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37B1 - 해충구제방법 - Google Patents

해충구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37B1
KR101003537B1 KR1020080050288A KR20080050288A KR101003537B1 KR 101003537 B1 KR101003537 B1 KR 101003537B1 KR 1020080050288 A KR1020080050288 A KR 1020080050288A KR 20080050288 A KR20080050288 A KR 20080050288A KR 101003537 B1 KR101003537 B1 KR 10100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tic tank
pesticide
pests
present
flush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214A (ko
Inventor
전찬민
정진영
김진환
성혁제
조현식
김진우
최선미
전찬호
Original Assignee
(주)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클 filed Critical (주)팜클
Priority to KR102008005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5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와 연결된 정화조 내에 서식하는 해충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사멸시켜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정화조에 직접 살충제를 투여하는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방법 대신 상기 정화조와 연결된 수세식 변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은 변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하고 물을 내려 정화조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극히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정화조 내 해충을 구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간편함으로 인해 적기에 정화조 내 구충이 가능해져 상기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충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보건위생도 현저히 제고시킬 수 있다.
수세식 변기, 정화조, 해충, 유충, 번데기, 살충제

Description

해충구제방법 {Exterminating Process of Insec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와 연결된 정화조 내에 서식하는 해충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사멸시켜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정화조에 직접 살충제를 투여하는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방법 대신 상기 정화조와 연결된 수세식 변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분뇨를 비롯한 오수가 정화 처리된 후 하수도에 방류될 수 있도록 1 차적인 오염도 저감을 담당한다.
도 1은 이러한 정화조 중 대표적인 형태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입된 오수 중 인분 등 고형물은 제 1 부패조에서 처리되고, 여기서 이류된 액체 성분은 제 2 부패조에서 처리되며, 상기 제 1 부패조 및 제 2 부패조를 거친 처리액은 여과조 등을 거쳐 하수도로 배출된다.
이러한 정화조는 장구벌레와 같은 해충의 유충 및 번데기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 및 수분이 충분하고, 온도 및 습도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해충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겨울철의 낮은 외부 온도에도 불구하고 유충 및 번데기가 많이 번식하여, 보건위생에 나쁜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화조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바, 그 중에서도 살충제와 같은 화학제제를 상기 정화조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화조는 대개 건물 내 지하실과 같이 접근하기에 불편하고 환기가 원활하지 않으며 협소한 공간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살충제의 투입이 필요한 만큼 자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공간에 위치한 정화조의 청결 상태 역시 크게 기대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살충제 투입작업 역시 대단히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상과 같은 불편함은 결과적으로 살충제의 투입을 꺼리게 만들어 적기에 투입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이는 결과적으로 해충 피해를 늘리는 결과를 낳는다. 설령 주기적인 살충제 투입이 적기에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환경의 열악함으로 인해 작업성이 극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보건위생상 위험도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화조 내 해충의 유충이나 번데기의 사멸을 위해 변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함으로써 간편하고 위생적인, 따라서 적기 투입이 용이한 해충구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세식 변기에 물을 내려 상기 살충제를 정화조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정화조의 전체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제의 투입량은 상기 정화조 용량의 0.1 내지 10 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제는 액제, 용액, 유제, 현탁액과 같은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제는 테메포스(temephos), 노발루론(noval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메토프렌(methopren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피리프록시 펜(pyriproxyfe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펜치온(fenthion), 피림포스메틸(pirimphos-methyl),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고, 테메포스 1 내지 4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충은 모기, 파리, 나방, 깔따구, 나방파리, 먹파리, 그 유충 및 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 및 (B)는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은 변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하고 물을 내려 정화조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극히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정화조 내 해충을 구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간편함으로 인해 적기에 정화조 내 구충이 가능해져 상기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충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보건위생도 현저히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해충이라는 용어는 인간에게 위생적 또는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절지동물을 가리킨다.
그리고, 수세식 변기란 인체에서 배출된 분뇨를 물로 강제 이송시키는 변기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과거 분뇨를 단지 축적만 하는 전통 화장실 (소위, 푸세식 변기)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는 쪼그리고 앉아 배출한 분뇨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일시 저장된 후 물로 세척, 배출되는 형태 (도 2)와, 변기에 걸터 앉아 배출한 분뇨가 고인 물에 일시 저장된 후 배출되는 좌변기 형태 (도 3)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은 (A)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세식 변기에 물을 내려 상기 살충제를 정화조로 공급하는 단계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살충제를 정화조가 아닌 이와 연결된 수세식 변기에 투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상의 전환은, 해충의 유충이나 번데기가 주로 서식하는 곳은 정화조 내부이나 상기 정화조는 모두 수세식 변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세식 변기로부터의 배출물은 모두 상기 정화조로 이송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물 지하실 등에 위치한 정화조에 접근하여 뚜껑을 열고 악취를 맡아 가며 살충제를 투입하는 작업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문제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작업자로 하여금 구충작업을 꺼리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적기에 구충이 이루어지기 힘들게 만드는 요인이 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정화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대단히 쾌적하고 위생적인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한다면 상기 문제들은 일거에 해결이 가능하다.
즉, 접근이 용이하고 환기가 잘되는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하고 물을 내려 상기 살충제를 정화조에 공급하면, 정화조에 직접 살충제를 투입하는 방식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거두면서도 작업성은 획기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방식의 개선은 구충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가시켜 적기 구충을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해충에 기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살충제의 투입은 구충대상인 정화조에 적당한 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따라서 살충제를 투입하는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정화조의 전체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를 먼저 거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입되는 살충제의 양은 상기 정화조 전체 용량의 0.1 내지 10 ppm 인 것이 바람직한데, 0.1 ppm 미만이면 살충제의 양이 부족하여 유충이나 번데기가 완전히 사멸되지 않고, 10 ppm을 초과하면 낭비되는 살충제 양이 증가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수도에 살충제 성분이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정화조 용량이 커서 한번에 살충제 모두를 투입하기 어려운 경우라면, 하나의 수세식 변기에서 상기 단계 (A) 및 (B)를 수회 반복할 수도 있고, 하나의 정화조에 연결된 수개의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나누어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살충제는 고체상이든 액상이든 무방하나, 가능하면 빠른 시간에 물과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고체상 살충제는 정화조의 제 1 부패조에서 제 2 부패조로 넘어가지 못하고 계속 머무르게 되는 데, 해충의 유충이나 번데기는 제 2 부패조 이후 단계에 주로 서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에 사용되는 살충제는 해충을 구제할 수 있는 화학제제나 생물학적제제면 제한이 없으며, 특히 물에 잘 녹는 고체상이거나, 액제, 용액, 유제, 현탁액 등의 액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테메포스(temephos), 노발루론(noval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메토프렌(methopren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펜치온(fenthion), 피림포스메틸(pirimphos-methyl),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테메포스를 정화조 용량 대비 1 내지 4 ppm 투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투입된 살충제는 수세식 변기에 물을 내림으로써 정화조로 공급되어 살충효과를 나타내며, 1 내지 15 일이 경과하면 유충 및 번데기를 완전 사멸시킨다.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은 정화조 내 서식하는 유충, 번데기, 또는 유충 및 번데기의 구충에 효과적이며, 특히, 모기, 파리, 나방, 깔따구, 나방파리, 먹파리의 구충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정화조와 연결된 수세식 변기에 제시된 농도의 테메포스를 투입한 결과 상기 정화조에서 유충이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장소 서식해충 투여전 정화조ℓ당
유충 수
투여농도
(ppm)
투여후
유충 수
01 공장 모기 100 이상 2 0
02 집수정 나방파리 50 내지 100 2 0
03 목욕탕 나방파리 100 이상 4 0
04 도서관1 모기 10 이상 2 0
05 호텔 모기 5 이상 2 0
06 어린이집1 모기 10 이상 2 0
07 아파트 모기 100 이상 4 0
08 주상복합 모기 5 이상 4 0
09 어린이집2 모기 10 이상 4 0
10 유치원 모기 10 이상 2 0
11 어린이집3 나방파리 100 이상 4 0
12 어린이집4 모기 10 이상 2 0
13 도서관2 모기, 나방파리 20 이상 2 0
도 4는 실시예 11의 살충제 투여 전후 정화조 내 처리수 견본을 촬영 비교한 것으로서 유충 및 번데기의 완전 사멸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정화조의 관리자들은 모두 해충의 성충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보고하였고, 본 발명의 작업편의성을 매우 높게 평가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정화조의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에 따라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충구제방법 실시 전후 정화조 내 처리수를 촬영 비교한 사진이다.

Claims (6)

  1. 삭제
  2. 해충구제방법에 있어서,
    (A) 수세식 변기에 살충제를 투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세식 변기에 물을 내려 상기 살충제를 정화조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정화조의 전체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살충제의 투입량은 상기 정화조 용량의 0.1 내지 10 ppm이고,
    상기 해충은 모기, 파리, 나방, 깔따구, 나방파리, 먹파리, 그 유충 및 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구제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는 테메포스(temephos), 노발루론(noval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메토프렌(methopren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바실러스 투링이엔시스 이스라엘렌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펜치온(fenthion), 피림포스메틸(pirimphos-methyl), 그 혼합물, 그 용액, 그 유제, 및 그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구제방법.
  6. 삭제
KR1020080050288A 2008-05-29 2008-05-29 해충구제방법 KR10100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88A KR101003537B1 (ko) 2008-05-29 2008-05-29 해충구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88A KR101003537B1 (ko) 2008-05-29 2008-05-29 해충구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14A KR20090124214A (ko) 2009-12-03
KR101003537B1 true KR101003537B1 (ko) 2010-12-30

Family

ID=4168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88A KR101003537B1 (ko) 2008-05-29 2008-05-29 해충구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076B1 (ko) * 2017-06-02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크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113A (ja) 2000-07-28 2002-02-12 Sumitomo Chem Co Ltd 浄化槽用害虫防除樹脂組成物及び浄化槽内の害虫を防除する方法
KR100712937B1 (ko) 1999-07-09 2007-05-02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포상 에어졸
JP2007131574A (ja) 2005-11-10 2007-05-31 Sumika Enviro-Science Co Ltd 害虫駆除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37B1 (ko) 1999-07-09 2007-05-02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포상 에어졸
JP2002047113A (ja) 2000-07-28 2002-02-12 Sumitomo Chem Co Ltd 浄化槽用害虫防除樹脂組成物及び浄化槽内の害虫を防除する方法
JP2007131574A (ja) 2005-11-10 2007-05-31 Sumika Enviro-Science Co Ltd 害虫駆除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14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tchie et al. A lethal ovitrap‐based mass trapping scheme for dengue control in Australia: I. Public acceptability and performance of lethal ovitraps
CN111066808B (zh) 一种瓷砖防蟑剂及其制备方法、瓷砖防蟑方法、防蟑瓷砖
WO2014007611A1 (en) Mosquito exterminator based on infection/contamination by a float provided with a powdered coating
Lewis et al. A conservation approach to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turf and landscapes
JPH07503484A (ja) シロアリの生物学的制御
KR101003537B1 (ko) 해충구제방법
Swinger Managing external parasites of Texas cattle
JP5563554B2 (ja) 有害生物を防除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20030157062A1 (en) Method for exterminating termites
KR100577885B1 (ko) 동물 주변 환경의 구충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Quarles Thermal pest eradication in structures
KR101893125B1 (ko) 항충용 코팅 조성물
JP3199701B2 (ja) チョウバエ科昆虫及びその他の双翅目昆虫の幼虫の殺虫方法及び用具
Sanchez-Arroyo et al. House fly, Musca domestica Linnaeus
Azevedo et al. Semi‐field evaluation of the predation of Macrocheles embersoni and Macrocheles muscaedomesticae (Acari: Mesostigmata: Macrochelidae) on the house fly and the stable fly (Diptera: Muscidae)
JPH0912410A (ja) 有害生物抗菌忌避剤組成物
Hassan et al. Persistency of chlorpyrifos and termiban (imidacloprid) in soil against subterranean termites
TWI767450B (zh) 控制或防治昆蟲之界面活性劑組成物及其使用方法
KR101261359B1 (ko) 식물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선택적 흰개미 기피제 조성물
KR101846280B1 (ko) 동애등에 사육용 병해충 예방 조성물
Short et al. A novel technique for the elimination of populations of the Oriental cockroach Blatta orientalis L.(Dictyoptera: Blattidae) using (S)-hydroprene delivered from simple point sources
JP4745651B2 (ja)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及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JPH06248574A (ja) ハエ飛翔防止繊維およびハエ飛翔防止方法
Fourie et al. Control of immature stages of the flea Ctenocephalides felis (Bouché) in carpets exposed to cats treated with imidacloprid
Rupes et al. A novel imidacloprid bait for control of Monomorium pharaonis (Hymenoptera: Formic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