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127B1 -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127B1
KR101005127B1 KR1020067020263A KR20067020263A KR101005127B1 KR 101005127 B1 KR101005127 B1 KR 101005127B1 KR 1020067020263 A KR1020067020263 A KR 1020067020263A KR 20067020263 A KR20067020263 A KR 20067020263A KR 101005127 B1 KR101005127 B1 KR 10100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nd portion
insulating jacket
ja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204A (ko
Inventor
글렌 제이. 버티니
앤소니 로이 시머
Original Assignee
노비니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비니움, 인크. filed Critical 노비니움,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0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3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for use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갖춘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도체는 대기압보다는 높지만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는 낮은 잔류 전압으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한다. 하우징 내부 챔버는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는 전도체를 수용한다. 몇몇 실시예는 그에 스웨이징된 하우징 단부 부분을 갖춘 절연 재킷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겹치는 크기로 된 챔버를 갖는다. 밀봉부는 하우징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보유 부재는 하우징에 대해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켜 잔류 압력으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한다.
Figure R1020067020263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 고압 커넥터, 전도체, 빈 간극 체적, 절연 재킷

Description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HIGH-PRESSURE POWER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interstitial void volume)에 유전성 증진 유체를 주입하기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승된 압력으로 유체를 주입한 다음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간극 체적 내에 유지하여 기본적으로 절연 재킷의 푸시백(pushback)이 제거되는 고압 단자 커넥터(high-pressure terminal connector) 및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high-pressure splice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지하 전기 케이블의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산업화된 세계의 많은 부분에서 적소에 있다. 이러한 지하 분포는 바람, 눈 또는 빛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가공선로(overhead lines)에 비해 큰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는 주위 풍경을 훼손하지 않고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수단인 것으로 인식되며 후자의 특징은 특히 교외 및 도시 생활에서 알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일반적으로 반도전성 차폐부, 중합 절연 재킷 및 절연 차폐부로 둘러싸인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포함하는 이들 케이블, 특히 1985년 이전에 설치된 케이블은 종종 조기 파손을 겪고 30 내지 40년의 그 원래의 예정된 수명을 달성하지 못한다. 그들의 유전성 파손은 일반적으로 소위 "트리잉(treeing)" 현상(즉, 절연 재료 내의 미세 간극 또는 분기 채널의 형성을 지칭하며, 이로부터 설명하는 용어가 유래함)에 기여하고, 이는 케이블 절연의 점진적인 파괴로 이어진다. 지하 케이블의 파손된 섹션을 대체하는 것은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성가신 절차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기존 지하 케이블의 유효 수명을 늘리려는, 전기 설비 산업의 부분에서 강한 동기가 존재한다.
많은 초기의 노력은 절연체를 단순히 건조시키거나 또는 이러한 건조 단계 후에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관련된 간극 공간(빈 간극 체적)으로 트리 반응속도 지연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을 회복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졌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4,545,133호 및 제4,372,988호). 액체는 케이블 내부로부터 절연체로 확산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는 미세 트리를 채워서 이에 의해 케이블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상기 방법에 대한 개선은 빈센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66,011호에서 제안된 바 있고, 여기서 트리 반응속도 지연 액체가 케이블 내뿐만 아니라 절연체의 수 트리 간극(water tree void) 내에서 중합된 특정 등급의 방향족 알콕시실란(alkoxysilane)으로부터 선택되었다. 소정의 신속하게 확산하는 성분을 채용하는 이 방법 및 그 변형예(미국 특허 제5,372,840호 및 제5,372,841호 참조)는 지난 10년에 걸쳐 상업적인 성공을 누려왔지만, 이들은 비교적 작은 직경과 이에 따른 최적의 유전 성능에 필요한 반응속도 지연제의 양에 비해 현재의 불충분한 틈새 체적을 갖는 지하 주거 분포(URD) 케이블을 재생할 때, 아직까지 몇몇 실제적인 제한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개시 내용에 의해 명백하게 필요하지는 않지 만, 이러한 실란계 조성물을 채용한 URD 케이블의 현장에서의 재생에서는 추가의 반응속도 지연 액체가 케이블 절연체를 관통하여 유전 특성을 회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60 내지 90일의 "담김 주기" 동안 케이블에 연결된 액체 저장소에 유지한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이 장소를 적어도 세 번, 즉 첫번째, 일단부에 진공부를 타단부에 약간 가압된 공급 저장소를 포함하는 주입을 시작할 때, 두번째, 유체가 케이블의 길이를 가로지른 후 몇일 후에 진공 병을 제거할 때, 마지막으로 담김 주기가 완료된 후에 저장소를 제거할 때 방문할 필요가 있다. 이들 반복된 출장은 인력 관점에서 비용이 든다. 보다 중요하게는, 전압이 가해진 장비에 대한 작업자의 각각의 노출은 심각한 상해 또는 재난의 추가의 위험을 제공하여, 각각의 이러한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롭다. 상기 한계의 관점에서, 회로 소유자는 상기 복구 방법을 이용하기보다는 일단 악화되면 케이블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상업적으로 등가이거나 또는 심지어 유리하다고 알 수도 있다.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인용된 방법 모두에서, 트리 반응속도 지연 액체가 빈 간극 체적을 용이하게 채우기에 충분한 압력하에서 케이블에 주입된다. 그리고, 400 psig만큼 높은 압력이 이 단부에 채용되고(예컨대, 문헌[Transmission & Distribution World, 1999년 7월 1일] 참조), 압력은 항상 케이블이 채워진 후에 중단된다. 최대, URD 케이블 재생의 경우에 담기 주기에 필요한 바와 같이, 약 30 psig까지의 잔류 압력이 주입 후에 액체 저장소에 가해진다. 또한, 높은 압력이 전력 케이블을 주입하는데 사용되었고, 이 이전 사용은 미국 특허 제4,845,309호, 제4,961,961호, 제4,978,694호에 의해 의도된 릴 상의 특히 해저 케이블(예컨대, Transmission & Distribution World article) 또는 스트랜드 차단 재료(즉, 트리 반응속도 지연제 또는 유전 증진 유체가 아님)가 주입된 새로운 케이블에서 맞닥뜨리는 매우 긴 길이에 대해, 단독으로 케이블 세그먼트 충진 시간을 가속시킨다.
또한, 높은 압력이, 과도한 압력의 가능한 해로운 효과의 실험적 결정으로 유지될 때라도, 117 psig의 최대 압력이 단지 2시간 동안만 유지되었다. 보다 적절하게는, 이 실험 절차에서, 압력은 외부 압력 저장소에 의해 이 짧은 주기 동안 유지되었다.(Entergy Metro Case Study: Post-Treatment Lessons, Glen Bertini, ICC April, 1997 Meeting, Scottsdale, AZ).
상기 방법에서, 액체 트리 반응속도 지연제가, 트리 반응속도 지연 액체의 유입을 위한 주입 포트와, 액체가 주입 동안 누설되지 않도록 케이블에 장치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 끼워맞춤부를 사용하여 케이블 내부에 주입되었다. 비교적 낮은 주입 압력(예컨대, 30 psig 미만)에서, 소형 윈도우는 간단히 케이블 절연체로 절단될 수 있었고, 주입 포트를 갖는 하우징은 하우징과 절연체 사이에 개입된 적절한 밀봉부로 이 윈도우 주위를 클램핑하였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939,882호 및 제4,545,133호 참조). 다르게는, 다시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필요한 밀봉 부재와 주입 포트를 갖고 이들 목적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다양한 주입 엘보우 및 종단부가 채용될 수 있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88,886, 제4,945,653호, 제4,946,393호, 제6,332,785호, 제6,489,554호 참조).
높은 주입 압력(예컨대, 30 내지 2000 psig)에서, 액체가 탈출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탄성중합체를 변형하여 절연체와 하우징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위 하우징 내에 두 개의 유사한 금속 워셔 사이에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절연 재킷 위로 동축방향으로 배치된 탄성중합 워셔를 포함하는 FasTest®의 밀봉부를 채용하였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2,080,271호 및 제4,345,783호). 이러한 유형의 밀봉부는 상기 인용된 Transmission & Distribution World injection에 사용되었고, 여기서 전기 커넥터가 높은 압력으로 인해 케이블 전도체를 파열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에 대한 전기 연결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 금속 워셔 중 하나 위의 세트 스크류가 주입 동안 크림프 커넥터에 인가되었다.
비교적 높은 압력을 채용한 몇몇 케이블 주입(예컨대, 스트랜드 차단 혼합물을 갖춘 새로운 케이블 주입) 작업에서, 다시 후자가 케이블 파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 재킷 위로 또는 스트립되지 않은 케이블 위로 인가된 켈렘즈 그립("차이니즈 핑거"로도 알려짐)이 상술된 FasTest® 타입 커넥터와 조합하여 채용되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호스 클램프가 후자를 더 고정하기 위해서 켈렘즈 그립 위에 인가되었다. 그러나, 주입 어댑터 및 켈렘즈 그립은 일단 주입이 완료되면 항상 제거되었다.(예컨대, 베르티니 등의, Silicone Strand-Fill: A New Material and Process, Spring 1990 Insulated Conductors Committee (ICC) of the Power Engineering Society (PES)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Dearborn, MI.)
본 적용예로 계획된 고압 단자 또는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상술된 문제점들에 대처하고, 고압으로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으로 유전 증진 유체(예컨대, 트리 반응속도 지연 유체)를 주입하고 유사하게 높게 지속되는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내부에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다르게는, 본 장치는 유체의 주입이 케이블 세그먼트의 원거리 지점에서 발생하는 유동 관통 모드에서 사용되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압 커넥터는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기본적으로 제거하면서 잔류 고압이 케이블의 빈 간극 체적에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갖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케이블을 포함하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 또는 제로 게이지 압력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고압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고압 커넥터는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춘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내부 챔버 내부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세그먼트로 그 일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과,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된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겹치는 크기로 된 그 하우징 벽을 갖춘 단부 부분을 갖는다.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절연 재킷에 충분히 고정되어, 하우징 내부 챔버와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으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그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갖는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하여 절연 재킷에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를 내향 스웨이징할 때 그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하도록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스웨이징할 수 있는 결합부가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절연 재킷에 대한 결합부의 내향 스웨이징할 때에 결합 부재가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켜 그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하도록 그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부분적으로 관통하기 위해 내향 이동되도록 결합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커넥터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그리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서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도체 부재는 또한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갖춘 내부 부재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벽 부재는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전도체 부재를 고정시켜 부재 벽의 내향 크림핑시 그 사이에 전기 접촉하도록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는 일체형 부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태로,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그 하우징 벽을 갖춘 단부 부분을 갖는다. 하우징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시키고 하우징 내부 챔버와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에서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그리고 잔류 압력으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에 케이블 세그먼트를 충분히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 수단이 제공된다.
부착 수단은 하우징 내부 챔버와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밀봉부와, 하우징에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세그먼트는 잔류 압력으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밀봉부는 절연 재킷과 하우징 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고정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고정 부재는 관통하여 절연 재킷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갖고, 파지부를 갖는다. 파지부는 내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그립 부재를 갖고, 그립 부재는 주입 포트로의 유체의 주입 동안 하우징에 대해 절연 재킷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켜 그 사이에 결합하도록 내향 이동될 때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에 구속되는 동안, 충분한 힘으로 절연 재킷의 접촉부와 접촉하고 내향 변형가능하게 결합하기에 충분히 구멍으로 내향 돌출된다.
다른 태양에서, 부착 수단은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단부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단부 밀봉 부재는 스트랜드형 전도체가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로 절연 재킷의 단부면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그리고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밀봉 부재는 단부 밀봉 부재가 절연 재킷의 단부면과 유체 기밀 밀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절연 재킷에 단부 밀봉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절연 재킷으로 구동할 수 있는 패스너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단부 밀봉 부재는 하우징 단부 부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어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도체 부재는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은 절연 재킷의 단부면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게 단부 밀봉 부재를 편향시키도록 전도체 부재의 단부 부분과 단부 밀봉 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도체는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하우징은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다.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케이블의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밀봉부는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제2 밀봉부는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 부재는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대해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고정 부재는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대해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는 제1 및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고정시켜 그 사이에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스웨이징 구역의 주연방향 기계가공된 치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A는 도1의 자기 폐쇄 스프링 기동식 주입 밸브 및 관련 주입 니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B는 도1 및 도1A의 C형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2는 스웨이징 구역의 주연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O링을 채용하고 스웨이징 구역에 장방형 탭을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스프링 기동식 베벨형 축방향 0링 밀봉부를 채용하고 스웨이징 구역에 주연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스프링 기동식 금속 대 플라스틱 밀봉부를 채용하고 스웨이징 구역에 주연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6은 스웨이징 구역에 기계가공된 치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단자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6A는 도6의 자기 폐쇄 스프링 기동식 주입 밸브와, 고압 단자 커넥터에 유체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관련 주입 니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스프링 기동식 베벨형 축방향 금속 대 플라스틱 밀봉부를 채용하고 스웨이징 구역에 주연방향으로 형성된 만입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8은 스웨이징 구역에 기계가공된 치부를 갖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이중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축방향 금속 대 플라스틱 밀봉부를 갖는 축방향으로 보유된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9A는 도9의 면 밀봉부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9B는 로킹 스크류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9의 커넥터의 단부 부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10은 압축 밀봉부를 갖고 클램핑 칼라로 고정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0A는 관련 세트 스크류를 도시하는 도10의 중심 워셔의 평면도이다.
도10B는 도10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압축 밀봉부를 갖고 클램핑 칼라로 고정된 고압 단자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2는 도6 및 도8에 도시된 밀봉 및 고정 수단과 조합하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3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그리고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의 스웨이징을 도시하는 도8의 스웨이징할 수 있는 이중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이다.
도14는 절연 재킷에 대한 하우징의 스웨이징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상에 위치된 부싱에 대한 하우징의 크림핑을 도시하는 도2의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의 단일 하우징 스플라이스 커넥터이다.
케이블을 회복하는 상술된 방법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발명의 명칭이 지속적인 상승 압력으로 전기 케이블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인 2004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0/549,322호와, 동일한 발명의 명칭으로 이와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비가출원에 설명되고 그 전 체 내용이 참고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지속적인 상승 압력으로 전기 케이블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케이블의 빈 간극 체적이 트리 반응속도 지연 유체와 고압의 지속적인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구속된 유체로 충진될 때, 실제로 유입된 유체의 체적이 부과된 압력에 상응하는 케이블의 팽창의 엄격한 계산으로부터 예측되는 체적을 초과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관찰 및 계산된 체적 변화의 차이는 압력으로 증가되었고, 케이블의 절연 및 전도체 차폐부를 통한 그 운송뿐만 아니라 전도체 차폐부에서의 유체의 가속된 흡수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믿어졌다. 이는 처리하고 단지 일주일 후 관찰된 낡은 케이블의 유전 강도의 현저한 향상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개발 동안, 케이블 세그먼트를 주입하도록, FasTest® 타입 밀봉부를 갖는 종래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부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고압이 연장된 기간 동안 유지될 때 유체 누설을 초래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케이블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유입할 뿐만 아니라 그 후 고압의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절한 커넥터를 고안하는데 대한 요구가 있었다.
지속적인 상승 압력으로 트리 반응속도 지연 유체를 처리하기 위한 상술된 방법의 개발 동안,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중요하고, 여태까지 알지 못한, 케이블을 주입하도록 채용된 종래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압력이 과거에 채용되었고(예컨대, 매우 긴 케이블 세그먼트의 주입 또는 온더릴 케이블 주입), 케이블 세그먼트가 충진된 후에는 압력이 항상 경감되었고, 켈멘즈 그립(사용시) 및 주입 어댑터는 더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주입 후 에 제거되었다. 그러나, FasTest® 타입 커넥터를 사용하는 상술된 지속적인 압력 방법이 시도될 때, 전도체에 인가되는 세트스크류와 조합될 때라도, 새로운 "푸시백"이 발견되었고, 이는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푸시백은 본 명세서에서는, 유체가 높은 잔류 압력으로 빈 간극 체적 내에 구속될 때 케이블 세그먼트의 전도체의 절결 단부(크림핑된 단부)로부터 멀리 전도체 차폐부와 절연 재킷의 축방향으로 이동으로 정의된다. 어떤 특정 이론 또는 메커니즘에 의해 제한되기를 바라지는 않고, 푸시백은 중합 절연 및 전도 차폐부의 압축 크리프와, 높은 연장된 압력에 기인한 축방향 부하하에서 전도체에 대한 후자의 슬립에서 유래된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푸시백이 이전 주입 장치로 관찰되지 않는 가능성있는 이유는 주입된 유체가 그렇게 할 동기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연장된 기간 동안 이러한 높은 압력을 결코 받지 않기 때문이다. 불행하게도, FasTest® 밀봉부에 대한 절연체의 충분한 변위로 인한 이 푸시백 현상은 유체가 연결부로부터 누설되게 만들고 높은 잔류 압력이 신속하게 약해지게 만들어서, 상기 신규한 방법에 의도된 결과를 파괴한다.
본 고압 커넥터는, 높은 지속적인 잔류 압력을 갖는 조합된 유체에 의해 발생된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고정 기능을 갖는 소자와 조합하는 밀봉 기능을 갖는 소자를 채용함으로써, 필수적으로 상기 푸시백 문제점을 없앤다. 따라서,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 커넥터는 약 1000 psig(pound per square inch, gage)에 이르는, 양호하게는 약 100 psig로부터 1000 psig 까지의, 그러나 계획된 작동 온도에서 절연체의 탄성 한계 아래인 압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주입하고, 그후 상술된 절연체의 푸시백을 생성하지 않고 연장된 기간 동안 잔류 압력으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고압 단자 커넥터 또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이다. 이 기간은 몇일에서 몇달까지 변동되고, 초기 잔류 압력과, 주입된 유체의 침투 특성과, 케이블의 기하학적 형상과, 케이블이 작동되는 온도에 의존하는 압력의 쇠퇴 비율에 의존한다. 이 주기 동안, 유체가 전도체 차폐부와 케이블의 절연 재킷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확산됨에 따라, 잔류 압력이 쇠퇴하지만, 밀봉부(들)을 통한 유체 누설의 결과로 인한 것은 아니다.
고압 단자 및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압 커넥터의 일반적인 제1 실시예는, 상술된 밀봉 및 고정 기능은 스플라이스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 단부에서 작동부를 스웨이징함으로써 동시에 달성되는, 스웨이징할 수 있는 스플라이스 커넥터이다. 이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제1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 및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접합하기 위해 설계되고,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중합 절연 재킷에 내장되고 빈 간극 체적을 갖는,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전도체 차폐부에 의해 둘러싸인 개별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는다. 전도체는 각각의 전도체와 전기 연통하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의 단부에서 접합된다.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적어도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유입하고, 대기압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체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합하다.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케이블 세그먼트와 필수적으로 동축방향으로 정렬하여 위치된 관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다. 하우징은 관통하여 제1 및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내경을 갖고, 각각의 절연 재킷의 일부분을 적어도 겹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하우징은, 각각의 절연 재킷에 대해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고, 유체의 주입 동안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으로 빈 간극 체적에 구속되는 동안,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대해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를 필수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각각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그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부를 따라 각각의 개별 절연 재킷에 대해 더 스웨이징할 수 있다. 이 측면에서, 케이블 세그먼트 양자 모두는 적절한 끼워맞춤부(들) 및 주입 포트(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주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세그먼트 양자 모두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통해, 그리고 제2 세그먼트를 통해,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서 멀리 제1 세그먼트의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시작하여 주입될 수 있다(유동 관통 모드). 본 커넥터의 이러한 그리고 소위 임의의 다른 유동 관통 모드에서, 하우징의 주입 포트(들)는 없앨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라는 용어는, 절연 재킷의 외경이 2%보다 크게 25℃에서 영구 설정을 취하여(즉, OD는 그 원래 값의 1.02배 인자에 의해 증가됨), 케이블 성분에 분해되는 유체로 인한 임의의 팽창(부어 오름)을 배제하는, 빈 간극 체적의 내부 압력으로 정의된다. 이 한계는, 예를 들어, 절연 차폐부 및 와이어 랩과 같은 임의의 커버링 을 먼저 제거한 후에, 약 24시간의 주기 동안, 전도체 차폐부에서 그리고 절연 재킷에서 0.1 중량% 미만의 용해성을 갖는 유체를 갖춘 케이블 세그먼트의 샘플을 가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압력이 해제된 후에, 최종 OD는 상기 결정시 초기 OD와 비교된다. 여기서의 목적으로, 상술된 잔류 압력이 상기 정의된 탄성 한계의 약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버전은, 관형 하우징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위에 필수적으로 위치된 변형가능한 중심부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부를 따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대항하여 스웨이징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와 하우징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상황을 의도한다. 다르게는, 0링 밀봉부를 갖는 부싱은 스플라이스 스탠드 커넥터와 하우징의 내주연부 사이에 개재되고 그에 스웨이징될 수도 있다. 이 버전에서,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위로의 스웨이지가 개별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 사이에 유체 연통을 방지하고 각각의 전도체에 대해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독립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스웨이징 또는 "주연방향 크림핑"은 그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축방향 위치 위로 하우징의 주연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배향된 압축의 인가를 지칭한다. 이 스웨이징 작동은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원형의 주연 만입 구역(예컨대, 그루브 또는 평탄 함몰부)를 생성하고, 그 주연부에서 후자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 절연 재킷(또는 부싱 또는 스플라이스 커넥터) 속으로 대응하는 내향 내부면을 돌출시킨다. 스웨이징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의 파이프 커터는 그 날카로운 다이를 적절한 크기의 둥근형 또는 평탄형 다이로 대체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이 변형된 공구는 이어서 다이가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 표면을 향해 내향으로 강제 압박되는 파이프 절단 작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Gardena, CA 소재의 Deutsch Metal Components에 의해 제공되고 미국 특허 제3,848,451호 및 제5,069,058호에 개시된 CableLok™ 반경방향 스웨이징 공구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주연방향 크림핑 또는 스웨이징 공구가 사용된다. 스웨이징은 정상 크링핑 작동과 구별되고, 여기서 일점(만입 크림프), 이점 또는 다점 반경방향 크림프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공구를 사용하여 크림프 커넥터(예컨대, 전도체에 부착된 크림프 커넥터)를 접합하도록 인가된다. 이러한 단점 또는 다점 크림핑 작동으로부터의 최종 크림프는 여기서는 간단히 "크림프"라 칭하고, 기계적 커넥터에 인가되는 쉐어 볼트와, 독일 GPH GmbHG, Hof/Saale사에 의해 제공되는 케이블 러그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서, 본 커넥터는 상술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와 유사한 고압의 스웨이징할 수 있는 단자 커넥터이다. 따라서, 중합 절연 재킷에 내장되고 빈 간극 체적을 갖는,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전도체 차폐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전도체를 갖는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용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단자 커넥터가 제공된다. 전도체는 그 사이에 전기 연통하게 종단 크림프 커넥터 에 부착된다. 고압 단자 커넥터는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유입하고, 대기압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체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합하다. 고압 단자 커넥터는 필수적으로 케이블 세그먼트와 동축방향 정렬하게 위치된 관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우징은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고, 관통하여 절연 재킷과 종단 크림프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내경을 갖는다. 하우징은 종단 크림프 커넥터와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겹치기에 충분한 길이부를 더 갖고, 종단 크림프 커넥터에 대해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그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부를 따라 종단 크림프 커넥터에 대항하여 스웨이징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절연 재킷에 대해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유입 동안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으로 빈 간극 체적에 구속되는 동안 고압 단자 커넥터에 대해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을 필수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하우징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그 적어도 하나의 외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에 대항하여 더 스웨이징할 수 있다.
상기 고압 단자 커넥터에서, 종단 크림프 커넥터는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야만 한다. 이는 예컨대, 종단 크림프 커넥터에 대한 하우징의 스웨이징 또는 크림핑함으로써, 종단 크림프 커넥터 상에 견부를 제공함으로써, 또는 단자 크림프 커넥터 위로 세트스크류를 인가함으로써,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유압력이 불균형을 이루는, 다른 회수 또는 압력으로 후자의 일 측부에만 주입하거나 또는 후자의 양 측부에 주입할 때, 고압 스플라이스 커 넥터의 하우징에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유사한 수단이 채용되는 것이 더 계획된다.
상기 고압의 스웨이징할 수 있는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특정 실시예가 두 개의 스트랜드형 전도체 케이블 세그먼트의 경우에 대해 도1, 도1A 및 도1B에 도시된다. 이들뿐만 아니라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같거나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 부여된다. 이 실시예의 전형적인 조립 절차에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20)가 두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10)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이들은 여기 도면에 대해 죄측 및 우측 케이블이라 칭한다.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10)는, 부품 제조업자의 권고로 컷백 조건을 수용하도록, 있을 경우 재킷(도시되지 않음)과, 중성 전도체(도시되지 않음)와, 절연 차폐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케이블 세그먼트의 최외각층을 다시 절단함으로써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를 수용하기 위해 먼저 준비된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전도체 차폐부(도시되지 않음) 및 절연 재킷(12)은 제조업자의 요구조건에 각각의 스트랜드 전도체(14)를 노출시키도록 다시 절단된다.
하우징(16)은 그 ID(내경)이 절연 재킷(12)의 OD(외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되어 있고, 내부에 양 케이블 세그먼트(10)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원 유체의 유입을 위한 주입 포트(48)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 폐쇄 스프링 기동식 밸브(36)(도1A에 상세히 도시됨)를 갖는 하우징(16)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부싱(22)의 설치를 허용하도록, 절연 재킷(12) 위를 지나 노출된 스트랜드 전도체(14)의 우측 및 좌측으로 활주된다.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의 OD보다 약간 더 큰 ID와, 하우징(16)의 ID보다 약간 더 작은 OD를 갖는 부싱(22)은, 부싱(22)의 채널에 잔류하는 O링(24)이 중심 크림핑되지 않은 부분 바로 위에 있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상으로 활주되어 그 위에 중심이 맞춰진다. 부싱(22)은 전도체(14)에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를 접합하는 크림핑 작동시 동시에 크림핑되는(즉, 부싱, 스플라이스 커넥터 및 스트랜드 전도체가 한 작동으로 함께 크림핑되는) 그 양 단부에서 스커트(30)를 포함한다. 이 세편 크림핑은 전도체(14),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부싱(22)이 밀접한 전기적, 열적 및 전기적 연합체로 만들고 개별 변형으로 인해 접촉한다. 부싱 스커트(30),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전도체(14)를 접합하는 크림프는 이점, 육각형 또는 연결의 엠페서티가 커넥터 제조업자의 관련 기준 및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장하는 다른 적절한 수단과 같이,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가지 각색의 것일 수 있다.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로의 밀착 끼워맞춤에 의해 압축되는 O링(24)은 부싱(22)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만든다.
하우징(16)은 이어서 절연 재킷(12) 위로 활주되어 부싱(22)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에 중심이 맞춰진다. 크림프는 부싱(22)의 부싱 만입부(28) 바로 위에 있도록 하우징(16)의 중심으로부터 측정된 위치에서 하우징(16)의 외부에 만들어진다[도2에 도시된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14의 롤러(270)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시됨]. 이는 전기적으로, 열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하우징(16) 및 부싱(22)과 접합하도록, 크림핑이 부싱 만입부(28) 바로 위에 일어나는 것을 보장한다. 부싱(22)의 채널에 잔류하는 O링(26)은 하우징(16)과 부싱(22)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만드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동시에 양 케이블 세그먼트를 주입하는데 사용될 때(예컨대, 유동 관통 모드), 적어도 O링은 생략되고, 양호하게는 O링(26, 24) 양자 모두가 생략된다. 부싱(22)을 통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와 하우징(16) 사이에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연결부를 만들도록, 만입부(28) 위로의 중심 크림프가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다르게는, 부싱(22)은 스스로 없어질 수 있고, 하우징(16)은 기계적/전기적/열적 연합체 및 접촉부를 제공하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에 바로 크림핑된다(즉, 다점 크림핑된다).
하우징(16)이 도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후에, 스웨이지가 주연방향 치부(32) 위의 하우징(16)의 단부 부분의 주연부에 인가된다(도2의 커넥터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웨이징 롤러(268)를 사용하여 일 단부 부분에 대해 형성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음). 하우징(16)의 단부 부분은 치부(32)가 그 주연부를 따라 각각의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또한 동시에 절연 재킷에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절연 재킷(12)에 대항하여 견고하고 고정식으로 이들을 위치시키도록 스웨이징되어, 밀봉부를 제공하고, 케이블 세그먼트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지속적인 내부 압력을 받게 될 때,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한다. 적어도 주연방향 치부(32)의 하우징의 주연부에 있는 하우징(16)의 주연방향 벽 단부 부분은 내부에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12) 속으로의 그 내향 스웨이징과, 주입 포트로의 유체의 유입 동안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으로 하우징 내부 에 구속되는 동안 하우징에 대해 절연 재킷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스웨이징된 변형가능한 재료와 절연 재킷 사이에 유체 기밀 결합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케이블 세그먼트의 연속적인 파지를 허용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양호하게는 두 개의 주입 포트(48) 및 관련된 밸브(36)가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의 일 단부에서의 주입과, 개별 케이블 세그먼트의 다른 먼 단부로부터 물 및 오염된 유체의 철회를 허용하도록 채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주입 포트는 유체를 주입 또는 철회하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20)의 어느 한 측부(또는 양 측부)로부터 이용된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 폐쇄 스프링 기동식 밸브(36)는 C형 스프링 요소(34)(도1B의 사시도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스프링(34)은 그에 결합된 탄성중합 가스킷(38)을 갖고 하우징(16)의 주입 폰트(48) 아래에 필수적으로 위치된다. 도1A에 도시된 중공 주입 니들(42)이 스프링(34)과 접촉하기 위해 주입 포트(48) 및 구멍(40)을 통해 삽입되도록, 가스킷(38)은 양호하게는 유사한 크기로 된 주입 포트(48)와 정렬된 구멍(40)을 갖는다. 주입시 큰 전단력 또는 화학적 침범으로부터 결합되지 못하더라도, 니들(42)은 포트(48)에 대한 가스킷(38)의 정렬을 보장한다.
자기 폐쇄 밸브(36)는 주입 포트(48)에서 그를 중심으로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37)의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된다. C형 스프링 요소(34)는 하우징 내부 챔버와 동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리세스(37)에 수용된다. 스프링 요소(34)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주입 니들(42)이 철회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때, 스프링 요소(34)는 그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여 주입 포트(48)를 폐쇄하도록 하우징(16)의 내부면에 대항하여 가스킷(38)을 압축한다. 이러한 밸브를 사용하여 하우징으로부터의 유체의 주입 또는 철회하기 위해서, 중공 니들(42)은 주입 진행시, 이를 편향시켜 가스킷(38)을 주입 포트(48)로부터 멀리 내향 이동시키도록 스프링 요소(34)에 대항하여 내향 가압된다. 실제로, 주입 니들은 니들(42)을 제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키고 주입시 하우징(16)에 대해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주입 포트(48) 위에 위치되는, 클램프 또는 스레드부(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로킹 기구를 채용한다. 이 로킹 기구는 포트(48)[예컨대, 하우징(16)의 스레드]와 일체로 될 수 있거나 또는 양호하게는 클램핑된 지그가 필수적으로 주입 포트(48) 위로 하우징(16)의 외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주입이 완료된 후에, 이 니들(42)은 철회되고, 스프링(34)은 가스킷(38)을 하우징(16) 내부에 대항하여 밀봉 위치로 돌린다.
본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상기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크림핑 작동에 의해 접합된 전도체(14)의 스트랜드는 개별 빈 간극 체적(들) 내외로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축에 필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먼저 곧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체(22/18)는 그 사이에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통일성을 이루도록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전도체와 같은 하나의 전도체(14)에 먼저 크림핑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체(22/18)는 다음에 커넥터의 스트랜드의 최외각층의 원 자세를 처음으로 곧게 하도록 대략 15도 회전되고, 이어서 초기 스트랜드 트위스트 방향에 대향하게 15도 더 회전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 림프 커넥터 조합체(22/18)는 다음에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전도체(14)에 크림핑된다. 부싱/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조합체(22/18)는 이어서 제2 전도체의 스트랜드의 최외각층의 자세를 곧게 하도록 대략 15도 뒤로(즉, 제1 전도체의 초기 스트랜드 트위스트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제1 전도체는 또한 이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좌측 전도체의 반대 자세와 우측 전도체의 원래 자세를 없앤다. 모든 그리스 및 오물이 곧게 된 커넥터로부터 세척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치부(32)는 그 각각의 단부[즉, 절연 재킷(12)에 대항하는 스웨이징이 인가되는 부분)에서 하우징(16)의 내부면을 따라 기계가공된 복수의 삼각형 주연방향 그루브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목적을 위해, 도1의 하우징(16)의 내측면에 기계가공된 치부(32)가 도시되지만, 크림핑 작동이 상술된 밀보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하우징(16) 및 절연 재킷(12)을 변형시키면, 하우징(16)의 내측면은 스레드형, 톱니형, 리브형, 또는 심지어 매끄러울 수 있다. 이하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6)의 내측면은 또한 물결모양의 거칠기를 갖거나 또는 내향 배향된 탭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 도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킷(12)과 하우징(16)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무 링 또는 다른 적절한 탄성 밀봉부를 유입하고, O링의 한 측부 또는 양 측부에 인접한 주연면에서 하우징을 스웨이징하는 것이 가능하여, 여분의 밀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설명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변형예가 도2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1의 기계가공된 치부(32)는 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 는 하우징(50) 상에 형성된 만입부(52)로 대체되어 있다. 스웨이징 롤러(268)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만입부(52)가 도14에 도시된다. 사전 형성된 만입부(52)가 생략될 수 있고, 하우징이 절연 재킷(12)에 바로 스웨이징될 수 있지만, 사전 형성된 만입부(52)가 양호하다. 따라서, 어떤 특정 이론으로 제한하지 않고, 하우징(50) 표면의 외측 및 내측 상에 공구를 이용하여 형성된 날카로운 에지가 절연 재킷의 감소된 푸시백을 초래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도3에 도시된, 상기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변경예에서, 도1의 기계가공된 치부(32)는 복수의 절결(예컨대, 밀링 또는 스탬핑) 장방형 탭(56)으로 대체되어 있는데, 이는 절연 재킷(12)을 관통하고,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푸시백을 없애도록 내향으로 크림핑된다. 이는 통상의 점 크림프의 변경이고, 양호하게는 절연 재킷(12)으로 각각의 탭(56)을 누르도록 특별한 공구를 채용한다. 다르게는, 연질 플라스틱 절연체가 확실한 로크를 제공하도록 그루브를 통해 각각의 탭(56) 둘레를 이동함에 따라, 탭(56)은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스웨이징될 수 있다. 추가의 내향 탭 편향은 하우징(54)의 두께보다 외경 상에 각각의 탭(56)을 더 두껍게 남겨두는 제조 공정에 의해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스웨이징시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된 탭의 형태는, 필요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예컨대, 삼각형, 부채꼴형). O링(58)은 절연 자켓(12)과 함께 밀봉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우징(54)의 형성된 홈(60) 내에 위치설정된다.
도4에 도시된 상기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1의 치부(32)는 푸시백으로부터 절연체를 억제하고 백업 밀봉부로서 작 용하는 스웨이징할 수 있게 형성된 만입부(52)로 대체되어 있다. 이 경우에, 주 밀봉부는 하우징(62)의 내측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O링(66)을 갖는 스프링 기동식 베벨형 금속 워셔(64)이다. 또한, 워셔(64)는 절연 재킷(12)의 베벨형 단부 부분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O링(68)을 갖고, O링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형 워셔(64)의 대응 그루브에 안착된다. 절연 재킷(12)의 베벨링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펜슬링 공구로 달성될 수도 있고, 케이블 세그먼트(10)의 단부의 준비의 마지막 단계로서 수행된다.
적용예에서, 상술된 크기로 되어 있고 도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주입 밸브를 포함하는, 도4의 하우징(62)은, 도1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절연 재킷(12) 위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활주된다. 베벨형 워셔(64)는 그 사전설치된 O링(66, 68)과 함께, 각각의(즉, 우측 및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전도체(14) 위로 활주된다. 스프링(70)은 다음에 각각의 전도체(14) 위로 활주되고, 베벨형 워셔(64)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크기로 된 부싱(22)은, O링(24)이 중심 크리핑되지 않은 부분 바로 위에 있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속으로 활주되어 그 위에 중심맞춰진다. 크림프가 부싱(22)의 부싱 스커트(30)의 각각에 인가되기 바로 전에, 크림핑이 완료될 때 스프링(70)이 완전히 압축되어, O링(68)을 미리 설치하고, 그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절연 재킷(12)으로부터 멀리 절연 재킷(12)의 베벨형 표면의 열적으로 유도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유도된 이동을 제공하도록, 부싱(22)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가 유닛으로서 스프링에 대항하여 강제된 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유동 관통 모드에서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양호하게는 O링(24, 26) 양자 모두가 생략된다. 더 상술된 바와 같이, 스웨이지가 형성된 만입부(52) 위로 하우징(62)의 외부에 인가되고, 후자 뿐만 아니라 절연 재킷(12)은,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들)이 가압될 때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히 변형된다.
도5에 도시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4의 베벨형 워셔(64) 및 O링(66)은 치형 워셔(72) 및 관련된 O링(74)으로 대체되어 있다. 치형 워셔(72)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동심으로 배열된 원형 면 치부(76)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도4와 연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에, 형성된 만입부(52) 위로의 스웨이징이 완료될 때, 추가의 밀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70)이 완전히 압축되어 원형 면 치부/치부들(76)이 완전히 절연 재킷(12)의 단부면으로 끼워지도록, 충분한 축방향 힘이, 전도체(14)에 부싱(22)의 부싱 스커트(30)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를 크림핑하기 전에, 스프링(70)에, 그리고 차례로 워셔(72)에 인가된다.
당업자들은 스프링 내장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장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지 축방향 스레딩에 의해 압축된 밀봉부를 채용한 종래 기술의 장치는, 이하 더 설명되는, 도10에 도시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일 단부에서 인접한 워셔(212, 214 및 212)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중합 부품 상 에 사전 결정된 부하를 놓았다. 이들 압축 밀봉부는 차동 열팽창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중합체의 점진적인 압출(압축 세트)을 초래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거의 일정한 변형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을 채용한 상기 스프링 적재식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열 사이클링 및 탄성중합체 크리프의 폭넓은 동적 범위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 밀봉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압축된 탄성중합체보다 더 큰 동적 범위를 갖는다. 또한, 거의 일정한 스프링력이 탄성 밀봉부를 조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따라서 탄성중합체의 전체 압축 세트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들 스프링 적재식 설계는 향상된 긴 수명의 성능을 보장한다.
물론, 당업자들은 고압 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밀봉/고정 수단을 채용한 상기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변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종단 크림프 커넥터로 간단히 대체하고, 하우징과 후자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되고, 종단 크림프 커넥터는 또한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종단 크림프 커넥터 및 하우징은, 하우징과 종단 크림프 커넥터 사이에 어떠한 추가의 밀봉부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일체로 될 수 있다. 도6의 이 고압 단자 커넥터(84)에서, 내부 치부(32) 및 주입 포트(48)를 갖는 하우징(80)은 그 종단 크림프 커넥터(82)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적용예에서, 종단 크림프 커넥터 부분(82)은 그에 전도체를 고정시키도록 겹치는 구역에서 전도체(14)에 크림핑되고 그 사이에 전기 연통을 제공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80)은 절연 재킷(12)에 대해 밀봉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주연방향 치부(32)의 구역에 스웨이징된다.
도6의 실시예에서, 도1A의 주입 밸브(36)는 그 변경예를 설명하도록 약간 변형되었고, 도6A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에서, 측부 포트(들)(46) 미 주입 채널(44)을 갖는 중공 주입 니들(42)은 가압 유체를 주입하기 바로 직전 위치에서 도시된다. 니들(42)은 플러그 핀(86) 상의 볼록한 프로파일(90)과 정합하는, 팁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후자는 C형 스프링(34)에 부착된다. 이러한 정합은, 니들(82)이 철회됨에 따라, 니들(82)이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하우징(80)의 주입 포트(48)에 플러그 핀(86)을 중심맞추는 동안, 플러그 핀(86)이 주입 포트(48)에 중심맞춰지고 그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보장한다. 볼록 및 오목면은 물론 역으로 될 수 있고, 다른 형태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조합된 플러그 핀(86) 및 O링(88)은, 니들(82)이 철회되고 가벼운 안장 형태로 후자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C형 스프링(34)에 의해 야기된 힘이 O링(88)에 대항하여 가압할 때,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여, O링(88)은 C형 스프링(34)의 외측면과 하우징(80)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안착한다. 하우징(80)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O링(88)에 대한 압축력은 증가하여 O링(88)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니들(42)을 수용하는 클램프 조립체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80)의 외부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주입 포트(48) 위에 장착된다. 니들(42)의 팁이 기동되고 주입 포트(48)에 삽입되어, 플러그 핀(86)을 누르고, O링을 안착시키지 않음에 따라, 유체는 니들(42)을 통해 하우징(80)의 내부로 주입되거나 그로부터 철회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고압 스웨이징할 수 있는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서, O링(94)이 하우징(50)의 내부에 대항하여 밀봉부를 제공하는 동안, 절연 재킷(12)의 베벨형 단부에 대항하여 밀봉 기능을 제공하도록, 도4의 베벨형 워셔(64)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동심으로 배열된 원형 면 치부(96)를 갖는 베벨형 워셔(92)로 대체된다.
두 개의 동일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단자 커넥터로부터 조립될 수 있는, 이중 하우징,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도8에 도시된다. 도8에 도시된 두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10) 중 하나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이 실시예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조립 절차에서, 절연 재킷(12)이 먼저,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를 수용하기 위해 준비된다. 주입 포트(48)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은, 일 단부 부분에서의 그 작은 ID가 절연 재킷(12)의 OD보다 약간 더 크고, 대향 단부 부분에서의 작은 ID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의 OD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대응하는 전도체(14) 및 절연 재킷(12) 위로 활주되고,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는 이어서 전도체(14)의 단부 위로 하우징 내에서 미끄러진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전도체(14)의 최외각 스트랜드의 자세는 곧게 된다. 내부에 그루브에 잔류하는 O링(104)을 갖는 하우징(100)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에 대해 스웨이징된다. 스웨이지는 O링(104)과, 대략 삼각형에서 대략 사각형으로 변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는, 기계가공된 치부(108) 위의 위치(102)에 인가된다. 이 스웨이징 작동은 전도체(14),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하우징(100)을 밀접한, 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연합체 및 접촉체로서 접합시키고 O링(104)에 대 해 여분의 밀봉부를 제공한다.
스웨이징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작동 또는 위상(즉,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의 길이와 하우징의 길이가 부적절하게 또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OD가 절연체 OD보다 큰 예외적인 경우(예컨대, 일본에서 때때로 발견됨)에 활주 하우징(100)을 수용할 수 있으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가 먼저 전도체(14)와 함께 스웨이징되고, 하우징(100)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전도체 조합체(18/14)와 스웨이징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이 스웨이징은 하우징(100),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전도체(14) 사이에 밀접한 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연합 및 접촉을 보장하고, 이는 또한 하우징(100)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을 초래한다.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에 대해 위치(102)에서 스웨이징 롤러(260)에 의해 그리고, 절연 재킷(12)에 대해 기계가공된 치부(32)를 갖춘 부분 위의 스웨이징 롤러(262)에 의해, 스웨이징되는 하우징(100)이 도13에 도시된다.
도8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가 유동 관통 모드에서 사용될 때, 물 정지 구역(106)[즉,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내부의 베리어 벽)은 생략되거나 조립 전에 드릴가공될 수도 있다. 스웨이징된 전도체 영역을 통한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속 스웨이징시 크러싱을 회피하기에 충분히 높은 강도를 갖고, 크림프 커넥터(18)의 각각의 단부에 남아있는 환형 공간 사이에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튜브(도시되지 않음)는 물 정지 구역(106)이 생략될 때, 두 개의 전도체(14)와 크림프 커넥터(18) 사이에 형성된 고 리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스웨이지는 이어서, 케이블 세그먼트가 가압될 때, 치부(32)가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고, 절연체의 푸시백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절연 재킷(12)을 변형시키도록, 기계가공된 치부(32) 위의 하우징(100)의 외부에 인가된다. 하우징(100) 상의 주입 포트(4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승된 압력으로 유체가 주입되거나 철회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이 실시예에 따른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유동 관통 모드에서 사용될 때, 주입 포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소 다른 태양에서, 고압 커넥터는 제1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와 제2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를 접합하기 위한 축방향으로 고정된 스플라이스 커넥터일 수 있고,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전도체 차폐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둘러싸이는 개별 중심 전도체를 갖고, 각각의 재킷은 단부 벽을 갖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빈 간극 체적을 갖는다. 전도체는 각각의 전도체와 전기 연통하게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의 단부에 접합된다.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적어도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주입하고, 대기압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합하다. 축방향으로 고정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케이블 세그먼트와 필수적으로 동축방향으로 정렬하게 위치된 관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다. 하우징은 관통하여 제1 및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과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내경을 갖는다. 제1 및 제2 면 밀봉부는 스크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로 제1 및 제2 절연 재킷의 각각의 개별 단부벽에 부착되고, 각각의 면 밀봉부는 또한 하우징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부싱은 각각의 개별 면 밀봉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면 밀봉부 및 밀봉 부싱은 잔류 압력으로 케이블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빈 간극 체적과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 내에 유체를 구속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고정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특정 실시예가 도9에 도시된다. 케이블 단부 준비는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조립의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다시, 이 설명은 하나의 케이블 세그먼트(10)에 대한 것이고, 작동이 다른 케이블 세그먼트(10)에 대해서도 되풀이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10)은 먼저 상술된 바와 같이 일 측부로 활주된다. 면 밀봉부(112)는 전도체(14) 위로 활주되고, 면 밀봉부(112) 상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 면 치부(114)가 후자와 단부 밀봉부(112)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절연 재킷(12)의 단부 벽에 전체가 끼워질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게는 세 개의 자기 태핑 스크류(118)가 면 밀봉부(112)의 관통 구멍(130)(도9A의 상세 참조)에 삽입되고 절연 재킷(12)의 단부 벽의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사전 드릴가공된 구멍 내에 조여진다. 자기 태핑 스크류에 대한 변형예로서, 구멍이 절연체의 축방향으로 사전 드릴가공될 수 있고, 필요시, 정합 기계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태핑될 수 있다. 축방향 O링(122) 및 주연방향 O링(124)을 갖고, 각각의 O링이 밀봉 부싱(120)의 개별 그루브에 잔류하는 밀봉 부싱(120)은 면 밀봉부(112)의 축방향 으로 내향 돌출된 스레드형 칼라부(126) 상에 나사식으로 정 합된다. 이는 면 밀봉부(112)와 밀봉 부싱(120)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한다. O링(124)은 하우징(110)과 면 밀봉부(112) 사이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1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이 다시,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및 부싱(22)은 전도체(14)에 크림핑된다. 모든 크림핑이 완료된 후에, 하우징(110)은 뒤로 활주되고,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에 중심맞춰진다. 면 밀봉부(112)는 스크류(116)로 하우징(110)에 부착된다(핀 또는 크림프가 또한 이 목적으로 계획된다). 고정 수단이 도9A 및 도9B에 더 도시되고, 여기서 스크류(116)는 하우징(110)의 관통 슬롯(132)에 삽입되고, 면 밀봉부(112)의 태핑된 오리피스(128)와 나사식으로 정합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고압 커넥터는 제1 케이블 세그먼트 및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접합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커넥터이고,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중합 절연 재킷에 내장되고 빈 간극 체적을 갖고, 전도체 차폐부에 의해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둘러싸이는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는다. 전도체는 각각의 전도체와 전기 연통하게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세그먼트의 일 단부에 접합된다.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주입하고, 대기압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합하다.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제1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고,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제1 챔버에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 제1 중공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내부 벽은 제1 챔 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된다. 제1 밀봉부는 제1 하우징의 내부 벽과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 사이에 위치되고, 제2 밀봉부는 제1 하우징의 내부벽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밀봉부는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과 제1 챔버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할 수 있다. 제2 중공 하우징은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게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고,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제2 챔버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다. 제2 하우징 내부 벽은 제2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과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된다. 제2 하우징은 제1 하우징에 고정되고, 그와 유체 기밀 연합한다. 제3 밀봉부는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절연 재킷과, 제2 하우징의 내부 벽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 및 제2 챔버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외향 단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부착되고, 제1 및 제3 밀봉부에 인접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관통하여 개별 절연 재킷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갖고, 조정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립 부재를 갖춘 파지부를 갖는다. 그립 부재는 유체 주입 동안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대해 케이블 세그먼트를 필수적으로 고 정시키도록 그 사이에 결합하게 이동될 때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으로 구속되는 동안 충분한 힘으로 개별 절연 재킷의 일부분을 내향으로 변경가능하게 결합하기에 충분히 구멍으로 내향 돌출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본 커넥터는 바로 전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와 유사하고, 중합 절연 재킷에 내장되는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는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단자 커넥터이다. 전도체는 그 사이에 전기 연통하게 전도체의 일 단부에 부착되는 종단 크림프 커넥터를 갖고, 케이블 세그먼트는 빈 간극 체적을 갖는다. 커넥터는 빈 간극 체적에 유체를 유입하고, 대기압보다 높지만,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잔류 압력으로 내부에 유체를 구속하기에 적합하다. 고압 단자 커넥터는 케이블 세그먼트의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게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중공 하우징을 포함하고,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내부 챔버에 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다. 하우징 내부 벽은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과 종단 크림프 커넥터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그 단부 부분에서 종단 크림프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과,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의 단부 부분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그 단부 부분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된다. 하우징은 그 사이에 전기 연통하게 종단 크림프 커넥터에 고정된다. 제1 밀봉부는 하우징의 내부 벽과 종단 크림프 커넥터 사이에 위치되고, 제2 밀봉부는 하우징의 내부 벽과 절연 재킷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밀봉부는 하우징의 내부 챔버와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단부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그에 부착된다. 고정 부재는 관통하여 절연 재킷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내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립 부재를 갖는 파지부를 갖는다. 그립 부재는 주입 포트로의 유체 주입 동안 케이블 세그먼트에 대해 고압 단자 커넥터를 고정시키도록 그 사이에 결합하게 내향 이동될 때 그리고 유체가 잔류 압력으로 고압 단자 커넥터에 의해 구속되는 동안 충분한 힘으로 절연 재킷의 접촉부와 접촉하고 내향으로 변경가능하게 결합하기에 충분히 구멍으로 내향 돌출된다.
도10에 도시된, 압축 밀봉부를 채용한 상기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200)의 특정 실시예의 전형적인 조립 절차 및 사용에서,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10)가 먼저 상술된 바와 같이 준비된다. 제1 내부 스레드형 캡(210)은, 제1 금속 워셔(212), 고무 워셔(214) 및 제2 금속 워셔(212)의 뒤를 이어, 도10의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절연 재킷(12) 위로 설치된다. 고무 O링(216)은 스레드형 중공 하우징(218)의 그루브에 설치된다. 외부 스레드형 중공 하우징(218)은 이어서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절연 재킷(12)이 그들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로, 내부에 제1 금속 워셔(212), 고무 워셔(214) 및 제2 금속 워셔(212)를 위치시키도록 이미 설치된 제1 스레드형 캡(210)에 느슨하게 나사결합된다. 좌측 캡/하우징 부조립체(210/218)는 부적절하게 좌측으로 활주된다.
또한, 제2 내부 스레드형 캡(210)은 제1 금속 워셔(212), 고무 워셔(214) 및 제2 금속 워셔(212)의 뒤를 이어 우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절연 재킷(12) 위에 설치된다. 스레드형 중공 하우징(220)은 이어서 우측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절연 재킷(12)이 그들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로, 내부에 제1 금속 워셔(212), 고무 워셔(214) 및 제2 금속 워셔(212)를 위치시키도록 이미 설치된 제2 스레드형 캡(210)에 느슨하게 나사결합된다. 우측 캡/하우징 부조립체(210/220)는 부적절하게 우측으로 활주된다. 부조립체(210/218, 210/220)의 배향이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성능에 충격을 주지 않고 상기 설명에서 반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제1 금속 워셔(222), 고무 워셔(224) 및 제2 금속 워셔(226)는 관련된 반경방향 세트 스크류(228)와 함께, 후자가 우측 및 좌측의 노출된 전도체(14) 위로 활주되고 우측 및 좌측 케이블(12) 양자 모두 상의 전도체(14)에 크림핑되거나 다르게는 영구 부착되기 전에, 다음에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로 활주된다. 워셔(222, 224, 226)는 크림프 커넥터의 크림핑을 용이하게 하도록,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활주될 수도 있다. 워셔(222, 224, 226)는 고무 워셔(224)가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의 중심 크림핑되지 않은 부분 바로 위에 있도록 함께 위치된다. 워셔(226) 상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양호하게는 적어도 세 개의 세트 스크류(228)(도10A 참조)는 워셔(226)가 후자에 대해 고정되도록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와 기계적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서, 조여진다. 두 개의 캡/하우징 부조립체(210/218, 210/220)를 함께 활주되고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 위에 중심맞춰지고, 이어서 그 외주연부에 유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워셔(224)를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축방향 힘을 인가하기 위해서 함께 나사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캡/하우징 부조립체[(210/218)(좌측), (210/220)(우측)]는, 케이블 세그먼트가 내부에 위치되는 개별 스레드형 중공 하우징(218, 220)의 내부 벽에 대항할 뿐만 아니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별 케이블 세그먼트(10)의 절연 재킷(12)에 대항하여 밀봉하기 위해, 축방향 임이 각각의 고무 워셔(214)를 반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조임식으로 함께 나사결합된다.
스플릿 링 클램핑 칼라(230) 형태의 고정 부재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형 캡(210)의 각각의 외단부에 그리고 가능하면 그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각의 칼라(230)는 도10B에 사시도로 더 설명된 스플릿 링 절반부(232, 234)로 구성된다. 다음에, 각각의 절반부(232, 234)는 절연 재킷(12)을 결합 및 파지하기 위해 전진 내부 스레드(231)를 합체하고 있다. 두 개의 클램핑 칼라 코드 볼트(241)는 도10B에 다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칼라(230)의 절반부(232, 234)를 접합시키는 장소에 조임식으로 스크류 결합되어, 칼라(230)의 내경에 배치된 전진 스레드(231)가 절연 재킷(12)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또는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칼라(230)를 그에 고착시키기 만든다. 호스 클램프(도시되지 않음)는 그 절차 동안 제 위치에 일시적으로 칼라(230)의 절반부를 유지하게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클램핑 칼라 볼트(238)는 이어서 각각의 캡(210)의 정렬된 개별 탭형 구멍에 삽입되어 조임식으로 나사결합되어, 개별 케이블 세그먼트가 가압될 때, 절연 재킷(12)에 대해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20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톱니형 또는 다르게는 내향 돌출된 그립 표면이 전진 스레드(231)로 대체될 수 있는 것 또한 계획되고, 숙련자는 그에 대한 많은 구조적 등가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 압력의 유체가 이어서 예컨대, 스레드형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도록 탭핑될 수도 있는, 하우징(218, 220)의 주입 포트(240 및/또는 242)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끼워맞춤부(211)를 통해 주입된다. 도10B의 포트(240)로의 스레드형 삽입을 위해 위치된 단일 끼워맞춤부(211)가 도시된다. 이러한 끼워맞춤부는 NTP 파이프 끼워맞춤부 및 신속 연결해제 커플링을 포함하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임의의 사용되지 않은 탭형 주입 포트가 스레드형 플그러와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13)는 도10B의 포트(242)로의 스레드형 삽입을 위해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종래의 신속 연결해제 커플링의 소형화된 버전이 사용되고, 연속 절연 부품(들)을 쉽게 수용하고 임의의 날카로운 전기 스트레스 집중점을 피하기 위해,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돌출부가 없는 낮은 프로파일의 외부면을 제공하도록, 이들 끼워맞춤부가 대응하는 하우징(218, 220)의 외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플링으로, 가압 유체 공급부는 쉽게 연결해제될 수 있고, 케이블 세그먼트 전체 길이에 걸쳐 잔류 압력(P)으로 케이블의 빈 간극 체적 내에 탭핑된 주입 유체가 처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술된 자기 기동식 스프링 밸브가 이러한 압축 밀봉부를 채용하는 이들 고압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각각의 케이블 세그먼트에는 상이한 개시 회수 및/또는 상이한 압력을 사용하여 가압 유체가 주입되는 것이 다시 계획된다. 덜 바람직하지만, 동시에 또는 유동 관통 모드에서 케이블 양자 모두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 경우에서, 고무 워셔(224)는 일반적으로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수용부가 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 워셔(222, 226)가,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200)의 금속이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와 열 및 전기 연통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이 경우에 보유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한 케이블 준비로, 금속 워셔(222 및/또는 226)는 하우징과의 전기적 열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보유될 수도 있으면서, 고무 워셔(224)가 생략되는 경우, 두 개의 하우징(218, 220)이 단일 하우징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이 계획된다.
도10의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압축 밀봉부 및 클램프 고정 수단을 채용한, 고압 단타 커넥터(250)의 특정 실시예가 도11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지만, 좌측 케이블 세그먼트 및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18)는 종단 크림프 커넥터(252)로 대체된다. 소정 압력의 유체가 상술된 바와 같이 적절한 끼워맞춤부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레드형 주입 포트(240)를 통해 주입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가 케이블 축에 수직하고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의 중심을 통한 평면에 대해 대체로 대칭이고, 설명된 조립 절차는 스플라이스의 단부 양자 모두에 대체로 적용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숙련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또는 논리적인 조합을 쉽게 결정할 것이지만, 의도된 밀봉 및 고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실시예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밀봉 및 크림핑 옵션의 다양한 조합이 "믹스 앤 매치"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2는 도6의 일체로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단자 커넥터와, 도8의 이중 하우징, 스웨이징할 수 있는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조합하여 형성된 이중 하우징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도6의 일체로 스웨 이징할 수 있는 하우징/종단 크림프 커넥터(80)는 도12의 새로운 일체형 하우징/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약간 변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채용된 임의의 고무 (탄성중합) 워셔 또는 고무 O링을 제외한, 본 커넥터의 부품은 예상된 압력 및 온도를 견디도록 설계되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고압 단자 또는 스플라이스 커넥터 설계가 관련된 종단 크림프 커넥터 또는 스플라이스 크림프 커넥터(즉, 각각의 경우에 전도체를 구비함)와, 임의의 연속적으로 인가된 전도성 인서트 사이에 전기 연통을 수용한다면, 비전도성 부품을 채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고압 단자 커넥터 또는 스플라이스 커넥터 위로 인가된 임의의 스플라이스 본체의 반도체 부분은 필수적으로 전도체와 동일한 포텐셜을 가져야 한다. 양호하게는, 고무 워셔와 연관하여 두꺼운 알루미늄 또는 구리 워셔가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밀봉부를 채용한 커넥터에 사용된다. 이들 금속은 높은 열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은 로드 지지 종단 또는 스플라이스에서 열의 소산을 용이하게 하여, 개별 커넥터에 인접한 절연 재킷의 표면에서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섬유 강화 에폭시 또는 그라파이트와 같이 적절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케이블측 하우징(예컨대, 도11의 하우징)을 제조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다시 플라스틱 하우지에 의해 둘러싸인 절연체가 금속 하우징의 경우 보다 더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해서, 절연 폴리머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더 좋게 유지시킨다. 고무 워셔 및 O링은 주입을 위해 계획된 유체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최대 작동 온도와 조화를 이루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중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양호한 고무는 플루오로카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우레탄 고무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궁극적인 선택은 존재하는 임의의 고무 성분의 악화 또는 팽창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되는 유체의 용해성 및 친화성의 함수이다.
항상 부닥치는 것은 아니지만, 두 개의 다른 크기의 케이블, 또는 심지어는 두 개의 다른 유형의 케이블을 접합하는 트랜지션 스플라이스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사용하여 접합 및 주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임의의 고압 스플라이스 또는 데드 프론트 단자 커넥터는, 전기 방전 또는 코로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기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실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 고압 스플라이스 또는 데드 프론트 종단 크림프 커넥터와 대응하는 전도성 인서트 사이에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것이 계획된다. 물론, 전도성 인서트를 채용하지 않는 라이브 프론트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 전도성 인서트와의 전기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어떤 요구조건도 갖지 않지만, 계속해서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스트레스 완화 및 안티 트래킹 표면은 갖는다. 또한, 전도체로부터 멀리 열 소산을 제공하도록 전도체와 하우징 사이에 우수한 열 접촉부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단자 및 스플라이스 커넥터만 설명되었지만, 본 고압 커넥터가 Y, T 및 H 전기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직렬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술된 고압 단자 커넥터 중 하나가 세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적절하게 설계된 종단 크림프 커넥터는 Elastimold 또는 Richards Manufacturing Co.,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들과 같이, Y 또는 T 조인트의 세 개의 개별 단자에 플러그 결합될 수 있고, 필요시 각각의 세그먼트에 유체가 개별적으로 주입된다. 고압 스플라이스 커넥터 실시예와 연관하여 상술된 "필적하는" 케이블 세그먼트는 엄격하게 동일하지는 않지만, 양자 모두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조인트 또는 트랜지션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케이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전기 분배 케이블(1/0, 15kV, 100%, 동심; 길이 107 feet)이 권취되어, 30℃ 에서 수조에 침지되었다. 케이블의 단부에는 각각 케이블 스트랜드로의 유체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뒤로 절단된 절연 재킷과, 크림핑된 핀 터미네이터 사이에 공칭 1/8" 내지 1/4" 간극이 준비되었다. 칼라(230)는 생략된 상태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넥터는 각각의 케이블 단자 위로 설치되었다. 케이블은 30psig의 균일한 압력으로 아세톤페논으로 충진되어, 칠일 동안 유지되었다. 칠일째 되는 날, 압력은 균일하게 증가되어 대략 60psig로 유지되었다. 실험 11일째 날, 압력은 120psig까지 균일하게 증가되었다. 누설이 검출되었고, 압력강하가 실험 12일째 날 120psig로 27.5 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누설은 단자 커넥터의 케이블측에 있는 밀봉부를 지나 일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에 의해 야기되었다. 이 경우에, 푸시백 량은 누설 단부에서 0.37 내지 0.500 인치였다.
누설 단부에서 종단 크림프 커넥터는 새로운 유닛으로 대체되었고, 실험은 120psig에서 재개되었다. 14일째 되는 날, 압력은 240psig까지 증가되었다. 17일 날, 압력이 240까지 증가된 후에 3일과, 압력이 120psig에서 재개된 후에 4일, 상기 단자 커넥터는 다시 0.375 내지 0.500 인치 범위의 푸시백 및 누설을 겪었다. 종단 크림프 커넥터는 다시 대체되었고, 상기 절차가 뒤를 이었고, 여기서 압력은 240psig에서 재개되었고 18일부터 25일까지 일주일 동안 유지되었다. 푸시백이 430 psig에서 누설을 초래할 때, 25일날, 압력은 목표인 480 psig로 증가되었다. 240 psig 이상의 전체 시간은 약 7분이었고, 푸시백 량은 케이블 세그먼트의 두 개의 다단부에서 각각 1.42 inch 및 0.45 inch 였다. 단자 커넥터는 이러한 간극이 탄성중합 밀봉부의 제1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이 특정 구성에서 대략 1.08 inch의 푸시백을 견딜 수 있지만, 푸시백 현상은 오랜 시간 및/또는 큰 압력이 채용되면, 계속될 것이다.
상기 단자 커넥터는 도11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클램핑 칼라(230)로 변형되었고, 절연 클램프 인터페이스는 푸시백을 나타내도록 흔적이 남았다. 케이블 세그먼트는 이어서 41시간 동안, 480 psig로, 그리고 4시간 동안 600 psig 가압되었다. 종단부는 누설되지 않았고 마크의 눈에 보이는 이동이 없었다. 조립 해제시, 푸시백은 필수적으로 0이었다. 240 psig 및 480 psig에서 도11에 따른 고압 단자 커넥터를 사용하는 추가의 실험이 수행되었고, 여기서 압력은 각각 9 및 156일의 주기에 걸쳐 절연 재킷을 통해 아세토페논의 확산으로 인해 쇠퇴한다. 어떠한 측정가능한 푸시백 또는 누설도 검출되지 않는다.
상술로부터, 예시를 목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0)

  1.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부착 수단은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벽에 부착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기밀 밀봉 결합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며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갖춘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부재 벽은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대항하여 부재 벽의 내향 변형시 전기적 접촉 상태로 전도체 부재를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는 일체형 부재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갖춘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부재 벽은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향한 부재 벽의 내향 변형시 전기적 접촉 상태로 전도체 부재를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정되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개방 단부를 갖춘 내부 부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고,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부재 벽은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향한 부재 벽의 내향 변형시 전기적 접촉 상태로 전도체 부재를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 및 부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전도체 부재 및 하우징과 전기적 접촉 상태로 하우징 내부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전도체 부재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갖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부싱 부재는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2.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과,
    전도체 부재 및 부싱 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내부의 전도체 부재와 전기적 접촉 상태로 하우징 내부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부싱 부재는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부싱 만입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벽은 부싱 만입부에 인접해서 위치된 변형가능한 부분을 갖고, 변형가능한 부분은 하우징에 대한 이동에 대항하여 부싱을 고정시키도록 부싱 만입부로 내향 변형할 수 있는 커넥터.
  13.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과,
    전도체 부재 및 부싱 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전도체 부재 및 하우징과 전기적 접촉 상태로 하우징 내부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전도체 부재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가지며, 부싱 부재는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전도체 부재를 중심으로 전도체 부재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변형가능한 부분을 갖고, 변형가능한 부분은 전도체 부재에 대한 이동에 대항하여 부싱을 고정시키도록 전도체 부재에 대항하여 내향 변형할 수 있는 커넥터.
  14.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과,
    전도체 부재 및 부싱 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부싱 부재는 전도체 부재 및 하우징과 전기적 접촉 상태로 하우징 내부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전도체 부재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가지며, 부싱 부재는 하우징 및 전도체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유체 기밀 밀봉 결합을 제공하도록, 부싱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밀봉부와, 부싱 부재와 전도체 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제2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5.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제1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1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1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1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1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구속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2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2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2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2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구속하는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 부재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1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2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은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은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1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을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제1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1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1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에 부착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2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을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제2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2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2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16.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부착 수단은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변형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절연 재킷을 향한 변형가능한 부분의 내향 변형시 변형가능한 부분과 절연 재킷 사이에 유체 기밀 결합이 생성되도록 변형가능한 부분은 변형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절연 재킷에 대항하여 변형가능한 부분을 스웨이징하는 것에 의한 내향 변형이 스웨이징된 변형가능한 부분과 절연 재킷 사이의 유체 기밀 결합을 생성하도록 변형가능한 재료가 스웨이징될 수 있는 커넥터.
  18.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부착 수단은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결합 부재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변형가능한 부분에 부착되고, 부착 수단은 절연 재킷을 향한 변형가능한 부분의 내향 변형시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내향 이동되어 하우징 벽을 유체 기밀 밀봉 결합으로 절연 재킷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 챔버 속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춘 포트부를 갖는 커넥터.
  20.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주입 부재와 함께 사용 가능한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 챔버 속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우징 내부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포트를 갖는 포트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벽에 대해 절연 재킷을 밀봉하고 잔류 압력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세그먼트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과,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서 주입 포트에 위치된 자가 폐쇄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하우징 포트부와 동축 정렬하는 C형 스프링 및 C형 스프링과 하우징 포트부 사이에 위치되고 주입 포트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밀봉부를 가지며, C형 스프링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탄력있게 이동할 수 있고, C형 스프링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C형 스프링은 하우징과 C형 스프링 사이의 유체 기밀 밀봉을 제공하도록 하우징 포트부에 대항하여 밀봉부를 유지하며, C형 스프링은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 부재를 삽입하여 C형 스프링과 내향 결합시킬 때 개방 위치를 향해 탄력있게 내향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밸브는 C형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플러그 핀을 더 포함하고, 플러그 핀은 밀봉부를 통해 주입 포트를 향해 연장되도록 위치되며, 플러그 핀은 주입 부재에 의한 접촉을 위해 위치된 주입 포트에 대면하는 단부면을 갖는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플러그 핀은 C형 스프링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주입 포트 속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23. 제21항에 있어서, 볼록 형태 및 오목 형태 중 하나의 형태를 갖춘 단부면을 갖는 주입 부재와 함께 사용되고, 플러그 핀의 단부면은 볼록 형태 및 오목 형태 중 다른 하나의 형태를 갖는 커넥터.
  24. 제20항에 있어서, 하우징 벽은 하우징 포트부에서 하우징 벽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를 갖고, C형 스프링은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커넥터.
  25.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재킷에 고정되어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갖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갖는 커넥터.
  26.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재킷에 고정되어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갖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에 대해 절연 재킷의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를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하우징 벽을 절연 재킷에 유체 기밀 밀봉 결합으로 고정시키도록 스웨이징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27. 중합체 절연 재킷에 수용된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대기압 이상이지만 중합체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 이하의 잔류 압력에서 빈 간극 체적 내에 유체를 구속하는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용 고압 커넥터이며,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하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내부 챔버 및 빈 간극 체적 내에 잔류 압력으로 유체를 구속하고 잔류 압력에서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재킷에 고정되어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를 갖고, 하우징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결합부는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된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갖고, 결합부는 스웨이징될 수 있는 재료이고 절연 재킷에 대해 결합부를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결합부가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내향 이동되어 하우징 벽을 절연 재킷에 유체 기밀 밀봉 결합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28. 제25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그리고 전기적 접촉 상태로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전도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1.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제1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1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1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1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1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구속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2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2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2 빈 간극 체적을 가지며,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2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구속하는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 부재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1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2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제1 고정 부재는 제1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1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1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갖고, 제2 고정 부재는 제2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2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2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갖는 커넥터.
  32. 제31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제1 및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어 이들과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4. 제33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5.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제1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1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1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1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1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구속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2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2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2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2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구속하는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 부재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고정 부재와,
    제1 및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되어 이들과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도체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1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2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전도체 부재는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는 크기로 된 제1 단부 부분과,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는 크기로 된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커넥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의 제1 단부 부분은 제1 개방 단부를 갖춘 제1 내부 부재 챔버를 한정하는 제1 부재 벽을 갖고, 제1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제1 부재 벽은 제1 부재 벽을 크림핑할 때 전도체 부재의 제1 단부 부분을 전기적 접촉 상태로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시키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으며, 전도체 부재의 제2 단부 부분은 제2 개방 단부를 갖춘 제2 내부 부재 챔버를 한정하는 제2 부재 벽을 갖고, 제2 내부 부재 챔버는 내부에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제2 부재 벽은 제2 부재 벽을 크림핑할 때 전도체 부재의 제2 단부 부분을 전기적 접촉 상태로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에 고정시키도록 크림핑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커넥터.
  37. 제36항에 있어서, 전도체 부재는 전도체 부재의 제1 및 제2 부재 벽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8.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제1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1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1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1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1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구속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2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2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2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2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구속하는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 부재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1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2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제1 밀봉부는 제1 절연 재킷에 대해 제1 부분을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제1 부분을 기밀 밀봉 결합으로 제1 절연 재킷에 밀봉하도록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밀봉부는 제2 절연 재킷에 대해 제2 부분을 내향으로 스웨이징할 때 제2 부분을 유체 기밀 밀봉 결합으로 제2 절연 재킷에 밀봉하도록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39. 제1 및 제2 전력 케이블 세그먼트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고압 커넥터로서, 제1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1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1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1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1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유체를 구속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는 제2 중합 절연 재킷에 수용된 제2 중심 스트랜드형 전도체를 갖고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구역에 제2 빈 간극 체적을 갖고, 고압 커넥터는 대기압보다 높지만 제2 중합 절연 재킷의 탄성 한계보다 낮은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유체를 구속하는 고압 커넥터이며,
    제1 및 제2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및 제1 빈 간극 체적 내에 제1 잔류 압력으로 제1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1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부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및 제2 빈 간극 체적 내에 제2 잔류 압력으로 제2 유체를 구속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 벽에 대해 제2 절연 재킷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부와,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잔류 압력에서 제1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 부재와,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잔류 압력에서 제2 절연 재킷의 푸시백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 제1 내부 챔버는 제1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1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1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1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1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1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 제2 내부 챔버는 제2 빈 간극 체적과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은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은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절연 재킷을 수용하고 제2 절연 재킷의 단부에서 제2 절연 재킷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첩하는 크기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세그먼트가 하우징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케이블 세그먼트의 제2 스트랜드형 전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제2 내부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은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은 스웨이징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1 밀봉부는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게 이동하도록 스웨이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 밀봉부는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하우징 벽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게 이동하도록 스웨이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제1 부분이 제1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게 이동될 때, 제1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1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1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의 제1 단부 부분의 제1 부분에 부착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2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제2 부분이 제2 절연 재킷과 유체 기밀 밀봉 결합하게 이동될 때, 제2 절연 재킷에 하우징 벽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절연 재킷의 주연부를 따라 제2 절연 재킷을 변형시키고 제2 절연 재킷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의 제2 단부 부분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내향 돌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KR1020067020263A 2004-03-01 2005-03-01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KR101005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926204P 2004-03-01 2004-03-01
US54932204P 2004-03-01 2004-03-01
US60/549,262 2004-03-01
US60/549,322 2004-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04A KR20070001204A (ko) 2007-01-03
KR101005127B1 true KR101005127B1 (ko) 2011-01-04

Family

ID=3492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263A KR101005127B1 (ko) 2004-03-01 2005-03-01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5504B2 (ko)
EP (1) EP1723700B1 (ko)
KR (1) KR101005127B1 (ko)
AU (1) AU2005218563B2 (ko)
CA (1) CA2557169C (ko)
DK (1) DK1723700T3 (ko)
WO (1) WO20050843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18560B2 (en) * 2004-03-01 2010-03-04 Novinium, Inc. Method for selecting formulations to treat electrical cables
AU2005218559B2 (en) * 2004-03-01 2010-09-23 Novinium, Inc. Method for treating electrical cable at sustained elevated pressure
US9949647B2 (en) * 2004-06-04 2018-04-24 St. Jude Medical Coordination Center Bvba Sensor and guide wire assembly
US7344396B2 (en) * 2005-08-23 2008-03-18 Utilx Corporation Cable connection assembly
US7544105B2 (en) * 2005-08-23 2009-06-09 Utilx Corporatio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US7658808B2 (en) * 2005-08-30 2010-02-09 Novinium, Inc. Method for extending long-term electrical power cable performance
US7353601B1 (en) 2005-08-30 2008-04-08 Novinium, Inc. Integrated method for restoring electrical power cable
US7538274B2 (en) 2006-01-23 2009-05-26 Novinium, Inc. Swagable high-pressure cable connectors having improved sealing means
CA2572755A1 (en) * 2007-01-03 2008-07-03 Ken Shipalesky Wire-line connection system
US7700871B2 (en) * 2007-01-19 2010-04-20 Novinium, Inc. Acid-catalyzed dielectric enhancement fluid and cable restoration method employing same
CA2618518C (en) * 2007-11-27 2016-03-01 Novinium, Inc. Method for restoring power cables
JP5320809B2 (ja) * 2008-05-08 2013-10-2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の形成方法
US8572842B2 (en) * 2008-11-14 2013-11-05 Novinium, Inc. Method for thermally enhancing injection of power cables
US7901247B2 (en) * 2009-06-10 2011-03-08 Kemlon Products & Development Co., Ltd. Electrical connectors and sensors for use in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oil and gas wells
EP2302431B1 (en) * 2009-09-28 2019-03-2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Sealing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such as a standardised fibre-optic connector
EP2355283A1 (en) 2010-01-29 2011-08-10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sealing device, cable termination and attaching device
PL2355286T3 (pl) 2010-01-29 2019-10-31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Urządzenie uszczelniające i ustalające kabel
CN101834387B (zh) * 2010-06-09 2012-03-07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可拆卸过电缆耐压连接器
JP5895209B2 (ja) * 2012-01-31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続ケーブル
EP2664354B1 (fr) * 2012-05-16 2015-09-16 Sorin CRM SAS Sonde médicale avec une électrode en forme de bague destinée à être implantée dans un vaisseau cardiaque ou cérébral et un procédé pour sa fabrication
DE102012107406A1 (de) 2012-08-10 2014-05-15 Endress + Hauser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mit Schirmungskontakt
ES2744627T3 (es) 2013-09-16 2020-02-25 Prysmian Spa Ensamblado y procedimiento para la conexión por empalme eléctrico de cables
JP5880525B2 (ja) 2013-11-26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034561B1 (en) * 2014-12-19 2019-02-06 NKT HV Cables Gmb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voltage DC cable joint, and a high-voltage DC cable joint.
FR3032836A1 (fr) * 2015-02-16 2016-08-19 Alstom Technology Ltd Sous ensemble compose de deux conducteurs cylindriques et d'un manchon de raccordement en deux parties
WO2016137990A1 (en) * 2015-02-23 2016-09-01 Afl Telecommunications, Llc High pressure full cable strength midspan access splice housing
CA2987983C (en) * 2015-06-02 2022-08-30 Nkt Hv Cables Gmbh A rigid joint assembly
US10962253B2 (en) 2015-06-05 2021-03-30 Novinium, Inc. Systems for circulating air inside a manhole vault
US11060754B2 (en) 2015-06-05 2021-07-13 Novinium, Inc. Ventilation system for manhole vault
EP3436372B1 (en) 2016-03-31 2024-01-03 Novinium, LLC Smart system for manhole event suppression system
US10593446B2 (en) * 2016-04-25 2020-03-1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n arc diverter for covered overhead conductor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10418794B2 (en) 2016-04-28 2019-09-17 Novinium, Inc. Injec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282339B2 (en) * 2016-09-14 2019-05-07 Apple Inc. System for presenting electrically supported devices
JP6484597B2 (ja) * 2016-09-26 2019-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の止水構造
CN106409389B (zh) * 2016-10-31 2017-12-15 耒阳星宇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柔韧性好且易安装连接的电缆
WO2019060460A1 (en) * 2017-09-20 2019-03-28 Safeworks, Llc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ROPES
CN110634606B (zh) * 2019-09-29 2021-04-16 佛山全球鹰电缆有限公司 复合电缆
US11588314B2 (en) * 2021-04-01 2023-02-21 Gannett Fleming, Inc. Bandin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131A1 (en) 2002-07-11 2004-05-20 Varreng Jan Sverre Subsea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904C (ko)
US2080271A (en) 1936-06-20 1937-05-11 S R Dresser Mfg Co Reducer for threaded follower pipe joints or couplings
US2247671A (en) 1938-09-14 1941-07-01 John C Boyton Cable seal
US2958844A (en) 1955-05-02 1960-11-01 Amp Inc High voltage, high altitude bushing
US2938940A (en) 1958-04-16 1960-05-31 Roy A Calendine Cable splicing sleeve
GB870165A (en) 1958-10-16 1961-06-14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Improvements in joints and terminations of electric cables
US3036147A (en) 1959-08-21 1962-05-22 Fargo Mfg Co Inc Connector
US3141060A (en) 1961-11-07 1964-07-14 Union Carbide Corp Metal shielded electrical cable termination
US3242255A (en) 1964-02-03 1966-03-22 Cons Edison Co New York Inc Cable terminal assembly
US3457359A (en) 1966-06-06 1969-07-22 Uniroyal Inc Electrically grounded hose
US3717717A (en) 1970-04-20 1973-02-20 Joslyn Mfg & Supply Co Shrinkable cable joint sleeve, cable joint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a cable joint
US3846578A (en) 1972-03-22 1974-11-05 Phelps Dodge Ind Inc Splice for electric cables
US3848451A (en) 1972-11-24 1974-11-19 Deutsch Co Metal Components Swaging tool
US3845450A (en) * 1972-12-26 1974-10-29 Bendix Corp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or
US3810078A (en) 1973-02-08 1974-05-07 J Chordas Compression splice for electrically coupling electrical conductors
GB1470049A (en) 1973-03-21 1977-04-14 Rachem Corp Splicing method and heat-recoverable article
US3816641A (en) 1973-05-14 1974-06-11 Viking Industries Underwat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23254A (en) 1973-06-18 1974-07-09 Roart Plastics Inc Cable splice housing
US3883208A (en) 1973-10-25 1975-05-13 Rte Corp Visible break tee-connector
US3939882A (en) 1974-02-25 1976-02-24 John T. Thompson Cable recla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3945700A (en) 1974-08-06 1976-03-23 Boston Insulated Wire & Cable Co. Connector with fluid-resistant sleeve assembly
US3992569A (en) * 1975-02-11 1976-11-16 Hexcel Corporation Protective cable enclosure, cab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a cable in a protective enclosure
US3961127A (en) 1975-06-11 1976-06-01 G & W Electric Specialty Company Universal power cable joint for use with power cables having various insulations
US4174145A (en) 1976-12-29 1979-1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High pressure electrical insulated feed thru connector
GB2037498B (en) 1978-10-16 1982-10-27 Bicc Ltd Electric couplings
US4372988A (en) 1979-01-22 1983-02-08 Cable Technology Laboratories, Inc. Extension of cable life
US4477376A (en) 1980-03-10 1984-10-16 Gold Marvin H Castable mixture for insulating spliced high voltage cable
US4345783A (en) 1980-06-09 1982-08-24 Bergstrand Gunnar M Pipe coupling device
DE3041657A1 (de) 1980-11-05 1982-06-03 HEW-Kabel Heinz Eilentropp KG, 5272 Wipperfürt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ugfester und druckdichter, insbesondere temperaturbestaendiger, verbindungen fuer elektrische kabel und leitungen
US4375577A (en) 1981-01-05 1983-03-01 Pirelli Cable Corporation Stop joint assembly for pressurized laminar dielectric cable
US4403110A (en) 1981-05-15 1983-09-06 Walter Kidde And Company, Inc. Electrical cable splice
US4450318A (en) 1981-09-29 1984-05-22 Siemens-Allis, Inc. Means and method for providing insulation splice
DE3149048C2 (de) 1981-12-11 1989-03-16 Kabel- Und Lackdrahtfabriken Gmbh, 6800 Mannheim Anordnung zum Verbinden von Kabeln
US4479690A (en) 1982-09-13 1984-10-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derwater splice for submarine coaxial cable
DE3308178C1 (de) 1983-03-08 1984-04-05 RAWE Datentechnik GmbH, 8999 Weiler Leitungsklemmvorrichtung
US4503283A (en) 1983-05-27 1985-03-05 At&T Technologies, Inc. Cable stub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GB2154075B (en) 1984-02-02 1987-11-25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Submarine cable joint housing
US4545133A (en) 1984-04-20 1985-10-08 American Public Power Associ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longing the service life of electrical power cables
IT1177429B (it) 1984-12-17 1987-08-26 Pirelli Cavi Spa Giunto tra cavo ad isolante estruso e cavo con isolante assistito da un dielettrico fluido
US5006286A (en) 1986-03-31 1991-04-09 Amp Incorporated Polymeric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4723230A (en) 1986-08-13 1988-02-02 Bolt Technology Corporation High ambient liquid pressure-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US4764232A (en) 1986-09-26 1988-08-16 Raychem Corporation Method of protecting a cable splice with a splice closure having pressure measuring means
GB8630335D0 (en) 1986-12-19 1987-01-28 Raychem Gmbh Hv cables
US4766011A (en) 1986-12-29 1988-08-23 Dow Corning Corporation Restoring stranded conductor electrical distribution cable
JP2576482B2 (ja) * 1987-01-20 1997-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直流モ−タ速度制御回路
US4961961A (en) 1987-04-23 1990-10-0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
US4845309A (en) 1987-04-23 1989-07-0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s
US4978694A (en) 1987-04-23 1990-12-18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 block for electrical cables
US4945653A (en) 1987-09-24 1990-08-07 Empire State Electric Energy Research Corp. Apparatus for use in impregnating electrical cables
US4888886A (en) 1987-09-24 1989-12-26 Empire State Electric Energy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use in impregnating electrical cables
US5069058A (en) 1988-12-27 1991-12-03 Deutsch Metal Components Swaging tool
US4943685A (en) 1989-03-17 1990-07-24 Commu-Tec, Inc. Cable splicing and termination system
US4946393A (en) 1989-08-04 1990-08-07 Amerace Corporation Separable connector access port and fittings
US4959022A (en) 1989-08-30 1990-09-25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with rapid pressure transients
TW215446B (ko) 1990-02-23 1993-11-01 Furukawa Electric Co Ltd
US5082449A (en) 1990-08-28 1992-01-21 Amerace Corporation Removable media injection fitting
US5408047A (en) 1990-10-25 1995-04-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ition joint for oil-filled cables
US5132495A (en) 1991-01-23 1992-07-21 Homac Mfg. Company Submersible splice cover with resilient corrugated and sections
US5245133A (en) 1991-10-15 1993-09-14 Thomas & Betts Corporation Moisture-resistant cable splice and sealing structure thereof
US5372840A (en) 1993-04-20 1994-12-13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dielectric strength of cable using fluid having a high diffusion coefficient
US5372841A (en) 1993-04-20 1994-12-13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dielectrical strength of cable using a fluid mixture
GB9414038D0 (en) 1994-07-11 1994-08-31 Raychem Ltd Electrical interconnection
FR2743402B1 (fr) 1996-01-10 1998-01-30 Gremco Sa Manchon de gaine tressee destine a etre enfile sur au moins un element allonge a protege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manchon
US5907128A (en) 1997-02-13 1999-05-25 Utilx Corporatio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US20020046865A1 (en) 1997-02-13 2002-04-25 Glen J. Bertini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US6332785B1 (en) 1997-06-30 2001-12-25 Cooper Industries, Inc.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with access cavity and inserts for use therewith
DE60033832T2 (de) 1999-10-11 2007-12-20 Utilx Corp., Kent Verbindungen und Abschlüsse für Kabel
US6517366B2 (en) 2000-12-06 2003-02-11 Util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pathways between a power cable and the environment
AU2005218560B2 (en) * 2004-03-01 2010-03-04 Novinium, Inc. Method for selecting formulations to treat electrical ca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131A1 (en) 2002-07-11 2004-05-20 Varreng Jan Sverre Subsea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84325A3 (en) 2006-03-09
AU2005218563B2 (en) 2009-12-24
DK1723700T3 (da) 2013-04-15
AU2005218563A2 (en) 2005-09-15
WO2005084325A2 (en) 2005-09-15
KR20070001204A (ko) 2007-01-03
US7195504B2 (en) 2007-03-27
EP1723700B1 (en) 2013-02-20
EP1723700A4 (en) 2008-03-12
EP1723700A2 (en) 2006-11-22
AU2005218563A1 (en) 2005-09-15
CA2557169A1 (en) 2005-09-15
CA2557169C (en) 2014-07-15
US20050191910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127B1 (ko) 고압 전력 케이블 커넥터
KR101165877B1 (ko) 개선된 밀봉 수단을 구비한 스웨이징 가능한 고압 케이블 커넥터
CA2663988C (en) Pothead for use in highly severe conditions
US5907128A (e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CA2386210C (en) Connections and terminations for cables
US20110140364A1 (en) Seal, assembly and method, particularly for downhole electric cable terminations
US20060169475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US8367931B2 (en) Segmented decompression resistant cable spl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41392B1 (ko)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EP1082796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