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396B1 -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396B1
KR101003396B1 KR1020080114820A KR20080114820A KR101003396B1 KR 101003396 B1 KR101003396 B1 KR 101003396B1 KR 1020080114820 A KR1020080114820 A KR 1020080114820A KR 20080114820 A KR20080114820 A KR 20080114820A KR 101003396 B1 KR101003396 B1 KR 10100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vacuum cleaner
support member
elastic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915A (ko
Inventor
박종열
Original Assignee
박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열 filed Critical 박종열
Priority to KR102008011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3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는,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유통경로에 위치되어, 방향성분을 가지는 방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을 정형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장착면에 고착시키는 부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진공, 청소, 방향, 향기, 탄성, 지지, 스프링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Aromatic object holder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진공청소기의 공기흐름 경로상 특정장소, 예컨대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의 모터케이스 통기공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장착된 방향물(芳香物)로부터의 방향이 공기에 혼입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청소기로부터 토출된 공기에 방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향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방향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에 의한 흡입, 필터, 배출 순으로 공기흐름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진공청소기를 오랜기간 사용하면, 상기 모터의 노후에 의한 모터냄새가 발생되고, 또한 진공청소기 내부에 잔존하는 먼지, 진공청소기 먼지봉투에 존재하는 세균 등으로 인한 먼지냄새가 발생된다. 그래서, 이러한 모터냄새나 먼지냄새를 없애거나 중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냄새의 완전 소멸은 매우 어렵고, 원인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학제재에 의한 냄새제거는 한계가 있음은 주지이다. 따라서 냄새의 중화를 위한 기술로서 방향제를 이용하는 기술이 주로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냄새중화를 위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공개 제10-2008-0095580호 향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그릴부재의 배출공에 장착되어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분리한 후,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에 방향제를 배출하는 향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생장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제 1 공기통과공과, 외부와 연통되는 제 2 공기통과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 2 공기통과공을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커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성분을 가지는 방향제;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공기가 배출될 경우, 상기 배출공 및 상기 제 1 공기통과공을 통과한 배출공기가 상기 외부커버를 밀어 상기 제 2 공기통과공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공기는 상기 제 2공기통과공을 통해 상기 방향성분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지 않아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커버부재가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 공기통과공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향기발생장치가 그릴부재의 배출공에 장착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유아나 어린이들이 호기심에 열어서 내부의 방향제를 집어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향기발생장치가 하우징, 외부커버부재, 방향제, 제1 공기통과공, 제2 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9393호 진공청소기의 방향제 공급장치는, 진공청 소기의 본체와 분리되는 코드릴의 본체에 팬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방향제가실내공기로 유출되도록 방향제공급부가 내장된 것이다.
그런데, 코드릴에 팬모터를 추가 설치하므로 제작비용이 높고, 본체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먼지냄새 중화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2-0011159호 진공청소기의 방향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방향유출구가 있는 방향제통과, 상기 방향제통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향유출구와 같은 형상의 방향공급 통기공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방향공급 통기공이 상기 방향제통의 방향유출구와 일치되도록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주기적으로 반복작 동시키는 타이머 수단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체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마련하여야 하고, 방향제통, 회전판, 구동수단, 타이머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높아지고, 구조가 복잡하며, 본체 모터와 별도의 구동수단까지 구비하므로 설비의 중복을 초래한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0-0016628호 진공청소기의 방향장치는, 고정축 둘레에 각 돌출편 사이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수개의 돌출편을 환상으로 형성한 방향체 수납부를 조작공이 형성된 진공청소기의 덮개 내면에 마련하는 한편 하부에 형성된 연장부의 중앙에 조작편을 형성하고 내부 중앙에 형성된 보스 둘레에는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유통홈이 형성된 환상의 결합울을 형성한 회동덮개를 구비하여 상기 방향체 수납부에 방향체를 설치한 후 회동덮개를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체 내부구조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기존 진공청소기에는 적용할 수 없고,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예상되며,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001942호 진공청소기의 방향장치는, 노브(10)와 방향제 수납실(7)을 구비하고 방향제 수납실(7)에는 개구부(12)와 공기유입공(8) 및 향기배출공(9)를 형성하며 노브(10)의 직하방에 돌기(11)를 형성시켜 방향제 케이스(6)를 진공 청소기 몸체(1)의 케이스 삽입구(4)에 설치하여 케이스의 향기 배출공(9)과 몸체(1)의 방향공(3)이 케이스의 이동에 따라 개폐 조절되도록 구성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삽입구 등 본체 외부구조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기존 진공청소기에는 적용할 수 없고,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예상되며,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냄새중화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존 단순 진공청소기에 적용되지 못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예상되며,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별도의 구동부와 제어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모된 방향제의 보충시 복잡한 구조물을 조작하여야 하고, 장착된 방향제의 균형배치가 곤란하여 균일한 냄새중화효과의 달성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냄새중화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존 단순 진공청소기에, 별도의 구조변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적용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잔고장이 없으며, 제조비용이 낮은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와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가 적은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소모된 방향제의 보충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장착된 방향제의 균형배치가 용이하여, 균일한 냄새중화효과의 달성이 용이한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는,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유통경로에 위치되어, 방향성분을 가지는 방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을 정형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장착면에 고착시키는 부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선재를 구부려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토로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물은 방향성분의 소모에도 불구하고 그 외형치수가 변화하지 않는 물체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향물은 방향성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미세한 홀을 가지는 다공질 구조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에는 고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냄새중화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존 단순 진공청소기에, 별도의 구조변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잔고장이 없으며, 제조비용이 낮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와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가 적다.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소모된 방향제의 보충이 가능하다.
또한, 장착된 방향제의 균형배치가 용이하여, 균일한 냄새중화효과의 달성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면이 바뀌더라도, 동일구조에 의한 동일기능을 나타내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부호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지지부재와 방향물의 결합방식 및 방향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방향물이 장착된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탄성부재와 부착부재의 결합상태 및 부착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방향물이 장착된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물이, 부착부재를 통하여 진공청소기 케이스의 장착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는, 지지부재(20)와, 복수의 탄성부재(22)와, 부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진공청소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유통경로에 위치된다. 다만, 반드시 공기유통경로를 가로막아서 위치될 필요는 없고, 그 근방에 위치되더라도 효과에 크게 지장이 없다. 상기 방향물(40)로부터 방향성분이 확산작용에 의하여 공기유통경로로 혼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방향성분을 가지는 방향물(4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방향물(40)의 지지를 위한 부분인 방향물 지지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선재를 구부려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선재는 철사와 같은 형상의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선재는 단일의 선재이더라도 좋고, 복수의 선재를 이어서 형성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선재를 구부릴 때는, 적어도 상기 방향물(40)이 지지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정형된 부분이 갖춰져야 한다. 예컨대 보석반지에 있어서, 보석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물과 같이, 상기 선재의 복수의 굴곡된 부분에 의하여, 알갱이 형상의 방향물(40)이 지지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선재의 가느다란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공기유통경로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가 작아져서, 진공청소기 전력소모에 영향을 거의 끼치치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탄성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탄성재는 힘을 인가하면 변형되고, 인가된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방향물 지지부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변형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인가하였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복원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방향물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이 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 이 덮개를 자동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물이 필요없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가동시에 모터나 물체와의 충돌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탄성재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하여, 상기 방향물(40)의 지지효과는 효율좋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탄성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 형상이란 일반적인 봉 형상의 스프링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반드시 그 축이 직선일 필요는 없고, 응용예에 따라서, 또한 후술하는 탄성부재(22)의 수와 결합위치 등에 따라서는 단순곡선, 복합적 곡선이 될 수도 있다. 탄성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는, 주기적으로 감겨있는 선재의 피치 사이가 상기 방향제 지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물 지지부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변형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인가하였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복원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탄성 토로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토로이드 형상이란 일반적인 봉 형상의 스프링 형상의 양단이 서로 만난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토로이드는 반드시 그 평면형상이 원형일 필요는 없고, 응용예에 따라서, 또한 후술하는 탄성부재(22)의 수와 결합위치 등에 따라서는 삼각, 사각, 마름모,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탄성 토로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는, 주기적으로 감겨있는 선재의 피치 사이가 상기 방향제 지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물 지지부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변형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인가하였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복원시켜서, 상기 방향물(4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물(40)은 방향성분의 소모에도 불구하고 그 외형치수가 변화하지 않는 물체임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방향물(40)은 외형치수가 일정한 고체이고, 상기 방향물(40)에 방향성분이 묻어 있다가 이 방향성분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소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향물(40)은 방향성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미세한 홀(42)을 가지는 다공질 구조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질 구조체의 홀(42)에 묻어 있던 방향성분은, 시간 경과에 따라서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소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방향성분의 구성분자 및 홀(42)의 직경과 깊이 등에 따라서 단 위시간당 확산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물(40)로서, 공지의 소위 향기볼이라는 상품으로 판매되는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22)는, 상기 지지부재(20)의 형상을 정형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탄성부재(22)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은, 상기 지지부재(20)의 형상을 특정 형상으로 정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의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22)가 4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지지부재(20) 자체의 형상과 상기 지지부재(20)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정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의존하게 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20)가 토로이드 형상이고,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5의 장착면(12) 중앙에 위치된 공기유통경로를 이루는 통기공(16)의 에어필터(14) 외곽부를 대략 따라서 위치되므로, 상기 토로이드 형상을 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4개의 탄성부재(22)를 이용하고 있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22)의 갯수와 상기 지지부재(20)의 형상은 관련이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22)를 3개만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재(20)를 삼각형에 가까운 토로이드로 정형하여도 좋고, 상기 탄성부재(22)를 5개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재(20)를 오각형에 가까운 토로이드로 정형하여도 좋다. 만일 상기 지지부재(20)가 솔레노이드 형상이라면,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22)를 상기 지지부재(20)의 양단에 2개만 설치하여도 좋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중앙부에도 하나 더 설치하여 3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탄성부재(22)의 탄성력은, 상기 지지부재(20)의 정형을 위하여 작용하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상기 지지부재(20)에 가해지는 모터진동, 외부충격에 의 한 진동 등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20)와 방향물(40)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작용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어느 한쪽의 단부만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30)에는 고리(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갈고리와 고리는 서로 착탈 용이하다. 그러므로, 최초 설치시, 또는 사용도중의 해체시 등에 있어서, 지지부재(20)를 장착면(12)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30)는, 상기 탄성부재(22)를 상기 진공청소기 케이스(10) 내부의 장착면(12)에 고착시키는 부재이다. 예컨대 박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면을 상기 장착면(12)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착의 방법은 양면테이프, 본드, 융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12)은 공기유통경로가 노출된 면을 의미하며, 이러한 공기유통경로에 상기 방향물(40)의 방향성분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탄성부재(22)에 의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면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의 장착 및 작용을 설명한다.
진공청소기 케이스(10)의 내측 공간을 이루는 일부분으로서, 공기유통경로가 노출된 면인 장착면(12)에 상기 복수의 부착부재(30)를 고착시킨다. 한편, 상기 부착부재(30)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탄성부재(22)를 상기 지지부재(20)에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 탄성부재(22)의 단부를 상기 부착부재(30)의 고리(32)에 체결한 다. 그리고나서 상기 지지부재(20)의 방향물 지지부에 힘을 인가하여 방향물(40)을 삽입하고 나서 인가했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방향물(40)을 장착시킨다. 상기 방향물(40)은 복수개 장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 케이스(10)의 대향부를 맞춰서 상기 장착면을 포함하는 공기유통경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청소기를 가동가능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상기 진공청소기를 가동시켜서 통기공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면, 상기 방향물(40)의 방향성분이 확산되어서 상기 공기에 혼입된 상태로 유통되어 상기 진공청소기 외부로 빠져나온다. 그 결과, 상기 방향성분에 의한 아로마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 확산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향기능이 없는 단순구조의 진공청소기에도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를 설치할 수 있는데, 방향물(40)의 교체도 간단하고,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탄성부재(22) 또는 지지부재(20)의 완충효과에 의하여 상기 방향물이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재(20)는 공기유통경로에 공기저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그 범위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진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제조산업, 진공청소기 유통산업 및 진공청소기용 소품의 제조산업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지부재와 방향물의 결합방식 및 방향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방향물이 장착된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탄성부재와 부착부재의 결합상태 및 부착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방향물이 장착된 지지부재와 탄성부재의 결합물이, 부착부재를 통하여 진공청소기 케이스의 장착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부호의 설명 *
10: 진공청소기 케이스 12: 장착면
14: 에어필터 16: 통기공
20: 지지부재 22: 탄성부재
30: 부착부재 32: 고리
40: 방향물 42: 홀

Claims (8)

  1.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유통경로에 위치되어, 방향성분을 가지는 방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을 정형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진공청소기 케이스 내부의 장착면에 고착시키는 부착부재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선재를 구부려서 형성함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재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토로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물은 방향성분의 소모에도 불구하고 그 외형치수가 변화하지 않는 물체임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향물은 방향성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미세한 홀을 가지는 다공질 구조체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재에는 고리가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KR1020080114820A 2008-11-18 2008-11-18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KR10100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20A KR101003396B1 (ko) 2008-11-18 2008-11-18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20A KR101003396B1 (ko) 2008-11-18 2008-11-18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915A KR20100055915A (ko) 2010-05-27
KR101003396B1 true KR101003396B1 (ko) 2010-12-22

Family

ID=4228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820A KR101003396B1 (ko) 2008-11-18 2008-11-18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796Y1 (ko) 2000-05-27 2000-11-01 정광산 진공 청소기의 배풍구
JP2004113598A (ja) 2002-09-27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脱臭アダプタ
JP2005024127A (ja) 2003-06-30 2005-01-27 Kyoraku Co Ltd 空気脱臭装置
KR200425922Y1 (ko) 2006-06-08 2006-09-12 윤옥연 음식물쓰레기통 탈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796Y1 (ko) 2000-05-27 2000-11-01 정광산 진공 청소기의 배풍구
JP2004113598A (ja) 2002-09-27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脱臭アダプタ
JP2005024127A (ja) 2003-06-30 2005-01-27 Kyoraku Co Ltd 空気脱臭装置
KR200425922Y1 (ko) 2006-06-08 2006-09-12 윤옥연 음식물쓰레기통 탈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915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29283B2 (en) Humidifying apparatus
EP2823237B1 (en) Humidifying apparatus
AU2016219552B2 (en) A fan assembly
JP5567175B2 (ja) 加湿装置
JP5671572B2 (ja) 加湿装置
JP5702419B2 (ja) 加湿装置
EP2946825B1 (en) Air cleaner
KR20070118583A (ko) 향기방출과 함께 공기정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028B1 (ko) 공기 청정기
JP2005528968A (ja) 芳香剤ディスペンサ、芳香剤ディスペンサを有する家庭用電化製品、及び芳香剤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
KR101003396B1 (ko) 진공청소기용 방향물 홀더
KR101307840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73328A (ko) 건조 덕트부와 탈취부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2128648B1 (ko) 다채널향기 발생부를 가진 공기정화장치
JP5824610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GB2523463A (en) A fan assembly
JP6827168B2 (ja) 脱臭装置
CN115451511A (zh) 空气调节设备及基于其的香氛释放控制方法、控制装置
KR20110013218A (ko)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2013032864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