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485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485B1
KR101004485B1 KR1020090027563A KR20090027563A KR101004485B1 KR 101004485 B1 KR101004485 B1 KR 101004485B1 KR 1020090027563 A KR1020090027563 A KR 1020090027563A KR 20090027563 A KR20090027563 A KR 20090027563A KR 101004485 B1 KR101004485 B1 KR 10100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eat source
space
high frequency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129A (ko
Inventor
변준보
허정익
오상진
황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4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의 누설이 방지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동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면서 상기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가 구비되는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으로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요리 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고주파가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기, 제1열원, 제2열원, 연결부, 이동부, 누설방지부재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의 누설이 방지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주방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으로 구별되며, 설치되는 형태에 의해 빌트인(Built-in) 타입과 스탠드 타입, 벽걸이 타입 등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발산하여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며, 상기 오븐은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은 주방 공간에 위치하는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며, 스탠드 타입은 주방 가구의 상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고, 벽걸이 타입은 주방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기 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원은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히터, 버너 등이 동시에 또는 각각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이 구비되어 음식물의 종류와 크기 또는 특성에 적합한 열원을 선택하거나, 모든 열원을 동시에 구동하여 요리 공간의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열원은 고정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열원과 상기 음식물의 주변을 이동하면서 가열하는 열원 및 고주파를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하여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하는 열원 등이 구비된다.
상기 음식물의 주변을 이동하면서 가열하는 열원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고주파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음식물의 주변을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은 캐비티에 장착되고, 캐비티에 장착되는 부분에서 고주파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고주파가 누설되면,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신체상의 상해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고주파가 누설됨으로써 조리기기가 위치하게 되는 주방 공간이 고주파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주방 공간의 고주파 오염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고주파에 노출되면서 고주파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주방 공간으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더 위험한 상황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의 누설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설방지부재의 호환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동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면서 상기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가 구비되는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외면과 상기 제1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캐비티의 외면과 상기 제2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2부재로 형성되는 누설방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적어도 후면이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캐비티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 가능한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외면에 장착되어,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1열원 사이와,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2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 설방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요리 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고주파가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리 공간의 외부로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주방 공간으로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주방 공간으로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게 됨에 따라, 주방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위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방 공간으로 누설되는 고주파에 의한 사용자의 재산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주방 공간으로 누설되는 고주파에 의한 화재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재산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누설되는 고주파에 의한 신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부재가 요리 공간의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는 열원에도 사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열원과 호환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다른 부품으로 제조하지 않게 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으로 제조하지 않고 요리 공간의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는 열원에 사용되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 는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공정의 감소로 인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조 비용의 감소와 설비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가격 경쟁력의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왕복 운동하는 열원이 구비되는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조리기기는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열원이 사용되는 조리기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앞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외면이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에 강한 케이스(110)에 의해 감싸지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과 후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케이스(110)가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과 측면이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고, 그 패널에 하면을 형성하는 패널과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체결되면서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앞면에는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도어(120)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직접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3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1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12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122)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앞면에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120) 앞면의 일정 부분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20)에는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본체(100)의 내부 공간 상태를 도어(120)의 회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124)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30)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직접 상기 본체(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과 다이얼로 구성되는 조작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3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0)가 동작하게 될 때, 본체(100)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의 요리 상태, 요리 방법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34)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정 장치의 하나인 엘씨디(LCD)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정보를 알려 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성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표시부(134)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음성 또는 화면이나 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일측 즉, 상기 컨트롤패널(130)의 후방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4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도어(120)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개방되는 상기 캐비티(200)의 앞면과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컨트롤패널(130)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120)와 컨트롤패널(13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후방커버(114)에 의해 후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11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110)와 체결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전장실(14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본체(100)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전장실(14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전장실(14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220),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230), 하면을 형성하는 제4패널(240)이 서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캐비티(20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캐비티(200)가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결합되면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캐비티(2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세로 면을 형성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캐비티(200)를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200)는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 면이 상기 음식물의 외측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 도록 형성된다. 이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는 세로 면은 다음에 설명할 제1열원(300)이 지지되는 면 이외의 세로 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패널(220)이 상기 음식물의 외측 즉, 후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패널(210)이 음식물의 외측, 즉, 측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열원(300)과,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400)을 포함하여,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서 발열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3열원(500)이 더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3열원(500)이 구비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나, 요리 시간의 단축과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3열원(500)이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캐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220)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상측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즉,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본체(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후방커버(114)는 사각판 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220)이 위치하는 부분만큼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패널(220)이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열원(30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1열원(30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제1열원(300)의 이동 공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더 큰 음식물이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외면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제2열원(40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2열원(400)은 마그네트론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2열원(40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상자 형태의 외형을 가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진 공간이 마련되고, 공진 공간과 이어지면서 사각 상자 형태의 한 면을 관통하여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 기둥 형태의 안테나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가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열원(400)을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장착하게 되면, 장착되는 캐비티(200)의 일면을 안테나가 관통하게 됨으로써 그 관통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공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와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공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고주파 누설 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주파 누설 방지부재에 의하여 안테나와 캐비티(200)의 외면 사이에서는 고주파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제2열원(400)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여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요리하게 된다. 물론, 고주파를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무방하나, 음식물의 특성 또는 다양한 요리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캐비티(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230)의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그 절제된 부분에는 상측에서 절제된 부분을 덮는 상부커버(250)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하단부가 제3패널(230)의 상면에 접하면서 결합되고,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은 상기 제1열원(300)의 이동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부피가 더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 전반부에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500)이 장착된다. 상기 제3열원(50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음식물의 전반부가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요리 시간이 절감되 고 음식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과 구동모듈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 한쪽 끝 부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누설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누설방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2열원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열원(300)은 상기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동모듈(340)과 연결되는 연결부(310)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면서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캐비티(200)를 관통하는 절연부(320)와,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모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열원(3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1열원(300)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측 끝 부분이 상기 캐비티(2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우측 끝 부분이 캐비티(2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물론, 상기 제1열원(300)이 상기 캐비티(20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에 장착되지 않고, 캐비티(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23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열원(300)이 상기 제1패널(210)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열원(300)의 길이 방향 양끝 부분에는 상기 구동모듈(340)과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는 연결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양 연결부(310)의 사이에는 열을 발산하면서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10)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원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350)의 끝 부분이 그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연결부(310)와 이동부(35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는 절연부(320)와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모듈(34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절연부(320)가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부분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부분은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연부(320)의 다른 쪽 끝 부분 다시 말해, 상기 이동부(350)가 삽입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의 끝 부분에는 상기 구동모듈(340)과 이동부(350)의 사이에 개입되어 구동모듈(340)과 이동부(3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부(33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부(330)에는 단자가 구비되며, 이러한 단자의 한쪽 끝 부분은 상기 구동모듈(340)과 연결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이동부(350)와 연결되면서 구동모듈(340)과 이동부(3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32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330)에서 상기 구동모듈(340)과 상기 이동부(3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누설되는 전기가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절연부(320)에는 상기 연결부(310)가 상기 제1패널(2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연결부스토퍼(32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스토퍼(322)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절연부(320)에 구비되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절연부(320)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면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절연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절연부(320)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여 장착될 때 제1패널(210)의 내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연결부(310)가 더 이상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연결부(3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스토퍼(322)는 상기 절연부(320)와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며, 다른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다른 부품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절연부(320)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면서 링(ring)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스토퍼(322)가 절연부(32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320)는 상기 연결부스토퍼(322)가 구비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터미널부(3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을 관통하게 되면서 캐비티(200)의 측방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절연부(320)에는 절연부(320)와 상기 제1패널(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2열원(400)에서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360)가 구비된다.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금속성 재질의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누설방지부재(36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중앙부가 일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천공되는 중앙부에 상기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부(320)의 끝 부분에서 상기 터미널부(330)가 관통하여 상기 제1패널(210)을 향하여 이동하여 제1패널(210)의 외면에 접하면서, 제1패널(210)과 절연부(320) 사이로 누설되는 고주파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설방지부재(360)의 중앙부에 천공되는 홀의 내경은 상기 절연부(32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누설방지부재(360)의 중앙부에 천공되는 홀과 절연부(320) 사이는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설방지부재(360)와 상기 절연부(320)의 길이 방향 끝 부분 사이에는 누설방지부재(360)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스토퍼(370)가 구비된다. 상기 부재스토퍼(370)에 의하여 누설방지부재(360)는 상기 제1패널(21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즉,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상기 제1패널(210)의 외면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상기 부재스토퍼(370)에 의해 캐비티(2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면서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부재스토퍼(37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링(E-ring)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이링의 형태로 구비되는 부재스토퍼(37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까지 한 방향으로 절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재스토퍼(370)는 그 중앙부가 일정 외경을 가지도록 천공되며, 천공되는 중앙부 로부터 외주면까지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절제되는 부분이 상기 절연부(320)에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연부(320)에는 상기 부재스토퍼(370)가 끼움 결합되면서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그 홈에 끼워지면서 부재스토퍼(370)가 고정되고, 이러한 부재스토퍼(370)가 상기 누설방지부재(360)와 면 접촉하면서 누설방지부재(36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물론, 상기 부재스토퍼(370)는 이링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 상세하게는, 상기 절연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절연부(3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누설방지부재(360)의 중앙부에 천공되는 홀의 내경이 절연부(320)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절연부(320)에 누설방지부재(360)의 중앙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그 홈에 누설방지부재(360)의 중앙부가 끼워지면서 누설방지부재(36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구리가 포함되는 금속성 재질의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구리 재질은 비자성체이면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전자파의 차폐 효율이 좋은 특성이 있어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구리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니켈 구리합금 등과 같은 합금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리콘 고무 등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상기 제2열원(400)에도 사용 가능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열원(400)에는 내부의 공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안내하는 안테나가 구비되고, 이러한 안테나와 제2열원(400)의 외면 사이에서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을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가스켓과 누설방지부재(360)가 동일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상호 교환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별도의 다른 부품으로 생산하지 않게 되어 누설방지부재(360)를 생산하거나 제조하는 공정이 감소되는 효과와, 공정의 감소로 인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누설방지부재(360)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가 조사된 다음,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고주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고주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절연부(320)와 상기 제2열원(400)의 안테나에 끼워지면서 체결되어야 함에 따라 중앙부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천공되도록 이루어지는 형태로 비자성체이면서 전기 전도도가 좋은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열원(300)이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 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열원(300)이 캐비티(2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23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열원(300)이 상기 제3패널(230)에 장착된다 하더라도 제1열원(300)과 제3패널(230)의 사이 공간으로 누설되는 고주파를 차단하는 누설방지부재(360)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면서, 상기 열원과 캐비티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여 조리기기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조리기기를 제조 및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산업에 이동이 가능하며,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성 메쉬 형태의 누설방지부재를 제조 및 생산, 판매하는 산업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열원에 사용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를 상기 제1열원과 상기 캐비티 사이의 고주파 누설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하게 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과 구동모듈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 한쪽 끝 부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누설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누설방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2열원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케이스
112. 전방프레임 114. 후방커버
120. 도어 122. 도어핸들
124. 투시창 130. 컨트롤패널
132. 조작부 134. 표시부
140. 전장실 200. 캐비티
210. 제1패널 220. 제2패널
230. 제3패널 240. 제4패널
250. 상부커버 260. 턴테이블
300. 제1열원 310. 연결부
320. 절연부 322. 연결부스토퍼
330. 터미널부 340. 구동모듈
350. 이동부 360. 누설방지부재
370. 부재스토퍼 400. 제2열원
500. 제3열원

Claims (14)

  1.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구동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면서 상기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가 구비되는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외면과 상기 제1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캐비티의 외면과 상기 제2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2부재로 형성되는 누설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누설방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스토퍼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는 절연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모듈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연결부스토퍼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스토퍼는 상기 절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적어도 후면이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캐비티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 가능한 제1열원;
    상기 캐비티의 외면에 장착되어,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1열원 사이와,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2열원 사이에 위치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원에는,
    상기 캐비티의 외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열원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과 연결되면서 상기 누설방지부재가 위치하는 절연 재질의 연결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누설방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스토퍼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과 상기 제2열원에 구비되는 상기 누설방지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 및 재질을 가지는 조리기기.
KR1020090027563A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 KR10100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63A KR101004485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63A KR101004485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29A KR20100109129A (ko) 2010-10-08
KR101004485B1 true KR101004485B1 (ko) 2010-12-31

Family

ID=4313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563A KR101004485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4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88Y1 (ko) 1997-05-13 1999-08-16 윤종용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88Y1 (ko) 1997-05-13 1999-08-16 윤종용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29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6290A1 (en) Heating cooker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WO2016121431A1 (ja) 加熱調理器
KR101004485B1 (ko) 조리기기
JP6674528B2 (ja) 加熱調理器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KR101064060B1 (ko) 조리기기용 도어
KR20220039457A (ko) 조리기기
KR101039476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JP6876171B2 (ja) 加熱調理器
KR102329538B1 (ko) 조리기기
KR101014437B1 (ko) 조리기기의 히터모듈
KR200396064Y1 (ko) 전자레인지
KR20080037796A (ko) 조리기기
KR101025958B1 (ko)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KR101026008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82788A (ko) 소음저감형 전자레인지
KR101004480B1 (ko) 조리기기
KR101453276B1 (ko) 전자레인지
KR101052154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JP2021014968A (ja) 加熱調理器
KR20110015785A (ko) 조리기기
KR100885558B1 (ko) 조리기기
KR102037380B1 (ko)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