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183A -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 Google Patents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183A
KR20090028183A KR1020070093586A KR20070093586A KR20090028183A KR 20090028183 A KR20090028183 A KR 20090028183A KR 1020070093586 A KR1020070093586 A KR 1020070093586A KR 20070093586 A KR20070093586 A KR 20070093586A KR 20090028183 A KR20090028183 A KR 20090028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fixing
implant
fixing insert
cover type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07009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183A/ko
Publication of KR2009002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8Immediate loade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이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기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식 고정인서트이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과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과 직경을 가지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 주연과 인접한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이 일체 형성되고, 고정날개판에는 고정나사를 통해 치골에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의 하단부는 치골에 완전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날개판이 상기 고정인서트 하단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고정날개판, 골융합, 치골, 인공치아

Description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cover-type fixing insert of implant for preventing inflammation}
본 발명은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의 골융합이 완성되기 전 환자의 저작이 즉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이와 일체형성된 고정날개판과 치골 표면 사이가 빈틈없이 완전 밀착되도록 나사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골의 염증예방과 임플란트 제품의 수명 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융합에 의한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 다양한 실험, 임상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결손된 치아 및 무치악을 치료하는 방법은 보편화된 술식으로 자리를 잡았고 임상적으로 약 90 % 이상의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플란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골융합이라고 하는 골과 임플란트가 밀접한 결합이 형성되어 임상적으로 임플란트의 동요도가 없어야 하기 때 문에 초기안정과 유지는 골유착에 필수조건이다.
상기한 임플란트가 치골 내부에서 골융합되기 위해서는 대개의 경우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환자들은 그동안 저작 기능이 즉시 회복되지 못하여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후, 즉시 부하를 견뎌낼 만한 초기 고정원을 갖게 된다면 즉시 저작 기능을 하면서도 임플란트의 골융합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 독일의 엔겔케는 임플란트에 연결되는 보철 구조물에서 임플란트 주변의 피질골로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으며, 악악면 부위의 골융합에 사용되는 티타늄 플레이트를 보철 구조물에 부착하여 제작하고 새털라이트 어버트먼트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임상 실험에서 환자들의 즉시 정상 저작을 허용하고 3개월 후 2차 수술시 스탠다드 어버트먼트로 교체하며 방사선 검사와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즉시 부하가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철물을 이용한 새털라이트 어버트먼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새털라이트 플레이트와 용접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 하므로 인접치아가 있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여 시술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 자체를 변경하므로 기존의 표준 어버트먼트들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새털라이트 플레이트가 측부에 용접 보강되므로 부하를 측부에만 분산시키게 되므로 전체적인 임플란트의 부하를 골고루 분산시키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의 특허공보(등록번호 10-0563217;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를 보면, 임플란트 시술시 인접치와 새털라이트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임플란트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교합력을 분산시키며, 임플란트가 식립된 접합면의 골에 가해지는 교합 부하를 감소시키는 목적 이외에, 보조철물을 이용하되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용접과정이 불필요하며, 시술시 어버트먼트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보조철물의 나사결합만으로 환자의 즉시 부하가 가능하도록 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새털라이트 어버트먼트에 대해 언급하였다.
하지만 위의 경우에서, 시술되는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고정날개판과 치골 표면과의 사이 공간에 잇몸이 잔존하게 되며, 추후 이곳에 염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이 임플란트가 식립된 치골 내부까지 퍼지게 됨으로써, 종국에는 임플란트의 골융합과 제품 수명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플란트 시술 후 골융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환자의 저작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기존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이와 일체 형성된 고정날개판을 치골의 표면에 빈틈없이 밀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틈새 내 잔존 잇몸이 일으키는 염증의 예방과 종국엔 이로 인한 임플란트의 제품수명 단축을 막기 위함에 있다.
또한 커버식 고정인서트가 잇몸에 완전히 덮이도록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해당 잇몸보다 낮은 높이로 시술되며, 환자의 치골상태나 임플란트 상태에 따라 상기 커버식 고정 인서트의 시술 높이를 다르게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이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기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식 고정인서트이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과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과 직경을 가지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 주연과 인접한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이 일체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판에는 고정나사를 통해 치골에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의 하단부 는 치골에 완전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날개판이 상기 고정인서트 하단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부측으로 확장되는 직경을 가지며, 이에 접하는 상기 일체형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기 고정날개판과 경계선상을 기준으로 1 내지 4 mm 의 높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커버타임 고정인서트는, 생체내 흡수성 중합체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의 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이와 일체형성된 고정날개판을 치골의 표면과 완전 밀착하도록 나사체결함으로써, 추후 상기 고정날개판과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치골과의 틈새 공간에 잔존하는 잇몸이 유발하는 염증을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염증이 임플란트가 식립된 치골 내부로까지 확대되어 임플란트의 제품 수명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를 잇몸 속에 완전히 덮이도록 잇몸보다 낮은 높이로 시술함으로써, 이와 반대로 잇몸 외부에 노출되었을 경우 입안의 병균에 감염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식 고정 인서트의 시술 높이를 환자의 치골상태나 임플란트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미관이 좋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인 임플란트의 부하 감소와 고정화 및 치골 표면과의 밀착도에 있어 최적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임플란트의 골융합이 완성되기 전 환자의 저작이 즉시 가능하도록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골융합되며 어버트먼트(1)가 나사결합되어 인공치아를 연결시키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2)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로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과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과 직경을 가지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 주연과 인접한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4)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 판에는 고정나사(5)를 통해 치골(6)에 고정이 가능케 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체를 치골에 고정시킨 후,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를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중간에 삽입하여 상기 어버트먼트(1)의 외주면과 끼워 맞추어 구성되므로 상기 커버타입 고정 인서트, 이와 일체형성된 고정날개판(4)과 치골(6)의 표면 사이에 미세한 틈새 공간이 생기게 되고, 추후 이러한 틈새 사이에 잔존하는 잇몸이 부패함으로써 유발되는 염증과 이러한 염증이 임플란트(2)가 식립된 치골 내부까지 확대됨으로써 종국엔 임플란트의 제품 수명조차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b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서 흔히 발견되는 틈새 부위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즉,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가 임플란트(2)와 어버트먼트(1)의 결합체 위에 삽입되어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이므로, 커버타입 고정 인서트(3)와 고정날개판(4) 및 치골(6) 표면 사이의 불완전 밀착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공간(20)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틈새에 잔존하게 되는 잇몸이 유발하는 염증 문제를 종래 발명은 간과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치골(6)을 덮는 잇몸(7)을 절개하여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와 이와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판(4)을 치골 표면에 완전 밀 착하도록 나사체결한 후, 임플란트(2)와 나사결합되어 골융합되고 또한 인공치아(8)를 연결시키는 일체형 어버트먼트(30)를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의 내주면에 관통시켜 치골 내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와 고정날개판, 그리고 치골 표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인서트(3)의 하단부 역시 치골과 완전 밀착된다.
따라서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의 하단부가 치골에 완전 밀착되기 위해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의 하단부 끝단에 상기 고정날개판(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부측으로 확장되는 직경을 가지며, 이에 접하는 상기 일체형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이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골(6)에 밀착 고정되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3)는 잇몸(7)보다 낮은 높이(h)로 시술하게 되는데,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잇몸 속에 완전히 덮이도록 시술하여 병원성 세균이 잇몸과 치골부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와 치골 표면과의 밀착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서 고정날개판(4)은 재질이 생체내 흡수성 중합체(Biodegradable Polymers)로써, 시술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완전히 체내에 흡수·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생체내 흡수성 중합체인 폴리글락틱산(Polyglactic Acid: Vicryl)은 가 수분해가 되면서 그 형태가 오래 유지되는 재료로, 실험적으로 고정판을 만들어 같은 재료의 나사를 이용하여 개의 골절편을 8 내지 12주일 동안 고정한 결과 잘 치유되었으며, 약 40주 후에 재료는 완전히 분해되었다.
또한 실험적으로 폴리글락틱산과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Dexon)을 혼합한 봉합사를 만들어 본 결과 흡수기간은 100일부터 220일까지 다양하게 나타난 바 있다. 이 재료들로 그물망을 만들어 인공 골 대치재료들을 채운 후 소시지 모양으로 치조골의 증강술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술높이가 서로 다른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들을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치골상태나 임플란트 상태에 따라, 잇몸에 덮이어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체와 연결되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의 시술 높이(h)를 1 내지 4 mm 로 다르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골을 덮는 잇몸의 두께는 대략 최대 4 mm 로, 본 발명은 종래의 획일적인 치수를 갖는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를 탈피하여 1 mm, 2 mm, 3 mm, 4 mm 로 시술 높이를 달리한 다양한 제품들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골상태나 시술되는 임플란트 상태에 따라 최적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를 선별하여 시술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 서트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타입 고정 인서트에서, 해당 치골을 덮는 잇몸을 절개하여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와 이와 일체 형성되는 고정날개판을 치골 표면에 완전 밀착하도록 나사체결한 후, 골융합되며 어버트먼트가 나사결합되어 인공치아를 연결시키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체를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의 내주면에 관통시켜 치골 내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된 접합면의 골에 가해지는 교합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및 고정날개판과 치골 표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부측으로 확장되는 직경을 가지며, 이에 접하는 상기 일체형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치골에 밀착 고정되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잇몸보다 낮은 높이(h)로 시술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잇몸 속에 완전히 덮이도록 시술하여 병원성 세균이 잇몸과 치골부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와 치골 표면과의 밀착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골상태나 임플란트 상태에 따라, 잇몸에 덮이어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체와 연결되는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의 시술 높이(h)를 1 내지 4 mm 로 다르게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 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서 흔히 발견되는 틈새 부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술높이가 서로 다른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들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버트먼트 2 : 임플란트
3 :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4 : 고정날개판
5 : 고정나사 6 : 치골
7 : 잇몸 8 : 인공치아
20 : 공간 30 : 일체형 어버트먼트

Claims (4)

  1.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기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식 고정인서트이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과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과 직경을 가지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 주연과 인접한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판이 일체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판에는 고정나사를 통해 치골에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되되,
    상기 고정날개판과 고정인서트의 하단부는 치골에 완전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날개판이 상기 고정인서트 하단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부측으로 확장되는 직경을 가지며, 이에 접하는 상기 일체형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상기 고정날개판과 경계선상을 기준으로 1 내지 4 mm 의 높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4. 제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타입 고정인서트는,
    생체 내 흡수성 중합체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KR1020070093586A 2007-09-14 2007-09-14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KR20090028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86A KR20090028183A (ko) 2007-09-14 2007-09-14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86A KR20090028183A (ko) 2007-09-14 2007-09-14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83A true KR20090028183A (ko) 2009-03-18

Family

ID=4069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86A KR20090028183A (ko) 2007-09-14 2007-09-14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1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5A2 (ko) * 2009-12-14 2011-06-23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WO2011078475A2 (en) * 2009-12-24 2011-06-30 Osstem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having plate
WO2018056566A1 (ko) * 2016-09-23 2018-03-29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20200068826A (ko) * 2018-12-06 2020-06-16 문현규 호환용 잇몸보호 어버트먼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5A2 (ko) * 2009-12-14 2011-06-23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WO2011074835A3 (ko) * 2009-12-14 2011-10-27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WO2011078475A2 (en) * 2009-12-24 2011-06-30 Osstem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having plate
WO2011078475A3 (en) * 2009-12-24 2011-10-27 Osstem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having plate
KR101139962B1 (ko) * 2009-12-24 2012-04-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WO2018056566A1 (ko) * 2016-09-23 2018-03-29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20200068826A (ko) * 2018-12-06 2020-06-16 문현규 호환용 잇몸보호 어버트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berg et al. Brånemark System® and ITI Dental Implant System® for treatment of mandibular edentulism: A comparative randomized study: 3‐year follow‐up
Hui et al. Immediate provisional for single‐tooth implant replacement with Brånemark system: Preliminary report
Polizzi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narrow Brånemark System implants for single-tooth restorations.
Payne et al. Conventional and early loading of unsplinted ITI implants supporting mandibular overdentures: Two‐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Scortecci Immediate function of cortically anchored disk-design implants without bone augmentation in moderately to severely resorbed completely edentulous maxillae
US10299895B2 (en)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a dental implant
EA015080B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альвеола и корень зуба
KR20090028183A (ko) 염증방지용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US5888068A (en) Intracoronally supported pontic
CA2265339C (en) Improved intracoronally supported pontic
Eckert et al. Patient evaluation and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JP4285782B2 (ja) インプラント装置
Tarnow et al. When to save or remove implants in the smile zone: A clinical repor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implants in malposition
JP2001523132A5 (ko)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Ross et al. The immediate placement of an endosseous implant into an extraction wound: a clinical case report using the RosTR System.
Rothman et al. High-resolution computerized tomography and nuclear bone scanning in the diagnosis of postoperative stress fractures of the mandible: a clinical report.
KR100563217B1 (ko)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KR20140077436A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Shaikh et al. Bicortical Implants: An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for the Hopeless: A Case Report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US20240008961A1 (en) Protective shield for dental implant
EP4018964A1 (en) One-piece tissue level ceramic dental implant with a dual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for a custom-made dental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