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01B1 -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01B1
KR102049401B1 KR1020180044957A KR20180044957A KR102049401B1 KR 102049401 B1 KR102049401 B1 KR 102049401B1 KR 1020180044957 A KR1020180044957 A KR 1020180044957A KR 20180044957 A KR20180044957 A KR 20180044957A KR 102049401 B1 KR102049401 B1 KR 10204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hrase
foreign language
sentence
repet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534A (ko
Inventor
정우민
Original Assignee
정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민 filed Critical 정우민
Priority to KR102018004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0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75 priority patent/WO2019203428A1/ko
Publication of KR2019012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은 (A)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분절하는 단계; (B)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 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단계;(C)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D)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OREIGN LANGUAGE CONTENTS USING TIME GAP REPETITION}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국어 청취 시 문장의 주요 의미어휘를 시간차를 두고 반복 출력하여 외국어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간차 반복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구사능력은 입시나 취업에서 중요한 평가 기준이다. 최근에는 중국어, 일본어 등 제2외국어 구사 능력까지 중요한 입시나 취업에서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해오고 있는데,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중, 시각자료에 기반한 읽기와 쓰기 등의 방법이 학습량으로 가장 많다.
하지만, 듣기와 말하기의 기본이 되는 청각을 통한 외국어 교육은 읽기나 쓰기 교육에 비해 다소 등한시되어, 학습자에게 개개인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한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청취능력 향상을 위한 기존의 어학학습장치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속도조절, 구간반복, 받아쓰기 기능이 주축을 이룬다. 이러한 기능은 청각을 통해 익힌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고 시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각을 통해 읽기와 말하기가 되지 않으면 청각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어렵고, 시각적인 학습능력이 바탕이 되어야만 기존의 어학학습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어학학습장치를 이용하는 영어 읽기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는 영어 듣기 능력을 빠르게 향상시키기 어렵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은 기존의 어학장치를 통해 외국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매우 어렵다.
영어의 경우, 원어민이 1분동안 읽는 단어 수가 150개 내지 250개정도 이고, 1분 동안 읽는 문장 중에서 액센트가 들어가는 단어는 100개 내지 150여개 정도이다. 액센트가 들어가는 100개 내지 150 개의 단어는 문장에서 주요의미를 전달하는 명사, 동사 등의 주요어휘이고, 나머지 어휘는 부수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액센트가 없고 문법적으로 완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관사, 전치사, 부사, 접속사, 조동사 등이다. 만약, 청자가 총 200개의 단어를 듣게 되면, 그 중 주요어휘인 120개 정도만 제대로 들어도 화자가 말 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청각적 외국어 학습방법에 노출된 시간이 시각적 학습에 비해 적으므로, 청각적 의미파악을 어려워하고 있다. 또한, 문장에서 주요 의미를 전달하는 어휘학습에 집중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장치나 방법도 부재하다.
1. 한국특허공개제10-2010-0029970호(2010.03.18)
외국어 음성의 파형분석을 통해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액센트 영역을 추출하여, 주요의미 어휘인 학습어구를 생성하고; 학습어구와 학습어구에 음향효과 (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 학습어구를; 짧은 시간간격으로 순차 출력하는 시간차 반복 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은 (A) 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분절하는 단계; (B)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 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단계;(C)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D)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Time Gap)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는 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분절하고,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 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학습어구 추출모듈;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 및 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Time Gap)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학습어구를 복사하여 복사된 학습어구와 상기 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Time Gap)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사한 반복학습어구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한다.
액센트로 추출된 학습어구를 짧은 시간에 반복 출력하여, 외국어 청취 시 의미어휘를 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작은 소리는 유추하여 외국어 문장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개별 단어를 통해 듣기 연습을 하는 기존의 방법에 그치지 않고 구절이나 문장 전체를 통해 화자의 전달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다
학습어구를 시간차 반복을 통해 출력하면, 복사된 파형이 연속되어 지속되므로, 음악과 유사한 파형을 형성하고 묵음이 제거되어, 출력되는 학습어구에 쉽게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외국어 학습을 위해 TV 뉴스 및 라디오를 청취할 때,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차복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외국어 학습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시간차복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장치 및 방법으로 외국어 청취에 보다 쉽고 집중적으로 몰입하고 즐길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의 간략한 데이터 처리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음성정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4a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가 순차 출력되며 형성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어구와 복사된 학습어구가 시간차에 따라 순차 출력하여 중첩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을 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의 간략한 데이터 처리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국어 학습장치는 학습어구 추출모듈(110),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130) 및 출력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학습어구 추출모듈(110)은 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억양 또는 시간차에 따라 분절하고,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학습어구를 추출한다. 실시예에서 학습어구는 문장에 포함된 단어 중 문장의 주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어휘이다. 예컨대, 문장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등의 품사에 해당하는 어휘로써, 핵심의미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단어들이다. 구체적으로, 영문 “One explanation may be the growing use of real resources to make virtual products.” 에서 학습어구는 (1)explanation, (2)growing, (3)real resources, (4) virtual products 가 될 수 있다. 각 외국어 문장은 모두 주요 의미를 전달하는 학습어구를 포함하고 있는데, 화자는 자신이 말하는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학습어구를 말할 때 단어의 기본적인 액센트와 함께, 임의의 액센트를 만들고, 문장의 강약(인토네이션)을 넣어 발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외국어 문장의 파형을 분석하면, 학습어구에 따라 최대 피크값을 중심으로 대칭모양을 형성하는 액센트 영역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액센트 영역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파악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 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한다. 액센트 영역은 한 단어이거나 긴 단어의 한 음절 이지만 학습어구는 하나의 단어 또는 구절로 이루어진다.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130)은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영어 문장에서 추출된 학습어구 (1) explanation 내지 (4) virtual products에 에코 등의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음향효과가 부가된 부가학습어구 (1) explanation_E 내지 (4) virtual products_E를 생성한다.
출력모듈(150)은 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영문에 (1)explanation, (2)growing, (3)real resources, (4) virtual products순서로 학습어구가 포함되어 있고 음향효과가 부가된 각각의 반복학습어구가 (1) explanation_E, (2) growing_E, (3) real resources_E, (4) virtual products_E 인 경우, 출력모듈은 (1)explanation, (1)explanation_E, (2)growing, (2)growing_E, (3)realer sources, (3) real resources_E, (4)virtual products, (4)virtual products_E 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출력모듈(150)은 음향효과가 부가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시간차에 의해 중첩되도록 연속해서 출력하기도 하고 학습어구 자체를 복사하여 일정 시간간격(Time Gap)으로 음량이 조절된 반복 학습어구를 출력 하여 학습어구가 중첩된 파형을 만들 수 있다. 학습어구를 시간차 복사하여 연속 출력하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학습 어구를 반복 출력하는 학습컨텐츠는 액센트를 강조하여 강제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컨텐츠를 청취하다 보면, 각 문장의 액센트 및 파형의 최고점을 강제적으로 듣기를 반복하게 되어 차츰 문장의 작은 소리까지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반복하는 두개의 파형인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의 음향효과를 달리하여 외국어 학습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학습 컨텐츠를 더욱 또렷하게 청취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처음 출력되는 반복학습어구는 백그라운드 사운드로 기능하도록 이퀄라이져 등으로 파형을 변형하여 음향효과를 부가해, 학습어구가 에코 사운드로 들리게 한다. 반복학습어구 출력 후 0.01~1.0초 차이로 출력하는 학습어구 음향은 선명한 음질로 들리게 하는 경우, 청자는 학습어구만 들을 때보다 반복되는 단어와 액센트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습어구가 포함된 문장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발화 속도는 60초에 150개 내지 250개의 단어를 발화하는 것이다. 250개 단어를 발화하는 경우 화자는 250 개의 전체 단어 중 150여개의 단어에 액센트를 부가하여 발화하고, 150개의 단어를 발화하는 경우 화자는 80여개의단어에 액센트를 부가하여 발화하게 된다. 60초에 150개의 단어에 액센트를 부가하면, 0.4초(60/150=0.4)마다 액센트가 반복되고, 60초에 80개면 0.75초(60/80=0.75)액센트가반복되므로, 일반적인 발화 속도에서 인접한 액센트는 대략0.4~0.8초의 출력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발화속도에 대한 액센트 출력차이 시간에 포함되는 0.01~1.0초 차이로 시간차를 두어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출력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0.01초 내지 1.0초 차이로 시간차를 두어 단어와 학습어휘가 반복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암기해야 할 단어를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단어가 0.01초 내지 1.0초 차이로 반복출력 된다.
실시예에서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가 가 출력되는 시간차는 파형분석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화자의 말하기 속도에 따라서 분석 되어 시간대비 액센트의 수가 달라지므로 시간간격(Time Gap)이 변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에 의한 효과의 원리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데, 벽에 부딪치면 반사하는데 예컨대, 목욕탕에서 흥얼거리며 내뱉은 음성이 내부 벽에 부딪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게 된다. 이는 흔히 '에코'라고 하는 반향음(메아리)이다. 목욕탕 등 반향효과가 높은 공간에서 소리를 내면 그 소리는 훨씬 잘 들리게 되는데, 이는 반향음과 원음이 함께 전달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어구에 음향효과를 부가하여 반복학습어구를 반향음처럼 들리게 하고, 짧은 시간 간격 안에 학습어구를 반복 출력함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 청취시 반향음과 원음을 반복하여 듣게 함으로써, 학습어구를 훨씬 또렷하고 반복적으로 들리게 하여 외국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음성정보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어휘 추출모듈(110)은 연산부(111) 및 액센트 영역 추출부(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반복 학습어구 생성모듈(130)은 음향 효과 선정부(131) 및 생성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출력모듈(150)은 출력시간 산출부(151), 시간간격(Time Gap)조정부 (153) 및 출력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할 때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연산부(111)는 음성 파형에 포함된 최대피크값(p1)과 최대피크값에 인접한 최소피크값(p2)을 추출하고, 최대피크값과 최소 피크 값의 변화폭을 연산한다. 이후,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시점(t1, t2)을 산출한다. 즉, 액센트를 발화하는 시간간격이다. 즉 문장의 액센트는 세로로 피크축, 가로로 시간축을 가진다.
액센트 영역 추출부(113)는 도 3에 도시된 최대피크값(p1), 최소 피크값(p2)과 변화폭 최소값이 산출된 시점(t1, t2)인 학습어구 시작시점(t1)과 학습어구 종료 시점(t2)를 포인트로 하는 액센트 영역(a1, a2, a3)을 추출한다.
실시예에서 학습어구는 문장의 주요 의미를 전달하는 어휘이기 때문에, 사전에 나타난 액센트와 더불어, 화자가 부가하는 임의의 액센트 및 인토네이션이 반영되어 학습어구는 피크 최대값과 최소값을 포함하는 타원형 구조의 액센트 영역의 파형을 나타나게 된다. 액센트 영역 추출부(113)은 학습어구 추출을 위해, 학습어구 시작시점(t1)과 학습어구 종료 시점(t2)을 기준으로 학습어휘가 발화되고 있는 액센트 영역을 추출하여 학습어구를 생성한다.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130)의 음향효과 선정부(131)는 생성된 학습어구에 부가할 음향효과를 선정한다. 음향효과에는 에코, 코러스, 피치이동, 잔향, 코러스, 플랜저(flanger), 페이저(phas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딜레이나 에코는 원래의 음에서 일정시간 지연된 음의 크기를 조절하여 더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원래 음의 지연 시간과 소리의 감소 정도를 조정하여 메아리가 들리는 것처럼 음을 변화시킨다. 지연된 음이 원래의 음에 더해지는 개념은 아래에 설명할 잔향 효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잔향은 음의 지연시간이 짧아 청각이 지각을 하지 못하지만 딜레이는 지연 시간이 길어 청각이 지각을 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또한 구현에 있어서도 딜레이는 원음을 단지 크기만 줄이고 시간을 지연하여 원음에 더하지만, 잔향은 메아리와 같은 반향음과 동굴 속에서 들리는 다중 반향음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실시예에서 학습어구 출력 후 반복학습어구를 일정 시간간격(0.01~1.0) 만큼 딜레이 시켜 출력하면, 학습자는 학습어구 인지 후 곧바로 반복학습 어구를 인식하게 된다. 잔향은 음향적으로 여러 다른 환경들, 예를 들면 콘서트 홀이나 교회당, 동굴과 같은 장소에서 음이 울려 퍼지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 효과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음을 듣게 될 때는 원래의 음이 먼저 들린 다음 곧 바로 여러 군데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잔향음을 듣게 되고 이 잔향음은 서로 겹치면서 서서히 감소한다. 이때, 실내 공간의 크기, 구조, 벽 또는 천정의 재질 등에 의해서 음원에 대한 직접 음, 초기 반사음, 잔향 패턴 및 잔향 시간 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를 조정하여 공연장의 느낌, 야외의 느낌, 집안의 느낌 등을 영상물에 제공할 수 있다.
코러스는 단순한 음의 성분을 가공해 마치 합창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만드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원음을 미세한 시간차가 나도록 하고 모두 더해 합창 효과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여러 사람이 합창을 할 때 사람마다 미세한 시간차와 음의 고저가 나는 점을 반영한 방법이다. 한 사람의 목소리로 여럿이 노래하고 있는 효과 등을 표현할 때 주로 이용된다.
반복학습어구 생성부(133)는 음향효과 중 하나를 학습어구에 반영하고, 세기 및 지연시간 조절을 통해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는 반복학습어구 생성부(133)에서 생성된 음향효과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반복학습 어구로 파형을 만들어 시간차복사를 하는 경우, 학습어구의 출력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학습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출력모듈(150)의 출력시간 산출부(151)는 화자가 학습어구를 발화하는 액센트 영역을 지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반복학습어구와 학습어구의 출력시간을 산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시간 산출부(151)는 학습어구의 발화길이에 따른 출력 시간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학습어구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 a1, a2, a3의 각 지속시간을 t1~t2, t2~t3, t3~t4로 산출한다. 이는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연속하여 출력하거나 짧은 시간(예컨대, 0.01~1.0초) 사이에 반복 출력 하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155)는 학습어구의 출력완료 시점과 반복학습어구의 출력 시작시점을 시간간격(Time Gap)을 두고 파형이 이동되도록 출력시작 시점을 조정하여, 두 학습어구를 연속하여 출력한다. 이때, 실시예에서는 반복학습어구의 출력 완료시점과 학습어구의 출력시점을 0.01~1.0초의 시간간격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반복 학습어구와 학습어구가 순차 출력되며 형성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시간차 반복을 통해 반복학습어구와 학습어구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학습어구 1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 a1-a11, 학습어구 2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 a2-a21, 학습어구 3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 a3-a31이 연속해서 출력되어, 학습자는 영문장을 반복 청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문장에 포함된 학습어구가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연속되므로 그 규칙성에 적응되어 쉽게 전체 문장을 들을 수 있다.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어구와 복사된 학습어구가 시간차에 따라 순차 출력하여 중첩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음향효과가 부가된 반복학습어구는 출력하지 않고, 학습어구를 복사하여 학습어구만 일정 시간차에 따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음량을 조정하여 생성된 반복학습어구만 시간차에 따라 반복 출력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습어구에 대한 액센트가 시간차에 의해 중첩되어 나타나게 된다. 즉, 큰소리와 작은 소리가 겹쳐서 출력된다. 동일한 액센트 영역이 두 개씩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학습어구 (1) explanation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a1(explanation)이고 학습어구 (2) growing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a2 (growing) 이고, 학습어구 (3) real resources 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a3 (real resource)인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효과가 포함되지 않고 시간차를 가진 학습어구만 출력하면 (1) explanation, (1) explanation (2) growing, (2) growing, (3) real resources, (3) real resources순으로 학습어구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각 학습어구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두 개씩 반복 중첩되어(a1, a1, a2, a2, a3, a3)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학습어구가 시간차(0.01초~1.0초) 만큼 중첩되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는 액센트를 강조하여 집중력을 높일 필요 없이 학습자에게 강제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이로써, 한 문장을 여러 번 들으면서 전체 문장의 뜻을 파악하게 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는 학습어구에 반복 노출되는 강제성이 높고 화자의 발화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되어 더욱더 빨리 효과적으로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다. 즉, 듣기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반복적인 파형은 중독성이 있다는 사실은 최신 가요를 통해 충분히 증명되고 있다. 시간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귀를 통해 뇌에 각성되면 학습시간을 줄여 외국어를 쉽게 습득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액센트 있는 큰소리를 여러 번 듣다 보면 학습어구가 아닌 전치사 부사, 접속사 등등의 작은 소리는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를 통해, 반복적으로 훈련하면, 실제로 새로운 문장을 듣게 되더라도 충분히 그 뜻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복사법의 가장 큰 특징은 실시간으로 외국어 학습을 위해 청취하는 다양한 컨텐츠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컨대, TV나 라디오 혹은 음향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외국어 컨텐츠에 상기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면, 시간차복사법으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가 출력되므로 보다 쉽게 외국어 청취를 몰입하여 즐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을 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을 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작용(기능)은 데이터 표시 장치 및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4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을 청취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510 단계에서는 학습어구 추출모듈에서 입력된 음성정보에서 문장을 분절하고, S520 단계에서는 분절된 문장에서 학습어구를 추출한다.
S530 단계에서는 학습어구 생성모듈에서 추출된 반복학습어구에 에코 등의 음향효과를 부가하여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고, S540 단계에서는 출력모듈에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시간차에 따라 출력한다. S540 단계에서는 액센트영역을 지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의 출력시간을 산출하고, 반복학습어구의 출력 완료 시점에 시간차가 종료되도록 학습어구를 출력한다.
또한, 시간차에 의한 음량 조정에 따라 학습어구만 순서대로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중첩 파형을 만들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서는 학습어구를 끊임없이 계속 들으면서 청취자가 인지할 수 있는 문장 및 구문을 찾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더욱 잘 듣기 위해 음향효과를 달리하는 여러개의 파형을 만들어 시간차복사를 하는 경우반복학습어구의 출력 다양성이 늘어서 언어의 여러가지 특징에 대한 적응을 높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0: 학습어구 추출모듈
130: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
150: 출력모듈

Claims (7)

  1.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를 이용한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가 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분절하는 단계;
    (B)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가 상기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상기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단계;
    (C)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가 상기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가 상기 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는 상기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상기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단계; 는
    문장파형에 포함된 최대피크값과 상기 최대피크값에 인접한 최소피크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피크값과 최소피크값의 변화폭을 산출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시점들과 상기 최대 피크값으로 액센트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액센트 영역을 기반으로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시점들과 상기 최대 피크값으로 액센트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에서는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첫 번째 시점은 학습어구의 발화가 시작되는 액센트 영역 시작시점으로 파악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두 번째 시점은 학습어구의 발화가 종료되는 액센트 영역의 종료 시점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는
    상기 학습어구를 복사하여 복사된 상기 학습어구와 상기 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C)상기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
    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단계; 는
    상기 음향효과의 세기와 지속시간이 다르게 반영된 복수개의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효과가 반영된 반복학습어구와 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연속으로 출력하여, 외국어 문장의 학습어구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는
    액센트 영역을 지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의 출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어구의 출력 완료 시점에서 일정시간 이격된 시점에 반복학습어구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5.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외국어 음성정보에 포함된 문장을 분절하고, 상기 분절된 문장의 파형분석을 통해 상기 문장의 액센트를 파악하여,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주요 의미어휘인 학습어구를 추출하는 학습어구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학습어구에 음향효과(sound effect)를 부가한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는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 및
    상기 생성된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학습어구를 복사하여 복사된 상기 학습어구와 상기 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반복학습어구를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어구 추출모듈; 은
    문장파형에 포함된 최대피크값과 상기 최대피크값에 인접한 최소피크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피크값과 최소피크값의 변화폭을 산출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시점들과 상기 최대 피크값으로 액센트 영역을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액센트 영역을 기반으로 학습어구를 추출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첫 번째 시점은 학습어구의 발화가 시작되는 액센트 영역 시작시점으로 파악하고, 상기 변화폭의 최소값이 산출되는 두 번째 시점은 학습어구의 발화가 종료되는 액센트 영역의 종료 시점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
  6. 삭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학습어구 생성모듈; 은
    상기 음향효과의 세기와 지속시간이 다르게 반영된 복수개의 반복학습어구를 생성하고, 학습어구와 상기 음향효과가 반영된 반복학습어구를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연속으로 출력하여, 외국어 문장의 학습어구에 해당하는 액센트 영역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모듈; 은
    액센트 영역을 지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학습어구와 반복학습어구의 출력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반복학습어구의 출력 완료 시점 또는 상기 반복학습어구의 출력완료 시점에서 일정 시간 이격된 시점에 시간 간격(Time Gap)을 가지고 학습어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장치.
KR1020180044957A 2018-04-18 2018-04-18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4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57A KR102049401B1 (ko) 2018-04-18 2018-04-18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PCT/KR2019/001675 WO2019203428A1 (ko) 2018-04-18 2019-02-12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57A KR102049401B1 (ko) 2018-04-18 2018-04-18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34A KR20190121534A (ko) 2019-10-28
KR102049401B1 true KR102049401B1 (ko) 2019-11-28

Family

ID=6823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957A KR102049401B1 (ko) 2018-04-18 2018-04-18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401B1 (ko)
WO (1) WO201920342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86B1 (ko) 2005-11-03 200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비디오 음성 더빙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9898B1 (ko) * 2014-02-12 2014-10-13 문성원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오디오 파일 생성 방법
JP2018054638A (ja) * 2015-02-11 2018-04-05 藤田 一郎 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392B1 (ko) * 2007-02-05 2009-02-24 이재환 구절반복 영어기억시스템
KR101005768B1 (ko) 2008-09-09 2011-01-06 편두리 어학학습장치
KR101144186B1 (ko) * 2009-03-02 2012-05-11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어학 학습 장치 및 어학 학습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20119593A (ko) * 2011-04-22 2012-10-31 주식회사 마법영어 다양한 타입의 음성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86B1 (ko) 2005-11-03 200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비디오 음성 더빙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9898B1 (ko) * 2014-02-12 2014-10-13 문성원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오디오 파일 생성 방법
JP2018054638A (ja) * 2015-02-11 2018-04-05 藤田 一郎 外国語学習用プログラ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28A1 (ko) 2019-10-24
KR2019012153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533B2 (en) Text to speech
Kraljic et al. Perceptual adjustments to multiple speakers
Van Heuven et al. Speech rate as a secondary prosodic characteristic of polarity questions in three languages
Tsur Size–sound symbolism revisited
US20160210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Speech Understanding
Picart et al. Analysis and HMM-based synthesis of hypo and hyperarticulated speech
Time Perception of the English voice onset time continuum by Polish learners
Fretheim et al. A pragmatic perspective on the phonological values of utterance-final boundary tones in East Norwegian intonation
KR102049401B1 (ko) 시간차 반복 청취를 위한 이용한 외국어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Silva British spoken word voice
Bragg et al. Expanding a large inclusive study of human listening rates
Darwin et al. Speech perception
Melguy et al. Perceptual adaptation to a novel accent: Phonetic category expansion or category shift?
Picart et al. Assessing the intelligibility and quality of hmm-based speech synthesis with a variable degree of articulation
Sugiyama et al. The effect of fo fall, downstep, and secondary cues in perceiving Japanese lexical accent
Bertenstam et al. The waxholm application database.
Ophaug The diminished vowel space in classical singing and the tug of war between" speech-true" and modified vowel qualities
Bel A continuum of speech: The difference between speech in conversation, interview, and lecture
WO2021220480A1 (ja) 音声伝達補償装置、音声伝達補償方法、及びプログラム
Hill et al. Unrestricted text-to-speech revisited: rhythm and intonation.
Hande A review on speech synthesis an artificial voice production
Chan et al. The effect of tone language background on cue integration in pitch perception
Hrabánek Acoustic properties of schwa in Czech English and its relation to spelling
Danka Current Debates in the Theory and Teaching of English L2 Pronunciation
Hemaidia Phonetics L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