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25B1 -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25B1
KR101005425B1 KR1020090124257A KR20090124257A KR101005425B1 KR 101005425 B1 KR101005425 B1 KR 101005425B1 KR 1020090124257 A KR1020090124257 A KR 1020090124257A KR 20090124257 A KR20090124257 A KR 20090124257A KR 101005425 B1 KR101005425 B1 KR 10100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anufacturing
mold
herbal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09012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25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35 priority patent/WO201107483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8Instruments or appliances for wax-shaping or wax-remo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 왁스를 녹여 액화된 왁스를 모형 잇몸에 설치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일정량씩 묻혀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을 갖는 고정인서트의 형상초본을 제작하는 형상초본 제조단계, 상기 형상초본 외측을 감싸 그 내부에 매설하고, 매설된 형상초본을 녹여 배출시켜 그 내부에 형상초본과 동일한 형상공간부를 갖는 형틀을 제조하는 형틀 제조단계, 상기 형틀을 원심분리기에 설치하고, 금속편을 녹인 후, 상기 원심분리기를 회전시켜 용융된 금속 액이 상기 형틀의 형상공간부에 충진되어 제품을 성형하는 제품 성형단계, 상기 용융된 금속 액이 굳으면, 상기 형틀을 깨트려 형상공간부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인서트를 꺼내고, 상기 고정인서트의 외형을 가공하는 제품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인서트와 고정날개판을 일체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공정과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고, 종래 형틀의 겹쳐진 부분에 발생되던 버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라 가공공정이 감소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고정인서트, 고정날개판,형상초본, 왁스, 원심분리

Description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ixing insert of cover-type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를 일체로 제조하여 작업공정과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버(burr)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융합에 의한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 다양한 실험, 임상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결손된 치아 및 무치악을 치료하는 방법은 보편화된 술식으로 자리를 잡았고 임상적으로 약 90 % 이상의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방식은 치골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와 이 임플란트에 고정용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플란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골융합이라고 하는 골과 임플란트가 밀접한 결합이 형성되어 임상적으로 임플란트의 동요도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초기안정과 유지는 골유착에 필수조건이다.
상기한 임플란트가 치골 내부에서 골융합되기 위해서는 대개의 경우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환자들은 그동안 저작 기능이 즉시 회복되지 못하여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
또 이때, 관리를 잘못하여 원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바르게 설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 후, 즉시 부하를 견뎌낼 만한 초기 고정원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체결부 외측을 보완해주는 고정인서트를 구비하여 임플란트를 치골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고정인서트는 그 외측에 다수의 고정날개판이 구비되며, 이 고정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통공되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치골에 고정됨에 따라 그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날개판을 갖는 고정인서트는 일체화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없어 고정인서트와 고정날개판을 각각 제조하여 용접해야됨에 따라 그 제조과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인서트를 제조하기 위한 형틀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제조 시, 한 쌍의 형틀이 겹치는 부위를 따라 불필요한 버(burr)가 발생되고, 이 버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공정이 추가되어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증가하며,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 제조되어 용접된 고정날개판이 설치하고자 하는 치골의 외형과 일치하지 않아 임플란트 시술 시, 초기 고정력을 유지할 수는 있지만, 사이에 간격 이 발생되어 골융합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염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고체 왁스를 녹여 고정날개판을 갖는 고정인서트를 제작하고, 이 고정인서트를 이용하여 형틀을 형성함에 따라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왁스를 이용하여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의 형상초본을 심고자하는 치골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고정인서트를 제조함에 따라 시술 시, 초기 고정력은 물론, 골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할 사람의 잇몸을 본떠 모형 잇몸을 제조하고, 이 모형 잇몸의 시술 위치에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설치하는 임플란트 설치단계, 고정인서트가 설치되는 부위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 외측 및 모형 잇몸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 고체 왁스를 녹여 액화된 왁스를 이형제가 도포된 모형 잇몸과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 외측에 일정량씩 묻혀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을 갖는 고정인서트의 형상초본을 제작하는 형상초본 제조단계, 제작된 형상초본을 모형 잇몸에서 분리시키는 형상초본 분리단계, 상기 형상초본 외측을 감싸 그 내부에 매설하고, 매설된 형상초본을 녹여 배출시켜 그 내부에 형상초본과 동일한 형상공간부를 갖는 형틀을 제조하는 형틀 제조단계, 상기 형틀을 원심분리기에 설치하고, 금속편을 녹인 후, 상기 원심분리기를 회전시켜 용융된 금속 액이 상기 형틀의 형상공간부에 충진되어 제품을 성형하는 제품 성형단계, 상기 용융된 금속 액이 굳으면, 상기 형틀을 깨트려 형상공간부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인서트를 꺼내고, 상기 고정인서트의 외형을 가공하는 제품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틀 제조단계는, 상기 제조된 형상초본의 일정부위에 고체왁스 재질의 거치봉을 부착하는 거치봉 부착단계, 상기 형상초본의 거치봉을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설치공이 통공된 받침대의 설치공에 설치하는 형상초본 설치단계, 상기 형상초본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원통을 설치하는 원통 설치단계, 상기 받침대와 원통 내부에 거치된 형상초본이 잠기도록 액상 응고제를 담는 응고제 주입단계, 일정한 진동을 가하여 상기 응고제가 담겨진 받침대와 원통에 진동을 전달함에 따라 상기 응고제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시켜 밀집도를 향상시키는 응고제 진동단계, 상기 응고제가 굳어 고체화된 형틀이 되면, 일정시간 가열함에 따라 상기 왁스 재질의 형상초본과 거치봉이 녹아 배출되어 상기 형틀 내부에 형상초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형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형상초본 설치단계에서, 상기 거치봉은 설치공에 끼워진 후, 액체 왁스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응고제 주입단계 전, 상기 원통과 받침대의 연결부위를 따라 응고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왁스로 패킹시키는 원통 패킹단계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에 가해지는 온도는 70 ~ 80℃이다.
또한,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 사탕수수, 큐티클, 밀랍, 양모지, 경랍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 성형단계에서, 금속편은 금(Au)이다.
또한, 상기 형상초본 제조단계에서, 상기 고정인서트의 각 고정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형상초본을 가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정인서트와 고정날개판을 일체로 제조할 수 있어 작업공정과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고, 종래 형틀의 겹쳐진 부분에 발생되던 버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라 가공공정이 감소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 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상초본 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제품 성형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제품 가공단계에 의한 제조된 고정인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틀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거치봉 부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형상초본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원통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응고제 주입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응고제 진동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형틀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은 임플란트 설치단계(S100)와 이형제 도포단계(S200), 형상초본 제조단계(S300), 형상초본 분리단계(S400), 형틀 제조단계(S500), 제품 성형단계(S600) 및 제품 가공단계(S700)로 구성된다.
임플란트 설치단계(S100)는 임플란트 시술을 할 사람의 잇몸을 본떠 모형 잇 몸(1)을 제조하고, 이 모형 잇몸(1)의 시술 위치에 임플란트(10)와 어버트먼트(2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형제 도포단계(S200)는 고정인서트(200)가 설치되는 부위인 임플란트(10)와 어버트먼트(20) 사이 외측 및 모형 잇몸(1)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제작되어질 형상초본(1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형상초본 제조단계(S3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 왁스를 녹여 액화된 왁스를 이형제가 도포된 모형 잇몸(1)에 설치된 임플란트(10)와 어버트먼트(20) 사이 외측에 형상초본(100)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액체 왁스를 일정량씩 묻혀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110)을 갖는 고정인서트의 형상초본(100)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액체 왁스는 형상초본(100)을 형성하기 전에 재가열되는 것으로, 이는, 고체 왁스를 일정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유지할 수 있지만, 형상초본(100)을 형성하기 위해 이동 중 원하는 점성을 유지할 수 없거나 만약을 대비하여 재가열 후, 형상초본(100)을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형상초본(100)에 고정날개판(110)이 하나 이상 형성됨이 당연하며, 모형 잇몸(1)은 임플란트 시술할 사람의 잇몸과 동일한 형상이다.
그리고 형상초본 분리단계(S400)는 제작된 형상초본(100)을 모형 잇몸(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형틀 제조단계(S500)는 형상초본 분리단계(S400)의 형상초본(100)을 이용하여 고정인서트(200)를 제조하기 위한 형틀(160)을 제조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형상초본(100)을 모형 잇몸(1)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형상초본(100)의 외측을 응고제(150)로 감싸 그 내부에 매설하고, 매설된 형상초본(100)을 녹여 배출시켜 그 내부에 형상초본(100)과 동일한 형상공간부(162)를 갖는 형틀(160)을 제조하게 된다.
제품 성형단계(S600)는 형틀(60)을 이용하여 형상초본(100)과 동일한 고정인서트(200)를 제조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분리기(60)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먼저, 형틀(160)을 원심분리기(60)에 설치하고, 금속편을 녹인 후, 원심분리기(60)를 회전시켜 용융된 금속편이 형틀(160)의 형상공간부(160)에 충진되어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형상공간부(162)의 개방부가 원심분리기(60)의 회전축 방향을 향하도록 형틀(160)을 고정시키고, 이 형상공간부(162)의 개방부 전방에서 금속편을 녹인 후, 회전시킴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녹은 금속 액이 주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원심분리기(60)는 태엽에 의해 회전되고, 금속편은 금(Au)이다.
그리고 제품 가공단계(S700)는 제조된 고정인서트(200)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화시키는 것으로, 용융된 금속 액이 굳으면, 형틀(160)을 깨트려 형상공간부(162)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인서트(200)를 꺼내게 된다.
이러한 고정인서트(200)는 거치봉(120)이 위치되던 형상공간부(162)의 개방부와 동일한 버(burr)가 형성될 수 있어 그 외형을 가공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210)이 형성된 고정인서트(200)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형틀 제조단계(S500)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봉 부착단계(S510)와 형상초본 설치단계(S520), 원통 설치단계(S530), 응고제 주입단계(S540), 응고제 진동단계(S550) 및 형틀 형성단계(S560)로 구성된다.
거치봉 부착단계(S51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형상초본(100)의 일정 부위에 고체 왁스 재질의 거치봉(120)을 부착하게 된다.
물론, 거치봉(120)의 단부와 형상초본(100)의 일정 부위를 가열하여 접합시킨다.
그리고 형상초본 설치단계(S52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초본(100)의 거치봉(120)을 받침대(130)에 설치하는 것으로, 받침대(130)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설치공(132)이 통공되며, 이 설치공(132)에 거치봉(120)을 설치한다.
이때, 거치봉(120)은 설치공(132)에 끼워진 후, 액체 왁스에 의해 받침대(130)에 고정된다.
원통 설치단계(S53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초본(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받침대(130)의 상측에 원통(140)을 설치하는 것으로, 원통(140)의 내경이 받침대(130)의 중앙 돌출부의 외경과 동일하여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응고제 주입단계(S540)는 받침대(130)와 원통(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부에 액상의 응고제(150)를 주입하는 것으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대(130)와 원통(140) 내부에 거치된 형상초본(100)이 잠기도록 응고제(150)를 담는다.
이때, 응고제 주입단계(S540) 전, 원통(140)과 받침대(130)의 연결부위를 따라 응고제(15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왁스로 패킹시키는 원통 패킹단계(S53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고제 진동단계(S550)는 응고제(150)가 담겨진 받침대(130)와 원통(140)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는 것으로, 응고제(150)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시킴에 따라 공극을 제거하여 밀집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형틀 형성단계(S560)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고제(150)가 굳어 고체화되면, 일정시간 가열함에 따라 왁스 재질의 형상초본(100)과 거치봉(120)이 녹아 배출되어 형틀(16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형틀(160)은 응고된 응고제(150)와 원통(140)으로 구성되며, 응고제(150)의 내부에 형상초본(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공간부(162)를 갖는다.
이때, 형틀(160)의 가열은 별도의 가열장치(50)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가열장치(50)에 의해 형틀(160)에 가해지는 온도는 70 ~ 80℃범위이다.
그리고 형상초본(100)과 거치봉(120)에 사용되는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 사탕수수, 큐티클, 밀랍, 양모지, 경랍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밀납으로 형성된 밀납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인서트(200)의 각 고정날개판(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212)을 갖는 것으로, 별도의 고정부재(미 도시)가 고정공(212)을 통해 시술을 받을 사람의 치조골에 고정인서트(200)의 고정을 위한 각 고정날개판(210)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공(212)의 형성을 위해 형상초본 제조단계(S300)에서는 형상초본(100)의 고정날개판(110)에 고정공(112)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상초본 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제품 성형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제품 가공단계에 의한 제조된 고정인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의 형틀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거치봉 부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형상초본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원통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응고제 주입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응고제 진동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제조단계의 형틀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형 잇몸 10 : 임플란트
20 : 어버트먼트 40 : 진동휘더
50 : 가열장치 60 : 원심분리기
100 : 형상초본 110 : 고정날개판
120 : 거치봉 130 : 받침대
140 : 원통 150 : 응고제
160 : 형틀 200 : 고정인서트
210 : 고정날개판

Claims (8)

  1. 임플란트 시술을 할 사람의 잇몸을 본떠 모형 잇몸을 제조하고, 이 모형 잇몸의 시술 위치에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설치하는 임플란트 설치단계;
    고정인서트가 설치되는 부위인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 외측 및 모형 잇몸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단계;
    고체 왁스를 녹여 액화된 왁스를 이형제가 도포된 모형 잇몸과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 외측에 일정량씩 묻혀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을 갖는 고정인서트의 형상초본을 제작하는 형상초본 제조단계;
    제작된 형상초본을 모형 잇몸에서 분리시키는 형상초본 분리단계;
    상기 형상초본 외측을 감싸 그 내부에 매설하고, 매설된 형상초본을 녹여 배출시켜 그 내부에 형상초본과 동일한 형상공간부를 갖는 형틀을 제조하는 형틀 제조단계;
    상기 형틀을 원심분리기에 설치하고, 금속편을 녹인 후, 상기 원심분리기를 회전시켜 용융된 금속 액이 상기 형틀의 형상공간부에 충진되어 제품을 성형하는 제품 성형단계;
    상기 용융된 금속 액이 굳으면, 상기 형틀을 깨트려 형상공간부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인서트를 꺼내고, 상기 고정인서트의 외형을 가공하는 제품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 제조단계는,
    상기 제조된 형상초본의 일정부위에 고체왁스 재질의 거치봉을 부착하는 거치봉 부착단계;
    상기 형상초본의 거치봉을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설치공이 통공된 받침대의 설치공에 설치하는 형상초본 설치단계;
    상기 형상초본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원통을 설치하는 원통 설치단계;
    상기 받침대와 원통 내부에 거치된 형상초본이 잠기도록 액상 응고제를 담는 응고제 주입단계;
    일정한 진동을 가하여 상기 응고제가 담겨진 받침대와 원통에 진동을 전달함에 따라 상기 응고제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시켜 밀집도를 향상시키는 응고제 진동단계;
    상기 응고제가 굳어 고체화된 형틀이 되면, 일정시간 가열함에 따라 상기 왁스 재질의 형상초본과 거치봉이 녹아 배출되어 상기 형틀 내부에 형상초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형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초본 설치단계에서,
    상기 거치봉은 설치공에 끼워진 후, 액체 왁스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 주입단계 전,
    상기 원통과 받침대의 연결부위를 따라 응고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왁스로 패킹시키는 원통 패킹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에 가해지는 온도는 7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카르나우바, 사탕수수, 큐티클, 밀랍, 양모지, 경랍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성형단계에서,
    금속편은 금(A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초본 제조단계에서,
    상기 고정인서트의 각 고정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형상초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KR1020090124257A 2009-12-14 2009-12-14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KR10100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57A KR101005425B1 (ko) 2009-12-14 2009-12-14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PCT/KR2010/008835 WO2011074835A2 (ko) 2009-12-14 2010-12-10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57A KR101005425B1 (ko) 2009-12-14 2009-12-14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425B1 true KR101005425B1 (ko) 2010-12-31

Family

ID=4351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57A KR101005425B1 (ko) 2009-12-14 2009-12-14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5425B1 (ko)
WO (1) WO2011074835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17B1 (ko) 2004-07-02 2006-03-21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997B2 (ja) * 1996-08-26 1999-05-31 株式会社ブレーンベース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鋳造模型パターン
JP3389212B2 (ja) * 2000-09-14 2003-03-24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歯科用埋没材及び歯科用鋳型の製造方法
DE102005016939A1 (de) * 2005-04-12 2006-10-19 Vekörrer, Fran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ntalformteilen
KR20090028183A (ko) * 2007-09-14 2009-03-18 박상규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17B1 (ko) 2004-07-02 2006-03-21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35A2 (ko) 2011-06-23
WO2011074835A3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5021B2 (ja) 人体インプラント構造
US20190175309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82930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0928655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US7431589B2 (e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US7670142B2 (en) Prosthesis mounting device and assembly
KR101630669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에 결합구조
US5100317A (en)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prosthesis
KR101005425B1 (ko)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WO2013174521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dental product
KR101943871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구조
US10849720B2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EP3781076B1 (en) Assembly comprising an abutment and a dental superstructure
CN106963505A (zh) 一种种植体上部侧向螺丝固位修复体制作方法
JP5465974B2 (ja) 天然歯における歯冠補綴構造
JP5241462B2 (ja) 義歯の製造方法
KR20050046036A (ko)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지르코늄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267B1 (ko) 치과 보철물 주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53661A1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restoration
RU22198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анатомических моделей
JP2000508942A (ja) 骨を構成する装置またはそれと同様な義歯インプラント用の適合システム
RU2174377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ронки зуба с заданной формой ее наддесневой части
JP520849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リポジションシステム
JP3983385B2 (ja) 歯科技工用クルーシブルフォーマ
JP2000083973A (ja) 歯科技工用クルーシブルフォ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