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279B1 -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279B1
KR101003279B1 KR1020080049761A KR20080049761A KR101003279B1 KR 101003279 B1 KR101003279 B1 KR 101003279B1 KR 1020080049761 A KR1020080049761 A KR 1020080049761A KR 20080049761 A KR20080049761 A KR 20080049761A KR 101003279 B1 KR101003279 B1 KR 10100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veyor
length
unit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602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2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제품의 길이에 근거하여 컨베이어를 제어하도록 한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컨베이어 제어장치는, 검사대로부터 이송된 제품을 런-아웃 롤러테이블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 제1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제품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제2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제품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제품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입력부로부터의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은 중척제품 이송시 제1감지부의 제품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제품이 계속하여 이송되어 컨베이어의 체인 및 런-아웃 롤러테이블의 롤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이송시에 발생하는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는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이 완료된 제품은 절단공정을 거쳐 주문자에 의해 요청된 길이로 절단된 후에 검사대로 이송되어 제품검사공정을 거친다.
제품검사공정이 완료된 제품은 마그네틱 적재기에 의해 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컨베이어는 다수의 체인 구조체로 구성된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제품의 길이에 따라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가 구동하여 제품을 런-아웃 롤러테이블로 이송한다. 여기서, 제1컨베이어는 종단(예컨대, 런-아웃 롤러테이블 방향의 종단)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에서 제품이 감지되면 제품이송이 정지되고, 제2컨베이어는 종단(예컨대, 런-아웃 롤러테이블 방향의 종단)에 설치된 제2감지센서에서 제품이 감지되면 제품이송이 정지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길이에 근거하여 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제어하도록 한 롤러테이블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장치는, 검사대로부터 이송된 제품을 런-아웃 롤러테이블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 제1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제품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제2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제품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제품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입력부로부터의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는, 제품의 길이가 단척 또는 중척이고 제1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는,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제1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제2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방법은, 입력부가,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제어부가, 감지단계에서의 제품감지신호, 및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단계에서, 제어부는 제품의 길이가 단척 또는 중척이고 제1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단계에서, 제어부는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제1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제2감지부가 제품을 감지하면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은 중척제품 이송시 제1감지부의 제품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제품이 계속하여 이송되어 컨베이어의 체인 및 런-아웃 롤러테이블의 롤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제품이 컨베이어의 체인 및 런-아웃 롤러테이블의 롤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불량이 발생을 최소화하고 체인 및 롤러가 파손되어 조업중단 및 조업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베이어 제어장치는 제1컨베이어(100), 제1감지부(120), 제2컨베이어(200), 제2감지부(220), 입력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1컨베이어(100)는 검사대(600)로부터 이송된 제품(500)을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한다. 제1컨베이어(100)는 다수의 체인 구조체(140)를 구비하고, 다수의 체인 구조체(140)가 회전하여 제1컨베이어(100)의 상부에 안착된 제품(500)을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한다. 여기서, 체인 구조체(140)는 무한궤도 형 식을 갖는 다수개의 체인(142)과, 그 체인(142)들의 양측 내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체인(142)을 지지하기 위한 구동축(144) 및 피동축(146)과, 그 구동축(14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8)로 구성된다. 체인 구조체(140)는 모터(148)의 구동력으로 구동축(144)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으로 체인(142)을 회전시켜 체인(142)에 안착 된 제품(500)을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동시킨다.
제1감지부(120)는 제1컨베이어(10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1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1감지부(120)는 제품(500)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거나, 제품(500)에 의한 빛의 차단을 감지하여 제품(500)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가 사용된다. 즉, 제1감지부(120)는 수광부와 발광부 별도로 구성된 광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빛을 수광부가 수광하게 되면 제품(500)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오프상태가 되고,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빛이 제품(500)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가 빛을 수광하지 못하면 제품(500)이 감지된 것으로 온상태가 된다. 제1감지부(120)는 수광부와 발광부 하나로 구성된 광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빛을 수광부가 수광하게 되면 제품(500)이 감지된 것으로 온상태가 되고, 발광부로부터 발생한 빛을 수광부가 빛을 수광하지 못하면 제품(500)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오프상태가 된다.
제2컨베이어(200)는 검사대(600)로부터 이송된 제품(500)을 런-아웃 롤러테 이블(700)로 이송한다. 제2컨베이어(200)의 구성 및 기능은 제1컨베이어(1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감지부(220) 제2컨베이어(20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제2컨베이어(2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2감지부(220)는 제1감지부(120)와 동일하게 광센서를 사용해 제2컨베이어(2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
입력부(300)는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로 이송된 제품(500)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300)는 절단기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제품(500)의 절단길이의 설정값을 제품길이로 입력받는다.
제어부(400)는 제1감지부(120) 및 제2감지부(220)의 감지신호와, 입력부(300)로부터의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00)는 입력부(300)로부터의 제품길이가 단척 또는 중척이고 제1감지부(120)가 제품(500)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부(300)로부터의 제품길이가 장척이고 제1감지부(120)가 제품(500)을 감지하면, 제1컨베이어(1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품(500)의 길이가 장척이고 제2감지부(220)가 제품(500)을 감지하 면 제2컨베이어(2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품(500)의 길이를 의미하는 단척은 제품(500)의 길이가 대략 14m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중척은 제품(500)의 길이가 대략 14m 내지 18m 정도인 것을 의미하고, 장척은 제품(500)이 길이가 대략 18m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연주공정을 마친 후에 절단기에서 기설정된 길이(예컨대, 제품길이의 설정값)로 절단된 제품(500)은 검사대(600)로 이송되어 제품검사공정을 거친다. 제품검사공정이 완료된 제품(500)이 컨베이어(100, 200)로 이송되면, 입력부(300)는 제품길이를 입력받는다(S100). 즉, 입력부(300)는 절단기의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컨베이어(100, 200)로 이송된 제품(500)에 해당하는 제품길이의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입력부(300)로부터의 제품길이가 장척이면(S200; YES), 제어부(400)는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가 장척제품 이송제어단계에 따라 제품(500)을 이송하도록 제어한다(S300). 여기서, 장척은 제품(500)의 길이가 대략 18m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입력부(300)로부터의 제품길이가 단척 또는 중척이면(S200; NO), 제어부(400)는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가 단척/중척제품 이송제어단계에 따라 제품(500)을 이송하도록 제어한다(S400). 여기서, 단척은 제품(500)의 길이가 대략 14m 이하이고, 중척은 제품(500)의 길이가 대략 14m이상 18m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이후, 컨베이어(100, 2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로 이송된 제품(500)은 런-아웃 롤러테이블(700)을 따라 밴딩장치(800)로 이송되어 제품결속공정을 거치거나, 런-아웃 롤러테이블(700)을 따라 불량품 수집장치(900)로 이송되어 압연공정의 스크랩으로 재사용된다.
도 4는 도 3의 장척제품 이송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감지부(120)는 제1컨베이어(100)의 출구측(예컨대,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에 위치하여 제1컨베이어(1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S310).
제1감지부(120)가 제품(500)을 감지하면(S320; YES), 제어부(400)는 제1컨베이어(1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330). 즉, 제어부(400)는 제1감지부(120)에서 제품(500)을 감지하여 온상태가 되면, 제1컨베이어(100)에 속한 다수의 체인 구조체(14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체인 구조체(14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48)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모터(148)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체인(142)이 정지되어 제1컨베이어(100)의 제품이송이 정지된다.
이와 함께, 제2감지부(220)는 제2컨베이어(200)의 출구측(예컨대,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에 위치하여 제2컨베이어(2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S340).
제2감지부(220)가 제품(500)을 감지하면(S340; YES), 제어부(400)는 제2컨베이어(2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350). 즉, 제어부(400)는 제2감지부(220)에서 제품(500)을 감지하여 온상태가 되면, 제2컨베이어(200)에 속한 다수의 체인 구조체(14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체인 구조체(14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48)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모터(148)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체인(142)이 정지되어 제2컨베이어(200)의 제품이송이 정지된다.
도 5는 도 3의 단척/중척제품 이송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감지부(120)는 제1컨베이어(1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S410). 즉, 제1감지부(120)는 제1컨베이어(100)의 출구측(예컨대,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에 위치하여 제1컨베이어(100)에 의해 런-아웃 롤러테이블(700)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500)을 감지한다.
제1감지부(120)가 제품(500)을 감지하면(S410; YES), 제어부(400)는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의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420). 즉, 제어부(400)는 제1감지부(120)에서 제품(500)을 감지하여 온상태가 되면,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에 속한 다수의 체인 구조체(14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체인 구조체(14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48)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모터(148)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체인(142)이 정지되어 제1컨베이어(100)의 제품이송이 정지된다. 이처럼, 컨베이어(100, 200) 제어장치 및 방법은 중척제품 이송시 제1감지부(120)의 제품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위치한 제품(500)이 계속하여 이송되어 컨베이어(100, 200)의 체인(142) 및 런-아웃 롤러테이블(700)의 롤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제품(500)이 컨베이어(100, 200)의 체인(142) 및 런-아웃 롤러테이블(700)의 롤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불량이 발생을 최소화하고 체인(142) 및 롤러가 파손되어 조업중단 및 조업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장척제품 이송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3의 단척/중척제품 이송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컨베이어 120: 제1감지부
140: 체인 구조체 142: 체인
144: 구동축 146: 피동축
148: 모터 200: 제2컨베이어
220: 제2감지부 300: 입력부
400: 제어부 500: 제품
600: 검사대 700: 런-아웃 롤러테이블
800: 밴딩장치 900: 불량품 수집장치

Claims (6)

  1. 검사대로부터 이송된 제품을 런-아웃 롤러테이블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상기 제품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컨베이어의 출구측에서 상기 제품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품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의 길이가 중척이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어장치.
  4. 입력부가,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의 제품길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감지단계에서의 상기 제품감지신호, 및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제품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제품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의 길이가 중척이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어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품의 길이가 장척이고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제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제품이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어방법.
KR1020080049761A 2008-05-28 2008-05-28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0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61A KR101003279B1 (ko) 2008-05-28 2008-05-28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61A KR101003279B1 (ko) 2008-05-28 2008-05-28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02A KR20090123602A (ko) 2009-12-02
KR101003279B1 true KR101003279B1 (ko) 2010-12-21

Family

ID=4168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761A KR101003279B1 (ko) 2008-05-28 2008-05-28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43B1 (ko) 2022-05-27 2023-03-09 주식회사 펩텍시스템 Non PLC 기반의 컨베이어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9135A (zh) * 2014-12-30 2015-05-13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刮板输送机的链条故障监测装置
KR102504766B1 (ko) * 2020-11-11 2023-03-0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444B1 (ko) 2003-05-06 2005-08-05 포철산기(주)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이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444B1 (ko) 2003-05-06 2005-08-05 포철산기(주)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이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43B1 (ko) 2022-05-27 2023-03-09 주식회사 펩텍시스템 Non PLC 기반의 컨베이어 컨트롤러
US11840406B1 (en) 2022-05-27 2023-12-12 Fabtech System Co., Ltd. Non-PLC-based conveyor controller
EP4307064A2 (en) 2022-05-27 2024-01-17 FabTech System Co., Ltd. Non-plc-based conveyor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02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614B2 (ja) 選別装置
US11148887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KR101003279B1 (ko) 컨베이어 제어장치 및 방법
US20200108803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vehicle and vehicle loc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automated carwash
KR20210098001A (ko) 제품 정렬 이송 장치
JP2016160082A (ja) 長尺ワークの搬送装置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948684B1 (ko) 가공물 불량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불량 처리 방법
JP4042427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H0940176A (ja) 物品仕分け装置
JP2003312895A (ja) 重走検知装置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JP5684459B2 (ja) トリム排出装置及びトリム排出方法
KR102508543B1 (ko) Non PLC 기반의 컨베이어 컨트롤러
EP3722233B1 (en) Transportation path diverter
JP4721158B2 (ja) ローラコンベヤの制動装置
JP2011148564A (ja) 搬送システム
KR20090123608A (ko) 롤러테이블 제어장치 및 방법
JP6031876B2 (ja) 長尺丸断面材の仕分け設備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JP2000095326A (ja) 搬送部材のトラッキング方式
KR100444266B1 (ko) 비접촉식 컨베이어벨트 감지장치
NZ762698A (en) Transportation path diverter
JP2006315795A (ja) 自動センタリング装置
JP6370034B2 (ja) 不揃い海苔束排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