입력이 느리다는 것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의미신호를 상이한 영역으로 출력시켜 이용자의 트리거 입력을 정박으로 유도시키는 방식은 전술한 시간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90) 역시 다수개로 구성되고, 반응신호에 대한 시간 범위도 필요에 따라 다수의 범위로 설정되어 빠른 트리거 입력에 있어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느린 트리거 입력에 있어서는 오른쪽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암기대상신호마다 입력된 트리거 반응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시키는 트리거 반응신호 표시부(35)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는 트리거(30)를 이용하여 학습한 암기대상신호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암기대상신호가 출력된 후,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와,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지 않는 의미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이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며, 이용자는 상기 트리거(30)의 입력을 이용하여 OX 형식 또는 객관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특정 암기대상신호에 대해 체크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인스턴트스위치(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스턴트스위치(80)는 이용자가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출력되는 암기대상신호의 의미 또는 발음을 모르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상기 인스턴트스위치(80)의 입력에 의하여 이용자가 모르는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30% 이상의 암기대상신호들에 대해 인스턴트스위치(80)에 의한 입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그룹 화된 암기대상신호를 반복하여 출력시키거나 또는 일정시간 지난 후에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는, 구별하기 어려운 단어, 영어로 예를 들면, 'B 와 V', 'R 과 L', 'F 와 P' 등과 같은 알파벳 발음, 유사발음 알파벳이 들어간 단어의 구별, 문장에서의 유사발음단어의 구별 등과 같은 청취력 강화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먼저 발음구별을 위하여 'R 과 L' 을 랜덤하게 청각적 암기대상신호로써 출력시키고, 이에 따른 시각적 의미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킨다.
다음, 출력되는 'R 과 L'의 구별을 위하여, 트리거(30) 또는 추가되는 입력장치에 의해서 'R 과 L'의 발음에 대응되는 상이한 스위치입력을 받는다.
다음, 이용자에 의한 입력의 정확도가 70% 이상일 경우에는, DB처리부(40)에 저장되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출력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발음에 대해 정확하게 암기할 수 있으며, 발음훈련은 전술한 유사알파벳 발음뿐만 아니라, 유사발음단어, 문장속에서의 발음 등에도 이용되어 이용자의 발음교정 및 리스닝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어학학습장치가 구동되면 신호생성부(10)에 의해서 시각신호로 마련되는 알파벳, 단어, 문장,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 등의 암기대상 신호가 신호출력수단(20)에 의해 일정한 주기로 이용자에게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각신호 또는 청각신호 또는 시, 청각신호로 이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다음, 암기대상신호가 이용자에게 인식되면 이용자는 트리거(30) 입력을 수행하여 동작 반응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반응신호는 매칭처리부(60)로 전송되어 점수화된 등급별 정보로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30) 입력을 유도하는 신호는 암기대상신호가 될 수 있으며, 도 2 의 트리거신호 점멸구역(75)에서와 같이, 트리거신호생성부(70)에서 생성된 RH, LH, RF, LF 트리거와 대응되는 상이한 트리거신호로도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출력된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가 이용자에게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의미신호는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출력되는 주기 사이에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반응신호에 결과에 따라 상이한 디스플레이 영역(90)에서 의미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기대상신호의 출력주기가 2초이면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출력되고 1초 후에 의미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며, 동작 반응신호가 기준보다 빠를수록 제 1 디스플레이 영역(91) 방향으로, 동작 반응신호가 기준보다 느릴수록 제 n 디스플레이 영역(99) 방향으로 의미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다음,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 중 차순의 암기대상신호가 출력되며,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암기대상신호를 집중력 및 인지능력이 강화되어 뇌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암기하게 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인스턴트 스위치(80)를 이용하여 모르는 암기대상신호에 대하여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 중, 30% 이상의 암기대상신호에 상기 인스턴트 스위치(80)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를 반복하여 출력시키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출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는, 뇌의 인지능력 및 집중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암기대상신호 및 의미신호가 출력되어 문자, 단어, 문장 등에 대한 암기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측두엽으로 연계되는 뇌의 인지처리 과정을 리듬과 연계되는 운동 처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상승시켜 이용자의 효율적인 학습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암기대상신호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으로 제공되는 청각신호로서 출력시켜 발음교정 및 리스닝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장치의 출력화면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생성부 12 : 시각신호생성부
14 : 의미신호생성부 16 : 청각신호생성부
20 : 신호출력수단 30 : 트리거
32 : RH트리거 34 : LH트리거
36 : RF트리거 38 : LF트리거
40 : DB처리부 50 : 제어부
60 : 매칭처리부 70 : 트리거신호생성부
80 : 인스턴트스위치

Claims (18)

  1. 어학학습장치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 또는 단어 또는 문장 등의 암기대상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시각신호생성부와,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시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의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이용자에게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과;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를 생성시키는 복수의 트리거와;
    상기 암기대상신호 및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가 그룹화되어 저장되는 DB처리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의 출력 및 상기 DB처리부의 그룹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트리거에서 생성된 이용자의 동작 반응신호와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비교하여 각 신호에 대한 시간차를 계산하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범위에 따른 등급별 정보를 저장하는 매칭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암기대상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수단에 의해 이용자에게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노출시간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출력시키되, 본 주기 사이에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발음을 청각신호로서 생성시키는 청각신호생성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상기 청각신호로 출력되는 발음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발음속도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7. 제 5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를 청각신호로서 출력시키고, 본 암기대상신호에 대응되는 의미신호는 시각신호로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 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기대상신호의 시각신호와 상기 청각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이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며, 하나 이상의 트리거신호를 생성시키는 트리거신호생성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RH(Right Hand)트리거, LH(Left Hand)트리거, RF(Right Foot)트리거, LF(Left Foot)트리거로 구성되어 이용자에게 출력된 암기대상신호 또는 트리거신호에 대한 반응신호를 상기 매칭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생성부는 상기 RH트리거, LH트리거, RF트리거, LF트리거에 대응되되, 이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상이한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특정 암기대상신호에 대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인스턴트스위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3. 제 1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들 중, 30% 이상의 암기대상신호들에 대해 상기 인스턴트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그룹화된 암기대상신호는 반복되어 출력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난 후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장갑 또는 신발 형태로 구비되어 이용자의 손과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좌, 우측 구역이 구분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이크로 트리거 스위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은 LCD를 포함하는 각종의 모니터, 광안경,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학습장치는 컴퓨터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기대상신호는 영어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장치.
KR1020080088696A 2008-09-09 2008-09-09 어학학습장치 KR10100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96A KR101005768B1 (ko) 2008-09-09 2008-09-09 어학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96A KR101005768B1 (ko) 2008-09-09 2008-09-09 어학학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70A KR20100029970A (ko) 2010-03-18
KR101005768B1 true KR101005768B1 (ko) 2011-01-06

Family

ID=4218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696A KR101005768B1 (ko) 2008-09-09 2008-09-09 어학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8045B2 (en) 2015-11-11 2021-04-13 Mglish Inc.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KR102049401B1 (ko) 2018-04-18 2019-11-28 정우민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810A (ja) * 2001-06-29 2003-01-17 Tadatoshi Goto 手袋型入力装置
KR20040013167A (ko) * 2002-08-01 2004-02-14 주식회사 씨콥스 외국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40083562A (ko) * 2003-03-22 2004-10-06 이상협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 방식 대화형 교구
KR100554891B1 (ko) 2004-04-28 2006-02-24 김영운 동작과 감각을 활용한 외국어 운율학습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810A (ja) * 2001-06-29 2003-01-17 Tadatoshi Goto 手袋型入力装置
KR20040013167A (ko) * 2002-08-01 2004-02-14 주식회사 씨콥스 외국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40083562A (ko) * 2003-03-22 2004-10-06 이상협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 방식 대화형 교구
KR100554891B1 (ko) 2004-04-28 2006-02-24 김영운 동작과 감각을 활용한 외국어 운율학습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70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2752B (zh) 用于诊断和治疗语言相关障碍的计算技术
TWI420433B (zh) 語音互動系統與方法
KR101835127B1 (ko) 영어 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
KR20120061801A (ko) 언어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7371714B2 (en) Learning tool and method
US10978045B2 (en)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JP2017173546A (ja) 学習支援装置、ロボット、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5768B1 (ko) 어학학습장치
KR101216297B1 (ko) 촉감을 이용한 억양 교육 장치 및, 그 방법
CN104021805A (zh) 一种语言听力训练的实现方法及装置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CN108352126A (zh) 外语读音及标记装置及其方法,包括利用其装置和方法的基于外语节奏动作传感器的运动学习装置、运动学习方法以及对其进行记录的电子媒体和学习教材
JP7164590B2 (ja) 人間の発話のきめ細かな評価による発話言語スキルの教育および評価
TW201727595A (zh) 外語口說學習系統、方法及電腦程式產品
Cardoso et al. Set super-chicken to 3!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of Spaceteam ESL
KR102432132B1 (ko) 뇌세포 자극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방법, 뇌세포 자극 어플리케이션용 키보드
Copeman Performing English: Adapting actor voice training techniques for TESOL to improve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Iyer et al. AI-Assisted Models for Dyslexia and Dysgraphia: Revolutionizing Language Learning for Children
Aveni et al. A preliminary apparatus and teaching structure for passive tactile training of stenography
De la Rouviere Chinese radicals in spaced repetition systems: a pilot study on the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s by students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KR20170059665A (ko) 외국어 리듬 동작 감지 센서 기반의 운동 학습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학습 방법
KR100554891B1 (ko) 동작과 감각을 활용한 외국어 운율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5925A (ko) 어휘 연관 이미지의 연속적 생성을 통한 어휘 및 문장 생성 방법
KR100688289B1 (ko) 언어 학습정보 전송 방법 및 그 동작 시스템
JP7060857B2 (ja) 語学習得装置及び語学習得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