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218A -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218A
KR20110013218A KR1020100062680A KR20100062680A KR20110013218A KR 20110013218 A KR20110013218 A KR 20110013218A KR 1020100062680 A KR1020100062680 A KR 1020100062680A KR 20100062680 A KR20100062680 A KR 20100062680A KR 20110013218 A KR20110013218 A KR 2011001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midification
unit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다까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으로부터 덜 마름에 수반하는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1)에서는,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38)가 팬(17)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구동 상태에 따라서, 구동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20)을 적어도 1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서도, 가습 유닛(20) 전체가, 항상, 받침 접시(22)의 물에 젖어 있기(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어 있기) 때문에, 가습 유닛(20)이 덜 마르게 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20)으로부터 덜 마름에 수반하는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WITH A FUNCTION OF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청정화 및 가습한 후 기기 밖으로 방출하는 가습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습 장치에서는, 흡입구 및 분출구를 갖는 본체 내에, 흡입구 및 분출구에 연통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에는, 송풍기(본원 발명의 송풍 수단에 상당함) 및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하방부에는 수조가 설치되고, 수조에는 가습 필터(본원 발명의 가습 유닛에 상당함)가, 하부를 수조의 물에 침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습 장치가 운전 상태에 있을 때에는, 기기 밖의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 유로로 흡입된 후에 가열 수단에 보내어져,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이 된다. 그리고, 이 온풍이 수조의 물에 침지되면서 회전하고 있는 가습 필터에 접촉한다. 이때, 온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가습 필터에 의해 포획됨으로써 온풍이 청정화되고, 또한 이 온풍은 가습 필터에 부착한 물에 의해 가습된 후에, 분출구로부터 기기 밖으로 방출되어, 실내 공기의 가습에 기여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076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습 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가습할 필요가 없는 등의 이유에서 가습 필터의 회전(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한편, 송풍 수단이 계속해서 구동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습 필터에 있어서, 수조의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송풍기에 의해 보내지는 온풍이 닿게 함으로써, 점차 건조되어 간다. 여기서, 건조에 수반하여, 가습 필터(수조의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부분)가 덜 마른 상태가 되면, 가습 필터로부터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고, 이 냄새가 공기 유로를 흐르는 온풍에 실려 기기 밖으로 방출되어 실내에 떠다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으로부터 덜 마름에 수반하는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입구,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 및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공기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유로에 도입하여 상기 출구로 보내는 송풍 수단과,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청정화하여 상기 공기 유로 하류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 청정화 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물이 모이는 저수조와, 일부가 상기 저수조의 물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습 운전시에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저수조의 물에 잠긴 부분이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공기 유로의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이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을 갖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구동 상태에 따라서, 구동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상기 가습 유닛을 적어도 1회전시키는 건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검출 수단은 구동 상태에 대하여, 송풍량이 강, 중, 약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건조 방지 수단은 검출된 송풍량이 강할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인터벌로 상기 가습 유닛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가습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감기는 천이며, 상기 저수조의 물에 젖은 부분에서 상기 공기 유로의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서는, 송풍 수단이, 하우징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입구로부터 공기 유로에 도입하여 출구로 보내고, 그 도중에서 공기 청정화 수단이 이 공기를 청정화한다.
여기서, 하우징 내에는 저수조가 배치되어 있고, 저수조의 물에는 가습 유닛의 일부가 잠겨 있다. 가습 유닛은, 이 상태에서 공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가습 운전시에는 회전됨으로써, 저수조의 물에 잠긴 부분이 회전에 수반하여 공기 유로의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이 공기를 가습한다.
그리고, 이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서는,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가습 유닛의 회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검출 수단이 송풍 수단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구동 상태에 따라서 건조 방지 수단이 구동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을 적어도 1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라도, 가습 유닛 전체가 항상 저수조의 물에 젖어 있기(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어 있기) 때문에, 가습 유닛이 덜 마르게 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으로부터 덜 마름에 수반하는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검출 수단은, 구동 상태에 대하여, 송풍량이 강, 중, 약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를 검출하고, 건조 방지 수단은 검출된 송풍량이 강할수록(가습 유닛이 빨리 건조되기 시작하기 쉬울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송풍량의 강도에 관계없이, 가습 유닛 전체를 항상 저수조의 물에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가습 유닛이 덜 마르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가습 유닛에서는,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에 감기는 가습 부재가, 저수조의 물에 젖은 부분에서 공기 유로의 공기를 가습한다. 여기서, 가습 부재는 천이므로, 물기가 잘 빠지지 않아, 덜 마르기 쉽지만, 건조 방지 수단이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을 적어도 1회전시키므로,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의 가습 부재가 덜 마르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1)의 우측면도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2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가습 유닛(20)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악취 레벨의 경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건조 방지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의 (a)는 가습 부재(3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완성된 가습 부재(32)의 사시도.
도 5a는 가습 유닛(20)의 정면도이며, 지지체(34)에의 가습 부재(32)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B-B 화살표 단면도.
도 6은 제1 변형예에 관한 가습 유닛(20)의 사시도.
도 7은 제2 변형예에 관한 가습 유닛(20)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C-C 화살표 단면도.
도 10은 증산판(72)의 평면도와 증산판(72)의 증산 성능에 관한 표를,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a)],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b)], 및 본 실시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c)]의 각각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는 도면.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1)[이하에서는,「공기 청정기(1)」라고 생략하여 말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의 전체 구성>
도 1은 공기 청정기(1)의 우측면도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의 하우징으로서의 본체 케이스(2)는, 세로로 길고 또한 전후 방향(도 1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얇은 중공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본체 케이스(2)는 대략 전반 부분을 이루는 프론트 케이스(3)와 대략 후반 부분을 이루는 리어 케이스(4)에 의해, 그 외곽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과 정면측은 같은 뜻이고, 후방측과 배면측은 같은 뜻이며, 전후 방향과 대략 수평 방향은 같은 뜻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앞쪽이 우측이며, 안쪽이 좌측이다.
프론트 케이스(3)의 천장면에는 조작 패널(5)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5)에 설치된 조작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공기 청정기(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 청정기(1)의 운전 조건 및 상태는 조작 패널(5)에 설치된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프론트 케이스(3)의 전방면에 있어서 약간 상측의 위치에는 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6)는 프론트 케이스(3)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4)의 천장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각각에는 출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출구(7)는 리어 케이스(4)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각 출구(7)에는 격자(8)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1)는 입구(6)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청정화하고, 청정화된 공기를 출구(7)로부터 배출한다(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프론트 케이스(3)와 리어 케이스(4)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9)이 설치되어 있고, 격벽(9)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3)의 내부와 리어 케이스(4)의 내부가 구획되어 있다. 격벽(9)의 하측 부분에는 연통 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10)을 통하여 프론트 케이스(3)의 내부와 리어 케이스(4)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케이스(3)의 내부는, 구획벽(11)에 의해 입구(6)에 연통하는 상측의 제1 공간(12)과, 입구(6)에 연통하지 않는 하측의 제2 공간(13)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획벽(11)은 격벽(9)에 있어서 연통 구멍(10)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연속해서 경사 전방측 상방(도 1에서는 경사 좌측 상방)으로 연장하여 프론트 케이스(3) 전방벽에 접속되어 있고, 제1 공간(12)과 제2 공간(13)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연통 구멍(10)은 제1 공간(12)과 리어 케이스(4)의 내부[제3 공간(14)]를 연통시키는 반면, 제2 공간(13)과 제3 공간(14)을 연통시키고 있지 않다.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는, 입구(6)와 출구(7)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15)(굵은 실선 화살표를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로(15)의 도중에, 상술한 연통 구멍(10)이 위치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에서는, 프론트 케이스(3) 내부의 제1 공간(12), 상세하게는 공기 유로(15)의 도중에 있어서, 입구(6)에 후방측(도 1에서는 우측)으로부터 면하는 위치에, 공기 청정화 수단으로서의 필터(16)가 구비되고, 제1 공간(12)에 있어서의 필터(16)의 후방측에 송풍 수단으로서의 팬(17)이 구비되어 있다.
필터(16)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으로 얇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복수 종류의 필터막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공기 중에 포함되는 비교적 큰 진애뿐만 아니라, 매우 미세한 진애, 예를 들어 화분이나 담배 연기의 입자 등까지 포획 가능하다.
팬(17)은, 예를 들어 시로코팬이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회전 구동됨으로써 흡인력을 발생하고, 전방측의 공기를 내측으로부터 흡입하여 외측(여기서는 외측 하방)으로 토출한다.
이 공기 청정기(1)에 있어서, 팬(17)이 구동되면, 공기 청정기(1)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팬(17)이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입구(6)로부터 프론트 케이스(3)의 제1 공간(12) 내에 도입되어 공기류가 된다. 그리고, 이 공기(공기류)는 굵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유로(15)를 흘러, 그 도중에 있어서 필터(16)를 통과함으로써 진애나 냄새 성분이 제거되어 청정화된다. 바꾸어 말하면, 필터(16)는 입구(6)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청정화하여 공기 유로(15)의 하류측으로 흐르게 한다. 청정화된 공기(이하에서는 단순히「공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팬(17)에 의해 하방으로 토출되어 계속해서 공기 유로(15)를 흘러, 격벽(9)의 연통 구멍(10)으로부터 리어 케이스(4)의 내부[제3 공간(14)]로 보내지고, 최종적으로는 출구(7)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공기 유로(15)를 흐른 공기는 각 출구(7)로부터 공기 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기기 밖으로 배출된(청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1)의 외부(예를 들어, 실내)의 구석구석까지 널리 퍼져, 실내 전체를 고르게 정화한다.
그리고, 이 공기 청정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기능을 구비한 것이므로,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하여, 리어 케이스(4)의 제3 공간(14)에 가습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가습 유닛의 전체 구성>
가습 유닛(20)은 필터(16)를 통과하여 청정화된 공기를 가습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출구(7)로부터 실내로 방출되게 되어, 실내의 습기가 보충된다.
가습 유닛(20)에 관련하여, 본체 케이스(2) 내에는, 주로 급수 탱크(21)와, 저수조로서의 받침 접시(22)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탱크(21)는 내부에 물을 모을 수 있는 폭 방향(도 1의 종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긴 중공체이며, 프론트 케이스(3) 내의 제2 공간(13)에 배치되어 있다.
급수 탱크(21)의 바닥에는, 밸브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되는 물 빠짐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 탱크(21)는, 나사 등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3) 전방벽에 있어서 입구(6)보다 하측 부분[프론트 커버(24)라고 함]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프론트 커버(24)는 프론트 케이스(3)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그로 인해, 급수 탱크(21)와 프론트 커버(24)는 일체로 되어, 프론트 케이스(3)[본체 케이스(2)]에 대하여 정면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1)에 물을 보급할 수 있다.
받침 접시(22)는 본체 케이스(2) 내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고, 가습 유닛(20) 및 급수 탱크(21)의 각각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깊이)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받침 접시(22)의 바닥에는 구획판(25)이 기립 설치되고 있고, 구획판(25)에 의해, 받침 접시(22)의 내부가 전후로 이분되어 있다. 받침 접시(22)의 내부에 있어서, 구획판(25)보다 전방측(도 1에서는 좌측)의 영역[전방측 영역(22A)]에 급수 탱크(21)의 하부가 배치되고, 구획판(25)보다 후방측(도 1에서는 우측)의 영역[후방측 영역(22B)]에 가습 유닛(20)의 하부가 배치된다. 즉, 받침 접시(22)에 있어서, 급수 탱크(21)의 하부를 수용하는 전방측 영역(22A)은 프론트 케이스(3)의 제2 공간(13)에 배치되고, 가습 유닛(20)의 하부를 수용하는 후방측 영역(22B)은 리어 케이스(4)의 제3 공간(14)에 배치된다.
여기서, 격벽(9)에 있어서, 연통 구멍(10)의 하방에는, 구획판(25)에 딱 막히는 크기의 관통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6)은 프론트 케이스(3)의 제2 공간(13)과 리어 케이스(4)의 제3 공간(14)을 연통시킨다. 통상적으로, 관통 구멍(26)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구획판(25)과 일치하고, 구획판(25)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간극없이 막혀 있다.
구획판(25)의 하단부에는, 구획판(25)을 전후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27)을 통하여 전방측 영역(22A)과 후방측 영역(22B)이 연통하고 있다.
급수 탱크(21)를 받침 접시(22)의 전방측 영역(22A)에 수용하면, 급수 탱크(21)의 바닥의 상술한 밸브체(도시하지 않음)가 받침 접시(22)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28)에 의해 밀려 올라가, 급수 탱크(21)의 물 빠짐 구멍(23)을 개방한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1) 내의 물이 물 빠짐 구멍(23)으로부터 전방측 영역(22A)으로 배출되고, 연통 구멍(27)으로부터 후방측 영역(22B)으로 유입하여 후방측 영역(22B)에 모인다.
또한, 후방측 영역(22B)에 규정 수위까지 물이 모이면, 그 도중에 연통 구멍(27)을 통하여 물이 전방측 영역(22A)과 후방측 영역(22B)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함으로써, 전방측 영역(22A) 및 후방측 영역(22B)의 수위는, 결과적으로, 동등한 수위로 이어진다[도시한 수면(S)을 참조]. 이때, 연통 구멍(27)은 수면(S)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물에 완전히 잠겨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9)의 관통 구멍(26)이 받침 접시(22)의 구획판(25)에 의해 막혀 있다. 그로 인해, 공기가 연통 구멍(27)을 통하여, 전방측 영역(22A)과 후방측 영역(22B)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프론트 케이스(3)의 제1 공간(12) 및 리어 케이스(4)의 내부[제3 공간(14)]의 공기가 제2 공간(13)에 누설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가 제2 공간(13)에 누설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가습 유닛(20)은 필터(16) 및 팬(17)을 통과하여 각 출구(7)로 향하는 공기의 유로인 공기 유로(15)(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필터(16)로 청정화된 공기의 흐름(공기류)은 반드시 가습 유닛(20)을 통과한다.
가습 유닛(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는 대략 원반 형상이다. 가습 유닛(20)은 간격을 두고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와, 가습 부재(32)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전방 플레이트(30)는 외주연 및 내주연을 갖는 환형의 판이다(후술하는 도 6 참조). 후방 플레이트(31)는 원판 형상이다.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 각각의 중심축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이들 중심축은 전후 방향으로부터 볼 때 일치하고 있다. 전방 플레이트(30)의 외경과 후방 플레이트(31)의 외경은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 가습 유닛(20)은 복수의 빔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빔 부재(3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이들 빔 부재(33)는 가습 유닛(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고 있다(도 6 참조). 각 빔 부재(33)는, 전방 플레이트(30)의 외측 주연부와 후방 플레이트(31)의 외측 주연부 사이에 걸쳐져 있다. 이에 의해, 전방 플레이트(30)와 후방 플레이트(3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빔 부재(33)와 함께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 일체화된 전방 플레이트(30), 후방 플레이트(31) 및 빔 부재(33)를 통합하여 지지체(34)라고 한다. 지지체(34)에 있어서 후방 플레이트(31)보다 전방측의 부분은, 환형의 판인 전방 플레이트(30) 및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는 복수의 빔 부재(33)에 의해 환형을 이루고 있다(도 6 참조). 지지체(34)에 있어서, 그 내주연[상세하게는, 전방 플레이트(30)의 내주연 및 복수의 빔 부재(33)]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내공간(35)이라고 한다.
그리고, 지지체(34)에는, 상술한 가습 부재(32)가, 지지체(34)의 외주연[상세하게는,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외주연 및 복수의 빔 부재(33)]을 따르도록 감겨져 있다. 가습 부재(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천으로 형성된 띠 형상이지만[후술하는 도 4의 (b) 참조], 지지체(34)에 감긴 상태에서는 환형을 이루고 있다(후술하는 도 5a 참조).
이러한 가습 유닛(20)은, 리어 케이스(4)의 후방벽의 일부[리어 커버(36)라고 함]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원 중심을 지나는 축(37)에 의해, 이 축(3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습 유닛(20)의 하부[지지체(34)의 외주연 및 지지체(34)에 감긴 가습 부재(32)의 하부]는,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에 소정 수위까지 모인 물[수면(S) 참조]에 잠겨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6)로 청정화된 공기가 계속해서 공기 유로(15)를 흘러 가습 유닛(20)을 통과할 때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력을 받아 가습 유닛(20)이 회전된다(도 1에 나타내는 1점 쇄선 화살표 참조). 가습 유닛(20)이 회전됨으로써, 가습 부재(32)는 지지체(34)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에 수반하여,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긴 상태와, 이 물로부터 올라간 상태의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가습 부재(32)는 물로부터 올라간 상태일 때에, 청정화된 공기의 흐름(도 1의 굵은 실선 화살표를 참조)에 노출된다. 상세하게는,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젖은 부분이, 가습 유닛(20)이 1회전을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청정화된 공기의 흐름에 노출된다. 그 결과, 가습 부재(32)에 부착된 수분이 청정화된 공기를 가습하여, 이 공기와 함께, 출구(7)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방출되어 실내의 가습에 기여한다. 또한, 지지체(34)에 부착되어 있던 수분도 공기를 가습한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빔 부재(33)가 중공으로 되어 있으므로(도시하지 않음), 중공의 빔 부재(33)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후방측 영역(22B)의 물을 통과할 때에 후방측 영역(22B)의 물을 내부에 모음으로써 퍼낼 수 있다. 빔 부재(33)에 퍼내어진 물은, 가습 부재(32)에 부착된 물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가습에 기여한다. 빔 부재(33)에 퍼내어진 물은 빔 부재(33)에 모인 상태에서 공기를 가습하거나, 빔 부재(33)로부터 흘러 넘쳐 지지체(34)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 공기를 가습하거나, 가습에 수반하여 건조된 가습 부재(32)를 다시 적셔, 가습 부재(32)의 가습 능력을 회복시킨다.
그리고, 가습 유닛(20)은 주로 가습 부재(32)의 세정(물때 등의 오염의 제거) 및 교환과 같은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위해, 가습 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37), 리어 커버(36) 및 받침 접시(22)와 일체가 되어, 본체 케이스(2)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건조 방지 제어>
이 공기 청정기(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부재(32)가 가습 유닛(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긴 상태와, 이 물로부터 올라온 상태 사이를 이동하여, 물로부터 올라왔을 때에,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던 부분에 있어서 공기 유로(15)의 공기의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이 공기를 가습한다. 공기 청정기(1)에 의해 이와 같이 공기를 가습하는 운전을 가습 운전이라고 한다.
공기 청정기(1)에서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을 정지하면,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긴 부분이 공기 유로(15)의 공기의 흐름에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가습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기(1)에서는, 실내의 습도가 원하는 값에 있는 등과 같은 이유로 가습 운전을 정지하는(가습 운전을 행하지 않는) 한편, 팬(17)을 회전시켜 외부의 공기를 필터(16)로 청정화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운전(공기 청정 운전)만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청정화된 공기가 공기 유로(15)를 흐르므로, 이 공기가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수면(S)보다 상측의 부분]에 닿게 함으로써, 이 부분이, 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어 있는 상태로부터, 점차 건조되기 시작한다.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면, 가습 부재(32)에 부착된 수분 중의 물때로부터 잡균이 발생하여, 이 잡균이 불쾌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습 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물기가 잘 빠지지 않아, 그만큼 내부에 잡균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가습 부재(32)로부터 발생한 냄새가 공기 청정 운전에 의해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실려 기기 밖으로 배출되면, 실내에 떠다녀 사용자에게 불쾌한 생각을 들게 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기(1)에서는, 상술한 조작 패널(5)의 조작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팬(17)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송풍량[입구(6)에 있어서의 공기의 흡입량이며, 출구(7)에 있어서의 공기의 배출량이기도 함]을, 강(약 3입방미터/분), 중(약 1.5입방미터/분), 약(약 0.6입방미터/분)의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가습 유닛(20)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악취 레벨의 경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팬(17)이 회전 구동되어 공기 유로(15)에 공기가 흐르고 있는 상태(공기 청정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습 유닛(20)의 회전(가습 운전)을 정지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송풍량이 강인 경우에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2분 반이 경과하면,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고, 그에 수반하여, 가습 부재(32)로부터 발생하는 냄새의 악취 레벨이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올라가기 시작한다(냄새가 심해짐).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5분이 경과하면, 가습 부재(32)는 덜 마른 상태에 있어서, 악취 레벨은 최대값이 된다(냄새가 가장 심해짐). 그 후,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덜 마름으로부터 더 건조가 진행됨으로써, 잡균의 활동이 둔해지고, 이에 의해 악취 레벨은 서서히 저하되고,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7분이 경과하면, 가습 부재(32)가 완전하게 건조되고, 악취 레벨은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기 전의 값까지 복귀되어, 가습 부재(32)로부터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게 된다.
한편,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송풍량이 중인 경우에는, 악취 레벨은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5분이 경과하면, 올라가기 시작한다[가습 유닛(20)으로부터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기 시작함]. 또한,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송풍량이 약인 경우에는, 악취 레벨은 굵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8분이 경과하면, 올라가기 시작한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내는 악취 레벨의 경시 변화는, 둘레의 습도가 30% 정도라는, 가습 부재(32)의 덜 마름이 가장 빨리 발생하기 쉬운 혹독한 환경 하에 있어서의 것이며, 습도가 30%를 초과하는 통상의 환경 하에서는, 상술한 악취 레벨의 상승은, 도 2에서 도시한 경우보다도 약간 지연되어 개시된다.
이와 같이, 공기 청정기(1)에서는, 가습 운전을 정지[오프(OFF)]로 하여, 공기 청정 운전을 실시[온(ON)]하면, 가습 운전을 오프로 하고 나서 잠시 후, 불쾌한 냄새가 배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송풍량이 강해질수록, 빠른 단계로 불쾌한 냄새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2) 내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부(38)(검출 수단 및 건조 방지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제어부(38)는 팬(17)의 회전[엄밀하게는 팬(17)을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이나, 가습 유닛(20)의 회전[엄밀하게는 가습 유닛(20)을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가습 유닛(20)[특히 가습 부재(32)]의 건조 방지 제어를 행한다.
도 3은 건조 방지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여, 우선, 상술한 공기 청정 운전이 온인 경우[팬(17)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S1)에서 "예"], 제어부(38)는 가습 운전이 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S2)].
가습 운전이 온이면[스텝(S2)에서 "예"], 제어부(38)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을 온으로 하여, 가습 유닛(20)을 회전시킨다[스텝(S3)]. 이에 의해, 가습 운전이 실행된다.
여기서, 공기 청정기(1)에는 기기 밖(실내)의 습도를 계측하는 습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38)는 가습 운전 중에 있어서, 습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S4)]. 실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도달하면[스텝(S4)에서 "예"], 제어부(38)는 가습 유닛(20)의 회전을 오프(정지)하여 가습 운전을 오프로 한다[스텝(S5)].
한편, 가습 운전이 온이 아니면[스텝(S2)에서 "아니오"], 제어부(38)는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 팬(17)의 회전 속도 등으로부터 팬(17)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고, 이 구동 상태에 기초하여, 공기 유로(15)에 있어서의 송풍량을 확인(검출)한다[스텝(S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8)는 팬(17)의 구동 상태에 대하여 송풍량이 상술한 강, 중, 약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를 검출한다.
송풍량이 강인 경우(도 2 참조)에는, 제어부(38)는 가습 운전이 오프인 상태에서 공기 청정 운전이 개시된 시점(또는, 공기 청정 운전이 온인 상태에서 가습 운전이 오프로 된 시점이며, 이후에는 기준 시점이라고 함)에서 2분 경과할 때마다 가습 유닛(20)을 1회전시킨다[스텝(S7)].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량이 강인 상태에서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2분 반이 경과하여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가 건조되기 시작하기 전에,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도 1 참조)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이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가습 부재(32) 전체가 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는다.
여기서, 제어부(38)가 2분마다 가습 유닛(20)을 1회전시키므로,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려고 할 때마다, 그 전에 가습 부재(32) 전체가 젖어, 결과적으로, 가습 부재(32) 전체가 젖은 상태(덜 마름이 없는 상태)가, 송풍량이 강인 상태에서 항상 유지된다.
한편, 송풍량이 중인 경우(도 2 참조)에는, 제어부(38)는 기준 시점으로부터 4분 경과할 때마다 가습 유닛(20)을 1회전시킨다[스텝(S8)].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량이 중인 상태에서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5분이 경과하여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기 전에,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이,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가습 부재(32) 전체가 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는다. 이에 의해, 가습 부재(32) 전체가 젖은 상태가, 송풍량이 중인 상태에서 항상 유지된다.
한편, 송풍량이 약인 경우(도 2 참조)에는, 제어부(38)는 기준 시점으로부터 7분 경과할 때마다 가습 유닛(20)을 1회전시킨다[스텝(S9)].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량이 약인 상태에서 가습 유닛(20)의 회전이 정지한 후 약 8분이 경과하여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가 건조되기 시작하기 전에, 가습 유닛(20)의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이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가습 부재(32) 전체가 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는다. 이에 의해, 가습 부재(32) 전체가 젖은 상태가, 송풍량이 약인 상태에서 항상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38)는 팬(17)의 구동 상태(환언하면, 상술한 송풍량)에 따라서, 그 구동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20)을 1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서도, 가습 유닛(20) 전체가 항상 받침 접시(22)의 물에 젖어 있기(물이 떨어질 정도로 젖어 있기) 때문에, 가습 유닛(20)이 덜 마르게 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가습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습 유닛(20)으로부터 덜 마름에 수반하는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는 인터벌마다에 있어서, 가습 유닛(20)을 적어도 1회전시키는 것이면, 복수회 회전시켜도 상관없다. 그렇게 하면, 가습 유닛(20) 전체를 몇 번이나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담가서 확실하게 적실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는 검출된 송풍량이 강할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인터벌로 가습 유닛(20)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송풍량의 강도에 관계없이, 가습 유닛(20) 전체를 항상 받침 접시(22)의 물에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가습 유닛(20)이 덜 마르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운전이 오프인 경우에는[스텝(S1)에서 "아니오"], 공기 유로(15)를 공기가 흐르지 않으므로,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후방측 영역(22B)의 물에 잠겨 있지 않은 부분이 건조되기 어려워져 악취를 발생하지 않고, 또한 가령 이상한 냄새가 발생해도, 기기 밖으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건조 방지 제어[구체적으로는, 스텝(S6) 내지 스텝(S9)까지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가습 운전이 온인 경우에는[스텝(S2)에서 "예"], 항상 가습 유닛(20)이 회전하고 있으므로[스텝(S3)], 소정 시간마다 가습 유닛(20)을 회전시켜 건조 방지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공기 청정 운전이 온이고 가습 운전이 오프인 경우에는[스텝(S2)에서 "아니오"], 이상과 같은 건조 방지 제어[스텝(S6) 내지 스텝(S9)까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공기 청정 운전을 정지하거나, 조금이라도 냄새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타이밍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송풍량을 일부러 약으로 하거나 하지 않아도, 불쾌한 냄새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송풍량으로 공기 청정 운전을 계속하면서, 불쾌한 냄새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 부재(32)는 천이므로, 물기가 잘 빠지지 않아 덜 마르게 되기 쉽지만, 상술한 건조 방지 제어에 의해, 가습 부재(32)가 덜 마르게 되어 있는 상태가 없기 때문에, 가습 부재(32)에 있어서의 상술한 잡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가습 부재(32)의 유지 보수의 빈도가 적어지므로,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팬(17)의 구동 상태로서, 송풍량이 강, 중, 약의 3단계로 전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송풍량을 전환하지 않는 것에 있어서는, 그 송풍량에 걸맞는 인터벌로 가습 유닛(20)을 회전시키면 된다.
<가습 유닛의 조립>
도 4에 있어서, (a)는 가습 부재(32)의 분해 사시도이며, (b)는 완성된 가습 부재(32)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가습 유닛(20)의 정면도로, 지지체(34)에의 가습 부재(32)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B-B 화살표 단면도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가습 유닛(20)의 조립[상세하게는, 지지체(34)에의 가습 부재(32)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a)를 참조하여, 가습 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천으로 형성된 띠 형상이다. 가습 부재(32)의 천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가 사용된다.
그리고, 가습 부재(32)에서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도 4의 (a)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이며, 권취 시작부(32A)라고 함] 및 타단부[도 4의 (a)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이며, 권취 종료부(32B)라고 함]는 모두 루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가습 부재(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지지체(34)(도 5a 참조)의 외주연의 둘레 길이보다 작다.
루프 형상의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 각각에는, 가늘고 긴 핀(40)이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공기 청정기(1)의 전후 방향이며, 도 1 참조]을 따라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핀(40)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통부(41)와, 축부(42)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a)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통부(41)는 축부(42)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a)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통부(41) 및 축부(42)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부(41)는 핀(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 형상이며, 그 전방측 단부에는, 환형의 플랜지부(43)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플랜지부(43)의 전방측 단부면에는, 플랜지부(43)보다 소직경이며, 플랜지부(43)의 원 중심을 원 중심으로 하는 환형이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끼워 맞춤부(4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44)는 통부(41)의 전방측 단부에 대하여 외부 끼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통부(41)의 전방측 단부는 끼워 맞춤부(44)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부(41)에서는, 안쪽의 단부에 있어서, 그 내부가 개방되어 있다.
축부(42)는 핀(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고, 그 안쪽 단부에는, 상술한 플랜지부(43)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축부(42)의 플랜지부(43)의 안쪽 단부면(도 4에서는 보이지 않는 위치)에는, 상술한 끼워 맞춤부(4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끼워 맞춤부(44)는 축부(42)의 안쪽 단부에 대하여 외부 끼움되면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축부(42)의 안쪽 단부는, 끼워 맞춤부(44)보다도 안쪽(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5b 참조).
또한, 플랜지부(43) 및 끼워 맞춤부(44)는 대응하는 통부(41) 또는 축부(42)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축부(42)는 통부(41)의 내부에 대하여, 안쪽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축부(42)가 통부(41)에 대하여 슬라이드함으로써[환언하면, 통부(41)가 축부(42)에 대하여 슬라이드함으로써], 핀(4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축부(42)에는 통부(41)의 안쪽 단부면과 축부(42)의 플랜지부(43)와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45)이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에 의해, 축부(42)가 통부(41)로부터 이격되려고 하고 있다[환언하면, 핀(40)의 전체 길이가 커지려고 하고 있음]. 또한, 축부(42)가 통부(41)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상태에서, 통부(41)에 설치된 갈고리(46)가 축부(42)에 걸림으로써, 통부(41)로부터 축부(42)가 벗어나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 각각에 핀(40)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각 핀(40)의 길이 방향 양단부[특히 통부(41) 및 축부(42)의 각각의 플랜지부(43)]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 중 대응하는 쪽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핀(40)의 통부(41) 및 축부(42)의 플랜지부(43)가 대응하는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를 사이에 두고 있으므로, 각 핀(40)이 대응하는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20)의 지지체(34)의 외주연[상세하게는,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각각의 외주연]의 둘레 상 1군데에는, 제1 걸림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34)의 외주연[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 각각의 외주연]에 있어서 제1 걸림부(47)와는 다른 위치[도 5a에서는, 제1 걸림부(47)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조금 어긋난 위치]에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제2 걸림부(48)가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방향으로 대략 동등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제2 걸림부(48)는 제1 걸림부(47)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제2 걸림부(48A), 제2 걸림부(48B), 제2 걸림부(48C)가 된다.
지지체(34)에 있어서, 전방 플레이트(30)측의 제1 걸림부(47)와 후방 플레이트(31)측의 제1 걸림부(47)는, 전후 방향(도 5a의 종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볼 때 일치하고 있고, 전방 플레이트(30)측의 각 제2 걸림부(48)와 후방 플레이트(31)측의 대응하는 제2 걸림부(48)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볼 때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걸림부(47) 및 제2 걸림부(48)의 양쪽은,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어느 빔 부재(33)(도 6 참조)로부터도 벗어난 위치에 있다.
도 5a에서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걸림부(47) 및 각 제2 걸림부(48)는 지지체(34)의 외주연[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 각각의 외주연]으로부터 지지체(34)의 원 중심측[축(37)측]을 향하여 지지체(3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오목해지는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이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30)의 후방면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전방면 각각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 걸림부(47) 또는 각 제2 걸림부(48)의 최심부[지지체(34)의 원 중심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일치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대응하는 걸림부의 최심부를 둘러싸면서 지지체(34)의 외주연측에 있어서 개방된 대략 C자를 이루는 리브[걸림 리브(49)라고 함]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7도 참조). 전방 플레이트(30)의 후방면의 걸림 리브(49)는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방 플레이트(31)의 전방면의 걸림 리브(49)는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지지체(34)에 대하여, 가습 부재(32)가 지지체(34)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약 1주분 감겨 있다.
상세하게는, 우선,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권취 시작부(32A)[환언하면, 권취 시작부(32A)에 삽입 관통된 핀(40)]를,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47)에 대하여, 지지체(34)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배치한다[도 5b에 있어서의 최상위의 핀(40A)도 참조].
계속해서, 권취 시작부(32A)[권취 시작부(32A)에 삽입 관통된 핀(40)]를 지지체(34)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움직여(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제1 걸림부(47)에 접근시키면서, 도 5b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2번째의 핀(4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시작부(32A)의 핀(40)을 그 길이 방향(전후 방향) 양 외측으로부터 끼워 줄인다. 이때, 핀(40B)에 있어서, 통부(41)의 끼워 맞춤부(44)와 축부(42)의 끼워 맞춤부(44)의 간격은, 전방 플레이트(30)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와 후방 플레이트(31)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거나, 걸림 리브(49)끼리의 간격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시작부(32A)를 계속해서 제1 걸림부(47)에 접근시켜, 권취 시작부(32A)의 핀(40)의 전단부(도 5b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를 전방 플레이트(30)의 제1 걸림부(47)에 받아들이게 하면서, 권취 시작부(32A)의 핀(40)의 후단부(도 5b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를 후방 플레이트(31)의 제1 걸림부(47)에 받아들이게 한다.
그 후, 권취 시작부(32A)의 핀(40)에 있어서의 통부(41) 및 축부(42)의 각각의 끼워 맞춤부(44)가, 전방 플레이트(30)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와 후방 플레이트(31)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 사이에 들어가면, 도 5b에 있어서의 위로부터 3번째의 핀(4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40)을 끼우는 힘을 완화하여, 지금까지 줄어들어 있던 핀(40)을 원래의 길이까지 늘인다.
그러면, 권취 시작부(32A)의 핀(40C)에 있어서, 통부(41)의 끼워 맞춤부(44)가 전방 플레이트(30)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의 상술한 대략 C자 부분(도 7 참조)의 내측에 대하여, 후방측(도 5b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딱 맞아, 축부(42)의 끼워 맞춤부(44)가 후방 플레이트(31)의 제1 걸림부(47)에 있어서의 걸림 리브(49)의 내측에 대하여, 전방측(도 5b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딱 맞다. 이에 의해, 제1 걸림부(47)에 대한 권취 시작부(32A)[권취 시작부(32A)에 삽입 관통된 핀(40)]의 걸림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끼워 맞춤부(44)는 다시 핀(40)[핀(40C)]을 줄이지 않는 한, 대응하는 걸림 리브(49)에 대하여 빠짐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핀(40)[통부(41)]의 전단부가 전방 플레이트(30)의 제1 걸림부(47)의 최심부에 걸리고(도 5a도 참조), 핀(40)[축부(42)]의 후단부가 후방 플레이트(31)의 제1 걸림부(47)의 최심부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림부(47)에 권취 시작부(32A)가 걸린 후에, 가습 부재(32)가 전방 플레이트(30)와 후방 플레이트(31) 사이에 있어서, 도 5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지지체(34)에 감긴다. 이때, 가습 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빔 부재(33)(도 7도 참조)에 대하여, 이들을 둘러싸도록 감긴다. 그 결과, 지지체(34)에 감긴 가습 부재(32)는 환형[진원(眞圓)]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부재(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자연 길이)는,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인장하지 않고 가습 부재(32)를 지지체(34)에 감으면,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권취 종료부(32B)가 권취 시작부(32A)까지 오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에, 권취 종료부(32B)를 도 5a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이장하여 가습 부재(32)를 늘인다. 이에 의해, 가습 부재(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길이보다 커진다.
그 후, 권취 종료부(32B)[엄밀하게는 권취 종료부(32B)에 삽입 관통된 핀(40)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복수 있는 어느 제2 걸림부(48)[도 5a에서는, 제1 걸림부(47)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2 걸림부(48A)]에 건다. 제2 걸림부(48)에 대하여 권취 종료부(32B)를 거는 순서는, 제1 걸림부(47)에 대하여 권취 시작부(32A)[권취 시작부(32A)에 삽입 관통된 핀(40)]를 걸기 위하여 상술한 순서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가습 유닛(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5b에 있어서의 가장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의 각 핀(40)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대응하는 전방 플레이트(30)의 전방면 또는 후방 플레이트(31)의 후방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 플레이트(30)의 전방면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후방면에 있어서 제1 걸림부(47) 및 제2 걸림부(48)와 일치하는 부분의 주변은, 오목하게 되어 있고[이 부분을 오목 부분(51)이라 함], 각 핀(40)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전방 플레이트(30)의 전방면 또는 후방 플레이트(31)의 후방면의 함몰 부분(51) 내에 위치하고 있어, 전방 플레이트(30)의 전방면 또는 후방 플레이트(31)의 후방면보다도 외부로 밀려 나와 있지 않다. 그로 인해, 가습 유닛(2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할 때에, 각 핀(40)의 전단부나 후단부가 가습 유닛(20)의 둘레의 부품에 걸림으로써 가습 부재(32)가 지지체(34)로부터 불시에 빠지는 일은 없다.
또한, 가습 유닛(20)을 분해하기 위하여 가습 부재(32)를 지지체(34)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도 5a를 참조하여, 우선, 권취 종료부(32B)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핀(40)을 끼워 줄임으로써, 통부(41) 및 축부(42)의 각각의 끼워 맞춤부(44)를 대응하는 걸림 리브(49)로부터 떼어 내고, 그 후, 권취 종료부(32B)를 지지체(34)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움직여, 제2 걸림부(48)로부터 떼어 낸다. 그리고, 권취 종료부(32B)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권취 시작부(32A)를 제1 걸림부(47)로부터 떼어 내고 나서,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 이외 부분을 지지체(34)로부터 떼어 내면, 가습 부재(32) 전체가 지지체(34)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가습 유닛(2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습 부재(32)는 적절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지지체(34)[상세하게는 복수의 빔 부재(33)]에 감겨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47)에 걸린 권취 시작부(32A)와, 제2 걸림부(48)에 걸린 권취 종료부(32B)는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체(34)의 외주연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권취 시작부(32A)와 권취 종료부(32B) 사이에 간극이 없다. 이에 의해, 공기 유로(15)(도 1 참조)의 공기가 권취 시작부(32A)와 권취 종료부(32B)의 간극을 지남으로써 가습 부재(32)에 가습되지 않고 출구(7)(도 1 참조)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습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가습 부재(32)는 지지체(34)의 외주연을 따라 지지체(34)에 감긴다. 즉, 가습 부재(32)를 지지체(34)에 밖으로부터 감음으로써 가습 유닛(20)이 완성되므로, 가습 부재(32)의 유지 보수시에는, 지지체(34)를 분해하지 않아도 가습 부재(32)의 제거 및 설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습 유닛(20)의 유지 보수에 대하여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습 유닛(20)이면, 가습 부재(32) 대신에 적층된 복수매의 가습 디스크를 지지체(34)에 조립하는 구성 등에 의한 가습 유닛에 비하여 부품 개수(환언하면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부재(32)의 권취 종료부(32B)가 제2 걸림부(48A)에 걸려 있다고 하여, 이 경우에, 사용에 수반하여 가습 부재(32)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가습 부재(32)의 권취 종료부(32B)를 제2 걸림부(48A)[제1 걸림부(47)에 가까운 제2 걸림부(48)]로부터 떼어 내어 제2 걸림부(48B 및 48C)[제1 걸림부(47)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2 걸림부(48)]에 다시 걸면, 가습 부재(32)를 느슨해짐 없이 지지체(34)에 감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습 부재(32)가 늘어난 경우라도, 늘어난 가습 부재(32)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가습 유닛(20)을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34)에 감긴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느슨해짐이 없으므로, 가습 부재(32)가, 예를 들어 전방 플레이트(30)와 후방 플레이트(31)에 끼이거나, 가습 유닛(20)이 회전할 때에 가습 유닛(20)의 둘레의 부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늘어나기 전의 신품시의 가습 부재(32)와 마찬가지로, 늘어난 가습 부재(32)를 적절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지지체(34)에 감을 수 있으므로, 가습 부재(32)가 신품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가습 성능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말하면, 가습 부재(32)가 느슨해져 있으면, 가습 부재(32)에 있어서 느슨한 부분과 지지체(34)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가 이 간극을 통과함으로써 가습 부재(32)에 가습되지 않게 되므로, 가습 효율의 저하가 우려된다.
이와 같이, 가습 부재(32)를 지지체(34)에 감고, 권취 시작부(32A) 및 권취 종료부(32B)의 각각을 지지체(34)에 거는 것만으로 가습 유닛(20)을 완성시키는 구성이면, 가습 유닛(2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여기서는, 제2 걸림부(48)를 3개 설치하였지만, 가습 부재(32)의 늘임 상태에 따라서, 제2 걸림부(48)의 수가 적절하게 변경된다. 또한, 가습 부재(32)가 줄어든 경우나, 필요 이상으로 큰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가습 부재(32)가 지지체(34)에 감긴 경우에는, 가습 부재(32)의 권취 종료부(32B)를 제1 걸림부(47)에 가까운 측의 제2 걸림부(48)에 걸면, 지지체(34)에 감긴 가습 부재(32)에 대하여, 상술한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관한 가습 유닛(2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2 걸림부(48)는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 각각에 있어서, 독립되어 설치되어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져 있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 각각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절결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0)는 대응하는 전방 플레이트(30) 또는 후방 플레이트(31)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원 중심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후에, 절곡되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시계 방향의 방향[제1 걸림부(4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절결부(50)에 있어서, 절곡된 부분에 제2 걸림부(48A)가 설치되고, 제2 걸림부(48A)에 대하여, 제1 걸림부(4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제2 걸림부(48B)가 설치되고, 제2 걸림부(48B)에 대하여, 제1 걸림부(4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제2 걸림부(4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습 부재(32)의 권취 종료부(32B)를 제2 걸림부(48)에 걸기 위해서는, 권취 종료부(32B)에 있어서, 핀(40)을 핀(4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걸림부(48A)에 대하여 접근시키면서, 핀(4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줄인 후, 핀(40C)을 참조하여,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각 절결부(50)에 끼워 넣고, 제2 걸림부(48A)에 건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핀(40)과 제2 걸림부(48)를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부재(32)[도 4의 (b) 참조]가 늘어나면, 핀(4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40)을 줄임으로써, 권취 종료부(32B)를 제2 걸림부(48A)로부터 떼어 내어, 각 절결부(50) 내에 있어서 제2 걸림부(48B) 및 제2 걸림부(48C)측으로 어긋나게 한다. 그리고, 제2 걸림부(48B) 및 제2 걸림부(48C) 중, 걸고자 하는 제2 걸림부(48)의 위치에서, 핀(40)을 늘려[핀(40E)을 참조], 권취 종료부(32B)를 대응하는 제2 걸림부(48B 또는 48C)에 대하여 건다. 또한, 제2 걸림부(48A 내지 48C)의 각각에 대응하는 걸림 리브(4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략 C자는 아니지만, 권취 종료부(32B)가 제2 걸림부(48A 내지 48C) 중 어느 것에 걸린 상태에서는, 권취 종료부(32B)의 핀(40)의 각 끼워 맞춤부(44)를 빠짐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도 7은 제2 변형예에 관한 가습 유닛(20)의 사시도이다.
가습 부재(32)가,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가습 부재(32)를 늘려 길이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48)를 전방 플레이트(30) 및 후방 플레이트(31)의 각각에 있어서 1개만 설치하면 된다.
<전해수 유닛>
이 공기 청정기(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20)에 있어서, 지지체(34)의 내공간(35) 내에 전해수 유닛(70)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해수 유닛(70)은 내공간(35) 내에 있어서 축(37)보다 상측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해수 유닛(70)과 가습 유닛(20)은 전후 방향(도 1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고, 전해수 유닛(70)은 가습 유닛(20)의 상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전해수 유닛(70)은 본체 케이스(2)의 격벽(9)에 지지되어 있다.
전해수 유닛(70)은 필터(16)를 통과하여 청정화된 후에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전해수를 싣는 것이다. 그로 인해, 이 공기 청정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입한 외기를 필터(16)로 청정화하거나 가습할 뿐 아니라, 전해수 유닛(70)에 전해수를 방산시켜, 이 전해수에 의해 외부(실내)의 공기를 살균ㆍ탈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해수 유닛(70)은 상면이 개방된 물 받이 용기(71)와, 증산판(72)과, 기어(73)와, 전극 유닛(90)(후술하는 도 8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증산판(72)은 다수의 관통 구멍(74)(후술하는 도 10도 참조)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다. 이들 관통 구멍(74)은 증산판(72)의 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증산판(7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길다(도 10 참조). 증산판(72)은 경사 전방측 하방(도 1에서는 경사 좌측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물 받이 용기(7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기어(7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는 원반 형상이며, 그 외주 부분에 기어 이(7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73)의 저면의 원 중심 위치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기어축(76)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기어 축(76)의 하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 증산판(72)의 원 중심 부분에 위로부터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증산판(72)과 기어(73)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증산판(72) 및 기어(73)는 기어 축(76)과 함께 회전 가능하다. 또한, 증산판(72)은 회전 중에 있어서도, 항상 경사 전방측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극 유닛(90)은 물 받이 용기(71)에 수용되어 있고(도 8 참조), 전해수 유닛(70)의 외부의 본체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전해수 유닛(70)에서는,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이 전극 유닛(90)(도 8 참조)의 작용에 의해 전기 분해됨으로써, 전해수가 생성된다.
여기서, 가습 유닛(20)의 지지체(34)[상세하게는 전방 플레이트(30)]의 내주연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기어 이(77)가 형성되어 있고(도 7 참조), 전해수 유닛(70)측의 기어 이(75)와 가습 유닛(20)측의 기어 이(77)가 맞물려 있다. 또한, 전해수 유닛(70)에 있어서, 기어 이(75) 이외의 부분은, 가습 유닛(20)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20)이 회전하면, 가습 유닛(20)의 외주 부분[즉, 가습 유닛(20)에 있어서 지지체(34)에 감긴 가습 부재(32)]은 전해수 유닛(70)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때, 가습 부재(32)의 하단부가 받침 접시(22)에 잠김으로써 흡수한 물은, 이 하단부가 가습 부재(32)의 회전에 의해 상승할 때에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노출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기를 가습한다.
여기서, 공기의 가습에 기여하지 않고, 가습 부재(32)로부터 흘러 넘치는 물이 존재한다. 또한, 가습 부재(32)를 지지하는 지지체(34)에 부착한 물이 가습 유닛(20)의 회전에 수반하여 지지체(34)의 표면을 타고 흘러 넘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물이 전해수 유닛(7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들 물은, 가습 유닛(20)으로부터 낙하하여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다.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에 기초하여, 전해수 유닛(70)에서는 전해수가 생성된다.
전해수의 생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의 수위가, 소정 수위[수면(T) 참조]까지 상승하면, 상술한 전극 유닛(90)(도 8 참조)의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에 잠긴다.
그리고, 전극 유닛(90)의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상술한 본체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물 받이 용기(71) 내의 물은 전기분해되어 전해수가 된다. 물에는, 통상, 수돗물이 사용되고, 수돗물에는 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해수 유닛(70)은 전극 유닛(90)에서의 전기 분해에 의해, 살균 작용이나 탈취 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이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소정 수위까지 물 받이 용기(71)에 물이 모여 있는 경우에는, 증산판(72)이 물 받이 용기(71)의 수면(T)에 대하여 경사 전방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증산판(72)의 전방측 부분(대략 전반 부분)이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전해수)에 잠겨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수 유닛(70)에서는, 기어(73)의 기어 이(75)가 가습 유닛(20)의 기어 이(77)에 맞물려 있으므로, 가습 유닛(20)이 회전하면, 기어(73)가 가습 유닛(2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73)의 회전에 수반하여, 기어 축(76)을 통하여 기어(73)와 일체화되어 있는 증산판(72)이, 기어 축(76)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전방측 하방으로 경사져 전방측 부분이 물 받이 용기(71)의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면서, 가습 유닛(20)의 회전에 동기하도록 회전한다.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 물(전해수)에 잠겨 있는 증산판(72)의 전방측 부분에서는, 표면 장력에 의해 증산판(72)이 상술한 관통 구멍(74)에 전해수의 막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증산판(72)이 회전함으로써, 전해수의 막이 쳐진 관통 구멍(74)이, 증산판(72)에 있어서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물 받이 용기(71)의 전해수를 연속적으로 취출한다. 그렇게 하면, 전해수의 막이 쳐진 관통 구멍(74)은 증산판(72)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도 1의 굵은 실선 화살표를 참조)에 순서대로 노출되게 되고, 전해수의 막이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미스트상으로 부서져 관통 구멍(74)으로부터 벗겨지고, 전해수가 연속적으로 증산한다.
그 후, 이 미스트상의 전해수(전해수 미스트)가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실려 상승하고, 가습 유닛(20)에 있어서의 전방 플레이트(30)와 후방 플레이트(31) 사이 및 가습 부재(32)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청정화된 공기 모두 출구(7)로부터 실내로 방출된다(도 1의 굵은 실선 화살표를 참조).
이와 같이, 증산판(72)은 생성된 전해수를,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에 싣는다. 이에 의해, 전해수는 미스트상으로 되어, 출구(7)로부터 기기 밖(예를 들어 실내)으로 방산되어 실내에 널리 퍼져, 실내의 공기를 살균하거나 탈취하거나 한다.
여기서, 가습 부재(32)는 폴리아미드제이면 된다. 폴리아미드는 전해수와의 궁합이 맞아, 가습 부재(32)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농도(상세하게는, 상술한 차아염소산이나 활성 산소의 농도)를 낮추기 어렵다. 그로 인해, 생성시와 거의 바뀌지 않는 농도의 전해수를 기기 밖으로 방산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ㆍ탈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 미스트는 가습 부재(32)에 대하여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어, 가습 부재(32)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 유닛(20)에 있어서 전해수 유닛(7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물방울(W)이 가습 유닛(20)으로부터 물 받이 용기(71)에 낙하하는 경우, 또는 물 받이 용기(71)로부터 넘친 물이 물방울(W)이 되어 받침 접시(22)에 낙하하는 경우에 있어서, 낙하하는 물방울(W)이 대응하는 물 받이 용기(71) 또는 받침 접시(22)의 수면(S 또는 T)에 직접 낙하함으로써, 큰 적하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공기 청정기(1)에서는, 적하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이하의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C-C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받이 용기(71)에는, 그 전방벽(78)으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벽(79)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경사벽(79)의 하단부에 있어서 물 받이 용기(71)의 전방벽(78)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경사벽(79)을 상하로 관통하는 슬릿(X)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79)은 가습 유닛(20)의 상단부와 물 받이 용기(71)에 있어서의 수면(T)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경사벽(79)은, 증산판(72)의 후방측 부분에 대하여, 전후 방향(도 9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전방측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증산판(72)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 공기 유로(15)를 흐르는 공기(도 9의 굵은 선 화살표 참조)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사벽(79)을 설치해 두면, 가습 유닛(20)의 상단부로부터 물방울(W)이 낙하해도, 그 앞에 경사벽(79)이 있어, 물방울(W)은 물 받이 용기(71)의 수면(T)에 직접 낙하하지 않고, 낙하하여 바로 경사벽(79)에 받아내어져, 경사벽(79)의 상면을 타고 전방 하측으로 흐른다. 그리고, 이 물방울(W)은 경사벽(79)의 하단부의 슬릿(X)을 지나 물 받이 용기(71)의 전방벽(78)을 타고, 그 후, 소리를 내지 않고 물 받이 용기(71) 내에 유입하여, 물 받이 용기(71)에 모인다. 이에 의해, 가습 유닛(20)의 상단부로부터의 물방울(W)이 물 받이 용기(71)의 수면(T)에 직접 낙하하지 않으므로, 물 받이 용기(71)를 향하여 낙하하는 물방울(W)에 의한 적하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받이 용기(71)에 있어서 물이 모이는 부분을 후방측으로부터 구획하는 구획벽(80)(도 9도 참조) 상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배면에서 볼 때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좌측으로 조금 어긋난 위치에는, 구획벽(8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결하는 절결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벽(80)의 후방면에 있어서, 절결부(81)에 대하여 배면에서 볼 때 죄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리브(8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리브(82)는 폭 방향으로 얇은 판 형상이며, 구획벽(80) 상단부 가장자리와 하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리브(82)의 후단부 가장자리(82A)는 전방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구획벽(80)의 하단부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리브(82)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리브(8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리브(83)는, 배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좌측의 단부 가장자리(83A)가 우측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축(37)의 전단부에는, 환형의 플랜지(84)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플랜지(84)는 제2 가이드 리브(83)의 하단부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연속되어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상술한 격벽(9)에는 연통 구멍(10)을 좌우로 분할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제3 가이드 리브(8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가이드 리브(85)는 폭 방향으로 얇은 판 형상이고, 그 후단부 가장자리(85A)는 플랜지(84)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연속된 상태에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격벽(9)에 연결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제3 가이드 리브(85)의 상하 방향 도중[상세하게는, 제3 가이드 리브(85)의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에는, 제4 가이드 리브(8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가이드 리브(86)는, 배면에서 볼 때, 제3 가이드 리브(85)로부터 좌측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물 받이 용기(71)로부터 넘친 물은, 물방울(W)로 되어, 구획벽(80)의 절결부(81)로부터 구획벽(80)의 후방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른다. 이때, 물방울(W)은 배면에서 볼 때, 좌측의 제1 가이드 리브(82)에 받아내어져, 제1 가이드 리브(82)에 가이드됨으로써, 이 이상 좌측으로 어긋나지 않고, 제1 가이드 리브(82)의 후단부 가장자리(82A)(도 9 참조)를 타고 하방으로 흐른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리브(82)의 하단부에 도달한 물방울(W)은 제2 가이드 리브(83)에 받아내어져, 배면에서 볼 때의 제2 가이드 리브(83)의 좌측 단부 가장자리(83A)를 타고 우측 하방으로 흐르고, 그 후, 플랜지(84)에 전달된다(도 9 참조).
플랜지(84)에 전달된 물방울(W)은 플랜지(84)를 타고 하방으로 흐르고, 그 후, 제3 가이드 리브(85)에 전달된다. 이때, 플랜지(84)로부터의 물방울(W)은 제3 가이드 리브(85)에 직접 전달되는 경우도 있고, 제4 가이드 리브(86)에 일단 전달되어 다른 물방울과 합쳐져 커진 후 제3 가이드 리브(85)에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 리브(85)에 전달된 물방울(W)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가이드 리브(85)의 후단부 가장자리(85A)를 타고 전방 하측으로 흐른 후에, 격벽(9)에 전달되어 격벽(9)의 후방면 및 받침 접시(22)의 구획판(25)의 후방면을 이 순서로 타고 하방으로 흘러, 마지막에, 받침 접시(22)의 후방측 영역(22B)에 대하여 소리를 내지 않고 유입하여 모인다.
이에 의해, 물 받이 용기(71)로부터의 물방울(W)이 받침 접시(22)의 수면(S)에 직접 낙하하지 않으므로, 물 받이 용기(71)로부터 넘쳐 받침 접시(22)를 향하여 낙하하는 물방울(W)에 의한 적하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증산판(7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증산판(72)의 평면도와 증산판(72)의 증산 성능에 관한 표를,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a)],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b)], 및 본 실시예에 관한 증산판(72)[도 10의 (c)] 각각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b) 및 도 10의 (c)에서는, 우측 단부 위치에 있어서, 증산판(72)의 주요부 단면도도 도시하고 있다.
증산판(72)의 치수에 관하여,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 대하여, 외경은 71㎜이며, 각 관통 구멍(74)의 길이 방향[엄밀하게는 증산판(72)의 둘레 방향에 대한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길이 방향 치수)(Y)는 23㎜이다. 또한,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의 표면은 매끄럽다(표면에 요철이 없음).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하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서는, 외경은 67㎜이며, 각 관통 구멍(74)의 길이 방향 치수(Y)는 21.5㎜이다. 즉,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은,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 비하여, 외경 및 각 관통 구멍(74)의 길이 방향 치수(Y)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한치수 작다. 특히, 관통 구멍(74)의 길이 방향 치수(Y)는, 제2 비교예의 경우에는, 제1 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1할 정도 작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의 표면은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과 마찬가지로, 매끄럽다. 또한, 관통 구멍(74)의 수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과 동일하다.
여기서, 증산판(72)의 각 관통 구멍(74)에 형성된 전해수의 막이, 단위 시간당 또는 증산판(72)의 1회전당이고, 미스트상으로 부서져 관통 구멍(74)으로부터 벗겨져 공기 유로(15)(도 1 참조)의 공기에 실리는 양(증산하는 양)을 증산량이라고 한다. 여기서의 증산량의 단위는 (cc/시간)이다.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서는, 송풍량이 상술한 강이면, 증산량은 13이고, 송풍량이 상술한 중이면, 증산량은 6이고, 송풍량이 상술한 약이면, 증산량은 4이다[도 10의 (a)의 표를 참조].
이에 대해,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서는, 송풍량이 강이면, 증산량은 8이고, 송풍량이 중이면, 증산량은 3이고, 송풍량이 약이면, 증산량은 1로, 어느 송풍량에 있어서도, 증산량이 제1 비교예에 비하여 적어진다[도 10의 (b)의 표를 참조]. 이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서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 비하여, 관통 구멍(74)이 작아지므로, 각 관통 구멍(74)에 형성된 전해수의 막[도 10의 (b)의 우측 단부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막(M)을 참조]이 부서지기 어려워져, 증산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관통 구멍(74)의 크기를, 제1 비교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면, 그만큼, 관통 구멍(74)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결국, 증산량은 제1 비교예의 경우보다도 적어진다.
따라서, 증산판(72)의 치수는 제2 비교예와 동일한 상태에서,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산판(72)의 표면[적어도 각 관통 구멍(74)을 둘러싸는 부분(72A)으로, 도 10의 (c)의 우측 단부의 단면도를 참조]에, 무광 가공을 실시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면 된다(도트로 빈틈없이 칠한 부분을 참조). 여기서, 이 요철에 관하여, 증산판(72)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표면에는 0.4㎜ 정도의 요철 높이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증산판(72)의 표면에서는, 금형시의 6할 정도의 요철 높이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금형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은 금형을 특수한 약제에 담금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에 비하여 관통 구멍(74)이 작아도, 각 관통 구멍(74)에 형성된 전해수의 막이 제1 비교예에 관한 증산판(72)의 경우보다도 부서지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와 같이, 무광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는, 증산판(72)의 치수가 제2 비교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아도, 송풍량이 강이면, 증산량은 14이고, 송풍량이 중이면, 증산량은 7이고, 송풍량이 약이면 증산량은 5로, 어느 송풍량에 있어서도, 증산량이 제1 비교예에 비하여 많아진다[도 10의 (c)의 표를 참조].
이와 같이, 증산판(72)의 표면에 무광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증산량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증산판(7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증산판(72)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공기 청정기(1) 전체가 효율적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2: 본체 케이스(하우징)
6: 입구
7: 출구
15: 공기 유로
16: 필터(공기 청정화 수단)
17: 팬(송풍 수단)
20: 가습 유닛
22: 받침 접시(저수조)
32: 가습 부재
34: 지지체
38: 제어부(검출 수단, 건조 방지 수단)

Claims (3)

  1.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입구,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 및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공기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유로에 도입하여 상기 출구로 보내는 송풍 수단과,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청정화하여 상기 공기 유로 하류측으로 흐르게 하는 공기 청정화 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물이 모이는 저수조와,
    일부가 상기 저수조의 물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습 운전시에는 회전됨으로써, 상기 저수조의 물에 잠긴 부분이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공기 유로의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이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을 갖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가습 운전이 아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구동 상태에 따라서, 구동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소정 시간의 인터벌로, 상기 가습 유닛을 적어도 1회전시키는 건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구동 상태에 대하여 송풍량이 강, 중, 약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건조 방지 수단은 검출된 송풍량이 강할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인터벌로 상기 가습 유닛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감기는 천이며, 상기 저수조의 물에 젖은 부분에서 상기 공기 유로의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0100062680A 2009-07-31 2010-06-30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10013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8966 2009-07-31
JP2009178966A JP5328546B2 (ja) 2009-07-31 2009-07-31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218A true KR20110013218A (ko) 2011-02-09

Family

ID=4374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80A KR20110013218A (ko) 2009-07-31 2010-06-30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28546B2 (ko)
KR (1) KR20110013218A (ko)
CN (1) CN101987273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74Y2 (ja) * 1978-08-17 1985-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器用加湿体
CN2184164Y (zh) * 1993-11-09 1994-11-30 陈继进 空气净化加湿器
KR20050049190A (ko) * 2003-11-21 2005-05-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2756995Y (zh) * 2004-12-09 2006-02-08 王再龙 空气净化加湿器
KR100805665B1 (ko) * 2006-11-20 2008-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가습청정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어셈블리
KR100823632B1 (ko) * 2007-02-07 2008-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4862705B2 (ja) * 2007-03-15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
JP4442668B2 (ja) * 2007-09-14 2010-03-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4808201B2 (ja) * 2007-09-28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KR100988441B1 (ko) * 2007-12-04 2010-10-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CN201223758Y (zh) * 2008-07-09 2009-04-22 阮英钢 室内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8546B2 (ja) 2013-10-30
CN101987273A (zh) 2011-03-23
JP2011033253A (ja)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549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JP4416051B1 (ja) 加湿装置
JP5599556B2 (ja) 加湿装置
JP5953196B2 (ja) 加湿装置
KR20200107067A (ko) 습식 방식의 다기능 공기 여과기
RU2531734C1 (ru) Увлажнитель
KR100728248B1 (ko) 공기청정기
JP2010243006A (ja) 加湿装置
KR101240123B1 (ko) 가습 공기청정기
TW200938780A (en) Humidifier, air cleaner, and electrolyzed water unit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20110013218A (ko)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2016020781A (ja) 電気機器
JP4985589B2 (ja) 加湿装置
KR101307840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5724967B2 (ja) 加湿装置
JPH09155139A (ja) 空気清浄装置
KR20130022264A (ko) 가습공기청정기
JP5398496B2 (ja) 加湿装置
JP5900234B2 (ja) 加湿装置
JP2011017502A (ja) 加湿用回転体洗浄方法及びそれを実行する加湿機
JP6081639B2 (ja) 加湿装置
JP5171762B2 (ja) 加湿機
KR101795421B1 (ko) 가습 필터를 이용한 가습 장치
JP2010236721A (ja)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